교통 정온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통 정온화는 주거 지역의 안전과 쾌적한 생활 환경을 위해 차량 속도를 줄이고 교통 흐름을 조절하는 정책 및 기술을 의미한다. 1972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교통 정온화는 규제와 물리적 시설 설치를 통해 이루어지며, 과속 방지턱, 차선 좁히기, 일방통행, 속도 제한 등이 대표적인 기법이다. 이러한 조치는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증진하고, 소음 및 대기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교통 관련 사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속 가능한 교통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 지속 가능한 교통 - 하이퍼루프
하이퍼루프는 진공 튜브 안에서 캡슐을 이동시켜 최고 속도 1280km/h로 운송하는 친환경 고속 운송 시스템으로, 일론 머스크의 제안 이후 여러 기관에서 개발 중이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교통 계획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교통 계획 - 베드타운
베드타운은 주거 기능 위주로 형성되어 주민들이 다른 중심 도시에 직장을 두고 통근하며, 고용 창출이 미미하고 중심 도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도시나 지역을 의미한다. - 도로 구조물 - 볼라드
볼라드는 본래 선박 계류용 말뚝이었으나, 현대에는 보행자 및 차량 안전 확보와 교통 흐름 제어를 위한 차량 방지턱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하고, 충격 흡수 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으며, 건물 보호, 주차 공간 확보, 교통 유도,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도로 구조물 - 소화전
소화전은 화재 시 소방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설치 위치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 옥내식, 옥외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방법 및 상수도법에 따라 수도사업 관리자가 설치, 유지 및 관리하고 급수 능력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다.
교통 정온화 | |
---|---|
개요 | |
![]() | |
정의 | 교통 흐름을 느리게 하거나 차량 교통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조치 |
목표 | |
주요 목표 | 교통 속도 감소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 증진 지역 사회의 활성화 및 매력도 향상 소음 및 대기 오염 감소 |
추가 목표 | 차량 운행 경로 변경 유도 교통량 감소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지역 경제 활성화 |
유형 | |
속도 제한 | 법정 속도 제한을 30km/h (또는 20mph)로 설정 |
물리적 장치 | 과속 방지턱 차선 폭 좁히기 차선 변경 교차로 디자인 변경 (예: 로터리) 도로 폐쇄 또는 부분 폐쇄 보행자 구역 설정 공유 공간 조성 |
시각적 요소 | 도로 표시 색상 포장 가로수 심기 조경 |
기타 | 교통 교육 프로그램 주차 정책 변경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 |
효과 | |
긍정적 효과 | 사고 감소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 환경 개선 지역 사회의 활성화 부동산 가치 상승 |
부정적 효과 | 차량 통행 시간 증가 버스 노선 변경 필요성 발생 긴급 차량 접근 지연 가능성 |
적용 | |
적용 장소 | 주거 지역 상업 지역 학교 주변 공원 주변 |
논쟁 | |
논쟁점 | 사업 비용 사업의 효과에 대한 의문 긴급 차량 접근 지연 가능성 주민들의 반대 |
기타 | |
유사 개념 | 보행자 우선 구역 |
관련 정책 | 지속 가능한 교통 |
관련 용어 (독일어) | |
독일어 | Verkehrsberuhigung |
관련 용어 (영어) | |
영어 | traffic calming |
2. 역사
1972년 네덜란드 델프트시에서 추진한 본에르프(Woonerfnl)는 교통 정온화 개념의 시초이다. 본에르프는 주택가를 달리는 과속차량에 위협을 느낀 주민이 도로를 굴곡화시키고, 나무를 심거나 노폭을 축소 또는 노면을 요철화하는 방법으로,[45] 주거지 도로에서 자동차와 보행자가 공존하는 방법을 제시한 사례이다. 이는 통과교통의 저속운행 범위를 지정하여 일정구역을 30 km/hr 로 제한했다.
1976년 서독에서는 ‘진정시키다’, ‘부드럽게 한다’ 등의 뜻으로 '''교통 진정화'''(Verkehrsberuhigungde)라는 새로운 교통정책을 도입했다. 당시 주거지 내 자동차 제한속도를 50 km/hr에서 30 km/hr 로 제한하는 템포 30(Tempo 30)이라는 면(面)적인 교통억제책을 시행했고, 이는 존 30(Zone 30)이라는 지구교통규제로 이어져 1970년대 후반 덴마크,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 각지에서 지구교통 관리기법으로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보차공존도로 개념으로 교통 정온화를 도입하여, 보도 설치가 어려운 8 미터 이하 도로에서 커뮤니티 존(community zone) 형태로 활용했다. 1980년 오사카시 나카이케를 시작으로 1998년까지 1,158 개소에 커뮤니티 도로를 정비했다.[45] 일본 커뮤니티 도로는 교통 흐름 통제 문제 외에 주차문제로 인한 주민 공간 확보를 큰 사업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46]
미국에서는 교통 정온화 기법(traffic calming영어)을 자동차의 역효과를 감소시키고 자동차 운전자의 통행형태를 변화시켜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들의 통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물리적 대책으로 정의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교통 정온화'''(交通靜穩化), '''교통 평온화''', '''교통 진정화'''(交通鎭靜化) 등으로 부르며, 주거지 생활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 시설을 설치하고, 통행 규제를 통한 교통 흐름을 조절하거나 주차시설을 통제하는 등으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뜻한다. 교통 정온화 기법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따른다.[47][48]
2000년대 들어서는 생활도로 정비의 주된 개념을 확장하여 미래 교통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sustainable transport)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4년 지구교통관리(site transportation management, STM) 측면에서 서울 강남구 학동공원지구, 서초구 진로유통지구 등을 시작으로 지구개선사업을 시작했다.[45]
1930년대 영국에서 초창기 개발된 교통 정온화는 주거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었다. 이후 보행자 안전을 개선하고 교통으로 인한 소음 공해 및 대기 오염을 줄이는 능력으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도로는 원활한 자동차 교통 흐름을 보장하는 것만을 담당했던 엔지니어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거리의 다른 기능을 육성하는 데는 신경 쓰지 않았다. 교통 정온화 계획은 다른 설계 기능도 고려하도록 성장했다. 예를 들어, 도널드 애플야드(Donald Appleyard)의 ''살기 좋은 거리''(Livable Streets) 연구[3]에 따르면 교통량이 적은 거리의 주민들은 평균적으로 교통량이 많은 거리의 사람들보다 친구가 3명 더 많고 지인이 두 배 더 많았다.
2. 1. 개요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교통 정온화'(交通靜穩化), '교통 평온화', '교통 진정화'(交通鎭靜化) 등으로 불리며, 주거지 생활도로 이용자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 시설 설치, 통행 규제, 주차시설 통제 등을 통해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47][48] 이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시행되며, 사람 중심 교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47][48]1994년 서울 강남구 학동공원지구, 서초구 진로유통지구 등에서 지구교통관리(STM) 측면의 지구개선사업을 시작으로,[45] 2000년대 이후에는 지속 가능한 교통 정책(sustainable transport)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교통약자 보호와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해 교통 정온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3. 종류
지역 주민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통과 교통을 적절하게 통제하는 기법으로,[48] 규제에 의한 교통억제 기법과 물리적 교통억제 기법으로 나눈다.[47] 교통 공학자들은 교통 정온화를 논의할 때 공학, (지역 사회) 교육, 그리고 (경찰) 단속의 세 가지 "E"를 언급한다. 지역 교통 관리 연구에 따르면, 주민들이 종종 자신들의 지역 내에서 감지되는 속도 위반 문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교통 정온화에 대한 지침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교통 정온화 계획은 이 세 가지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공학적 조치만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4]
교통 규제나 노면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소프트적 대책'''과 노상에 구조물(물리적 장치)을 설치하여 도로 자체에 손을 대는 '''하드적 대책'''이 시행된다. 지역의 실정에 맞춰 다양한 수법을 조합하여 교통 정온화를 실시한다.[35] 이들은 특히 필요한 지점에 대해 단발적으로 실시되기도 하고, 상점가나 주택가 등의 특정 도로에 대해 전면적으로 실시되거나, 어떤 지역 내의 모든 도로에 대해 일괄적으로 실시되기도 한다.
=== 규제에 의한 교통 억제 기법 ===
규제에 의한 교통 억제 기법은 운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한하여 교통량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이다.[35]
- 최고 속도 구역 지정: 학교 및 병원과 같은 기관 근처에서 제한 속도를 낮추거나, 혼합 교통의 도시 도로에서는 30km/h 이하의 속도 제한을 설정한다.[13] 오스트리아 그라츠시는 1994년부터 75%의 거리에 30km/h 제한 속도를 적용했다.[14]
- 보행자 우선 도로 조성: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된 도로이다.
- 일방통행제 시행: 교통량 억제나 지름길 방지를 위해 특정 방향으로만 통행을 허용한다.
- 진행 방향 지정: 특정 방향 외 진행을 금지한다.
- 주차 금지 및 주차 허가제: 주차 금지 지정을 통해 통행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주차 허가제를 통해 특정 차량만 주차를 허용한다.
- 일시 정지 규제: 교차로 등에서 차량의 일시 정지를 의무화하여 사고 위험을 줄인다.
- 차종 규제: 주로 대형차의 진입을 금지하며, 소음 대책으로 이륜차를 지정하는 사례도 있다.
교통 공학자들은 교통 정온화를 위해 공학, (지역 사회) 교육, 그리고 (경찰) 단속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 속도 위반 단속 기술에는 직접적인 경찰 조치, 과속 카메라, 차량 작동 표지판 등이 포함된다. 네덜란드는 약 1,500개의 속도/신호 위반 카메라를 설치하고 도시 도로의 70%에 30km/h 제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8]
=== 물리적 교통 억제 기법 ===
교통 공학자들은 교통 정온화를 논의할 때 세 가지 "E"를 언급한다: 공학, (지역 사회) 교육, 그리고 (경찰) 단속. 지역 교통 관리 연구에 따르면, 주민들이 종종 자신들의 지역 내에서 감지되는 속도 위반 문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교통 정온화에 대한 지침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교통 정온화 계획은 이 세 가지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공학적 조치만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4]
공학적 조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도로 레이아웃이나 외관을 물리적으로 변경하여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교통 속도를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
- 운전 시 인지 부하 증가 (운전을 더 어렵게 만듦)
- 도로의 장애물이 운전자를 늦추거나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가능성 증가 (예: 버스 정류장을 버스 벌브로 교체하여 대중교통 차량이 통행 차선에서 승객을 싣고 내리기 위해 정지하도록 하고, 갓길로 빠져나가 차량을 통과시키는 대신)
- 속도 제한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승객의 불편함이나 차량의 물리적 손상 가능성 증가 (예: 과속 방지턱).
조치에는 과속 방지턱, 시케인, 연석 연장, 모달 필터, 생활 도로 및 공유 공간 유형 계획이 포함된다. 독일 힐덴 시는 교통 정온화와 30 km/h 구역 사용을 통해 통행의 24%를 자전거로 달성했다.[5] 1999년에는 네덜란드에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가 자동차보다 법적 우선권을 가지며 동력 "보행 속도" 제한이 적용되는 6,000개 이상의 우너프가 있었다.[6] 그러나 일부 영국 및 아일랜드 "교통 정온화" 계획, 특히 차선 좁히기를 포함하는 계획은 매우 적대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의 사망 및 부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7][8]
더욱 주의 깊은 운전, 속도 감소, 사고 감소 및 보행자에게 양보하는 경향을 높이기 위해 도로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각적 교통 정온화에는 ''차선 좁히기'', ''도로 다이어트''(차선 감소), 거리 옆의 나무 사용, 노상 주차 및 도시에 가깝게 배치된 건물 등이 포함된다.

물리적 장치에는 원하는 속도에 맞게 크기가 조정된 과속 방지턱, 속도 쿠션 및 속도 테이블이 있다. 이러한 조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15~40km/h 사이로 늦춘다. 대부분의 장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지만 고무 교통 정온화 제품이 여러 가지 장점으로 효과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리적 교통 정온화는 다음 공학적 조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법의 유사성에 따라 그룹화된다.[9]
- 좁히기: [http://www.wri.org/blog/2016/12/bigger-isnt-always-better-narrow-traffic-lanes-make-cities-safer 좁은 교통 차선]은 운전자에게 더 느린 속도를 더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고 속도를 제한하거나 경로 선택을 제한하는 다른 처리보다 덜 방해적이다. 좁히기 조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차선 좁히기는 보도를 연장하거나, 볼라드 또는 화분을 추가하거나, 자전거 차선 또는 노상 주차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다.[10]
- 연석 연장 (벌브라고도 함)은 보행자 횡단보도에서 도로의 너비를 좁힌다.
- 초커는 특정 지점에서 도로를 단일 차선으로 좁히는 연석 연장이다.[11]
- 도로 다이어트는 거리에서 차선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운전 차선 수를 줄이기 위해 거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주차를 허용한다.
- 보행자 대피소 또는 거리 중앙의 작은 섬은 차선 너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일방통행 도로를 양방통행 도로로 전환하면 반대 방향의 교통이 서로 가까워져 더 신중한 운전이 필요하다.

- 수직 변형: 도로 표면의 일부를 높이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변형의 높이와 경사 모두 차량 변위에 영향을 미친다. 수직 변형 조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과속 방지턱, 때로는 응급 차량의 지연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분할되거나 오프셋된다.
- 과속 방지턱, 과속 방지턱보다 덜 공격적인 포물선 장치.
- 속도 쿠션, 차량 속도를 늦추지만 넓은 응급 차량이 응급 대응 시간을 늦추지 않고 그 위에 걸쳐 지나갈 수 있도록 도로를 가로질러 일렬로 놓인 2~3개의 작은 과속 방지턱.
- 속도 테이블, 과속 방지턱보다 차량의 속도를 더 점진적으로 늦추는 길고 평평한 속도 방지턱.
- 높은 보행자 횡단보도, 속도 테이블 역할을 하며 종종 교차로에 위치한다.
- 높은 교차로, 높은 보행자 횡단보도와 마찬가지로 속도 테이블 역할을 한다.
- 속도 딥, 높이는 대신 낮아졌습니다(네덜란드의 자전거 도로에서 종종 이중 딥으로 보임).[12]
- 표면 재료 또는 질감 변경 (예: 벽돌, 자갈 또는 폴리머 시멘트 오버레이의 선택적 사용). 질감의 변화에는 운전자에게 보행자 중심 구역에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색상 변경도 포함될 수 있다.
- 럼블 스트립, 교통 차선에서 교통과 수직으로 배치될 때 (교통과 평행하게 차선 사이에 배치되는 대신) 고속으로 건널 때 불쾌한 소리와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과속 방지턱 역할을 한다.
- 수평 변형, 즉 차량을 약간 비틀거리게 만듭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시케인, 차량이 곡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수평 변형을 생성한다.
- 보행자 대피소도 다시 연석 연장 및 초커와 마찬가지로 수평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 로터리 및 교통 원은 특히 교차하는 도로 내에 통합될 때 또 다른 수평 변형 소스를 제공한다.

- 접근 차단 또는 제한. 이러한 교통 정온화 수단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중앙 분리대는 주거 지역으로의 좌회전 또는 통과 이동을 방지한다.
- 교차로를 막다른 골목 또는 막다른 골목으로 변환한다.
- 붐 배리어, 허가된 차량만 통과 교통을 제한한다.
- 거리를 폐쇄하여 보행자 구역을 만듭니다.
- 기타 수단
- 주민들은 종종 가짜 단속 카메라 표지판, 심지어 가짜 과속 카메라, 더미 경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제 장치를 사용했다.
- 일부 캐나다 지역 사회는 학교 구역의 거리 중앙에 유연한 볼라드를 설치한다. 볼라드에는 40 km/h 속도 제한을 나타내는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다.
=== 속도 저감 시설 ===

- 고원식 교차로(미니 라운다바웃/mini roundabout영어)
- 사행(蛇行, 지그재그 형태) 도로: 시케인/chicane영어, 부분 식재
- * 차도굴절형(크랭크/crank영어)
- * 차도굴곡형(슬래럼/slalom영어)
- 차로폭 좁힘(초커/chocker영어)
- 요철 포장
- 과속 방지턱(험프/hump영어)
- '''노면 표시''' - 규제의 내용이나 길가 차선의 명시 등, 컬러 포장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주의를 환기시킨다. 특히 착시로 노면에 융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은 '''이미지 험프'''라고 한다.
- '''협착''' - 차도의 일부를 좁게 하여 차량의 통과 속도를 저하시킨다. 보도를 확장하거나 볼라드를 설치하는 외에도 환경이나 경관을 고려하여 화단이나 수목을 놓는 경우도 있다.
- '''사행''' - 복수의 협착을 조합하여 차량의 통과 속도를 저하시킨다. 직선적인 굴절이 연속되는 것은 크랭크, 곡선적인 것은 슬라럼, 연속되지 않는 사행은 시케인이라고 불린다.
- '''차량 막이''' - 도로의 일부를 차단하여 자동차의 통과를 막고, 샛길 등의 목적으로 지역 외의 자동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울타리나 볼라드 등을 사용한다.
- 쿨드삭 - 주택이 면한 도로를 막다른 골목 형태로 하여 통과 교통의 유입을 막는 것. 차량 막이로 십자로를 차단하여 동일한 효과를 노리는 예도 있다.
- 험프 - 노면의 일부를 융기시켜 통과 차량의 속도를 낮추도록 한다. 포장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과 고무로 된 것이 있다.
=== 횡단 시설 ===
- 고원식 횡단보도
- 보행섬식 횡단보도
- 대중교통 정보 알림 등 교통안내시설
- 보행자, 자전거 우선통행을 위한 교통신호기
- 보도용 방호울타리
=== 노상 주차 억제 ===
- 자동차 진입억제 말뚝
- 주차금지, 정차금지 등 규제
3. 1. 규제에 의한 교통 억제 기법
규제에 의한 교통 억제 기법은 운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한하여 교통량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주요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35]
- 최고 속도 구역 지정: 학교 및 병원과 같은 기관 근처에서 제한 속도를 낮추거나, 혼합 교통의 도시 도로에서는 30km/h 이하의 속도 제한을 설정한다.[13] 오스트리아 그라츠시는 1994년부터 75%의 거리에 30km/h 제한 속도를 적용했다.[14]
- 보행자 우선 도로 조성: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된 도로이다.
- 일방통행제 시행: 교통량 억제나 지름길 방지를 위해 특정 방향으로만 통행을 허용한다.
- 진행 방향 지정: 특정 방향 외 진행을 금지한다.
- 주차 금지 및 주차 허가제: 주차 금지 지정을 통해 통행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주차 허가제를 통해 특정 차량만 주차를 허용한다.
- 일시 정지 규제: 교차로 등에서 차량의 일시 정지를 의무화하여 사고 위험을 줄인다.
- 차종 규제: 주로 대형차의 진입을 금지하며, 소음 대책으로 이륜차를 지정하는 사례도 있다.
교통 공학자들은 교통 정온화를 위해 공학, (지역 사회) 교육, 그리고 (경찰) 단속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 속도 위반 단속 기술에는 직접적인 경찰 조치, 과속 카메라, 차량 작동 표지판 등이 포함된다. 네덜란드는 약 1,500개의 속도/신호 위반 카메라를 설치하고 도시 도로의 70%에 30km/h 제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8]
3. 2. 물리적 교통 억제 기법
교통 공학자들은 교통 정온화를 논의할 때 세 가지 "E"를 언급한다: 공학, (지역 사회) 교육, 그리고 (경찰) 단속. 지역 교통 관리 연구에 따르면, 주민들이 종종 자신들의 지역 내에서 감지되는 속도 위반 문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교통 정온화에 대한 지침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교통 정온화 계획은 이 세 가지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공학적 조치만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4]공학적 조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도로 레이아웃이나 외관을 물리적으로 변경하여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교통 속도를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
- 운전 시 인지 부하 증가 (운전을 더 어렵게 만듦)
- 도로의 장애물이 운전자를 늦추거나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가능성 증가 (예: 버스 정류장을 버스 벌브로 교체하여 대중교통 차량이 통행 차선에서 승객을 싣고 내리기 위해 정지하도록 하고, 갓길로 빠져나가 차량을 통과시키는 대신)
- 속도 제한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승객의 불편함이나 차량의 물리적 손상 가능성 증가 (예: 과속 방지턱).
조치에는 과속 방지턱, 시케인, 연석 연장, 모달 필터, 생활 도로 및 공유 공간 유형 계획이 포함된다. 독일 힐덴 시는 교통 정온화와 30 km/h 구역 사용을 통해 통행의 24%를 자전거로 달성했다.[5] 1999년에는 네덜란드에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가 자동차보다 법적 우선권을 가지며 동력 "보행 속도" 제한이 적용되는 6,000개 이상의 우너프가 있었다.[6] 그러나 일부 영국 및 아일랜드 "교통 정온화" 계획, 특히 차선 좁히기를 포함하는 계획은 매우 적대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의 사망 및 부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7][8]
더욱 주의 깊은 운전, 속도 감소, 사고 감소 및 보행자에게 양보하는 경향을 높이기 위해 도로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각적 교통 정온화에는 ''차선 좁히기'', ''도로 다이어트''(차선 감소), 거리 옆의 나무 사용, 노상 주차 및 도시에 가깝게 배치된 건물 등이 포함된다.
물리적 장치에는 원하는 속도에 맞게 크기가 조정된 과속 방지턱, 속도 쿠션 및 속도 테이블이 있다. 이러한 조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15~40km/h 사이로 늦춘다. 대부분의 장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지만 고무 교통 정온화 제품이 여러 가지 장점으로 효과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리적 교통 정온화는 다음 공학적 조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법의 유사성에 따라 그룹화된다.[9]
- 좁히기: [http://www.wri.org/blog/2016/12/bigger-isnt-always-better-narrow-traffic-lanes-make-cities-safer 좁은 교통 차선]은 운전자에게 더 느린 속도를 더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고 속도를 제한하거나 경로 선택을 제한하는 다른 처리보다 덜 방해적이다. 좁히기 조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차선 좁히기는 보도를 연장하거나, 볼라드 또는 화분을 추가하거나, 자전거 차선 또는 노상 주차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다.[10]
- 연석 연장 (벌브라고도 함)은 보행자 횡단보도에서 도로의 너비를 좁힌다.
- 초커는 특정 지점에서 도로를 단일 차선으로 좁히는 연석 연장이다.[11]
- 도로 다이어트는 거리에서 차선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운전 차선 수를 줄이기 위해 거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주차를 허용한다.
- 보행자 대피소 또는 거리 중앙의 작은 섬은 차선 너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일방통행 도로를 양방통행 도로로 전환하면 반대 방향의 교통이 서로 가까워져 더 신중한 운전이 필요하다.
|thumb|아스팔트를 벽돌 질감과 색상으로 변경하여 교통량이 많은 보행자 횡단보도를 나타내기 위한 폴리머 시멘트 오버레이 건설]]
- 수직 변형: 도로 표면의 일부를 높이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변형의 높이와 경사 모두 차량 변위에 영향을 미친다. 수직 변형 조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과속 방지턱, 때로는 응급 차량의 지연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분할되거나 오프셋된다.
- 과속 방지턱, 과속 방지턱보다 덜 공격적인 포물선 장치.
- 속도 쿠션, 차량 속도를 늦추지만 넓은 응급 차량이 응급 대응 시간을 늦추지 않고 그 위에 걸쳐 지나갈 수 있도록 도로를 가로질러 일렬로 놓인 2~3개의 작은 과속 방지턱.
- 속도 테이블, 과속 방지턱보다 차량의 속도를 더 점진적으로 늦추는 길고 평평한 속도 방지턱.
- 높은 보행자 횡단보도, 속도 테이블 역할을 하며 종종 교차로에 위치한다.
- 높은 교차로, 높은 보행자 횡단보도와 마찬가지로 속도 테이블 역할을 한다.
- 속도 딥, 높이는 대신 낮아졌습니다(네덜란드의 자전거 도로에서 종종 이중 딥으로 보임).[12]
- 표면 재료 또는 질감 변경 (예: 벽돌, 자갈 또는 폴리머 시멘트 오버레이의 선택적 사용). 질감의 변화에는 운전자에게 보행자 중심 구역에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색상 변경도 포함될 수 있다.
- 럼블 스트립, 교통 차선에서 교통과 수직으로 배치될 때 (교통과 평행하게 차선 사이에 배치되는 대신) 고속으로 건널 때 불쾌한 소리와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과속 방지턱 역할을 한다.
- 수평 변형, 즉 차량을 약간 비틀거리게 만듭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시케인, 차량이 곡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수평 변형을 생성한다.
- 보행자 대피소도 다시 연석 연장 및 초커와 마찬가지로 수평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 로터리 및 교통 원은 특히 교차하는 도로 내에 통합될 때 또 다른 수평 변형 소스를 제공한다.
|thumb|중앙 분리대로 분할된 교차로의 다이어그램]]
- 접근 차단 또는 제한. 이러한 교통 정온화 수단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중앙 분리대는 주거 지역으로의 좌회전 또는 통과 이동을 방지한다.
- 교차로를 막다른 골목 또는 막다른 골목으로 변환한다.
- 붐 배리어, 허가된 차량만 통과 교통을 제한한다.
- 거리를 폐쇄하여 보행자 구역을 만듭니다.
- 기타 수단
- 주민들은 종종 가짜 단속 카메라 표지판, 심지어 가짜 과속 카메라, 더미 경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제 장치를 사용했다.
- 일부 캐나다 지역 사회는 학교 구역의 거리 중앙에 유연한 볼라드를 설치한다. 볼라드에는 40 km/h 속도 제한을 나타내는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다.
교통 규제나 노면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소프트적 대책'''과 노상에 구조물(물리적 장치)을 설치하여 도로 자체에 손을 대는 '''하드적 대책'''이 시행된다. 지역의 실정에 맞춰 다양한 수법을 조합하여 교통 정온화를 실시한다[35]。이들은 특히 필요한 지점에 대해 단발적으로 실시되기도 하고, 상점가나 주택가 등의 특정 도로에 대해 전면적으로 실시되거나, 어떤 지역 내의 모든 도로에 대해 일괄적으로 실시되기도 한다.
3. 2. 1. 속도 저감 시설
- 고원식 교차로(미니 라운다바웃/mini roundabout영어)
- 사행(蛇行, 지그재그 형태) 도로: 시케인/chicane영어, 부분 식재
- * 차도굴절형(크랭크/crank영어)
- * 차도굴곡형(슬래럼/slalom영어)
- 차로폭 좁힘(초커/chocker영어)
- 요철 포장
- 과속 방지턱(험프/hump영어)
- '''노면 표시''' - 규제의 내용이나 길가 차선의 명시 등, 컬러 포장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주의를 환기시킨다. 특히 착시로 노면에 융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은 '''이미지 험프'''라고 한다.
- '''협착''' - 차도의 일부를 좁게 하여 차량의 통과 속도를 저하시킨다. 보도를 확장하거나 볼라드를 설치하는 외에도 환경이나 경관을 고려하여 화단이나 수목을 놓는 경우도 있다.
- '''사행''' - 복수의 협착을 조합하여 차량의 통과 속도를 저하시킨다. 직선적인 굴절이 연속되는 것은 크랭크, 곡선적인 것은 슬라럼, 연속되지 않는 사행은 시케인이라고 불린다.
- '''차량 막이''' - 도로의 일부를 차단하여 자동차의 통과를 막고, 샛길 등의 목적으로 지역 외의 자동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울타리나 볼라드 등을 사용한다.
- 쿨드삭 - 주택이 면한 도로를 막다른 골목 형태로 하여 통과 교통의 유입을 막는 것. 차량 막이로 십자로를 차단하여 동일한 효과를 노리는 예도 있다.
- '''험프''' - 노면의 일부를 융기시켜 통과 차량의 속도를 낮추도록 한다. 포장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과 고무로 된 것이 있다.
3. 2. 2. 횡단 시설
wikitext- 고원식 횡단보도
- 보행섬식 횡단보도
- 대중교통 정보 알림 등 교통안내시설
- 보행자, 자전거 우선통행을 위한 교통신호기
- 보도용 방호울타리
3. 2. 3. 노상 주차 억제
- 자동차 진입억제 말뚝
- 주차금지, 정차금지 등 규제
4. 해외 사례
4. 1. 유럽
유럽에서는 수십 년 동안 교통 정온화가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1960년대 말, 네덜란드 델프트에서 시작된 생활도로(우너프)는 자동차 운전자보다 다른 도로 사용자의 필요를 우선시하는 도로이다.[20] 이 개념은 1976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을 시작으로 독일로 확산되었고, 1980년대 초에는 매우 널리 보급되었다.[20] 이러한 아이디어와 기술은 1980년대 말 영국으로도 확산되었으며, 팀 파라오(Tim Pharaoh)와 카르멘 하스-클라우(Carmen Hass-Klau)와 같은 학자들이 그 실행을 옹호했다.[20]영국에서는 저교통 구역(LTN)이 교통 정온화와 여과된 투과성을 통합한다. 2020년, 일부 LTN은 COVID-19 범유행에 대응하여 정부의 긴급 자금 지원으로 도입되었다.[21][22] 한 연구에 따르면, 월섬 포레스트(Waltham Forest)의 LTN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자동차를 소유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걷거나 자전거를 탈 가능성이 높아졌다.[23] 학교 거리(School Streets)는 학교 픽업 및 하교 시간 동안 자동차의 부분적인 통행을 제한하는 또 다른 영국의 계획이다.

아일랜드에서는 1993년부터 국도에서 교통 정온화 계획이 시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갓길이 있는 도로에서 100km/h에서 50 또는 60km/h로 속도 제한이 감소하는 마을로 접근하는 도로에서 시행된다.[24] 이는 갓길과 차도의 폭을 줄이고, 다양한 조경과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줄여 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4] 게이트웨이는 고속 도로에서 저속 도로로의 전환을 나타내며, 보도, 자전거 차선, 교통섬 (도로가 충분히 넓은 경우) 또는 이 세 가지 모두를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마을 입구 및 속도 제한 표지판과 볼라드 및 섬 내 가로등이 함께 설치된다.
1997년에서 2002년 사이에 시행된 91개의 교통 정온화 계획에 대한 평가는 도로 사고가 감소했으며, 사고 건수가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명적인 사고 건수는 52% 감소했다.[25]
4. 2. 북미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는 비전 제로 프로그램을 통해 교통 정온화를 추진하여 2017년까지 사망자 수를 33% 감소시키는 성과를 얻었다.[26]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2018년 연구에 따르면, 교통 정온화 조치는 과속을 줄이고 일일 교통량을 16% 감소시켰으며 주택 가격을 1% 증가시켰다.[27]4. 3. 일본
일본에서는 도쿄와 요코하마와 같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좁은 도로의 갓길 표면 재료나 질감을 변경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교통 정온화 기법이 사용된다.[28] 1980년대부터 오사카시를 시작으로 커뮤니티 도로가 개통되었으며, 이는 유럽의 사례와 유사하게 클랭크나 과속방지턱 등을 설치하여 보행자 우선을 강조하는 방식이다.[38]커뮤니티 도로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대해 보행자 공간과 차량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보행자 통행 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협착, 험프 등의 하드웨어적인 대책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는 방식과, 보행자 공간과 차량 공간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도로에 대해 컬러 포장이나 소프트웨어적인 대책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는 보차 공존 도로로 나뉜다. 이러한 기법을 도로 단위가 아닌 존(zone) 대책으로 특정 지역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커뮤니티 존이라고 부른다.[38]
1996년부터 경찰청은 각 도도부현 경찰을 통해 커뮤니티 존 대책을 추진했으며, 2003년에는 국토교통성에 의해 "안심 보행 에리어" 지정이 이루어졌으나, 주민 합의 및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확산이 불충분했다.[39][42] 2011년, 경찰청은 생활도로에서의 속도 제한을 강화하는 존 30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존 30은 지정 구역 내 전체에서의 시속 30킬로 제한 속도 규제를 우선적으로 실시하며, 물리적 장치 설치는 반드시 동시에 실시하지 않는다.[39][44]
5. 평가
코크레인 리뷰에 따르면, 교통 정온화 조치는 교통 관련 부상 및 사망자 수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저소득 국가에서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교통 정온화 정책이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평가하며, 지속적인 정책 추진과 제도 개선을 통해 교통 약자 보호와 보행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
간행물
Trying to calm the motor car
1985-02
[3]
서적
Livable Street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4]
서적
Civilised Streets: A Guide to Traffic Calming
Environmental and Transport Planning
[5]
웹사이트
Learning from Hilden’s Successes
http://homepage.ntlw[...]
2004-08
[6]
문서
Home Zones briefing sheet
1999-02
[7]
웹사이트
Road Narrowings and Pinch Points
http://galwaycycling[...]
2001-02
[8]
웹사이트
Cyclists at Road Narrowings
http://www.thebikezo[...]
2007-01-27
[9]
서적
Traffic Calming Resource Guide
http://www.scrcog.or[...]
South Central Regional Council of Governments
2014-11-12
[10]
웹사이트
Bigger Isn't Always Better: Narrow Traffic Lanes Make Cities Safer
http://thecityfix.co[...]
2016-12-06
[11]
웹사이트
single lane choker
http://www.ite.org/t[...]
ITE
[12]
뉴스
Speed bumps on the cycle-path
http://www.aviewfrom[...]
2022-12-16
[13]
문서
Speed reduction, traffic calming or cycling facilities: a question of what best achieves the goals?
[14]
문서
The Graz traffic calming model and its consequences for cyclist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City Council Graz
[15]
웹사이트
No Need for Speed: 20s Plenty for Us
http://www.streetfil[...]
Streetfilms
2013-09-09
[16]
웹사이트
Driven To Excess: A Study of Motor Vehicle Impacts on Three Streets in Bristol UK
http://www.walk21.co[...]
2011-11-27
[17]
웹사이트
Enabling and encouraging people to cycle
http://www.camcycle.[...]
1999-10-05
[18]
문서
How to enhance WALking and CYcliNG instead of shorter car trips and to make these modes safer
Department of Traffic Planning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Lund, Sweden
1999
[19]
뉴스
Speed cameras collect over £100m in fines
https://www.telegrap[...]
2008-03-18
[20]
문서
Traffic Calming Guidelines
Devon County Council
1991
[21]
웹사이트
Active travel fund: local transport authority allocations
https://www.gov.uk/g[...]
2022-12-07
[22]
웹사이트
Local councils advised to push ahead with traffic reduction schemes
http://www.theguardi[...]
2022-12-07
[23]
간행물
Low Traffic Neighbourhoods, Car Use, and Active Travel: Evidence from the People and Places Survey of Outer London Active Travel Interventions | Published in Findings
https://findingspres[...]
Findingspress.org
2021-11-25
[24]
웹사이트
Guidelines on Traffic Calming for Towns and Villages on National Routes
https://www.tiipubli[...]
National Roads Authority
2023-11-24
[25]
웹사이트
Evaluation of Traffic Calming Schemes Implemented from 1997 to 2002
https://www.tii.ie/t[...]
National Roads Authority
2023-11-24
[26]
웹사이트
Vision Zero SF - How Are We Doing?
https://visionzerosf[...]
2018-10-29
[27]
간행물
Traffic calming and neighborhood livability: Evidence from housing prices in Portland
2018-11-13
[28]
뉴스
"(25) Traffic calming in Tokyo 交通静穏化"
https://thetokyofile[...]
2018-02-18
[29]
간행물
Area-wide traffic calming for preventing traffic related injuries
[30]
웹사이트
EICネット[環境用語集:「トラフィック・カーミング」]
http://www.eic.or.jp[...]
EICネット
2017-07-30
[31]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8-31
[32]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8-31
[33]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8-31
[34]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8-31
[35]
서적
改定 生活道路のゾーン対策マニュアル
丸善出版株式会社
2017-06-13
[36]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8-31
[37]
웹사이트
交通統計 - 交通事故総合分析センター
http://www.itarda.or[...]
財団法人 交通事故総合分析センター
2017-07-30
[38]
웹사이트
コミュニティ・ゾーン対策の推進について
https://www.npa.go.j[...]
警察庁
1996-06-24
[39]
웹사이트
ゾーン30の推進について(通達)
https://www.npa.go.j[...]
警察庁
2011-09-20
[40]
웹사이트
生活道路におけるゾーン対策推進調査研究報告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7-07-30
[41]
웹사이트
第2章 生活道路に関する交通事故の分析・整理及び傾向把握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7-30
[42]
웹사이트
「あんしん歩行エリア」及び「事故危険箇所」を指定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7-30
[43]
뉴스
川口市で保育園児の列にライトバン、16人死傷(ウィキニュース)
https://ja.wikinews.[...]
ja.wikinews.org
[44]
웹사이트
「ゾーン30」導入広がる 生活道路で時速30キロ規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8-03
[45]
저널
커뮤니티도로의 계획 및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null
2012-09-27
[46]
저널
교통업무편람
null
2012-09-27
[47]
서적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해설
사단법인 대한토목학회
[48]
저널
교통정온화구역 설계
null
2012-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