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루치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치오 3세는 1181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1185년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교황 선출 전에는 추기경으로 활동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토스카나의 마틸데 영지 소유권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또한 이단 문제에 대응하여 베로나 종교회의를 열고 여러 이단들을 파문했으며, 스코틀랜드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7년 출생 - 통의후
    통의후는 고려 숙종의 일곱째 아들로, 1097년에 태어나 총명하고 학문을 즐겼으며 1106년에 통의후에 봉해졌고, 1115년에 관직을 더해 추인찬화봉절공신에 임명되었으나 1119년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097년 출생 -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후지와라노 다다미치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공경이자 가인으로, 섭정, 관백, 태정대신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스토쿠, 고노에, 고시라카와 천황 3대에 걸쳐 섭관정치의 중심에 섰고, 시와 서예에도 능해 호쇼지류라는 서예 유파를 창시했으며, 그의 가계는 고노에 가, 마츠도노 가, 구조 가 등으로 이어져 섭관가로서 번성하였다.
  • 제3차 십자군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제3차 십자군 -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왕국은 1099년 십자군 전쟁 이후 예루살렘에 세워진 십자군 국가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주민들로 구성되었으나 1187년 예루살렘을 빼앗기고 아크레 함락 후 멸망하였다.
  • 1185년 사망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85년 사망 - 안토쿠 천황
    안토쿠 천황은 겐페이 전쟁 중 다이라 씨 일족과 함께 피신하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8세의 나이로 자결한 일본 제81대 천황으로, 그의 죽음은 겐페이 전쟁의 비극적인 종결을 상징하며 비운의 천황으로 기억된다.
교황 루치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교황 정보
이름루치오 3세
본명우발도 알루칭골리
직함로마 교구 주교
재임 시작1181년 9월 1일
재임 종료1185년 11월 25일
선임자알렉산데르 3세
후임자우르바노 3세
서임1159년
추기경 임명1138년 12월
추기경 임명자인노첸시오 2세
이전 직책산 아드리아노 교회 추기경 (1138–41)
산타 프라세데 교회 추기경 사제 (1141–58)
오스티아 및 벨레트리 교구 추기경 주교 (1158–81)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황 특사 (1167–69)
개인 정보
출생일약 1100년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토스카나 변경령 루카
사망일1185년 11월 25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베로나
페트루스 데 에볼리의 (1196)에 묘사된 루치오 3세

2. 교황 선출 이전

1100년경(아마도 1097년으로 추정) 루카에서 태어난 그는 오를란도의 아들이다. 일반적으로 '''알루친골리'''라는 귀족 집안의 일족으로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9] 시토회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었으나 입회하지는 않았다.[10] 교황 인노첸시오 2세에 의해 1138년 12월 산 아드리아노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고, 1141년 5월 산타 프라세데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이 되었다. 1158년 12월 교황 하드리아노 4세는 그를 오스티아와 발레트리의 주교급 추기경에 임명하였다. 그는 추기경단 단장이 되어, 교황 알렉산데르 3세로부터 두터운 신망을 받은 추기경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Ubaldus Allucingolila(우발도 알루친골리)는 1100년경(1097년으로 추정) 루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오를란도(Orlando)이다.[9] 알루친골리 가문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1] 귀족 가문 출신인지는 확실하지 않다.[9]

2. 2. 추기경 시절

시토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나, 수도회에 입회하지는 않았다.[10] 1138년 12월 교황 인노첸시오 2세에 의해 산 아드리아노 성당의 추기경에 서임되었다.[9] 1141년 5월 산타 프라세데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9] 교황 에우제니오 3세 치하에서 시칠리아 특사로 활동했다.[4] 1158년 12월, 교황 하드리아노 4세는 그를 오스티아와 벨레트리의 주교급 추기경에 임명하였다.[4] 그는 추기경단 단장이 되어, 교황 알렉산데르 3세로부터 두터운 신망을 받은 추기경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9]

1177년 알루친골리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사이의 베네치아 조약 협상에 참여했는데, 프리드리히 1세는 빅토르 4세, 파스칼 3세, 갈리스토 3세 등 여러 대립교황을 지지하여 파문당했다.[4] 이후 알루친골리는 마틸데 영지 (마틸다 여백작 소유 영토로, 교황청과 황제가 모두 소유권을 주장했으나, 확실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에 관한 중재 법원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3. 교황 선출과 통치

1181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선종한 지 이틀 만에 교황으로 선출된 루치오 3세는 로마에서 반대 세력에 부딪혀, 재위 기간 대부분을 발레트리, 아냐니, 베로나 등지에서 보냈다.

루치오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토스카나의 마틸데 영지 소유권 문제, 트리어 주교 선출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었다. 1184년 10월 베로나에서 양측이 직접 만났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1184년 11월, 루치오 3세는 베로나 종교회의를 통해 카타리파, 파타리아, 발도파 등 여러 종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파문했다. 그러나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종교 재판은 1234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 때에 가서야 제정되었다.[11]

1185년 루치오 3세는 제3차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던 중 베로나에서 선종했다.[11]

1184년에 루치오 3세는 세인트 어거스틴 캔터베리의 수도원장에게 편지를 썼는데, 윌스보로의 사제가 은퇴하고 자신의 아들에게 교구를 넘겨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는 내용이 있었다.[7] 이는 결혼한 성직자에 대한 교황의 관용이 계속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된다.

루치오 3세의 ''불라''

3. 1. 교황 선출

1181년 교황 선거를 통해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된 루치오 3세는 벨레트리에서 즉위했다.[6] 그는 1181년 11월부터 1182년 3월까지 로마에 머물렀으나, 로마 내 반대 세력으로 인해 이후 발레트리, 아냐니, 베로나 등지를 전전해야 했다.[11]

3. 2. 로마에서의 통치와 망명

1181년 11월부터 1182년 3월까지 루치오 3세는 로마에 거주했으나, 로마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도시를 떠나야 했다.[6] 이후 그는 벨레트리, 아냐니, 베로나 등 이탈리아 여러 도시를 전전하며 망명 생활을 했다.[11]

루치오 3세는 재위 기간 내내 신성 로마 제국과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토스카나의 마틸데가 남긴 영지의 소유권을 두고 프리드리히 1세 황제와 대립했다.[6] 이 문제는 1177년 베네치아 조약에서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었다. 1182년 프리드리히 1세는 교황청이 영지 소유권을 포기하는 대신 이탈리아에서 얻는 제국 수입의 2할(교황에게 1할, 추기경에게 1할)을 주겠다고 제안했으나, 루치오 3세는 이 제안과 이듬해의 타협안 모두에 동의하지 않았다.[5] 1184년 10월 베로나에서 양측이 직접 만났지만, 소득 없이 끝났다.

1183년 트리어 주교 선출을 놓고 교황이 지지한 카르덴의 풀마르와 황제가 지지한 비트의 루돌프 사이에 갈등이 벌어지면서 또 다른 분쟁이 발생했다. 루치오 3세는 1185년 하인리히 6세의 대관을 거부하며 황제에게 적대적인 정책을 취했다.

1184년 11월, 루치오 3세는 베로나 종교회의를 소집하여 카타리파, 파타리아, 발도파, 아르놀도파 등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파문했다.[6] 그러나 종교 재판은 1234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 때에 가서야 제정되었다.

3. 3. 스코틀랜드와의 관계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왕은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자리를 두고 교구 참사회원들과 갈등을 빚었다. 윌리엄 왕은 자신의 사제인 휴를 임명하려 했지만, 참사회원들은 존 스코터스를 선출했다. 루치오 3세는 이 문제에 대해 타협안을 제시했는데, 휴를 세인트앤드루스 주교로, 존을 던켈드 주교로 임명하는 것이었다.[4] 1183년 3월, 루치오 3세는 윌리엄 1세에게 선의의 표시로 황금 장미를 선물했다.[4] 같은 해 9월에는 성 브루노를 시성하기 위해 세니로 갔다.

4.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

루치오 3세는 재위 기간 내내 신성 로마 제국과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토스카나의 마틸데가 남긴 영지의 소유권을 놓고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대립하였는데, 이 문제는 1177년 베네치아 조약에 따라 미결 상태로 남아있었다. 1182년 황제는 교황청이 영지에 대한 권리 주장을 철회하는 대신 황제가 이탈리아에서 벌어들이는 수입 중 2할(교황에게 1할, 추기경에게 1할)을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루치오 3세는 이 제안과 이듬해 제시된 타협안에 모두 동의하지 않았다. 1184년 10월 베로나에서 교황과 황제가 직접 만났지만,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교황청과 신성 로마 제국이 갈등하는 사이 이단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1184년 루치오 3세는 《전멸을 위하여》(Ad abolendam)를 반포하여, 황제가 허용함에 따라 교회의 사도적 권위에 따른 규정에 의거하여 이단에 맞선 투쟁에 참여하지 않는 도시, 백작, 남작 등은 파문되고, 파문된 지역에는 즉시 성무 금지 처분이 내려진다고 선언하였다.[11]

한편, 루치오 3세와 프리드리히 1세 사이에는 트리어 대주교 선출 문제와 하인리히 6세 대관 거부 문제 등 또 다른 갈등 요소가 있었다. 이러한 교황청과 제국 간의 불화는 이탈리아 정치 문제로 확대되었다.

4. 1. 마틸데 영지 분쟁

토스카나의 마틸데 백작 부인이 사망한 후 남긴 영지의 소유권을 두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분쟁을 벌였다.[6] 이 문제는 1177년의 베네치아 조약으로도 해결되지 않았다. 1182년 프리드리히 1세는 교황청이 마틸데 영지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포기하면, 황제가 이탈리아에서 얻는 수입의 2할(교황에게 1할, 추기경에게 1할)을 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루치오 3세는 이 제안과 이듬해 제시된 타협안 모두에 동의하지 않았다.[11] 1184년 10월 베로나에서 양측이 직접 논의를 가졌지만, 결국 해결을 보지 못했다.[5]

4. 2. 트리어 대주교 선출 분쟁

1183년 트리어 대주교 선거에서 교황이 지지하는 카르덴의 풀마르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지지하는 비트의 루돌프가 대립하였다.[11] 루치오 3세는 프리드리히 1세가 독일 주교 선거 규정을 요구하는 것을 거부하였다.[11]

4. 3. 하인리히 6세 대관 거부

1185년 루치오 3세는 프리드리히 1세의 후계자로 지명된 하인리히 6세의 로마 왕 대관을 거부했으며,[11] 이는 교황청과 제국 간의 기존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5. 이단 대응과 베로나 공의회

루치오 3세는 재위 기간 내내 신성 로마 제국과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토스카나의 마틸데 영지 소유권을 놓고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대립했다. 1182년 황제는 교황청의 영지 소유권 주장을 철회하는 대신 황제가 이탈리아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의 2할을 교황청에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루치오 3세는 이를 거부했고 이듬해의 타협안에도 동의하지 않았다. 1184년 10월 베로나에서 교황과 황제가 직접 만났지만 소득이 없었다.

이처럼 교황청과 신성 로마 제국이 갈등하는 사이 이단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5. 1. 이단 문제 심각성 인식

교황청신성 로마 제국 간의 갈등 속에서 이단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라 정치적 해결이 필요하게 되었다. 1184년 루치오 3세는 《전멸을 위하여》(Ad abolendam)를 반포하여, 황제가 허용함에 따라 교회의 사도적 권위에 의거하여 이단에 맞선 투쟁에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과 기타 영지들의 백작, 남작, 집정관들은 파문될 것이며, 파문된 지역에는 즉시 성무 금지 처분이 내려진다고 선언하였다.[11][5]

5. 2. 베로나 공의회(1184년)

1184년 11월, 루치오 3세는 베로나 종교회의를 소집하여 카타리파, 파테리니파, 발도파, 요세피니파, 파사지니파 및 아르놀도파를 정죄하고 이단으로 선언된 자들과 그 조력자들을 파문하였다.[6] 그는 《전멸을 위하여》(Ad abolendam)를 반포하여 황제가 허용함에 따라 교회의 사도적 권위에 따른 규정에 의거, 이단에 맞선 투쟁에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과 기타 영지들의 백작, 남작, 집정관들은 파문되고 파문된 지역에는 즉시 성무 금지 처분이 내려진다고 선언하였다.[11][5]

흔히 알려진 바와는 달리, 루치오 3세는 종교 재판을 제정하지 않았다. 종교재판은 1234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 때에 가서야 제정되었다.[6]

6. 기타

1184년, 교황 루치오 3세는 세인트 어거스틴 캔터베리 수도원장에게 편지를 보내 윌스보로의 사제가 은퇴한 후, 자신의 아들에게 교구를 물려주어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7] 이는 당시에도 결혼한 성직자에 대한 교황의 관용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7. 죽음

1185년 예루살렘 국왕 보두앵 4세의 요청에 따라 제3차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던 와중에 베로나에서 선종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Lucius III", The Holy See http://www.vatican.v[...]
[2] 웹사이트 ALLUCINGOLI, O.Cist., Ubaldo (ca. 1097/1110-1185) https://cardinals.fi[...]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19-12-29
[3] 서적 The Papacy 1073–1198. Continuity and inno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Pope Lucius II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21-01-30
[5] 서적 Medieval Christianity Fortress Press
[6] 문서 Lucius EB1911
[7] 문서 Domesday Book to Magna Carta
[8] 웹사이트 Cardinal Ubaldo Allucingoli (note 1) http://www.fiu.edu/~[...]
[9] 서적 Die Mitglieder des Kardinalkollegiums voin 1130–1181 Berlin
[10] 웹사이트 Cardinal Ubaldo Allucingoli (note 1) http://www.fiu.edu/~[...]
[11] 서적 Medieval Christianity Fortres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