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청 성서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청 성서위원회는 성경의 올바른 해석과 보호를 위해 190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설립된 기구이다. 추기경 위원회와 자문위원들로 구성되어 성경 관련 문제에 대한 가톨릭 신앙의 진실성을 보호하고, 성서 해설 발전을 도모하며, 학자들 간의 논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1904년 교황 비오 10세는 성경 연구 분야에서 학위 수여 권한을 부여했고, 교황 비오 11세는 이 학위가 교황청립 대학교 학위와 동등한 지위를 갖도록 했다. 1971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개편되어 신앙교리성 산하에 놓였고, 1988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헌장을 통해 신앙교리성 장관이 위원회 의장을 맡도록 했다. 현재는 자체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위원들은 주교회의가 추천하는 성서학자들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앙교리성 - 국제신학위원회
    국제신학위원회는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설립된 기구로, 신앙, 사제직, 윤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며 교회의 교리적 발전에 기여한다.
교황청 성서위원회
개요
명칭교황청 성서위원회
라틴어 명칭Pontificia Commissio Biblica
종류교황청 위원회
소속신앙교리부
역사
설립1902년 10월 30일, 교황 레오 13세
재설립1971년 6월 27일, 교황 바오로 6세
조직
위원장빅토르 마누엘 페르난데스 추기경
사무총장스테파노 아르네오 신부
구성원성서학 전문가 (다양한 국적, 학파)
역할 및 임무
주요 임무성경 연구 장려
성경 해석 관련 문제점 조사 및 의견 제시
교황청 및 교회 기관에 성경 관련 자문 제공
성경 보급 및 성경적 가치 확산
추가 정보
활동정기 총회 개최
성경 관련 문서 발표 (성경 해석, 유다인과 유다교, 성경과 윤리)
국제 학술 대회 개최

2. 설립 배경과 초기 역사 (1901-1971)

교황 레오 13세는 1902년 10월 30일 사도 서한 ''Vigilantiae Studiique''를 통해 교황청 성서위원회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2] 이 위원회는 추기경들과 자문위원들로 구성되어 로마에서 회의를 열고 성경의 올바른 해석과 보호를 담당했으며, 그 기능은 회칙 ''Providentissimus Deus''에 명시되어 있다.[2]

교황 비오 10세는 1904년 2월 23일 사도 서한 ''Scripturae sanctae''를 통해 성서위원회에 성경 연구 분야에서 교황청 학위를 수여할 권한을 부여했다.[4] 이후 교황 비오 11세는 1924년 4월 27일 교황령 ''Bibliorum scientia''와 1931년 5월 24일 사도 헌장 ''Deus scientiarum Dominus''를 통해 이 학위가 교황청립 대학교의 학위와 동등함을 명확히 했다.[4]

2. 1. 설립

교황 레오 13세는 1901년 8월에 교황청 성서위원회를 처음으로 임명했지만, 1902년 10월 30일 사도 서한 ''Vigilantiae Studiique''를 통해 공식적으로 설립했다.[2]

교황청 성서위원회는 신성한 성경의 올바른 해석과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추기경들로 구성된 위원회였다. 자문위원들의 도움을 받아 로마에서 회의를 열었으며, 이러한 기능은 회칙 ''Providentissimus Deus''에 명시되어 있다. 첫 번째 위원회는 3명의 추기경과 12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었다.[2]

자문위원들은 한 달에 두 번 회의를 열었고, 비서들이 참석했다. 비서들은 위원회의 추기경들에게 보고했고, 추기경들은 매달 두 번째와 네 번째 일요일에 회의를 열었다. 추기경들은 자문위원들이 고려할 질문을 제안했고, 자문위원들로부터 받은 답변에 대해 투표했다. 추기경들은 추가 연구를 위해 자문위원들에게 질문을 다시 보낼 수 있었고, 한 명의 자문위원에게 더 깊이 문제를 조사하도록 위임할 수도 있었으며, 연구 결과를 승인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었다. 결정이 내려지면 비서들은 교황에게 보고했고, 교황은 해당 문제를 추가 연구를 위해 다시 보낼 수도 있고, 연구 결과를 비준할 수도 있었다.

위원회의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3]

# 성경 문제에 있어 가톨릭 신앙의 진실성을 보호하고 옹호한다.

# 최근의 모든 발견을 고려하여 성서의 해설 발전을 도모한다.

# 가톨릭 학자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논쟁을 결정한다.

# 위원회에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답변을 제공한다.

# 바티칸 도서관에 고문서와 필요한 서적을 적절하게 비치하도록 한다.

# 필요에 따라 성경에 관한 연구를 출판한다.

2. 2. 초기 위원회 구성 및 운영 방식

초기 위원회는 3명의 추기경과 12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었다.[2] 자문위원들은 한 달에 두 번 회의를 열었고, 비서들이 참석했다. 비서들은 위원회의 추기경들에게 보고했고, 추기경들은 매달 두 번째와 네 번째 일요일에 회의를 열었다. 추기경들은 자문위원들이 고려할 질문을 제안했고, 자문위원들로부터 받은 답변에 대해 투표했다. 결정이 내려지면 비서들은 교황에게 보고했고, 교황은 해당 문제를 추가 연구를 위해 다시 보내거나, 연구 결과를 비준할 수 있었다.[2]

2. 3. 위원회의 주요 임무

성서위원회의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3]

  • 성경 문제에 있어 가톨릭 신앙의 진실성을 보호하고 옹호한다.
  • 최근의 모든 발견을 고려하여 성서의 해설 발전을 도모한다.
  • 가톨릭 학자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논쟁을 결정한다.
  • 위원회에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답변을 제공한다.
  • 바티칸 도서관에 고문서와 필요한 서적을 적절하게 비치하도록 한다.
  • 필요에 따라 성경에 관한 연구를 출판한다.

2. 4. 학위 수여 권한

교황 비오 10세는 1904년 2월 23일 사도 서한 ''Scripturae sanctae''를 통해 교황청 성서위원회에 성경 연구 분야에서 교황청 학위를 수여할 권한을 부여했다.[4] 교황 비오 11세는 1924년 4월 27일 교황령 ''Bibliorum scientia''와 1931년 5월 24일 사도 헌장 ''Deus scientiarum Dominus''를 통해 이러한 학위가 교황청립 대학교의 학위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4]

3. 교황청 성서위원회의 개편 (1971-1988)

1971년 6월 27일,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 자의 교서 ''Sedula Cura(세둘라 쿠라)''를 발표하여 교황청 성서위원회를 개편하고 신앙교리성 산하에 두었다.[5]

4. 1988년 이후의 변화와 현재

1988년 6월 28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헌장 《선한 목자》는 교황청 성서위원회의 관계를 신앙교리성과 확인했으며, 신앙교리성 장관은 교황청 성서위원회의 당연직 의장이 되었다. 위원회는 자체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6] 2021년 3월 9일부터 누리아 칼두치가[7] 최초의 여성 사무국장이다.[8]

위원들은 주교회의가 추천하는 가톨릭 성서학자들이다. 2014년 교황 프란치스코는 메리 힐리를 포함한 여성들을 처음으로 위원으로 임명했다.[9]

5. 한국 천주교회와 교황청 성서위원회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ostituzione Apostolica “Praedicate Evangelium” sulla Curia Romana e il suo servizio alla Chiesa e al Mondo, 19.03.2022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2-03-19
[2]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Vigilantiae Studiique'' of the Supreme Pontiff Leo XIII with which is Established the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Biblical Studies http://www.microsoft[...]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5-05-29
[3] 간행물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4] 간행물 Annuario Pontificio Libreria Editrice Vaticana
[5]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1983
[6] 웹사이트 Article 55, https://www.vatican.[...] 2007-03-01
[7] 보도자료 Rinunce e nomine, 09.03.2021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1-03-11
[8] 웹사이트 First woman appointed Secretary of Vatican Biblical Commission https://www.vaticann[...] 2022-01-27
[9] 뉴스 Pope adds more women scholars to biblical commission https://www.thebosto[...] 2021-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