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1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그레고리오 14세는 1590년부터 1591년까지 재위한 제229대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솜마 롬바르도 출신으로, 법학을 공부하고 크레모나 주교를 거쳐 추기경이 되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프랑스 국왕 앙리 4세를 파문하고 가톨릭 세력을 지원하는 등 프랑스 종교 전쟁에 개입했다. 또한 필리핀 원주민 노예화를 금지하는 칙서를 발표했다. 재위 10개월 만에 담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자 대학교 동문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페루자 대학교 동문 - 교황 바오로 5세
    교황 바오로 5세는 1605년부터 1621년까지 재임한 제233대 교황으로, 교회법에 능통한 법률가 출신이었으며, 교회의 사법권 강조,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갈등,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지동설 논쟁 관여 등과 함께 도시 미관 개선, 성 베드로 대성전 완공 지원, 예술 후원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족벌주의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바레세도 출신 - 루이지 리바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 루이지 리바는 칼리아리에서 세리에 A 우승을 이끌고 세 차례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우승과 월드컵 준우승을 경험한 세계적인 공격수이다.
  • 바레세도 출신 - 움베르토 보시
    움베르토 보시는 이탈리아 정치인이자 북부연맹 창립자 겸 전 서기장으로, 북부 지역 자치권 확대와 이민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였으며, 파다니아 독립 선언과 자금 유용 의혹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1591년 사망 - 도요토미 히데나가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형으로, 뛰어난 행정 능력과 온화한 성품으로 히데요시의 천하통일에 공헌한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오다 노부나가 시대부터 형을 보좌하여 다수의 전투에 참여했고, 야마토 116만 석의 대다이묘이자 종이위 다이나곤까지 승진했으나, 통솔력과 정치적 능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591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9세
    교황 인노첸시오 9세는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라는 본명으로, 니카스트로 주교, 베네치아 교황 대사, 추기경을 거쳐 1591년 짧게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펠리페 2세와 가톨릭 동맹을 지지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1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그레고리오 14세의 초상화
필리프 갈레의 초상화, 1591년경
이름그레고리오 14세
본명니콜로 스폰드라토
출생일1535년 2월 11일
출생지밀라노 공국 솜마 롬바르도
사망일1591년 10월 16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서명Signature of Pope Gregory XIV.svg
문장C o a Gregorius XIV.svg
교회 경력
교황로마 교구
임기 시작1590년 12월 5일
임기 종료1591년 10월 16일
선임자우르바노 7세
후임자인노첸시오 9세
주교 서임1560년 5월 19일
주교 서임자멜키오레 크리벨리, O.P.
추기경 임명1583년 12월 12일
추기경 임명자그레고리오 13세
이전 직책치바테 수도원장 (1551–1560)
크레모나 주교 (1560–1590)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추기경 사제 (1585–1590)
기타 정보
스타일경칭: 성하
호칭: 성하
지칭: 거룩한 아버지
사후: 없음

2. 생애 초기

니콜로 스폰드라티는 밀라노 공국 솜마 롬바르도의 상류층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프란체스코 스폰드라티이다. 비스콘티 가문 출신인 어머니는 그를 출산하다 사망했다. 그는 페루자파도바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사제가 되었으며, 크레모나 주교와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을 역임했다. 트리엔트 공의회에도 참석했다.

2. 1. 가문과 출생

니콜로 스폰드라티는 1535년 2월 11일, 당시 밀라노 공국의 영토였던 솜마 롬바르도에서 상류층 자제로 태어났다.[11][3] 그의 어머니는 비스콘티 가문 출신이었으나 출산 중 사망했다.[11][3] 그의 아버지 프란체스코 스폰드라티는 밀라노 공국의 원로원 의원이었으며, 아내가 사망한 후[3] 교황 바오로 3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11][3]

2. 2. 교육 및 성직 생활

니콜로 스폰드라티는 어린 시절부터 검소하고 독실한 신앙인으로 알려져 있었다.[11] 페루자파도바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양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4] 사제 서품 후, 1560년 크레모나의 주교로 서품되었다.[11] 1561년부터 1563년까지 트리엔트 공의회에 참석하였다.[12] 1583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12] 카를로 보로메오 추기경을 추종하였으며, 필립보 네리와도 친분을 맺었다.[7]

3. 교황 선출

1590년 9월 27일 교황 우르바노 7세가 선종한 후, 주교황령 스페인 대사 올리바레스는 자신의 주군인 펠리페 2세가 수용할 만한 교황 후보자 일곱 명의 명단을 콘클라베에 제시했다.[8] 두 달간의 논의 끝에 1590년 12월 5일 펠리페 2세가 제시한 후보자 가운데 한 명인 스폰드라티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8] 알레산드로 페레티 디 몬탈토 추기경은 스폰드라티의 선출 소식을 알리기 위해 그의 방으로 찾아갔고, 그가 십자가 앞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모습을 발견했다.[8]

교황으로 선출된 다음 날, 그레고리오 14세는 눈물을 흘리며 추기경들에게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용서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은 대체 무슨 짓을 한 것입니까?"라고 말했다.[8]

4. 재위 기간

교황 그레고리오 14세는 1590년 12월 5일 교황 우르바노 7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수도자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재위 기간은 10개월 정도로 짧았다.

그레고리오 14세는 위그노 전쟁에서 가톨릭 세력을 지지하며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와 마옌 공작 샤를 드 로렌의 강력한 권고를 받아들여 프랑스 국왕 앙리 4세를 파문하고, 프랑스 침공을 준비하기도 했다. 이는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던 이전 교황들의 정책과는 다른 행보였다.

그는 다섯 명의 추기경을 서임했는데, 그 중에는 그의 조카 파올로 에밀리오 스폰드라티도 있었다. 또한 필리핀 원주민 노예 해방을 명령하는 등 원주민의 권리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건강이 좋지 않았던 그레고리오 14세는 큰 담석으로 인해 재위 10개월 만에 선종하였고, 교황 인노첸시오 9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4. 1. 프랑스 종교 전쟁 개입

교황 그레고리오 14세는 위그노 전쟁에서 가톨릭 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그는 스페인 국왕과 마옌 공작 샤를 드 로렌의 사주를 받아 1591년 3월 1일 프랑스 국왕 앙리 4세를 파문했다.[8] 교황 식스토 5세가 1585년에 앙리가 이단자(개신교도)이므로 가톨릭 프랑스 왕위를 계승할 자격이 없다고 한 선언을 재확인하고, 프랑스 성직자, 귀족, 사법 관계자, 그리고 평민에게 그를 거부할 것을 명령했다.[8]

그레고리오 14세는 프랑스 침공을 위해 군대를 징집하고, 조카 에르콜레 스폰드라티를 군대 지휘관으로 프랑스에 파견했다. 그는 또한 파리에 매달 15000ITL를 지원하여 가톨릭 동맹을 강화했다. 그레고리오 14세가 스페인 추기경들의 영향력으로 선출된 이유로 스페인 측 입장을 확고히 지지하면서,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최근의 교황 정책은 폐기되었다.

4. 2. 필리핀 원주민 노예 해방 칙서

1591년 4월 18일, 교황 그레고리오 14세는 교황 칙서 《Cum Sicuti》를 발표하여 유럽인들에 의해 강제로 노예가 된 필리핀 원주민들을 해방하고, 이를 어길 시 노예주들을 파문하겠다고 선언했다. 또한 필리핀의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강제로 노예가 된 원주민들에게 배상할 것을 명령했다.[8]

이는 스페인의 필리핀 통치에 대한 교황의 개입으로, 비록 형식적이었지만 원주민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교황의 관심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4. 3. 기타 업적 및 특징

그레고리오 14세는 추기경 회의를 통해 다섯 명의 추기경을 임명했는데, 그중에는 그의 조카 파올로 에밀리오 스폰드라티도 있었다.[8] 그는 필립보 네리에게 추기경직을 제안했으나, 네리는 자신보다 그 영예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 더 많다며 이를 사양했다.[8]

1591년 4월 18일 교황 칙서 《Cum Sicuti》를 발표하여 유럽인들에 의해 강제로 노예가 된 필리핀 원주민들을 해방하고 노예주들을 파문했으며, 필리핀에 있는 가톨릭 신자들이 강제로 노예가 된 원주민들에게 배상하라고 명령했다.[8]

전기 작가들은 교황 그레고리오 14세가 웃음을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때때로 억제할 수 없게 되어 심지어 그의 교황 대관식에서도 나타났다고 언급한다.

5. 선종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던 그레고리오 14세는 큰 담석으로 인해 선종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9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8]

참조

[1] EB9
[2] 서적 Francesco Patrizi's Hermetic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 서적 The Opera of Bartolomeo Scappi (157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DBI Gregorio XIV, papa https://www.treccani[...]
[5] 웹사이트 Pope Gregory XIV https://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2023-05-27
[6] 문서 Atti notarili della Cancelleria arcivescovile Archivio di Stato di Milano
[7] 웹사이트 Miranda,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fiu.edu/~[...]
[8] CE1913
[9] 웹사이트 Gregory XIV https://www.britanni[...] 2024-10-16
[10] 서적 Francesco Patrizi's Hermetic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 서적 The Opera of Bartolomeo Scappi (157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2] 웹인용 Miranda,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fiu.edu/~[...] 2018-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