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오 11세는 1370년부터 1378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132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조카로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롤라드파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여러 수도원의 부패를 개혁하려 노력했으며, 빌뇌브 조약을 통해 시칠리아와 나폴리의 화해를 이끌었다. 또한 존 위클리프와 요한네스 클렌코크의 개혁안을 단죄하고, 시에나의 가타리나의 권유로 로마로 귀환하여 아비뇽 유수를 종식시켰다. 그가 사망한 후 서구 대이교가 발생하여,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해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제가 - 교황 클레멘스 6세
    교황 클레멘스 6세는 1342년부터 1352년까지 재위하며 흑사병 시기 유대인 학살을 비난하고 아비뇽 교황청을 강화했으며, 십자군을 선포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329년 출생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1329년 출생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1378년 사망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1378년 사망 - 효강황후
    효강황후는 명나라 태자 주표의 비로 건문제와 홍광제에게 추존되었으며, 주윤을 낳았으나 1378년에 사망하여 상우춘과 합장되었고, 영락제에 의해 태자비로 강등되었다가 홍광제에 의해 시호가 복원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기본 정보
이름그레고리오 11세
로마자 표기Gregorius XI
본명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
직책로마 주교
소속 교회가톨릭교회
재임 기간
즉위 시작1370년 12월 30일
즉위 종료1378년 3월 27일
선임자우르바노 5세
후임자우르바노 6세
서품
사제 서품1371년 1월 2일
주교 서품1371년 1월 3일
서품 집전자기 드 불로뉴
추기경
임명일1348년 5월 29일
임명자클레멘스 6세
출생 및 사망
출생일1329년경
출생지프랑스 왕국 리무쟁 생줄리앙모몽
사망일1378년 3월 27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기타
문장
존칭성하
경칭당신의 성하
친칭거룩하신 아버지
사후 경칭없음

2. 생애

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1329년 프랑스 리무쟁에서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조카로 태어났다.[17] 19세에 추기경이 된 후 이탈리아 페루자에서 법학을 공부하였고, 1370년 교황 우르바노 5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롤라드파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취해졌고, 여러 수도원들의 부패한 관행을 개혁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1372년에는 빌뇌브 조약을 승인하여 시칠리아나폴리 간의 영구적인 화해를 이끌어냈다.[18] 존 위클리프와 요한네스 클렌코크 등의 교회 개혁 요구에 대해, 그레고리오 11세는 그들의 주장을 일부 단죄했다.[19][20]

시에나의 가타리나의 호소를 들은 그는 8성인 전쟁으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로마로 돌아가기로 결심, 1377년 로마에 도착하여 아비뇽 유수를 종식시켰다.[21][22][23][24] 그러나 오랜 여행으로 쇠약해진 그레고리오 11세는 1378년 로마에서 선종했다.[25] 그의 죽음 이후 서구 대이교가 발생하여 콘스탄츠 공의회를 통해 겨우 해결되었다.

2. 1. 초기 생애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는 1330년경 프랑스 모몽에서 태어났다.[2] 그의 삼촌인 피에르 추기경 로제는 루앙대주교였는데, 1342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클레멘스 6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2] 클레멘스 6세는 조카에게 여러 수입직을 수여했고, 1348년에는 18세의 그를 추기경에 임명했다.[2]

보포르 가계도


젊은 추기경은 페루자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교회법 학자이자 신학자가 되었다.[2]

  • 클레멘스 6세(Clément VI) - 삼촌
  • 레몽 드 튀렌느 - 조카. 프로방스의 비극이라고도 불린다. 교황청 군 지휘관(아비뇽 교황청 성주)

2. 2. 교황 선출

우르바노 5세가 1370년 12월에 사망하자, 아비뇽에 모인 18명의 추기경들은 12월 29일에 콘클라베에 들어갔다.[3] 12월 30일,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 추기경은 만장일치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3] 그는 처음에 자신의 선출을 반대했지만, 결국 수락하고 그레고리오 11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371년 1월 4일, 그는 추기경단의 총장인 기 드 불로뉴에 의해 사제 서품을 받았다. 1월 5일에는 새로운 수석 부제 리날도 오르시니에 의해 아비뇽의 노트르담 드 돔 대성당에서 로마 주교로 서임 및 대관식을 거행했다.[4]

그레고리오 11세의 대관식

2. 3. 교황 재위

그레고리오 11세는 즉위 직후 프랑스와 잉글랜드 왕 사이의 화해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 1372년 8월 20일, 빌뇌브레아비뇽에서 시칠리아나폴리 간에 맺어진 빌뇌브 조약을 승인하여 두 왕국 간의 영구적인 화해를 이끌어냈다.[18]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독일, 잉글랜드 및 기타 유럽 지역에서는 롤라드파에 대한 강력한 조치들이 취해졌다.[7] 또한 성지 순례자들에게 수수료를 징수하거나 가짜 성해를 전시하는 등 여러 수도원들의 부패한 관행을 개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1373년에는 가톨릭 성직자들에게 지역 방언으로 신도들과 소통할 것을 명령하는 "règle d'idiom"을 발표했다.[6]

존 위클리프는 교회 개혁을 주장하는 19가지 조항을 담은 《시민 주권》을 집필했고,[19] 요한네스 클렌코크는 《작센슈피겔》 법전에 반대하며 21가지 개혁안을 제안한 글(Decadicon)을 썼다. 그레고리오 11세는 《작센슈피겔》의 14개 조항[20]과 위클리프가 쓴 《시민 주권》의 19개 제안을 단죄했다.[19]

시에나의 가타리나의 호소와 충고를 들은 그는 로마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21] 8성인 전쟁으로 인해 교황은 1376년에 피렌체에 성무 금지령을 내렸다. 로마 환도는 1376년 9월 13일에 착수되어 1377년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가 로마에 당도하면서 성공적으로 종결되었고, 이로써 아비뇽 유수가 종식되었다.[22][23][24]

2. 4. 이탈리아 정책과 8성인 전쟁

그레고리오 11세는 이탈리아인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탈리아인들이 증오하는 프랑스인들을 이탈리아 교회 관구의 사절과 총독으로 임명하는 실수를 저질렀다.[9]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교황청의 로마 복귀에 반대했고, 특히 피렌체는 교황이 로마로 돌아온 후 교황령을 확장하려는 그레고리오 11세의 의도에 반대했다.[9]

1371년, 밀라노 공작 베르나보 비스콘티가 교황청의 봉신령인 레조 등 여러 지역을 장악하자 그레고리오 11세는 그를 파문했다. 이후 1372년 피렌체가 이끄는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합에 맞서 전쟁을 선포했는데, 이 전쟁은 8성인 전쟁(1375~1378)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 발발 후, 그레고리오 11세는 1376년 3월 31일 피렌체에 성무 금지령을 내리고 교령을 내려 반란을 진압하려고 했다. 시에나의 가타리나는 그레고리오 11세를 설득하여 피렌체를 상대로 한 전쟁을 중단시키려고 했지만,[2] 이는 소용이 없었고 전쟁은 그레고리오 11세가 사망한 후에도 끝나지 않았다. 전쟁은 1378년 7월 티볼리에서 교황 우르바노 6세가 그레고리오 11세 사후 협상한 평화 조약으로 끝났다.[9]

2. 5. 로마 귀환

시에나의 가타리나의 호소와 충고를 들은 그레고리오 11세는 로마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21] 전임자인 교황 우르바노 5세가 한 번 로마로 귀환하려고 시도했지만, 백년 전쟁의 여파로 알프스 북쪽으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로마로 돌아가려는 그레고리오 11세의 계획은 교황과 피렌체 사이에 벌어진 8성인 전쟁으로 인하여 연기되었다. 교황은 1376년에 피렌체에 성무 금지령을 내렸다. 로마 환도는 1376년 9월 13일에 착수되어 1377년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가 로마에 당도하면서 성공적으로 종결되었다. 이로써 아비뇽 유수가 종식되었다.[22][23][24]

그레고리오 11세는 카타리나 시에나로부터 편지를 통해 끊임없이 간청을 받았다. 1375년부터 1378년 그레고리오 11세가 사망할 때까지 총 14통의 편지가 오갔다. 이 편지들은 평화, 교회 개혁, 교황청을 로마로 이전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었다. 카타리나는 만약 교황청이 로마에 있다면 교황령의 영향력을 확장함으로써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사이의 평화라는 그레고리오 11세의 목표를 달성하기가 더 쉬울 것이라고 설득했다.[7]

교황청의 로마 귀환은 1376년 9월 13일에 시작되었다. 프랑스 국왕과 대다수 추기경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그레고리오 11세는 그날 아비뇽을 떠나 마르세이유로 향했고, 10월 2일에 배를 타고 출항했다. 12월 6일 코르네토에 도착한 그는 로마의 미래 정부에 관한 준비가 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1377년 1월 13일, 그는 코르네토를 떠나 다음 날 오스티아에 상륙했고, 거기서 티베르 강을 따라 산 파올로 수도원으로 올라갔다. 1월 17일, 그는 수도원을 떠나 같은 날 로마에 엄숙하게 입성했다.[11][12]

2. 6. 죽음과 서방 교회의 분열

그레고리오 11세는 1378년 3월 27일 로마에서 오랜 여행으로 기력이 쇠약해져 선종했다.[25] 그의 유해는 다음날 산타 프란체스카 로마나 성당(산타 마리아 누오바 성당)에 안장되었다.[26]

그가 선종한 후, 로마 시민들은 콘클라베(교황 선출 회의) 투표장에 난입하여 이탈리아인 교황을 선출하라고 압력을 행사했다.[27] 그 결과, 이탈리아인인 교황 우르바노 6세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우르바노 6세는 선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추기경들에게 원한을 샀다.[28] 추기경들은 로마에서 폰디로 물러나 우르바노 6세의 선출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1378년 프랑스 사람인 로베르 드 주네브를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로 내세워 아비뇽으로 돌아갔다.[28]

이로 인해 두 명의 교황이 동시에 공존하는 상황이 벌어져, 어느 교황이 적법한 교황인지 분간할 수 없는 서구 대이교(서방 교회의 분열)가 발생했다. 이러한 서방 교회의 분열은 콘스탄츠 공의회(1414-1418)가 소집될 때까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콘스탄츠 공의회는 당시 존재하던 교황과 대립교황 모두를 퇴위시키고 1417년 교황 마르티노 5세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다.

3. 가계도


  • 클레멘스 6세 (Clément VI) - 삼촌
  • 레몽 드 튀렌느 - 조카. 프로방스의 비극이라고도 불리며, 교황청 군 지휘관을 역임했다.

참조

[1]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000
[2] 백과사전
[3] 서적 The Popes at Avignon 1305–1378 London 1963
[4] 웹사이트 http://www.fiu.edu/~[...]
[5] 서적 Gregorio XI, papa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2002
[6] 서적 Minority Language Writers in the Wake of World War One: A Case Study of Four European Authors Palgrave 2020
[7] 간행물 Catherine of Siena's spirituality of political engagement HTS Teologiese Studies / Theological Studies 2021
[8] 간행물 BETWEEN AVIGNON AND ROME: MINOR PENITENTIARIES AT THE PAPAL CURIA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Rivista Di Storia Della Chiesa in Italia 2009
[9] 서적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2002
[10] 웹사이트 The Popes of the Avignon Papacy in Order https://www.historyh[...]
[11] 서적 The Saintly Politics of Catherine of Siena
[12] 서적 The English in Rome, 1362–1420: Portrait of an Expatriate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3] 서적 Reclaiming Rome: Cardinals in the Fifteenth Century Brill 2009
[14] 서적 The Cardinals: Thirteen Centuries of the Men Behind the Papal Throne William B. Eerdmans Pub. 2011
[15] 서적 The Battle for Christendom The Council of Constance, the East-West Conflict, and the Dawn of Modern Europe The Overlook Press 2008
[16]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000
[17]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Company Inc. 1998
[18] 백과사전 Gregorio XI, papa http://www.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19] 웹사이트 The Condemnation of Wycliffe http://plato.stanfor[...] Plato.stanford.edu null
[20] 문서 Ocker
[21] 서적 The Saintly Politics of Catherine of Siena https://books.google[...] Brill
[22] 서적 The Saintly Politics of Catherine of Siena
[23] 서적 Raiding Saint Peter: Empty Sees, Violence, and the Initiation of the Great Western Schism (1378) Brill 2008
[24] 서적 The English in Rome, 1362–1420: Portrait of an Expatriate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 서적 Reclaiming Rome: Cardinals in the Fifteenth Century Brill 2009
[26] 서적 A History of the Church in the Middle Ages Routledge 2002
[27]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Ages Doubleday Book Co. 1995
[28]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A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