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립보 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보 네리는 1515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난 사제이자, 오라토리오회의 창설자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검소하게 자랐으며 로마에서 소외된 이들을 위한 사목 활동을 펼치며 '로마의 사도'라는 칭호를 얻었다. 1548년에는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형제회'를 설립하여 순례자들을 도왔으며, 1551년 부제 서품을 받고 1555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1556년 오라토리오회를 창설하여 엄격한 생활규율 없이 성경 읽기, 기도, 묵상을 통해 신앙을 실천하는 공동체를 만들었다. 그는 정치 문제에 관여하지 않으려 했으나, 앙리 4세의 파문 철회를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필립보 네리는 1595년 사망했으며, 1622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유산으로는 오라토리오회, 프랑스 오라토리오회, 음악, 일곱 성당 순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라토리오회원 - 요한 에우데스
    요한 에우데스는 17세기 프랑스 사제이자 예수 마리아 수도회 창설자로, 프랑스 순회 선교, 사제 양성, 윤락 여성 지원에 헌신했으며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 공경을 전파한 공로로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시성한 성인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1506년 나바라 왕국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예수회 창립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중국에서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시성한 성인 - 테레사 데 헤수스
    에스파냐의 로마 가톨릭 수녀이자 신비주의 작가인 테레사 데 헤수스는 카르멜회 수녀회 개혁을 주도하고 신비주의 사상으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시성 후 여성 최초로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마르실리오 피치노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143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며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전집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양에 플라톤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한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이다.
필립보 네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라토리오회

2. 유년 시절

1515년 7월 22일, 피렌체에서 공증인이었던 아버지 프란체스코 네리와 어머니 루크레치아 다 모스키아노 사이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6] 어머니 루크레치아는 남동생을 낳다가 산욕열로 사망했다. 그의 가족은 국가를 섬기는 귀족이었다.[1] 어렸을 때부터 검소하게 자랐으며, 산 마르코 도미니코회 수도원의 수사들에게서 교육을 받았다.[16] 훗날 자신의 진보의 대부분을 그들 중 두 명인 제노비오 데 메디치와 세르반치오 미니의 가르침 덕분이라고 생각했다.[1]

18세 때, 부유한 숙부 로몰로의 사업을 돕기 위해 그가 사는 마을인 산제르마노(현재 카시노)로 갔다.[16] 숙부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장차 숙부의 재산을 물려받으리라는 희망도 갖고 있었다.[16] 숙부의 신임과 애정을 얻었지만,[16] 마을 인근에 있는 베네딕토회의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방문하면서 그곳 수사들의 가난한 삶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16] 이후 성경의 부자 청년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묵상하며, “너에게 부족한 것이 하나 있다. 가서 가진 것을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주어라. 그러면 네가 하늘에서 보물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와서 나를 따라라.”라는 구절을 떠올렸다.[17] 결국 평생 동안 보장된 부유한 삶을 포기하고 1533년로마로 떠났다.[18]

3. 로마에서의 초기 활동

로마에 도착한 필립보 네리는 갈레오토 카치아라는 피렌체 귀족의 가정교사로 초빙되어 한동안 그의 집에서 신세를 졌다.[19] 2년 후 아우구스티노회원들의 지도에 따라 3년 동안 신학을 공부하였다.[20] 이어서 로마 길거리의 병자, 가난한 이들, 매춘부 등 소외된 사람들 속에서 사목 활동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나중에 사람들에게 ‘로마의 사도’라고 불리게 되었다. 1538년부터 본격적인 전교 활동을 시작, 도시 전체를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사람들과 접촉하여 복음을 전하였다.

성 필립보 네리


1544년경 이냐시오 데 로욜라를 알게 되었고, 그의 많은 제자들이 예수회에서 소명을 찾았다.[4]

4. 오라토리오회 창설

1548년 필립보 네리는 자신의 고해신부인 페르시아노 로사와 함께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형제회’(Santissima Trinita de' Pellegrini e de' Convalescenti)를 설립하였다.[21] 이 형제회는 성년(희년)에 로마를 방문하는 수많은 가난한 순례자들을 돕고, 병원에서 퇴원했지만 아직 일할 수 없는 환자들을 구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21] 또한 모금 운동도 전개하였다. 이들은 캄포의 산 살바토레 교회에서 기도 모임을 가졌으며, 이곳에서 성체 현시 40시간 신심이 로마에 처음 소개되었다.[2][3]

1551년, 필립보 네리는 주위의 권고로 부제 서품을 받았고, 같은 해 5월 23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21] 사제가 된 후 인도 선교를 생각했지만, 로마에서 할 일이 많다는 것을 깨닫고 포기하였다. 1556년, 필립보 네리는 동료들과 함께 산 지롤라모 델라 카리타 병원에 자리를 잡고 오라토리오회라는 작은 기도 모임을 시작하였다.

조반니 팔레스트리나는 필립보 네리의 추종자 중 한 명이었고, 예배를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8] 오라토리오 모임은 기도, 찬송, 성경 읽기, 교회 교부 및 순교자록 낭독, 종교적 질문에 대한 강연 등으로 진행되었다. 당시 매일 저녁 여러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였다.[8] 필립보 네리는 고해성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을 변화시켰다.[8]

오라토리오회는 처음에 작게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사제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오라토리오회는 엄격한 생활 규율이나 청빈, 별도의 서원을 요구하지 않았다. 회원들은 성경을 읽고 함께 기도하며, 영성 서적과 성인전을 읽고 묵상을 나누었다. 그 결과, 소외된 이웃을 위한 헌신, 복음 선포에 대한 열정, 신비 체험에 대한 갈망이 나타났다.[22]

5. 오라토리오회의 발전과 쇄신

1564년, 피렌체 사람들의 요청으로 필립보 네리는 산 조반니 데이 피오렌티니 교회를 감독하게 되었다.[4]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교황 비오 4세의 동의를 얻어 수락하였다. 이 무렵, 체사레 바로니오(교회사), 프란체스코 마리아 타루기(후에 아비뇽 대주교), 오타비오 파라비치니(나중에 모두 추기경이 됨) 등 여러 사제들이 오라토리오회에 합류하여 함께 활동했다.[8]

1574년, 피렌체 사람들은 산 조반니 데이 피오렌티니 교회 옆에 오라토리오회를 위한 큰 건물을 지어 본부를 이전했다. 공동체가 성장하고 선교 사업이 확대되면서 자체 교회의 필요성이 느껴졌고,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교회가 새 성전으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건물이 작아 철거 후 새롭게 건립되었다.

1575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오라토리오회를 공식적으로 인가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14] 1577년,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교회가 완공되자, 오라토리오회의 성직자들은 산 조반니 데이 피오렌티니 교회의 책임을 사임했다.

필립보 네리는 1583년까지 산 지롤라모 델라 카리타에 머물다가 교황의 명에 따라 오라토리오회 본부로 옮겼다. 1587년, 종신 관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개인적인 야망보다는 공동체의 자율성을 존중하였다.

6. 정치 활동

필리포 네리는 정치 문제에 관여하는 것을 삼갔지만, 1593년부터 1595년까지 교황 클레멘스 8세를 설득하여 앙리 4세에게 내린 파문저주를 철회하도록 하였다. 앙리 4세는 형식적으로 칼뱅주의를 포기했지만, 교황은 그의 대사를 접수하는 것을 거부했다. 필리포 네리는 교황의 태도가 앙리 4세로 하여금 종교를 다시 믿게 하고 프랑스 내전을 재점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당시 교황의 고해사제였던 오라토리오회 구성원 체사레 바로니오에게 교황이 저주를 철회하지 않으면 사면을 거부하고 고해사제 직을 사임하도록 지시했다. 클레멘스 8세는 추기경단 전체가 그의 정책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즉시 굴복했다. 앙리 4세는 몇 년 후에 이 사실을 알고 필리포 네리의 시의적절하고 정치적인 개입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했다.[1]

7. 필립보 네리의 영성과 사상

필립보 네리는 대중의 존경과 강렬한 개인적 경건함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그는 부패한 로마와 무관심한 성직자들을 개혁하고자 노력했다.[8]

그는 유머 감각이 뛰어났으며, 우울함보다는 쾌활함이 더 기독교적이라고 믿었다. 그는 "기쁜 마음이 풀 죽은 마음보다 더 쉽게 완벽해진다"라고 말하며, 이러한 정신을 자신의 삶 전체에 적용했다. 이것이 그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로마 빈민들의 민간 신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비결이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는 많은 기적을 행했다고 한다. 그가 사망한 후 시신을 검사했을 때 갈비뼈 두 개가 부러져 있었는데, 이는 1545년경 카타콤에서 열정적으로 기도하던 중 심장이 팽창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졌다.[4] 베네딕토 14세는 시성 규칙을 재정비하면서 필립보의 심장 비대가 동맥류 때문이라고 판단했지만, 1932년 포넬과 보르데는 그 원인이 부분적으로는 자연적이고 부분적으로는 초자연적인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확실한 것은 필립보 자신과 그의 참회자들이 그것을 신성한 사랑과 연관시켰다는 것이다.[3]

프레데릭 윌리엄 페이버는 필립보가 "실용적인 평범함"을 통해 금욕적 경건함의 형태를 이전 시대와 구별했다고 칭송했다. 필립보는 흠 잡을 데 없는 예절과 유쾌한 유머 감각을 지닌, 세상사에 밝고 진정한 관심을 가진 현대 신사처럼 보였다. 그는 항상 날카로운 상식을 가지고 있었고, 현대적인 가구로 꾸며진 방에 있었지만 가난의 흔적은 없었다. 그는 좋은 출신, 상당한 업적, 폭넓은 지식을 갖춘 현대 신사의 모든 편안함, 우아함, 세련됨을 갖추고 있었다.

필립보는 자신의 시대의 요구에 맞춰, 심지어 예수회조차 따라갈 수 없는 방식으로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는 대중 설교를 하고, 틀에 얽매이지 않는 기도를 하며, 체계화되지 않았지만 열렬한 개인적 경건함을 실천했다.

필립보는 "오늘 하루를 무사히 넘기게 해 주십시오. 그러면 내일은 두렵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기도했다.[8]

그는 수도원 제도가 그의 시대의 세속적 삶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이해했다. 그는 당시 새롭게 부상하는 시대에는 그보다 더 소박하고 단순하며 일상적인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필립보 네리의 독특한 사상은 선교 활동을 사제와 신도의 공동 작업으로 여기고, 봉사에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과 노래를 도입하여 밝은 분위기를 연출한 점에 있었다.[13]

당시 르네상스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젊은이들의 생활은 퇴폐적이고 비종교적이었다. 젊은이들의 종교 이탈과 향락주의는 어느 도시에서나 문제가 되었지만, 교황청은 성직 매매 등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필립보 네리는 당시 일반적이었던, 일반 민중과 동떨어진 귀족적인 사제의 모습에 의문을 제기하고, 젊은이들 속으로 직접 뛰어드는 새로운 형태의 성직자상을 만들어냈다.

그는 또한 젊은이들에게 죄의 고백과 참회인 고해 성사를 적극적으로 받도록 권유했다. 네리는 고해를 듣는 사제로서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반 신도뿐만 아니라 추기경교황까지 그를 고해 신부로 지명했다.

네리의 좌우명은 "신에 대한 순종, 신의 뜻에 대한 겸손, 신 이외의 모든 것에서 벗어남"이었다.

8. 죽음과 시성

필립보 네리는 1595년 5월 26일 고해소에서 신자들에게 고해성사를 베푼 후, 그날 자정에 선종하였다. 그는 객혈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사람들에게 작별 인사를 한 다음 한 명 한 명에게 모두 축복을 하고 하늘을 쳐다보며 기도문을 중얼거렸다. 로마의 모든 이들은 “성인께서 돌아가셨다. 위대한 성인께서 돌아가셨다.”라며 크게 애도하였다.

필립보 네리는 1615년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으며, 1622년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선종일인 5월 26일로 지정되었다. 성 필립보 네리의 유해는 누오바 성당에 안장되어 있다.

런던 브롬튼 오라토리에 있는 성 필립보 네리에게 헌정된 제단, 성인의 밀랍 조상 포함

9. 유산

필립보 네리가 창설한 오라토리오회는 기존의 수도회와는 다른 독창적인 모습을 띠고 있었다. 교황 바오로 5세가 승인한 규칙은 전통적인 종교 재단에 비해 상당한 자유로운 행동을 허용했다.[22]

오라토리오회는 가톨릭 사제들과 평신도 형제들로 구성된 교황청의 사도 생활단으로, 공식적인 서약 없이 공동체 생활을 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오라토리안이라고 불린다. 오라토리안들은 특정하고 독립적이며 자치적인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헌신한다.

오라토리오회는 수도회가 아니다. 수도회는 수도자가 상급자인 원장에게 절대 복종하는 회칙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오라토리오회는 사제와 신도의 그리스도에 대한 애덕으로 맺어진 공동체이다. 거기에서는 중요 사항은 전원의 결의 일치에 의해 결정된다.[15]

필립보 네리는 오라토리오회에서 부를 성가를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에게 의뢰했다. 여기서 성가의 한 형식인 오라토리오가 생겨났다.

필립보 네리는 오라토리오회가 무분별하게 확대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그러나, 오라토리오회를 배우려는 의식이 높아져, 각지에 오라토리오회가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다. 그는 오라토리오회는 로마의 오라토리오회의 지도를 받지 않고,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했다.

프랑스에서는 성 필립보 네리의 오라토리오회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이와는 별개의 단체인 '프랑스 오라토리오회'가 설립되었다.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는 1611년 프랑스 파리에서 피에르 드 베륄에 의해 설립되었다.[7]

필립보 네리는 자신의 오라토리오 예배에서 '라우다 스피리투얼'(라우데)의 노래를 장려했다.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와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가 이 음악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필립보 네리는 때때로 다른 성당으로 "여행"을 이끌었는데, 가는 길에 음악과 소풍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8] 1553년, 네리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시작하여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서 끝나는, 7개의 성당을 순례하는 하루짜리 기독교 순례 전통을 시작했다.[9][10]

7개의 모든 성당을 방문하는 전통은 네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11] 친목과 초기 성인들의 유산을 발견하는 것을 통해 공통된 종교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결합하기 위함이었다. 네리는 성 베드로 대성전, 성 바오로 대성전, 성 세바스티아노 성당, 라테라노 대성당,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성당, 성 로렌스 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을 방문하는 여정을 만들었다. 그와 몇몇 친구와 지인들은 새벽 전에 모여 산책을 시작했다. 각 성당에서는 기도, 찬송가 제창, 그리고 네리의 짧은 설교가 있었다.[12]

성 바오로 대성전과 산 세바스티아노 푸오리 레 무라를 연결하는 거리는 여전히 "비아 델레 세테 키에제" (일곱 성당 순례길)라고 불린다. 이 기독교 순례는 사육제의 떠들썩한 행동에 대한 반대 활동으로 고안되었다.[12]

9. 1. 오라토리오회

필립보 네리가 창설한 오라토리오회는 기존의 수도회와는 다른 독창적인 모습을 띠고 있었다. 1612년 교황 바오로 5세가 승인한 규칙은 전통적인 종교 재단에 비해 상당한 자유로운 행동을 허용했다.[22]

필립보 네리 오라토리오회는 가톨릭 사제들과 평신도 형제들로 구성된 교황청의 사도 생활단으로, 공식적인 서약 없이 공동체 생활을 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오라토리안(Oratorians, 오라토리안 신부)이라고 불린다. 오라토리안들은 특정하고 독립적이며 자치적인 지역 공동체(오라토리, 일반적으로 위치한 장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헌신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오라토리가 특정 교구를 관리하도록 지정되었으며, 다른 오라토리들은 캠퍼스 사목을 담당할 수 있다.

오라토리오회는 수도회가 아니다. 수도회는 수도자가 상급자인 원장에게 절대 복종하는 회칙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오라토리오회는 사제와 신도의 그리스도에 대한 애덕으로 맺어진 공동체이다. 거기에서는 중요 사항은 전원의 결의 일치에 의해 결정된다.[15]

필립보 네리는 이 오라토리오회에서 부를 성가를 신도이며, 당시 유명한 작곡가였던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에게 의뢰했다. 여기서 성가의 한 형식인 오라토리오가 생겨났다.

필립보 네리는 오라토리오회가 무분별하게 확대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그러나, 오라토리오회를 배우려는 의식이 높아져, 각지에 오라토리오회가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다. 그는 오라토리오회는 로마의 오라토리오회의 지도를 받지 않고,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했다.

9. 2. 프랑스 오라토리오회

프랑스에서는 성 필립보 네리의 오라토리오회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이와는 별개의 단체인 '프랑스 오라토리오회'가 설립되었다.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는 1611년 프랑스 파리에서 피에르 드 베륄(1575-1629)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는 나중에 추기경이 되었다.[7] 프랑스 오라토리오는 17세기 내내 프랑스 영성 학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성 필립보 네리의 오라토리오회와는 달리, 프랑스 오라토리오회는 총장의 중앙 권한 아래 운영되었다. 초기 회원으로는 니콜라 말브랑슈, 루이 토마생, 쥘 마스카롱, 장 바티스트 마시용 등이 있다. 프랑스 혁명 때 탄압받았지만, 1852년 생 로슈 교구 사제 피에르 페테토에 의해 "예수와 무염 시태의 오라토리오"로 부활했다.

9. 3. 음악

필립보 네리는 자신의 오라토리오 예배에서 '라우다 스피리투얼'(라우데)의 노래를 장려했다. 저명한 작곡가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와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가 이 음악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프란체스코 다니엘리는 이것이 독특하고 다양한 미적 경험을 만들어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9. 4. 일곱 성당 순례

필립보 네리는 때때로 다른 성당으로 "여행"을 이끌었는데, 가는 길에 음악과 소풍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8] 1553년, 네리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시작하여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서 끝나는, 7개의 성당을 순례하는 하루짜리 기독교 순례 전통을 시작했다.[9][10]

7개의 모든 성당을 방문하는 전통은 네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11] 친목과 초기 성인들의 유산을 발견하는 것을 통해 공통된 종교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결합하기 위함이었다. 네리는 성 베드로 대성전, 성 바오로 대성전, 성 세바스티아노 성당, 라테라노 대성당,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성당, 성 로렌스 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을 방문하는 여정을 만들었다. 그와 몇몇 친구와 지인들은 새벽 전에 모여 산책을 시작했다. 각 성당에서는 기도, 찬송가 제창, 그리고 네리의 짧은 설교가 있었다.[12]

간단한 식사는 빌라 마테이 정원에서 미리 준비되었다. 마테이 가문은 순례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부지를 개방하고 빵, 와인, 치즈, 달걀, 사과, 살라미를 제공했다. 이 "소풍" 동안 음악가들이 연주하고 가수들이 공연을 했다.

성 바오로 대성전과 산 세바스티아노 푸오리 레 무라를 연결하는 거리는 여전히 "비아 델레 세테 키에제" (일곱 성당 순례길)라고 불린다. 이 기독교 순례는 사육제의 떠들썩한 행동에 대한 반대 활동으로 고안되었다.[12] 이 순례길은 매우 인기를 얻어 다른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이로부터 성 목요일에 일곱 성당을 방문하는 관습이 생겨났다. 로마에서는 일곱 성당 순례가 전통적으로 성주간 수요일에 행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St. Philip Neri http://www.ewtn.com/[...] 2017-12-09
[2] 웹사이트 San Salvatore in Campo http://romafelix.com[...] 2017-12-09
[3] 웹사이트 Addington, Raleigh (of the London Oratory), ''Saint Philip Neri'' http://www.catholicp[...] 2017-07-12
[4] 서적 Ritchie 1911
[5]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usccb.or[...] Libreria Editrice Vaticana,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1997
[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7] 웹사이트 Oratorian https://www.britanni[...] 2016-08-17
[8] 웹사이트 Saint Philip Neri 2016-05-26
[9] 웹사이트 Visiting the Seven Pilgrim Churches of Rome – ZENIT – English https://zenit.org/ar[...] 2012-11-12
[10] 웹사이트 Catholic News Herald - Catholic News Herald http://www.catholicn[...] 2017-12-09
[11] 뉴스 Visiting the Seven Pilgrim Churches of Rome https://zenit.org/ar[...] Zenit 2012-11-12
[12] 웹사이트 "St. Philip's 'Picnic'", The Pontifical Congregation of the Oratory http://brooklynorato[...] 2017-11-24
[13] 서적 柳沼千賀子・聖フィリポ・ネリ―喜びの預言者(ドン・ボスコ新書) ドンボスコ社
[14] 웹사이트 http://www.santiebea[...]
[15] 웹사이트 http://www.oratorios[...]
[16]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SanFrancisco: New York 1991
[17] 문서 마르 10,21.
[18]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SanFrancisco: New York 1991
[19]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SanFrancisco: New York 1991
[20]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SanFrancisco: New York 1991
[21]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SanFrancisco: New York 1991
[22] 뉴스 '[사제의 해 기획-사제의 사제] 2. 필립보 네리 ⑤' http://www.catholi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