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클레멘스 6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클레멘스 6세는 1342년부터 1352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이다. 프랑스 출신으로, 교황 선출 전에는 아라스 주교, 센 대주교, 루앙 대교구장, 추기경을 역임했다. 그는 흑사병이 유럽에 창궐했을 때 교황으로, 유대인 학살을 비난하고 흑사병의 원인이 유대인에게 있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루트비히 4세와 대립했으며, 십자군을 선포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아비뇽 교황청을 강화하고, 성년 주기를 단축하는 등 교황청의 권위를 높였다. 그는 신장결석과 종양으로 사망했으며, 라 셰즈 디외 수도원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제가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루앙 대교구장 - 조르주 당부아즈
조르주 당부아즈는 루이 12세 시대에 막강한 권력을 휘두른 프랑스의 추기경이자 정치가로, 수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하고 이탈리아 전쟁에 관여했으며, 세금 감면과 사법 개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교황이 되려 했던 인물이다. - 루앙 대교구장 - 위그 (루앙 주교)
7세기 프랑크 왕국 출신 귀족 성직자인 위그는 722년 루앙 대주교로 임명되어 파리, 바르 교구를 관할하고 퐁트넬레, 쥬미에제 수도원 원장직을 겸하며 카를 마르텔과의 관계를 통해 루앙 교구의 권한을 강화하고 프랑크 왕실 성당 관리 역할도 수행한 베네딕토회 수도사이다. - 14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1378년 서방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우르바노 6세의 선출에 반대하는 추기경들에 의해 선출되어 아비뇽을 중심으로 교황청을 운영했으나 재정난을 겪고 1394년 사망했다. - 14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클레멘스 5세
교황 클레멘스 5세는 프랑스 출신으로 1305년부터 1314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의 영향력 아래 교황청을 아비뇽으로 이전하고 템플 기사단을 해산하는 등 교황권 쇠퇴와 아비뇽 유수의 시작을 알렸다.
교황 클레멘스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클레멘스 6세 |
본명 | 피에르 로제 |
출생 | 1291년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리무쟁, 로지에르데글르통 |
사망 | 1352년 12월 6일 |
사망지 | 교황령 아비뇽 |
재임 시작 | 1342년 5월 7일 |
재임 종료 | 1352년 12월 6일 |
선임자 | 베네딕토 12세 |
후임자 | 인노첸시오 6세 |
직책 | |
교황 | 제198대 로마 교황 |
직함 | 로마 주교 |
서임 정보 | |
서품 | 1329년 |
추기경 임명일 | 1338년 12월 18일 |
추기경 임명자 | 베네딕토 12세 |
기타 | |
성 | 클레멘스 |
![]() |
2. 생애 초기
프랑스 출신 귀족으로, 본명은 '''피에르 로제'''(Pierre Roger)이다.
1301년 베네딕도회에 들어가 오베르뉴 클레르몽 교구의 라셰즈듀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3][82][4] 이후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신학과 교회법을 공부하고, 1323년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6][7][8] 피에르 롬바르의 『명제집』에 대해 공개 강연을 하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작을 옹호했으며, 평화의 수호자를 저술한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를 비판하는 논문을 쓰기도 했다.[88][10]
1326년에는 프랑스에서 가장 중요한 수도원 중 하나인 페캉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어 1329년까지 재임했다.[89][11]
2. 1. 탄생과 가족 관계
피에르 로제는 오늘날 프랑스 리무쟁 로지에르데그레통 주의 일부인 마몽 성에서 마몽 로지에르데그레통 영주의 아들로 태어났다.[81] 그는 세 번이나 결혼해 슬하에 13명의 자녀를 둔 형 기욤이 있었으며, 동생 위그는 산 로렌초 인 다마소의 사제급 추기경이 되었다.[81] 피에르에게는 델핀과 엘리오노르 두 명의 누이도 있었는데, 델핀은 자크 드 베세와 혼인했으며, 엘리오노르는 자크 드 라 주지와 혼인했다.[81] 형 기욤은 부인의 지참금으로 샹봉의 영주가 되었으며, 동생인 교황의 성직록 덕분에 보포르 자작이 되었다.[81]관계 | 이름 | 비고 |
---|---|---|
형 | 기욤 | 세 번 결혼, 13명의 자녀, 샹봉의 영주, 보포르 자작 |
남동생 | 위그 | 산 로렌초 인 다마소의 사제급 추기경 |
누이 | 델핀 | 자크 드 베세와 혼인 |
누이 | 엘리오노르 | 자크 드 라 주지와 혼인 |
2. 2. 수도자와 학자
로제는 1301년 베네딕도회에 들어갔다.[3] 오베르뉴 클레르몽 교구의 라셰즈듀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82][4] 6년 후, 르 퓌의 주교 장 드 퀴메니스와 수도원장 위그 다르크의 지시를 받아 고등 교육을 받았다.[84][5] 1307년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나르본 대학교에 입학했다. 주교와 수도원장의 지원 외에도, 리모주 교구의 생팡탈레옹 수석 사제직을 받았다.[85][6] 1323년 여름, 파리에서 16년 동안 신학과 교회법을 공부한 후,[86][7] 파리 총장은 교황 요한 22세의 명에 따라 샤를 4세 국왕의 추천을 받아 그에게 신학 박사 학위, 강좌,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다.[86][8] 그는 피에르 롬바르의 『명제집』에 대해 공개 강연을 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작을 옹호하고 장려했다.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의 『평화의 수호자』에 경악하여 1325년 그 원칙을 비난하고 교황 요한 22세를 옹호하는 논문을 썼다.[88][10] 당시 그의 나이는 31세였다.[87][9]1324년 4월 24일, 교황 요한 22세의 개인적인 명령에 따라 라 셰즈듀 수도원의 부속 수도원인 생 보딜의 수석 사제직을 받았다. 1326년 6월 23일에는 프랑스에서 가장 중요한 수도원 중 하나인 왕립 수도원인 페캉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329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89][11]
피에르 로제는 친구이자 후원자인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추기경(1327년 12월 18일 추기경으로 임명됨)의 영향으로 아비뇽으로 소환되었는데, 두 사람 모두 샤를 4세 국왕과 가까운 사이였다.[12] 샤를 4세 국왕은 1328년 2월 1일에 사망했는데, 그는 직계 카페 왕조의 마지막 프랑스 국왕이었다.
페캉 수도원장이자 에드워드 3세의 봉건적 신하로서, 피에르는 1328년에 에드워드 3세 (잉글랜드)에게 아키텐 공작령에 대해 필리프 6세 (프랑스)에게 경의를 표하도록 소환하는 임무를 받았다.[90][13] 그러나 에드워드 국왕으로부터 아무런 응답도 받지 못했고, 임무를 완수하지 못한 채 프랑스로 돌아가야 했다.[91][14]
3. 주교와 추기경
피에르 로제는 1328년 아라스 주교를 시작으로, 생 대주교, 루앙 대주교를 차례로 역임하며 교황청 내에서 빠르게 승진했다. 루앙 대주교 시절, 필리프 6세와의 관계에서 왕족이 아닌 사람이 노르망디 공작이 될 경우를 대비해 왕에게 직접 충성을 맹세하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지복직관 문제와 관련, 교황 요한 22세와 프랑스 왕실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맡았다. 교황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왕에게 교황의 입장을 설명하는 글을 쓰는 등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1335년에는 루앙에서 지역 공의회를 소집, 성직자들의 의무 이행을 촉구하고 십자군 참여를 독려하는 등 교회 행정에도 힘썼다.
3. 1. 주교
1328년 12월 3일, 피에르 로제는 아라스 주교로 임명되면서 필리프 6세의 궁정 일원이 되었다.[93] 그는 1329년 11월 24일까지 아라스 주교직을 수행했고, 이후 센 대주교로 승진했다.[94] 1년 1개월 뒤인 1330년 12월 14일에는 루앙 대주교로 임명되었다.[95]1329년, 피에르 로제가 센 대주교로 재직할 당시 뱅센에서 프랑스 주요 성직자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필리프 6세도 참석하여 교회 지도자들의 사법권 문제를 논의했다. 피에르 드 쿠니에르 등은 교회 당국의 사법권 행사에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피에르 로제는 1329년 12월 22일 교회의 권위를 대변했다.[96]
1333년, 교황 요한 22세의 설교 이후 논의된 지복직관 논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97] 프랑스 왕과 왕비는 이 문제에 대한 조언을 구했고, 요한 22세는 자신의 관점을 설파하기 위해 프란치스코회 총장 제라드 오도니스[98]와 도미니코회 설교자를 파리 대학교에 보냈다. 1334년, 필리프 왕은 신학대학 석사들을 뱅센으로 불러 교황의 주장에 반대하는 의견을 모았고, 이를 교황에게 전달했다. 요한 22세는 피에르 로제에게 자신의 견해를 글로 적어 왕에게 설명하라고 지시했지만, 피에르 로제는 이 논쟁에서 교황의 편에 서지 않았다. 피에르 로제 대주교를 비롯한 위원회는 교황의 생각을 바꾸려 했으나 실패했다. 1334년 초, 요한 22세는 추기경, 고위 성직자, 신학 박사, 교회법 학자들에게 이 문제를 검토하고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99] 요한 22세는 임종 직전에 자신의 견해를 철회했고, 이 견해는 교황 베네딕토 12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단죄되었다.
1335년 4월 14일, 피에르 로제의 친구이자 후원자인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추기경이 선종하면서 피에르 로제를 유언 집행자 중 한 명으로 지명했다.[100]
1335년 9월, 피에르 로제 대주교는 노트르담듀프헤(훗날의 본누벨) 수도원에서 루앙 지역 공의회를 소집했다.[101] 이 공의회에는 관구 주교 2명과 대리인 4명, 주교좌성당 참사회원, 수도원장들이 참석했다.[102] 공의회는 성직자들이 소임에 충실할 것과 십자군 원정 지원을 촉구했다.
3. 2. 추기경
피에르 로제는 1338년 12월 18일 교황 베네딕토 12세에 의해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32] 교황은 여섯 명의 추기경을 서임했는데, 그 중 넷은 수도자로 베네딕도회원 두 명, 시토회원 한 명, 메르체데스회원 한 명이었다.[32] 다른 한 명은 리미니 출신이었고, 나머지는 프랑스 남부 출신이었다.[32] 이들 중 네 명은 법률가였고, 두 명은 신학자였다.[32] 추기경 서임자 한 명이 서임식 전에 선종하자 다른 인물로 교체되었다.[32] 피에르 로제는 1339년 5월 5일 아비뇽 교황청에 처음 들어가 산티 네레오 데 아킬레오 성당을 명의본당으로 받았다.[32]4. 교황 클레멘스 6세
'''클레멘스 6세'''(1291년 ~ 1352년 12월 6일)는 본명이 '''피에르 로제'''(Pierre Roger)이며, 프랑스 출신의 귀족이다. 1342년 5월 7일 교황으로 선출되어 1352년 12월 6일에 선종할 때까지 재위했다. 아비뇽 유수 시대의 교황 중 한 명으로, 베네딕토 12세의 뒤를 이어 교황이 되었다.
클레멘스 6세는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아비뇽 교황청을 강화하고 교황청 재정을 확충하는 데 힘썼다. 1348년 나폴리 여왕 조반나 1세에게 을 지불하고 아비뇽을 매입했으며,[49] 베네딕토 12세가 시작한 교황궁 건설을 계속 추진하여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77] 교황궁 건설에는 각지에서 화가들이 모여 국제 고딕 양식 보급에 기여했다.
1347년 흑사병이 유럽에 들이닥쳤을 때, 흑사병을 신의 분노로 여기면서도 점성가들에게 원인을 찾도록 지시했다.[50] 요하네스 데 무리스는 1341년 토성, 목성, 화성의 결합이 흑사병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51] 흑사병으로 인해 아비뇽에 묘지가 부족해지자, 론 강을 축복하여 시신을 강에 던질 수 있도록 했다.[53] 또한 유대인들이 흑사병의 원인이라는 비난이 일자, 1348년에 두 개의 교황 칙서를 발표하여 폭력을 규탄하고 유대인들을 보호했다.[58]
클레멘스 6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와의 갈등을 이어갔으며,[60] 1346년 그를 파문하고 카를 4세를 황제로 옹립했다.[60]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와도 교회 관할권 문제로 분쟁을 겪었으며,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 왕들과도 갈등을 빚었다.[60] 아르메니아 및 비잔틴 제국과의 재통합 협상은 실패했다.[63]
이탈리아에서는 콜라 디 리엔초가 로마에서 민중 선동을 일으켜 교황의 권위에 도전했다.[60] 클레멘스 6세는 처음에 콜라 디 리엔초를 지지하고 1350년 성년을 선포했으나, 결국 그를 파문하고 로마에서 추방했다.[60] 1343년 로마 시민 대표로 아비뇽을 방문한 콜라 디 리엔초는 교황에게 로마 귀환을 요청했고, 교황은 이에 감명을 받아 1350년에 제2회 성년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78]
클레멘스 6세는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와 갈등을 겪었으며,[127][64] 1345년에는 보헤미아 왕 얀과의 분쟁을 중재하고 프라하 교구를 대교구로 승격시켰다.[129][66]
클레멘스 6세는 호화로운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8] 아르스 노바 음악을 좋아하여 필리프 드 비트리 등 음악가들과 가깝게 지냈다.[131] 1352년 신장 결석과 열병 등으로 선종했으며, 시신은 셰즈디외 수도원에 안장되었다.[133]
4. 1. 교황 선출
1342년 4월 25일, 교황 베네딕토 12세가 아비뇽의 교황궁에서 선종하였다. 프랑스의 필리프 6세는 피에르 로제 추기경을 교황으로 선출하기 위해 장남인 장 왕자를 보냈으나 너무 늦게 도착하여 영향을 주지 못했다.[104] 베네딕토 12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는 1342년 5월 5일에 시작되어 5월 7일 아침에 피에르 로제 추기경을 새 교황으로 선출하며 마무리되었다. 총 19명의 추기경 중 18명이 콘클라베에 참여했는데, 14명은 프랑스인, 3명은 이탈리아인, 1명은 스페인인이었다. 베르트랑 드 몽파베 추기경은 통풍 때문에 콘클라베에 참여하지 못했다.[105] 당시 추기경 두 명은 5월 8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에게 “사전에 어떠한 정치 공작 없이 순수하게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서신을 보냈다.[105]피에르 로제 추기경의 즉위식은 1342년 5월 19일 성령 강림 대축일에 당시 아비뇽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던 도미니코회 성당에서 거행되었다. 즉위식에는 노르망디 공작이기도 한 프랑스의 장 왕자와 부르고뉴 공작 자크, 빈의 도팽 임베르트 등 많은 주요 인사가 참석하였다. 새 교황은 클레멘스 6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106]
클레멘스 6세는 즉위식을 마치자마자 2개월 이내에 아비뇽에 있는 모든 성직자에게 보답하겠다는 약속을 하였다.[107] 이로 인해 당시 전국 교구에서 가난한 성직자들이 대거 아비뇽에 몰려들었는데, 그 수가 대략 십만 명에 달했다. 클레멘스 6세는 교황으로서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교황청의 성직록 확보를 위해 아빠스와 고위 성직자 임명을 유보하고 공석인 자리에 대해서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공표하였다. 클레멘스 6세는 전임 교황들은 그러한 종류의 정책을 실시한 적이 없다는 말을 듣고 “내 전임자들은 교황이 되는 방법을 몰랐다”고 답했다고 전해진다.[108]
4. 2. 아비뇽 교황청 강화
클레멘스 6세는 교황이 되기 전, 1342년 사순절에 나폴레오네 오르시니 추기경이 사망하여 성주간 월요일 아비뇽의 프란치스코회 성당에서 장례 미사가 거행되었으며, 강론은 피에르 로제 추기경이 맡았다.[103] 한 달 후인 1342년 4월 25일, 교황 베네딕토 12세가 아비뇽의 교황궁에서 선종하였다.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는 즉시 피에르 로제를 교황으로 선출되도록 하기 위해 장남인 장 왕자를 보냈으나 너무 늦게 도착해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104]베네딕토 12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총 19명의 추기경들 중 18명이 콘클라베에 참여했다. 그 중 14명은 프랑스 사람이었고, 3명은 이탈리아 사람이었으며, 나머지 한 명은 스페인 사람이었다. 베르트랑 드 몽파베즈 추기경은 통풍 때문에 추기경들 중에선 홀로 콘클라베에 참여하지 못했다. 콘클라베는 1342년 5월 5일 주일에 시작되었고, 5월 7일 화요일 아침에 이르러서야 의견이 모아졌다. 당시 추기경 두 명은 5월 8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 왕에게 “사전에 어떠한 정치 공작 없이 순수하게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서신을 보냈다.[105]
피에르 로제 추기경이 베네딕토 12세의 뒤를 잇는 교황으로 선택되었다.[106] 그의 즉위식은 5월 19일 성령 강림 대축일, 당시 아비뇽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던 도미니코회 성당에서 거행되었다. 당시 교황 즉위식에는 노르망디 공작이기도 한 프랑스의 장 왕자와 부르고뉴 공작 자크, 빈의 도팽 임베르트 등을 비롯해 많은 주요 인사가 참석하였다. 새 교황은 클레멘스 6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클레멘스 6세는 즉위식을 마치자마자 2개월 이내에 아비뇽에 있는 모든 성직자에게 보답하겠다는 약속을 하였다.[107] 이에 당시 전국 교구에서 가난한 성직자들이 대거 아비뇽에 몰려들었는데, 그들의 숫자를 헤아려 보니 어림잡아도 대충 십만 명이나 되었다. 클레멘스 6세는 교황으로서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보답 차원에서 교황청의 성직록 확보를 위해 아빠스와 고위 성직자 임명을 유보하고 공석인 자리들에 대해서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공표하였다. 클레멘스 6세는 전임 교황들은 그러한 종류의 정책을 실시한 적이 없다는 말을 듣고 “내 전임자들은 교황이 되는 방법을 몰랐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108]
교황이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보상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그들을 추기경에 서임하는 것이었다. 교황 즉위 4개월 후인 1342년 9월 20일, 클레멘스 6세는 추기경 서임을 위한 추기경회의를 소집하였다. 그는 휘그 로제와 아데마르 로베르티,[109] 베르나르 드 라 투르 도베르뉴[110] 등 자신의 조카 세 명을 포함하여 총 열 명의 고위 성직자를 임명하였다. 또한 그는 오베르뉴 백작 로베르 7세의 아들이자 리옹 대교구장인 기 드 불로뉴와 도미니코회 총장이자 자신의 조카인[111] 제라르 드 도마르를 추기경에 임명하였다. 제라르 드 도마르는 추기경 서임 후 1년이 지난 1343년 9월 27일 선종하였다. 클레멘스 6세는 자신의 고향인 리무쟁 지역과 페리구 출신 다섯 명을 추기경에 서임하였다. 유일한 이탈리아 사람인 피렌체의 안드레아 기니 말피지는 1343년 6월 2일 선종하였다. 추기경단은 이제 완전히 오베르뉴 출신이 다수를 이루는 프랑스화되었다.[112]
1344년 5월 19일 두 명의 새 추기경이 선종하자 피에르 베르트랑 추기경의 조카인 프로방스의 피에르 베르트랑과 교황의 또 다른 조카인 니콜라 드 베스 등 두 명의 프랑스인으로 대체되었다.[112]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클레멘스 6세는 모국인 프랑스에 대한 애정이 있었기 때문에 시인 페트라르카 등 로마로 돌아와 달라는 로마 시민들의 요청을 거절하였다. 그렇지만 로마 시민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해 그는 1343년 1월 27일 100년에 한 번씩 지내던 성년을 50년으로 줄인다는 칙서 《하느님의 외아드님》(Unigenitus Dei filius)을 반포하였다.[113] 이 문헌에서 그는 대사를 선포하는데 있어서 교황의 권한을 처음으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114] 이 문헌은 훗날 1518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가에타노 추기경이 마르틴 루터와 그가 작성한 95개조 반박문을 조사하는데 참고되기도 하였다.[114] 그때까지 《하느님의 외아드님》은 《법조문 법령집들》(Extravagantes)에 포함되어 교회법으로 확립되었다.[115]
1343년 2월 23일, 클레멘스 6세는 폰스 사투르니누스를 교황궁 공사 감독관에 임명하면서 재위기간 내내 계속된 건축과 장식 계획에 착수하였다. 이를 통해 교황이 로마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것과 교황궁 안에 로마 교황청의 여러 부서를 설치하겠다는 의사가 분명히 드러났다. 전임 교황인 베네딕토 12세는 시토회 수사 출신이었기 때문에 교황궁을 짓되 단순히 거처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만 하였다. 하지만 클레멘스 6세는 과거에 프랑스 궁정에 있었기 때문에 웅장한 규모와 예식이 그의 취향에 들어맞았다. 어쨌든 교황은 통치자였고, 클레멘스 6세는 통치자에 걸맞게 살고 일할 생각이었다. 그는 새 탑과 침실, 알현실, 새 교황 전용 경당, 웅장한 규모의 중앙 계단 등을 주문했다. 또한 그는 교황궁 건물 정면에 두 개의 새 출입구 두 개를 짓도록 하였다.[116]
또한 그는 1348년 나폴리 여왕 조반나 1세에게 80000크라운을 지불하여 아비뇽에 대한 지배권을 손에 넣었다.[117]
4. 3. 교황청 재정
클레멘스 6세는 즉위식을 마치자마자 2개월 안에 아비뇽에 있는 모든 성직자에게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107] 이에 따라 전국 각 교구에서 가난한 성직자들이 대거 아비뇽으로 몰려들었는데, 그 수는 대략 1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클레멘스 6세는 교황청의 성직록 확보를 위해 아빠스와 고위 성직자 임명을 유보하고 공석인 자리에 대해서는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공표하였다. 전임 교황들이 그러한 정책을 실시한 적이 없다는 말을 듣고, 클레멘스 6세는 “내 전임자들은 교황이 되는 방법을 몰랐다”고 답했다고 전해진다.[108]클레멘스 6세는 1348년 나폴리 여왕 조반나 1세에게 을 지불하여 아비뇽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했다.[117] 그는 전임 교황 베네딕토 12세가 시작한 교황청 궁전 건설 등을 추진하여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한다.[77]
4. 4. 흑사병과 유대인 보호
1347년 흑사병이 유럽을 강타했을 때, 클레멘스 6세는 흑사병을 신의 분노로 여겼다.[118] 그러나 그는 천문학자들에게 자문하여 흑사병의 원인을 찾고자 했다. 요한네스 데 무리스는 1341년 물병자리에서 토성, 목성, 화성이 일직선으로 겹치는 현상 때문에 흑사병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119] 클레멘스 6세의 주치의들은 횃불로 주위를 둘러싸면 전염병을 피할 수 있다고 조언했지만, 그는 곧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120] 대신 그는 아비뇽에 머물며 환자 치료, 사망자 매장, 죽어가는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감독했다.[120]흑사병으로 인해 아비뇽에 시신을 묻을 땅이 부족해지자, 클레멘스 6세는 론 강을 축복하여 사람들이 강에 시신을 버릴 수 있도록 했다.[121] 그의 주치의 중 한 명인 기 드 숄리아크는 흑사병 환자들을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대외과학》(Chirurgia magna, 1363년)을 펴내 가래톳흑사병과 폐렴 흑사병을 정확히 구별했다.
흑사병이 유대인 탓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유럽 전역에서 포그롬이 발생했다. 클레멘스 6세는 1348년 칙서 《아무리 불충하더라도》(Quamvis Perfidiam)를 발표하여 이러한 폭력을 규탄하고, 흑사병의 원인을 유대인에게 돌리는 사람들을 "거짓말쟁이이고 악마에게 유혹당했다"고 비판했다.[125] 그는 흑사병이 유대인뿐만 아니라 다른 인종들에게도 똑같이 고통을 주고 있다고 강조하며,[126] 성직자들에게 유대인들을 보호할 것을 촉구했다.
4. 5. 정치적 갈등
클레멘스 6세는 선대 교황들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와 벌였던 분쟁을 계속했다.[60] 1346년 4월 13일, 오랜 협상 끝에 루트비히 4세를 파문하고 카를 4세가 황제로 선출되도록 했다.[60] 1347년 10월 루트비히 4세가 사망하면서 카를 4세가 단일 황제로 널리 인정받아, 오랫동안 지속된 독일의 분열이 끝났다.[60]클레멘스 6세는 1343년에 십자군을 선포했지만, 1344년 10월 스미르나에 대한 해군 공격 외에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61] 또한 헝가리 왕국의 나폴리 왕국 침공 문제에도 관여했는데, 당시 헝가리 왕은 러요시 1세였고, 나폴리의 조안나 1세 여왕은 선왕의 형제를 암살한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352년 아비뇽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62] 클레멘스 6세는 조안나 1세의 상황을 이용하여 그녀에게서 아비뇽을 매입하는 데 성공했다.[60]
클레멘스 6세는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교회 재치권을 침해하면서 분쟁을 겪기도 했다. 또한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왕들과도 갈등을 빚었다. 아르메니아와 비잔틴 제국 황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와의 재통합 협상은 결실을 맺지 못했다.[60]
이탈리아에서는 콜라 디 리엔초가 로마에서 민중 선동을 일으켜 교황의 권위에 도전했다. 클레멘스 6세는 처음에 리엔초의 호민관 정부 수립을 승인했지만, 이것이 교황청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뒤늦게 깨닫고 교황 사절을 보내 리엔초를 파문하고 1347년 12월 귀족들의 도움을 받아 그를 로마에서 추방했다.[60]
4. 6. 콜라 디 리엔초와 로마
교황 클레멘스 6세는 이탈리아에서 콜라 디 리엔초가 로마에서 일으킨 권위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교황은 처음에 콜라를 로마의 시민 지위(원로원)에 임명하고 그의 호민관 설립을 승인했다.[60] 1343년에는 로마 시민 대표인 콜라 디 리엔초가 아비뇽을 방문하여 교황에게 로마로 돌아올 것을 요청했고, 교황은 이에 감명을 받아 1350년에 제2회 성년을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콜라에게 축복을 내렸다.[77]콜라는 로마로 돌아간 후 1347년 호민관이 되어 콜론나 가문 등의 귀족 세력을 억압하고 시의 실권을 장악했다. 이를 '''콜라 혁명'''이라고도 부른다. 아비뇽에 있던 인문주의자 페트라르카도 큰 기대를 걸었다.[77] 그러나 콜라는 점차 거만한 행동을 보였고, 교황청으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결국 교황은 교황 사절을 보내 리엔초를 파문하고 귀족 세력의 도움을 받아 1347년 12월 그를 도시에서 추방했다.[60] 콜라는 이후 체포되어 아비뇽으로 이송되었으며, 다음 교황 인노첸시오 6세 때 다시 로마의 실권을 잡지만 재차 실각하여 처형당했다.[77]
4. 7. 성년 선포
1343년, 로마 시민 대표인 콜라 디 리엔초가 아비뇽을 방문하여 교황의 로마 귀환을 열렬히 호소했다. 교황은 콜라의 호소에 감명을 받아 1350년에 제2회 성년을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콜라에게 축복을 내렸다.[78] 콜라는 로마로 돌아간 후 1347년에 호민관이 되어 콜론나 가문 등의 귀족 세력을 억압하고 시의 실권을 장악했다(이를 '''콜라 혁명'''이라고도 부른다). 인문주의자 페트라르카도 큰 기대를 걸었지만, 콜라는 점차 거만한 행동을 보였고, 교황청으로부터도 비판을 받아 곧 실각했다. 이후 체포되어 아비뇽으로 이송되었으며, 다음 교황 인노첸시오 6세 때 다시 로마의 실권을 잡지만 또다시 실각하고 결국 처형당했다.[78]1346년에는 요한 22세 때부터 대립하고 있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를 폐위하고, 카를 4세를 황제로 옹립했다. 1350년 성년에는 많은 순례자들이 로마를 방문했지만, 교황은 로마로 가지 않았다.[79]
4. 8. 폴란드 및 보헤미아와의 관계
클레멘스 6세는 크라쿠프 주교와 교황청에 의해 이미 성사 참여를 금지당한 폴란드의 카지미에시 3세에게 경고하였다.[127][64] 카지미에시 3세가 교회를 억압하고 성사 참여 금지령을 준수한 성직자들을 괴롭혔기 때문이었다. 1345년 교황은 카지미에시 3세와 보헤미아 왕 얀에게 교황 대사를 보내 갈등을 끝내고 화해할 것을 종용하며, 만약 화해하지 않을 경우 파문하겠다고 경고했다.[128][65]마인츠 대주교의 강압적인 행위에 대한 불만이 잇따르자, 클레멘스 6세는 1344년 4월 30일 프라하 교구를 대교구로 승격시키고, 올로모우츠 주교구를 프라하 대교구 관할 하에 두었다. 이로써 프라하 대교구장은 보헤미아 왕의 대관식을 주재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129][66]
4. 9. 사생활과 죽음


베네딕토 12세와 달리 베네딕도회 출신이었던 클레멘스 6세는 전임자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으로 넉넉하고 풍족한 삶을 누렸다. 그는 스스로 ‘죄인들 속에서 죄인처럼’ 살았다고 고백했다.[130] 재위기간 동안 교황궁에 새 경당을 짓고 성 베드로에게 헌정했다. 비테르보의 마테오 조바네티에게 교황궁 경당 벽에 사냥과 낚시 그림을 그리도록 주문했고, 석조 벽 장식용 대형 태피스트리도 구입했다. 축제 행사 때 연주할 음악으로 프랑스 북부 출신, 특히 아르스 노바 양식을 구축한 리에주 출신 음악가들을 모집했다. 음악을 좋아했던 그는 작곡가 및 음악 이론가들과 가까이 지냈으며, 그 가운데 필리프 드 비트리가 있었다. 교황 즉위 후 그가 처음으로 지불한 대상은 음악인들이었다.[131]
클레멘스 6세는 1352년 여러 해 동안 괴롭혀왔던 신장결석, 열병, 종기로 인한 종양이 발생했다.[132] 1352년 12월 6일 재위 11년째에 선종했다. 교황 선종 후 그의 주치의 피에르 드 프로이드빌은 아비뇽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금화 400리라를 나누어 주었다. 장례 미사 집전 날, 주교좌 성당으로 가는 행렬 중 거리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금화 40리라를 나누어 주었다. 클레멘스 6세는 ‘성인은 아니었지만 훌륭한 신사, 너그러운 통치자, 미술과 학문의 후원자’라는 칭송을 받았다. 시신은 아비뇽 대성당에 임시 매장되었다가 3개월 후인 4월 6일 셰즈디외 수도원으로 이관되었다.[133] 수도원 도착 후 교황의 관은 가르멜회 성당에 잠시 안장되었다가 4월경 성가대석 중앙으로 옮겨져 안장되었다.[134] 장례 행렬에는 그의 형 보포르의 기욤 로제와 추기경 다섯 명(위그 로제, 기욤 드 라 주지, 니콜라 드 베세,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 기욤 대그푀이유)이 함께 했다.[135] 1562년 위그노들의 수도원 습격 때 교황 석관을 에워싸고 있던 일가 친척 동상 44개가 소실되는 등 심하게 훼손되었다. 현재는 무덤 덮개 석관만 남아 당시 건축과 미술 양식을 엿볼 수 있다.[136]
참조
[1]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Inc.
[2]
문서
Wrigley
[3]
서적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John Paul II
HarperCollins
[4]
문서
Wrigley
[5]
서적
Description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u duché de Bourgogne, précédé de l'abrégé historique de cette province
https://archive.org/[...]
L.N. Frantin
[6]
문서
Wrigley
[7]
문서
Lützelschwab
[8]
문서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9]
문서
Baluze
[10]
문서
Wrigley
[11]
서적
Histoire de l'abbaye de Fécamp et de ses abbés
https://archive.org/[...]
A. Marinier
[12]
서적
Vitae paparum Avenionensium
https://books.google[...]
apud Franciscum Muguet
[13]
서적
Trial by Battle:The Hundred Years War
Faber & Faber
[14]
간행물
Gallia christiana
[15]
문서
Eubel
[16]
서적
Gallia Christiana: In Provincias Ecclesiasticas Distributa: Provinciae Cameracensis, Coloniensis, Ebredunensis
https://books.google[...]
Typographia Regia
[17]
문서
Eubel
[18]
문서
Eubel
[19]
문서
Baluze
[20]
문서
Fisquet
[21]
간행물
Gallia christiana
[22]
서적
Histoire des chancelliers de France et des gardes de sceaux de France
https://books.google[...]
Chez l'Auteur
[23]
문서
Vitae et Res Gestae Pontificum romanorum
https://books.google[...]
[24]
간행물
Gallia christiana
[25]
서적
Konziliare oder päpstliche Ordensreform: Benedikt XII. und die Reformdiskussion im frühen 14. Jahrhunder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6]
서적
Gerald Odonis, Doctor Moralis and Franciscan Minister General: Studies in Honour of L. M. de Rijk
https://books.google[...]
Brill
[27]
문서
Baluze
[28]
문서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https://archive.org/[...]
[29]
간행물
Gallia christiana
[30]
문서
Fisquet
[31]
서적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https://books.google[...]
Antonio Zatta
[32]
문서
Eubel
[33]
문서
Baluze
[34]
서적
Les papes d'Avignon
[35]
문서
Mollat
[36]
논문
The Conclave and the Electors of 1342
1982
[37]
문서
Baluze, I, pp. 310–311.
[38]
문서
Fisquet, pp. 149–150.
[39]
논문
"Praedecessores nostri nesciverunt esse Papa." This statement has sometimes been generalized to apply to all papal actions, quite wrongly, and sometimes maliciously. It applies to benefices granted by a pope to needy clerics. See, e.g.,
1928
[40]
문서
Lützelschwab, p. 424.
[41]
문서
Lützelschwab, pp. 437–438.
[42]
서적
Histoire des maîtres généraux de l'Ordre des frères prêcheurs: 1324–1400
https://books.google[...]
Picard
[43]
문서
Eubel, I, p. 18.
[4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25
[45]
서적
Episcopal Registers
https://archive.org/[...]
G. Bell
[46]
문서
Diana Wood, ''Clement VI: The Pontificate and Ideas of an Avignon Pope'', 32–33.
[47]
서적
De Indulgentiis: Die Ablasstheologie Kardinal Cajetans 1469–1534
https://books.google[...]
Brill
[48]
문서
Digonnet, pp. 197–198.
[49]
문서
Diana Wood, ''Clement VI: The Pontificate and Ideas of an Avignon P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49. Fisquet, pp. 150–151.
[50]
서적
Paths to Genocide: Antisemitism in We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51]
문서
Tomasello, ''Music and Ritual at the Papal Court of Avignon 1309–1403'', 15.
[52]
문서
Duffy, ''Saints &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167.
[53]
문서
Baluze, I, pp. 251–252.
[54]
서적
Degli Archiatri pontifici: Nel quale sono i supplimenti e le correzioni all'opera del Mandosio
https://books.google[...]
Pagliarini
[55]
문서
Gauscelin de Jean Duèse, Pedro Gómez Barroso [Lützelschwab, pp. 481–482], Imbertus de Puteo (Dupuis) [Lützelschwab, pp. 471–472], Giovanni Colonna, Pierre Bertrand, and Gozzio (Gotius, Gozo) Battaglia [Lützelschwab, pp. 459–460]. Chacon, II (1601), p. 724; II (1677, ed. Oldoin), p. 520.
[56]
문서
Eubel, I, pp. 15–18.
[57]
문서
Eubel, I, pp. 18–19. Lützelschwab, pp. 465-467.
[58]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Ba-Blo
https://books.google[...]
Granite Hill Publishers
2015-01-30
[59]
서적
Apostolic See and the Jews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Vol. 1: Documents, 492
1991
[60]
문서
Clement/Clement VI
[61]
서적
The Crusades: An Encyclopedia [4 volum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4-09-01
[62]
논문
Sex and Politics in Naples: The Regnant Queenship of Johanna I
2011-06-03
[63]
서적
Super Quibusdam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09-11
[64]
문서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Year 1344, § 66; pp. 354–355.
[65]
문서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Year 1345, § 14; pp. 362–363.
[66]
문서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Year 1344, § 64–65, 353–354.
[67]
서적
A Corrupt Tree: An Encyclopaedia of Crimes committed by the Church of Rome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6-11-09
[68]
문서
Tomasello, ''Music and Ritual at the Papal Court of Avignon 1309–1403'', 12–20.
[69]
문서
Déprez, p. 235, note 1.
[70]
문서
([[Ferdinand Gregorovius|Gregorovius]]{{full citation needed|date=August 2016}}; see also [[Edward Gibbon|Gibbon]], chap. 66){{full citation needed|date=August 2016}}
[71]
문서
Déprez, p. 239, note 1.
[72]
논문
Art and Ceremony in Papal Avignon: A Prescription for the Tomb of Clement VI
2001
[73]
문서
Morganstern, pp. 61, 75.
[74]
문서
Déprez, p. 239, note 2.
[75]
문서
Arthur Gardner, Medieval Sculpture in France, 387.
[76]
간행물
Les tombeaux des papes limousins d'Avignon [compte-rendu]
[77]
서적
黒死病 ペストの中世史
中央公論新社
[78]
서적
黒死病 ペストの中世史
[79]
서적
黒死病 ペストの中世史
[80]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Inc.
[81]
문서
Wrigley, pp. 434-435.
[82]
문서
Wrigley (1970), p. 436.
[83]
서적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John Paul II
HarperCollins
[84]
서적
Description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u duché de Bourgogne, précédé de l'abrégé historique de cette province
https://books.google[...]
L.N. Frantin
[85]
문서
Wrigley (1970), p. 438.
[86]
문서
Henri Denifle,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Tomus II (Paris 1891), no. 822, pp. 271-272. Wrigley, p. 439.
[87]
문서
Baluze, I, p. 262.
[88]
문서
Wrigley (1970), pp. 442-443.
[89]
서적
Histoire de l'abbaye de Fécamp et de ses abbés
https://books.google[...]
A. Marinier
[90]
서적
Trial by Battle:The Hundred Years War
Faber & Faber
[91]
문서
Gallia christiana, Tomus XI (Paris 1759), p. 211.
[92]
문서
Eubel, p. 115.
[93]
서적
Gallia Christiana: In Provincias Ecclesiasticas Distributa: Provinciae Cameracensis, Coloniensis, Ebredunensis
https://books.google[...]
Typographia Regia
[94]
문서
Eubel, I, p. 448.
[95]
문서
Eubel, I, p. 425.
[96]
문서
Baluze, I, pp. 782-783 [ed. Mollat, II, pp. 284-285.
[97]
서적
Konziliare oder päpstliche Ordensreform: Benedikt XII. und die Reformdiskussion im frühen 14. Jahrhunder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98]
서적
"The Beatific Vision in the ''Sentences'' Commentary of Gerard Odonis,"
https://books.google[...]
Brill
[99]
문서
Baluze, I, pp. 789-790 [ed. Mollat, II, pp. 291-292.
[100]
문서
Gallia christiana XI, p. 77. 피에르 드 모르트마르 추기경은 프랑스의 재상을 지내기도 하였다.
[101]
문서
Fisquet, p. 148.
[102]
서적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https://books.google[...]
Antonio Zatta
[103]
문서
Baluze, I, pp. 600-601 [ed. Mollat, II, pp. 70-71].
[104]
문서
G. Mollat, Les papes d'Avignon 2nd edition (Paris 1912), p. 81.
[105]
문서
Mollat, p. 81 and n. 1. Thomas Rymer,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c. editio tertia (The Hague 1739) Tomus II pars II , p. 123. 서신을 보낸 추기경들은 안니발도 디 체카노 추기경과 레이문도 기욤 데스 프라제스 추기경이었다.
[106]
논문
The Conclave and the Electors of 1342
1982
[107]
문서
[108]
논문
Papal Provision and Royal Rights of Patronage in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1928
[109]
문서
[110]
문서
[111]
서적
Histoire des maîtres généraux de l'Ordre des frères prêcheurs: 1324–1400
https://books.google[...]
Picard
[112]
문서
[113]
서적
Episcopal Registers
https://books.google[...]
G. Bell
[114]
문서
[115]
서적
De Indulgentiis: Die Ablasstheologie Kardinal Cajetans 1469–1534
https://books.google[...]
Brill
[116]
문서
[117]
문서
[118]
서적
Paths to Genocide: Antisemitism in We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19]
문서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Ba-Blo
https://books.google[...]
Granite Hill Publishers
2015-01-30
[126]
서적
Apostolic See and the Jews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Vol. 1: Documents, 492
1991
[127]
문서
[128]
문서
[129]
문서
[130]
서적
A Corrupt Tree: An Encyclopaedia of Crimes committed by the Church of Rome
https://books.google[...]
2016-11-09
[131]
문서
[132]
문서
[133]
문서
[134]
문서
[135]
문서
[13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