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우르바노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우르바노 5세는 1362년부터 1370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교회법 학자이자 베네딕토회 수사였으며, 여러 차례 이탈리아에 파견되어 교황령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그는 교육 진흥을 위해 파비아 대학교 설립을 지원하고 툴루즈 대학교의 권한을 강화했으며, 십자군 원정을 추진했다. 1367년 로마로 돌아갔으나, 1370년 아비뇽으로 돌아와 그해 사망했으며, 1870년 복자로 시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0년 사망 - 원 혜종
원 혜종은 원나라의 제11대 황제이자 북원의 초대 대칸으로, 권신들의 발호와 홍건적의 난으로 국력이 쇠퇴하여 명나라에 의해 대도를 빼앗기고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하다 사망했으며, 고려 출신 기황후와의 사이에서 아들 아유르시리다르를 낳았다. - 1370년 사망 - 카지미에시 3세
카지미에시 3세는 분열된 폴란드를 통일하고 내정 개혁과 외교적 수완으로 폴란드 왕국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야기엘론스키 대학교를 설립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한 폴란드의 국왕이다. - 1310년 출생 - 송렴
송렴은 원나라 말과 명나라 초에 활동하며 학문, 문학에 뛰어났고, 명나라 건국 후 주원장의 부름을 받아 출사하여 《원사》 편찬 등을 주도했으나, 호유용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중 사망한 인물이다. - 1310년 출생 - 카지미에시 3세
카지미에시 3세는 분열된 폴란드를 통일하고 내정 개혁과 외교적 수완으로 폴란드 왕국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야기엘론스키 대학교를 설립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한 폴란드의 국왕이다.
교황 우르바노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교황 복자 |
이름 | 우르바노 5세 |
본명 | 기욤 드 그리모아르 |
출생 | 1310년 |
출생지 | 프랑스 랑그도크 프랑스 왕국, 그리자크 |
사망 | 1370년 12월 19일 |
사망지 | 교황령 아비뇽 |
재임 기간 시작 | 1362년 9월 28일 |
재임 기간 종료 | 1370년 12월 19일 |
선임자 | 인노첸시오 6세 |
후임자 | 그레고리오 11세 |
![]() | |
![]() | |
교회 경력 | |
소속 교회 | 가톨릭 교회 |
서품 | 1334년 |
주교 서임 | 1362년 11월 6일 |
주교 서임자 | 앙두앵 오베르 |
시복일 | 1870년 3월 10일 |
시복자 | 비오 9세 |
축일 | 12월 19일 |
수호 성인 | 건축가 교육자 베네딕도회 수도자 선교사 |
이전 직책 | 생 빅토르 수도원장 (1361년–1362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장 (1366년–1369년) 아비뇽 관리자 (1366년–1367년) |
스타일 | |
스타일 | 성하 |
약칭 | 성하 |
경칭 | 거룩하신 아버지 |
사후 경칭 | 해당 없음 |
2. 생애 초기
프랑스 출신의 귀족으로, 본명은 '''Guillaume de Grimoard|기욤 드 그리모아르fra'''이다. 1310년 프랑스 랑그도크 지역(오늘날 르 퐁드몽베르의 코뮌 일부, 로제르 데파르트망)의 그리자크 성에서 벨가르드 영주 기욤 드 그리모아르와 몽페랑의 암필리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66] 그에게는 에티엔과 훗날 추기경이 되는 앙릭이라는 형제, 그리고 델피네라는 누이가 있었다.[3][67]
1327년, 그리모아르는 고향 근처의 작은 수도원에서 베네딕토회 수도사가 되었으며,[4] 1334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이후 몽펠리에와 툴루즈 대학교에서 문학과 법학을 공부하여 1342년 10월 31일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68]
2. 1. 베네딕도회 수사
1327년 기욤 그리모아르는 고향 인근의 작은 수도원인 시라크 수도원에서 베네딕토회 수도사가 되었다.[4] 이곳은 마르세유 근처의 오래된 생 빅토르 수도원에 속한 수도원이었다. 수련기를 거쳐 생 빅토르 수도원에서 종신 서원을 했고, 1334년에는 원래 소속된 시라크 수도원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이후 몽펠리에에서 문학과 법학을 공부했으며, 툴루즈 대학교로 옮겨 4년간 법학을 더 공부하여 1342년 10월 31일에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5] 그는 뛰어난 교회법학자가 되어 몽펠리에, 파리, 아비뇽 등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2. 2. 교회법 학자 및 수도원장
기욤 그리모아르는 1327년 베네딕도회 수사가 되었고, 마르세유 인근의 생빅토르 대수도원에서 견습 수사 생활을 했다.[67] 종신서원을 한 후 1334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몽펠리에에서 문학과 법학을 공부하고, 툴루즈 대학교에서 4년간 학업에 매진하여 1342년 10월 31일 교회법 박사학위를 받았다.[68]그는 뛰어난 교회 법률가로서 몽펠리에, 파리, 아비뇽 등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명성을 얻었다. 또한 클레몽의 주교 피에르 드 대그푀이유(1349-1357)와 그가 위제스로 옮긴 후(1357-1366)에도 총대리를 역임했다.[71]
1352년, 교황 클레멘스 6세는 그를 오세르 교구의 노트르담 뒤 프레 수도원장으로 임명했고,[69] 같은 해 2월 13일에는 생제르맹 옥세르 수도원의 수도원장(아빠스)으로도 임명했다.[72] 그는 수도원장으로서 수도원의 규율과 재정 개혁에 힘썼다. 그러나 새로운 오세르 주교 장 독수아와 센의 대주교 기욤 드 멜룬이 과도한 접대를 요구하자 이를 거절하여 갈등을 겪기도 했다.[69] 1359년에는 수도원과 도시가 잉글랜드에 점령되어 무거운 세금이 부과되는 어려움을 겪었다.[73] 그는 교황청에서 베네딕도회의 총무가 되기도 했다.[70] 1354년에는 교황청의 업무와 성 베드로 대성당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로마로 파견되었다.[14]
1361년 8월, 그는 마르세유의 생 빅토르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나,[15] 임명 후에도 최소한 다음 학년까지는 교수로서 학생들을 계속 가르쳤다.
2. 3. 제1차 이탈리아 파견 (1352년)
1352년 여름, 교황 클레멘스 6세는 당시 생 빅토르 수도원의 아빠스였던 기욤 그리모아르를 소환하여 중요한 임무를 맡겼다. 당시 북부 이탈리아는 조반니 비스콘티 대주교가 이끄는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의 팽창 야욕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비스콘티 가문은 롬바르디아 지역 대부분을 정복하고 교황령 도시인 볼로냐까지 점령했으며, 피렌체의 영토까지 위협하고 있었다.[11]교황 클레멘스 6세는 교황령을 지키기 위해 1352년 4월 27일 비스콘티 가문과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비스콘티 가문의 과거 잘못을 사면하고 북부 이탈리아의 많은 영토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는 내용이었으며, 심지어 교황 측에서 보조금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교황은 조반니 비스콘티를 볼로냐의 교황 대리로 임명하여 상황을 통제하려 했으나,[11] 비스콘티 가문은 볼로냐를 교황 사절에게 반환하는 등 협정의 주요 내용을 이행할 의사가 없었다.
이에 교황은 1352년 7월 26일, 기욤 그리모아르 아빠스와 아퀼레이아 대성당의 부제 아초 만치 다 레지오(ita)를 교황 특사로 임명하여 이탈리아 북부로 파견했다. 이들의 임무는 불법적으로 점령된 볼로냐를 비스콘티 가문으로부터 돌려받아 조반니 비스콘티에게 교황 대리 자격으로 인계하고, 협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교회 차원의 제재가 있을 것임을 경고하는 것이었다.[12] 기욤 그리모아르는 협상에서 조약 불이행 시 교회가 내릴 수 있는 견책을 언급하며 비스콘티 가문을 압박했고, 마침내 1352년 10월 2일 볼로냐를 돌려받는 데 성공했다.[74][12]
밀라노에 머무는 동안 기욤 그리모아르는 시칠리아의 국왕 및 여왕과 맺었던 조약이 만료되자 이를 갱신하는 성과도 거두었다.[75][13] 임무를 마친 그는 1352년 11월 아비뇽으로 귀환했다.
2. 4. 제2차 이탈리아 파견 (1354년)
1354년 그리모아르 수도원장은 다시 한번 이탈리아로 파견되었는데, 이번 목적지는 로마였다. 그에게 주어진 임무는 교황 궁무처의 업무 처리와[14] 심각하게 손상된 성 베드로 대성전의 보수 문제 해결이었다.[76][14]2. 5. 제3차 이탈리아 파견 (1360년)
1353년, 교황 인노첸시오 6세는 교황령의 질서를 회복하고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추기경을 이탈리아에 파견했다. 그의 주요 임무는 당시 교황령에 반항적이던 세력들, 특히 비테르보의 악명 높은 조반니 디 비코, 리미니의 말라테스타 가문, 그리고 포를리의 오르델라피 가문 등을 제압하는 것이었다.[78][16]1360년, 당시 생 빅토르 수도원장이었던 기욤 그리모아르(교황 우르바노 5세)는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견제하고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시 이탈리아로 파견되었다. 그는 특히 당시 밀라노의 실권자였던 베르나보 비스콘티를 상대해야 했다. 베르나보 비스콘티는 이전 통치자였던 조반니 비스콘티 대주교의 조카이자 후계자였다. 기욤은 베르나보 비스콘티와 협상을 시도했으나, 그의 매우 적대적이고 고압적인 태도에 부딪혔다. 이에 기욤은 즉시 자리를 떠나 아비뇽에 있는 교황에게 베르나보 비스콘티의 불손한 태도를 그대로 보고했다.[78][16]
교황의 지시로 기욤은 다시 이탈리아로 돌아갔지만, 상황은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추기경의 군사적 활약 덕분에 교황 측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알보르노스 추기경은 볼로냐를 포위하고 있던 비스콘티 가문의 군대를 결정적으로 격파하여 패퇴시켰다.[78][16] 이 승리로 교황령에 대한 비스콘티 가문의 위협은 상당히 완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욤 그리모아르는 훗날 교황 우르바노 5세로 선출된 직후 베르나보 비스콘티를 파문하여 과거의 적대 관계를 분명히 했다.[79][17]
2. 6. 나폴리 파견 (1362년)
1362년 5월 25일 나폴리 왕국의 왕 루이지 1세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왕국 내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조반나 1세 여왕은 남편에게 빼앗겼던 권력을 되찾으려 했고, 그녀와 결혼하여 왕위를 노리는 경쟁자들 사이에 다툼이 벌어졌다. 당시 아빠스였던 기욤은 아비뇽으로 소환되었고, 6월 27일 나폴리의 영주인 교황 인노첸시오 6세의 지시에 따라 조언과 지침을 전달하기 위해 나폴리로 파견되었다.[83][21]나폴리로 향하던 중, 기욤은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위대한 베네딕도회 대수도원을 방문했다. 그는 지진과 주교의 관리 소홀로 인해 수도원이 물질적으로나 조직적으로 크게 쇠퇴한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했다. 훗날 교황이 된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나섰으며,[22] 1367년 3월 31일 카시노 교구를 폐지하고 수도원을 전적으로 아빠스의 관리 아래 두도록 조치했다.[84][23]
3. 교황 선출 (1362년)
1362년 9월 12일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선종하자, 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9월 22일 아비뇽 교황궁에서 소집되었다.[86] 당시 추기경단 21명 중 이탈리아에 머물던 알보르노스 추기경을 제외한 20명이 콘클라베에 참석했다. 참석한 추기경 20명 중 18명이 프랑스 출신이었고, 그중 6명은 리무쟁 출신이었다. 또한 21명 중 10명은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6세와 친족 관계였다. 하지만 당시 리무쟁 지역이 잉글랜드에 점령당한 상태였기 때문에 리무쟁 출신 추기경들의 영향력은 다소 약화된 상태였다. 백년 전쟁의 여파 속에서 프랑스 왕의 신하였던 13명의 추기경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86][25]
콘클라베에서는 엘리 드 탈레랑 추기경과 기 드 불로뉴 추기경이 유력한 교황 후보로 거론되었다. 피렌체의 연대기 작가 마테오 빌라니에 따르면, 15명의 추기경이 교황 클레멘스 6세의 동생이자 교황 궁무처장이었던 위그 로제 추기경을 선출하기로 합의했으나, 위그 로제 추기경 본인이 교황직을 사양했다고 한다.[26] 그러나 이 기록은 빌라니의 기록에만 나타나며, 장 프루아사르가 기록한 것처럼 탈레랑 추기경 지지 세력과 불로뉴 추기경 지지 세력이 나뉘어 어느 쪽도 3분의 2 이상 득표하지 못하는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는 기록과는 상반된다.[87][27]
결국 9월 28일, 추기경들은 교착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제3의 인물인 기욤 드 그리모아르를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했다.[88][29] 당시 그리모아르는 이탈리아에서 교황 대사로 활동 중이었으며[85][24],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단지 추기경들과 상의할 일이 있다는 이유로 아비뇽으로 속히 돌아오라는 요청을 받았다. 추기경들은 또다시 프랑스인이 교황으로 선출된 것에 대해 로마 시민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을 염려했다. 로마 시민들은 이전부터 로마 출신이나 최소한 이탈리아 출신 교황을 원한다는 의사를 표명해왔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그리모아르의 선출 소식이 알려지면 그의 아비뇽행을 방해할 것을 우려하여 그가 10월 말 아비뇽에 도착할 때까지 선출 사실을 비밀에 부쳤다.[89][30]
아비뇽에 도착한 그리모아르는 자신의 교황 선출을 받아들이고, 교황명으로 '우르바노 5세'를 선택했다. 우르바노라는 이름을 선택한 이유를 묻자 그는 "이 이름을 가진 교황들은 모두 성인들이었다"고 답했다고 전해진다.
그리모아르는 교황 선출 당시 주교가 아니었기 때문에 교황 즉위식에 앞서 주교 서품을 받아야 했다. 11월 6일, 오스티아 교구장 아두앙 오베르 추기경(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6세의 조카)이 그의 주교 서품식을 집전했다.[90][31] 오스티아 교구장은 전통적으로 교황 당선자의 주교 서품식을 집전할 권리가 있었다. 주교 서품 직후 우르바노 5세의 교황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교황의 삼중관을 씌워준 인물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부제급 추기경 단장이자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조카인 기욤 드 라 쥘 추기경이 집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우르바노 5세는 아비뇽 유수 시기의 여섯 번째 교황이 되었다.
4. 교황 재위 (1362년 - 1370년)
프랑스 출신의 귀족으로, 본명은 '''기욤 드 그리모아르'''(Guillaume de Grimoald)이다. 1342년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고, 생 제르맹 수도원장 등을 거쳐 1362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아비뇽 유수 시기였으나, 이탈리아의 상황과 여러 인물들의 간청으로 1367년 10월 16일 로마로 돌아왔다. 이는 60년 만에 교황이 자신의 교구인 로마 땅을 밟은 사건이었다.[54] 로마에 머무는 동안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의 알현을 받고 황후 포메라니아의 엘리자베스에게 왕관을 수여했으며(1368년 11월 1일), 키프로스의 페트로 1세 국왕, 나폴리의 조안 1세 여왕, 비잔틴 제국 황제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등을 접견했다.[54]
그러나 로마의 황폐함과 정치적 불안정, 프랑스 추기경들의 요청 등으로 인해 1370년 9월 아비뇽으로 다시 돌아왔다. 아비뇽 도착 직후 병을 얻어 같은 해 12월 19일에 선종하였다.[57][58][59] 그의 재위 기간은 8년 1개월 19일이었다.[60] 이후 복자로 시성되었다.
4. 1. 교회 개혁과 교육 진흥
우르바노 5세는 교황으로 선출된 후에도 베네딕도회 규칙을 계속 준수하며 수도복을 입었다.[4][93] 그는 성직자들의 잦은 부재, 복수 성직 겸임, 성직매매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성직자 교육과 자질 검사를 강화했다.[35][93] 다만, 수도자 교육과 법률가 교육에서의 개혁은 단순히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이상적인 가치와 원칙으로 돌아가 확립된 결정과 선례를 성문화하고 시행하는 문제로 여겨졌다.[36][93]우르바노 5세는 사법 행정에서도 개혁을 단행했으며, 학문을 널리 후원했다.[36] 그는 헝가리에 대학교를 설립했으며,[37] 1363년 4월 14일 파비아 대학교에 일반 대학(Studium Generale) 지위를 부여하였다.[94][37] 툴루즈 대학교의 신학부에는 파리 대학교와 동등한 권한을 부여했다.[95][38] 몽펠리에에서는 의학 학교를 복원하고,[38] 생 베네딕트 대학교와 성당을 설립했는데, 많은 예술품으로 장식된 이 성당은 훗날 몽펠리에 대성당이 되었다.[38] 또한 꾸작(케작)에는 참사회 성당을,[96][39] 이스파냐크에는 성당과 도서관을 세웠다.[96] 부모가 묻힌 그리작 성이 있는 베두에 인근 언덕에는 성당을 짓고, 1363년 12월 교황 칙서를 통해 6명의 정규 사제단과 부제, 차부제로 구성된 대학을 설립했다.[40]
우르바노 5세는 크라쿠프 대학교 설립에 대한 예비 동의를 발표했으며, 1364년 9월 공식적으로 허용하였다.[97][41] 그는 모든 계층의 1,000명 이상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과서와 최고의 교수진을 제공했다.[41] 또한 로마 인근에 포도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그는 유대인을 괴롭히거나 강제로 개종시켜 세례를 주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파문한다고 선언하였다.[98][42]
4. 2. 군사 활동과 십자군 원정
우르바노 5세는 교황령의 세속 주권을 회복하고 확장하는 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그는 먼저 동생인 안젤리쿠스 그리모아르 추기경을 교황 사절로 이탈리아 북부에 파견했다.[99][43] 1362년, 우르바노 5세는 베르나보 비스콘티와 잔갈레초 비스콘티 및 그 일가가 교회의 영지를 강탈했다고 비판하며, 이들을 몰아내기 위해 이탈리아 전역에 십자군 원정을 요청했다. 1363년 3월에는 베르나보를 이단자로 선언하기까지 했다.[100][44]
그러나 우르바노 5세는 평화를 위한 협상의 필요성을 느껴, 1364년 3월 클뤼니 수도원의 전임 원장이었던 앙드루앙 드 라 로슈를 새로 추기경에 서임하여 이탈리아로 파견했다.[101][45]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의 중재를 통해 베르나보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고, 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볼로냐를 돌려받았다.
1365년 5월, 카를 4세 황제는 아비뇽을 방문하여 황제의 예복을 모두 갖춘 채 교황과 함께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카를 4세는 자신의 영지 중 하나인 아를로 가서 아를 대주교 피에르 드 크로스에 의해 아를의 왕으로 즉위했다.[102][46]
우르바노 5세는 튀르크 세력에 맞서는 십자군 원정을 강력히 추진했다. 1363년, 프랑스의 장 2세와 키프로스의 피에르 1세가 아비뇽을 방문하여 튀르크와의 전쟁을 결의했다.[47] 우르바노 5세와 피에르 1세는 십자군 원정을 간절히 원했지만, 프랑스는 백년 전쟁의 여파로 큰 피해를 입었고 일부 지도자들은 여전히 잉글랜드에 포로로 잡혀있는 상황이었다. 1363년 성 토요일, 교황은 장 2세와 피에르 1세, 그리고 엘리 드 탈레랑-페리고르 추기경에게 십자군의 십자가를 수여했으며, 장 2세는 십자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3][48] 탈레랑 추기경이 교황 특사로 임명되었으나, 십자군이 출발하기도 전인 1364년 1월 17일에 선종했다.[104][49] 게다가 장 2세가 다시 잉글랜드의 포로가 되면서 십자군 모집은 동력을 잃었고, 그는 1364년 4월 8일 런던에서 사망했다.[105][50]
장 2세의 부재와 탈레랑 추기경의 선종으로 실망한 피에르 1세는 독자적으로 병력을 모아 1365년 10월 11일 알렉산드리아를 공격하여 승리했다. 하지만 추가 지원이 없고 적군의 수가 훨씬 많다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도시를 약탈하고 불태운 뒤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1369년 암살될 때까지 시리아와 이집트 해안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 우르바노 5세는 이 원정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다.[106][51]
한편, 사보이의 아메데오 6세와 헝가리의 러요시 1세도 1366년 우르바노 5세의 치세 동안 십자군 원정을 조직했다. 초반에는 성공을 거두어 아메데오 6세가 갈리폴리 반도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결국 이들 역시 철수해야만 했다.[107][52]
4. 3. 로마 귀환과 아비뇽 복귀
이탈리아에서 계속되는 문제와 더불어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와 스웨덴의 비르지타 등의 탄원을 받던 우르바노 5세는 자신의 대리인 알보르노스 추기경이 선종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추기경의 유해를 아시시로 보내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에 정중히 안장하도록 지시했다.1367년 10월 16일, 우르바노 5세는 로마에 도착했다. 이는 아비뇽 유수 이후 60년 만에 교황이 자신의 교구인 로마 땅을 다시 밟은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그의 로마행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가 황후 포메라니아의 엘리자베스의 대관식(1368년 11월 1일)을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교황의 집전으로 거행하기를 원했기 때문이었지만, 로마의 성직자들과 시민들은 교황의 귀환을 크게 기뻐하며 환영했다. 로마에서 우르바노 5세는 키프로스의 페트로 1세 국왕과 나폴리의 조안 1세 여왕의 경의를 받았으며, 비잔틴 제국 황제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로부터 가톨릭 신앙 고백을 받는 성과를 거두었다.[108][54]
한편, 새로운 수도 공동체인 비르지타회의 인가를 받기 위해 로마에 머물던 스웨덴의 비르지타 수녀는[55] 1370년 교황이 프랑스로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몬테피아스코네에서 그를 알현했다. 비르지타 수녀는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되는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 추기경 앞에서 교황이 다시 로마를 떠나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예언했다.[109][56]
그러나 로마가 예상보다 황폐했고 교황령 일부 도시에서 여전히 반란이 일어나는 상황 속에서 프랑스 추기경들의 강력한 귀환 요청을 더 이상 물리치기 어려웠던 우르바노 5세는 결국 아비뇽 복귀를 결정했다. 그는 1370년 9월 5일 코르네토에서 배를 타고 프랑스로 향했고, 같은 달 24일 아비뇽에 도착했다. 그러나 아비뇽에 도착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중병에 걸렸다.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느낀 교황은 교황궁에서 자신이 추기경으로 임명한 동생 앙젤 드 그리모아르의 저택 인근으로 옮겨 사랑하는 사람들과 가까이 있기를 원했다.[57] 그는 1370년 12월 19일에 선종했다.[110][58][59] 그의 유해는 처음에 아비뇽 대성당의 요한 22세 경당에 안장되었고, 1371년 5월 31일 그가 생전에 자신을 위해 마르세유의 생빅토르 수도원에 마련했던 무덤으로 이관되었다.[111][61] 비르지타 수녀의 예언대로 우르바노 5세는 로마를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선종하게 되었다.
4. 4. 사망과 시복
아비뇽으로 돌아온 우르바노 5세는 병에 걸려 1370년 12월 19일에 사망하였다. 그의 유해는 처음에 아비뇽 대성당에 안장되었다가, 이후 그가 생전에 무덤을 마련했던 마르세유의 생빅토르 수도원으로 옮겨졌다.우르바노 5세는 평소 성덕의 모범을 보이고 수덕 생활에 힘썼으므로, 후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그의 시복[112] 절차를 시작했다. 우르바노 5세의 성덕과 더불어 그의 전구(轉求)[113]를 통한 기적이 보고되었다.[114][59][62] 그러나 서방 교회의 분열이라는 혼란이 일어나면서 시복 조사는 1379년 로마에서 중단되었다. 또한 반교황 클레멘스 7세의 명령에 따라 1390년 아비뇽에서도 중단되었다.
서방 교회의 분열로 인해 중단되었던 시복 절차는 수 세기가 지난 후에야 다시 시작될 수 있었다. 마침내 1870년 3월 10일,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복자로 시복되었다.[4] 그의 축일은 그가 사망한 날짜인 12월 19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1414년에 열린 베네딕토회 총회에서 결정된 사항이다.[63]
참조
[1]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
서적
Histoire d'Urbain V et de son siècle...
https://books.google[...]
A. Bray
[3]
간행물
De la cathedrale de Mende et du Pape Urbain V
https://books.google[...]
2020-11-19
[4]
서적
Lives of the Popes
[5]
문서
Chaillan
[6]
문서
Chaillan
[7]
문서
Chaillan
[8]
문서
Chaillan
[9]
문서
Lecacheux
[10]
서적
Histoire de Saint Germain d'Auxerrois, patron de la paroisse du Louvre et de la ville d'Auxerre
https://books.google[...]
Debécourt
[11]
서적
Codex diplomaticus dominii temporalis S. Sedis: 1335–1389
https://books.google[...]
Imprimerie du Vatican
[12]
문서
Gibbs
[13]
문서
Lecacheux
[14]
서적
Chaillan
[1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l. Urban V"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2-10-01
[16]
문서
Chaillan
[17]
서적
Gibbs
[18]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19]
문서
Chaillan
[20]
서적
Cronica
[21]
문서
Baluze
[22]
문서
Chaillan
[23]
서적
Storia della Badia di Monte-Cassino, 3: divisa in libri nove
https://archive.org/[...]
Stablimento Poligrafico di Filippo Cirelli
[24]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25]
서적
Histoire de Marseille
https://books.google[...]
M. Olive
[26]
웹사이트
Sede Vacante 1362
http://www.csun.edu/[...]
2016-06-12
[27]
문서
Cronica
[28]
문서
Chroniques
[29]
문서
Baluze
[30]
문서
Chaillan
[31]
문서
Lives of the Popes
[32]
간행물
Letters of Etienne Cambarou, Camerarius Apostolicus (1347–1361)
1977
[33]
서적
Calendar of the Letters of Arnaud Aubert, Camerarius Apostolicus 1361-1371
[34]
문서
Baluze
[35]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at Western Schism
Brill, Boston
[3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episcopal office in Medieval Croatia-Dalmatia : The cases of Split, Trogir and Zadar (1270-1420)
https://sierra.ceu.e[...]
2021
[37]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38]
문서
Baluze (1693), I, p. 1057.
[39]
서적
Le grand dictionaire historique: ou, Le mélange curieux de l'histoire sacreé et profane
https://books.google[...]
Chez P. Brunel
[40]
서적
Notice sur l'église de Bédoués
https://books.google[...]
Imprimerie de J.-B. Cazaux
[40]
서적
Ce tant rude Gévaudan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s lettres sciences et arts de la Lozère
[41]
서적
Charters of Foundation and Early Documents of the Universities of the Coimbra Group
https://books.google[...]
Leuven University Press
2005-01
[42]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43]
서적
Il Cardinale Angelico Grimoard e la sua opera di legato nella regione umbromarchigiana
https://books.google[...]
Deputazione di storia patria per l'Umbria
[44]
문서
Muratori, p. 10.
[45]
문서
Baluze (1693), I, p. 367.
[46]
문서
Baluze (1693), I, p. 370.
[47]
문서
Baluze's 'Third Life' of Pope Urban V, derived from the continuation of the chronicle of Canon Werner, states that the King of Cyprus entered Avignon on Wednesday 29 March, and took the cross on Holy Thursday; Baluze, I, p. 396.
[48]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49]
문서
Baluze, I, p. 779 [ed Mollat, II, p. 281]. Eubel, I, p. 16.
[50]
문서
Baluze (1693), I, p. 386 ('Third Life of Urban V').
[51]
문서
Baluze (1693), I, p. 371-372.
[5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2016-10-05
[52]
문서
Dupuy and Dupuy, p. 389.
[53]
문서
Richard P. McBrien, ''Lives of the Popes'', 244.
[54]
문서
Aleksandr Aleksandrovich Vasiliev,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324–1453'', Vol. 2,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0), 671.
[55]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6]
문서
Chaillan, pp. 197–198.
[57]
웹사이트
Blessed Pope Urban V
https://archive.toda[...]
2013-06-23
[58]
문서
Chaillan, pp. 202–204.
[59]
논문
Lost Roman Images of Pope Urban V (1362-1370) for Julian Gardner
https://www.jstor.or[...]
2020-12-18
[60]
문서
Baluze (1693), I, p. 363.
[61]
문서
Baluze (1693), I, pp. 413 and 417.
[62]
문서
Albanès, pp. 124–374. Much of the material can be ascribed to spiritual enthusiasm and an absence of verification.
[63]
문서
Chaillan, pp. 216–217.
[64]
문서
Richard P. McBrien,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000), 243.
[65]
웹인용
Blessed Pope Urban V
http://www.americanc[...]
Saint of the Day
2015-01-27
[66]
서적
Histoire d'Urbain V et de son siècle...
https://books.google[...]
A. Bray
[67]
저널
De la cathedrale de Mende et du Pape Urbain V
https://books.google[...]
1857
[67]
서적
Entrée solennelle du pape Urbain V à Marseille en 1365: programme de la fête, dressé par le conseil de la ville, texte provençal inédit du XIVe siècle, notes historiques et pièces justificatives
https://books.google[...]
Boy-Estellon
[68]
문서
Chaillan, p. 9.
[69]
문서
Chaillan, p. 12, 15-16.
[70]
문서
Chaillan, p. 12.
[71]
문서
Chaillan, p. 11.
[72]
문서
Lecacheux, pp. 409-410.
[73]
서적
Histoire de Saint Germain d'Auxerrois, patron de la paroisse du Louvre et de la ville d'Auxerre
https://books.google[...]
Debécourt
[74]
문서
Gibbs, p. 170.
[75]
문서
Lecacheux, p. 419 and n. 1; pp. 421-422.
[76]
서적
Chaillan, p. 16. 1352년 8월 1일 교황 인노첸시오 6세의 서신 참조: Collectio Bullarum Sacrosanctae Basilicae Vaticanae Abbot Grimoard's commission, dated 10 April 1354, is quoted in full by Luigi Martorelli Storia del clero vaticano
[77]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Bl. Urban V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2-10-01
[78]
문서
Chaillan, pp. 18-19.
[79]
서적
Gibbs, p. 170,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80]
문서
Chaillan, p. 20.
[81]
서적
Matteo Villani, Cronica Liber X. capitolo LXXI, pp. 366-367 Dragomanni. Dates of death are given by Konrad Eubel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82]
문서
Baluze (1693) I, 341 and 355, the "Secunda Vita Innocentis VI".
[83]
문서
Chaillan, p. 20-21.
[84]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85]
서적
다른 이들은 교황이 선종했을 때 실제로 그가 피렌체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Histoire de Marseille The 'Third Life' of Urban V, by Petrus de Herentals, says: apud Lombardiam existente in legationem ('while serving on his Legation in Lombardy'). Baluze (1693), I, p. 413.
https://books.google[...]
M. Olive
[86]
웹사이트
J. P. Adams, Sede Vacante 1362.
http://www.csun.edu/[...]
2016-06-12
[87]
문서
Chroniques, Premier Livre, § 500; Volume II, p. 78-79 ed. Luce.
[88]
문서
Chaillan, the biographer of Urban V, pp. 22-23.
[89]
문서
이 주장은 그리모아르가 로마에 있다는 전제하에 하는 이야기다. 이 주장은 이탈리아의 다른 주들 역시 이탈리아 사람이 교횡이 되기를 바랐을 가능성을 무시하고 있다.
[90]
문서
Richard P. McBrien, Lives of the Popes, 243.
[91]
저널
Letters of Etienne Cambarou, Camerarius Apostolicus (1347-1361)
1977
[92]
문서
Baluze (1693), I, p. 368, 418.
[93]
문서
Joëlle Rollo-Koster,Thomas M. Izbicki, A Companion to the Great Western Schism, (Brill, Boston, 2009), 329.
[94]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95]
문서
Baluze (1693), I, p. 1057.
[96]
서적
Le grand dictionaire historique: ou, Le mélange curieux de l'histoire sacreé et profane
https://books.google[...]
Chez P. Brunel
[97]
서적
Charters of Foundation and Early Documents of the Universities of the Coimbra Group
https://books.google[...]
Leuven University Press
2005-01
[98]
서적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inensis editio
https://books.google[...]
Seb. Franco et Henrico Dalmazzo editoribus
[99]
서적
Il Cardinale Angelico Grimoard e la sua opera di legato nella regione umbromarchigiana
https://books.google[...]
Deputazione di storia patria per l'Umbria
[100]
문서
Muratori, p. 10.
[101]
문서
Baluze (1693), I, p. 367.
[102]
문서
Baluze (1693), I, p. 370.
[10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04]
문서
Baluze, I, p. 779 [ed Mollat, II, p. 281]. Eubel, I, p. 16.
[105]
문서
Baluze (1693), I, p. 386 ('Third Life of Urban V').
[106]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07]
문서
Dupuy and Dupuy
[108]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324-1453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09]
문서
Chaillan
[110]
웹인용
American Catholic.org "Blessed Pope Urban V''
http://www.americanc[...]
Americancatholic.org
2013-06-23
[111]
문서
Baluze
[112]
문서
가톨릭에서 거룩한 삶을 살았거나 순교한 이에게 복자(福者) 칭호를 허가하는 교황의 공식 선언으로 로마 교황청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결정된다.
[113]
문서
전구(轉求)는 가톨릭에서 성모 마리아나 천사 또는 성인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은혜를 구하는 기도를 한다.
[114]
문서
Albanè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