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성인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성인 전쟁은 1375년부터 1378년까지 일어난 피렌체와 교황령 간의 분쟁이다. 아비뇽 유수 시기 교황의 교황령 확장 정책, 피렌체의 구엘프 파 세력 확장, 용병 문제 등이 원인이 되었다. 피렌체는 밀라노와 동맹을 맺고 교황에 대항하여, 교황은 피렌체에 파문과 금지령을 내렸다. 전쟁은 1378년 티볼리에서 강화 조약을 체결하며 종결되었고, 피렌체는 교황에게 배상금을 지불하고 교회 재산을 반환했다. 전쟁 기간 동안 피렌체 시뇨리아는 두 개의 8인 위원회(Otto)를 임명하여 전쟁 수행을 지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8성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명 | 8성인 전쟁 |
또 다른 명칭 | 팔성인 전쟁 |
전쟁의 부분 | 해당 없음 |
이미지 | 해당 없음 |
설명 | 해당 없음 |
시기 | 1375년 – 1378년 7월 |
장소 | 이탈리아반도 |
원인 | 피렌체 공화국의 교황령 내 반란 선동 |
결과 | 티볼리 조약 체결 |
교전 세력 1 | 교황령 |
교전 세력 2 |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합: 피렌체 공화국 밀라노 공국 (비토리오 가문) 시에나 공화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황령 | 존 호크우드 α 로베르 드 주네브 추기경β |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합 | 오토 델라 구에라 |
참고 | α1377년까지 β1377년부터 |
전력 | |
교황령 | 알 수 없음 |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합 | 알 수 없음 |
사상자 및 피해 | |
교황령 | 알 수 없음 |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합 | 알 수 없음 |
2. 원인
8성인 전쟁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했다. 우선 아비뇽 유수 이후 교황청을 로마로 복귀시키려는 교황들의 정책이 중부 이탈리아에서 교황령 확장을 추구하면서 피렌체와 갈등을 빚었다. 특히 1372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루니자나 지역을 재점령하려 하자, 이 지역을 베르나보 비스콘티에게서 빼앗았던 피렌체는 크게 우려했다.[2] 또한 우발디니 가문이 피렌체에서 교황 측으로 동맹을 바꾸려는 움직임도 피렌체의 불안감을 가중시켰다.[2]
한편, 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피렌체가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과의 전쟁에서 교황군을 지원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었다.[2] 1375년 교황과 밀라노 간의 전쟁이 끝나자, 피렌체는 교황군이 토스카나로 진출할 것을 우려하여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맺고 막대한 자금을 지불했다.[3][4]
밀라노와의 전쟁이 끝난 후 고용 해지된 교황청 소속 용병들이 교황령 도시들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다닌 것도 전쟁의 한 원인이었다.[5]
2. 1. 교황령의 확장 정책
아비뇽 유수중인 교황들은 교황청을 로마로 이전하기 위하여 로마와 교황령에 대한 환경 조성과 정국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중에 전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는데, 전쟁의 원인은 중부 이탈리아에서의 교황령 확장과 피렌체 구엘프 파의 세력확장에 대해 교황들의 불만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45]1372년 가을, 피렌체가 가장 우려하였던 것은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루니자나 인근 영토를 다시 정복하려는 의도를 들어냈다는 점이다. 이 땅은 피렌체가 베르나보 비스콘티에게서 빼앗은 곳이었다. 또한 우발디니가 피렌체에서 교황청으로 동맹을 갈아타려 하였다.[46]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역시 피렌체에 대해 여러 가지 면에서 불만스러웠다. 교황이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상대로 전쟁을 치룰때 피렌체가 교황군에 대한 지원을 거절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 1375년 교황과 밀라노간의 전쟁이 끝나자, 피렌체인들은 교황군이 토스카나 지방에 대해 군사적인 행동을 취할지 모른다는 염려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피렌체는 그레고리오 11세의 군사 지휘관이었던 용병대장(콘도티에로)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조약 체결의 대가로 13000플로린을 지불하였으며 호크우드에게 향후 5년 동안 연봉 600플로린을 지급하였고 또한 평생 1200플로린의 연금을 지불하였다.[47] 이에 필요한 자금은 피렌체의 시뇨리아가 임명한 8명의 위원회에 의해서 지역의 성직자, 주교, 수도원장, 수도원, 기독교 기관으로부터 각출하였다.[48]
또 다른 원인은 교황에 의해 고용되어 밀라노를 상대로 싸웠던 용병들이 전쟁이 끝난 후에 고용 해지된 상태로 돌아다니며 교황령 도시에서 여러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49]
2. 2. 피렌체의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
아비뇽 유수중인 교황들은 교황청을 로마로 이전하기 위해 로마와 교황령의 환경 조성 및 정국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전쟁의 원인은 중부 이탈리아에서의 교황령 확장과 피렌체 구엘프 파의 세력 확장에 대한 교황들의 불만에 있었다.[45] 1372년 가을, 피렌체가 가장 우려했던 것은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루니자나 인근 영토를 다시 정복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이 땅은 피렌체가 베르나보 비스콘티에게서 빼앗은 곳이었다. 또한 우발디니가 피렌체에서 교황청으로 동맹을 바꾸려 하였다.[46]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역시 피렌체가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를 상대로 전쟁을 치를 때 교황군을 지원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었다.1375년 교황과 밀라노 간의 전쟁이 끝나자, 피렌체인들은 교황군이 토스카나 지방에 대해 군사적인 행동을 취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피렌체는 그레고리오 11세의 군사 지휘관이었던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조약 체결의 대가로 13000플로린을 지불하였으며, 호크우드에게 향후 5년 동안 연봉 600플로린과 평생 연금 1200플로린을 지급하였다.[47] 이에 필요한 자금은 피렌체의 시뇨리아가 임명한 8명의 위원회가 지역의 성직자, 주교, 수도원장, 수도원, 기독교 기관으로부터 각출하였다.[48]
또 다른 원인은 교황이 고용하여 밀라노를 상대로 싸웠던 용병들이 전쟁이 끝난 후 고용 해지된 상태로 돌아다니며 교황령 도시에서 여러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49]
2. 3. 용병 문제
아비뇽 유수중인 교황들은 교황청을 로마로 이전하기 위하여 로마와 교황령에 대한 환경 조성과 정국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중에 전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는데, 전쟁의 원인은 중부 이탈리아에서의 교황령 확장과 피렌체 구엘프 파의 세력확장에 대한 교황들의 불만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45] 피렌체가 1372년 가을경에 가장 우려하였던 것은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루니자나 인근 영토를 다시 정복하려는 의도를 들어냈다는 점이다. 이 땅은 피렌체가 베르나보 비스콘티에게서 빼앗은 곳이었다. 또한 우발디니가 피렌체에서 교황청으로 동맹을 갈아타려 하였다.[46]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역시 피렌체가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상대로 전쟁을 치룰 때 교황군에 대한 지원을 거절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불만스러웠다.1375년 교황과 밀라노 간의 전쟁이 끝나자, 피렌체인들은 교황군이 토스카나 지방에 대해 군사적인 행동을 취할지 모른다는 염려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피렌체는 그레고리오 11세의 군사 지휘관이었던 용병대장(콘도티에로)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조약 체결의 대가로 13000플로린을 지불하였으며, 호크우드에게 향후 5년 동안 연봉 600플로린을 지급하였고, 또한 평생 연금 1200플로린을 지불하였다.[47] 이에 필요한 자금은 피렌체의 시뇨리아가 임명한 8명의 위원회에 의해서 지역의 성직자, 주교, 수도원장, 수도원, 기독교 기관으로부터 각출하였다.[48]
또 다른 원인은 교황에 의해 고용되어 밀라노를 상대로 싸웠던 용병들이 전쟁이 끝난 후에 고용 해지된 상태로 돌아다니며 교황령 도시에서 여러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49]
3. 전쟁
호크우드는 피렌체와의 불가침 협정을 지키기 위해 교황령 내 반란 진압에만 전념했고, 토스카나 지역에서의 전쟁은 피했다. 그러나 1377년 그레고리오 11세를 배신하고 반교황 연합에 합류했다. 그레고리오 11세의 다른 용병대장들도 로마냐 지역에서만 소극적으로 활동했는데, 특히 1377년 2월 체세나에서 벌어진 체세나 학살은 큰 비극이었다.[48] 1377년 봄, 교황령 군대는 피렌체의 동맹이었던 볼로냐를 재점령했다.
1377년, 로베르 드 제네브 추기경(훗날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은 그레고리오 11세의 군대를 이끌고 반란을 진압했다. 이때 로베르는 자신이 지휘하던 용병들의 요청으로 체세나 시민 학살을 승인했다. 1377년 2월에 벌어진 이 사건으로 최소 3,000명에서 최대 8,000명이 학살당했다.[49] 같은 해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는 로마를 사수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와 70년간 이어진 아비뇽 유수를 끝냈다. 그레고리오 11세는 이듬해 3월 사망했다.[49]
3. 1. 피렌체의 반교황 동맹 결성 및 반란 선동

1375년 7월, 피렌체는 밀라노와 동맹을 맺었다. 전쟁 수행은 피렌체의 시뇨리아가 임명한 8인 위원회(''Otto della Guerra'')에 완전히 위임되었다.[48] 피렌체는 1375년 교황령 내에서의 반란을 조장하였다. 피렌체는 볼로냐, 페루자, 오르비에토, 비테르보 등 교황령 내 40개가 넘는 도시에 반란을 조장하기 위해 공작원들을 보냈다. 그중 많은 곳들이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추기경의 노력으로 교황령에 다시 복속되었다.[48] 인문주의자이자 피렌체의 수상인 콜루초 살루타티는 고대의 공화주의로 돌아가, "압제적"이고 "타락한" 교황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촉구하는 공문서를 퍼뜨렸다.[48]

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1376년 3월 31일 피렌체 정부 인사 모두를 파문하였고 피렌체에서 종교적 행사를 금지하고 유럽 전역에 피렌체인들의 체포와 노예화와 재산 몰수를 합법화하는 금지제재를 선포하였다.[50] 처음에는 금지제재에 불복종하기 보다는, 피렌체는 별도의 기독교 행진(편달 고행자 포함)과 과거에 이단으로 간주됐던 프라티첼리 같은 조직이 재출현하는 등 단체를 조직하였다. 피렌체의 종교재판 조직은 박멸되었으며, 피렌체 시뇨리아는 교회 재판소가 못 마땅히했던 사금융과 그밖에 것들을 합법적 제한으로 밀어붙였다.
1377년 10월, 피렌체 정부가 피렌체 주교 안젤로 리카솔리와 피에솔레 주교 네리 코르시니에게 성무집행을 재개하라고 압박하자 그들은 도피해버렸다.[51] 시뇨리아가 고위 성직자들에게 막대한 부담금을 할당하거나 재산을 압류하자 그들은 직책을 버리고 근무지를 이탈하였다.[48]
3. 2. 교황의 강경 대응: 파문과 금지제재
1376년 3월 31일, 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피렌체 정부 구성원 전원을 파문하고 피렌체에 성무 금지를 내려 종교 의식 집행을 금지했다.[50][14][25] 또한 유럽 전역에서 피렌체인들을 체포하여 노예화하고[6][26] 재산을 몰수하는 것을 합법화했다.[50][3][27]이에 피렌체인들은 처음에는 고행자 행진, 프라티첼리와 같이 이단으로 간주되던 조직의 재등장 등 종교적인 방식으로 저항했다.[3] 피렌체의 종교재판소는 파괴되었고, 시뇨리아는 교회 재판소에서 금지하던 고리대금 등의 행위를 합법화했다.[7][28]
그러나 1377년 10월, 피렌체 정부는 피렌체 주교 안젤로 리카솔리와 피에솔레 주교 네리 코르시니에게 성무 집행 재개를 강요했고, 두 주교는 피렌체를 떠났다.[51][3][29] 시뇨리아는 직책을 버린 성직자들에게 막대한 벌금을 부과하거나 재산을 몰수했는데,[48][3] 이는 "종교 개혁 이전 유럽 어디에서도 시도되지 않은 광범위한 교회 재산 정리"였다.[45][1][30] 피렌체의 전쟁 총 비용은 2500억원에 달했다.[52][8][31]
그레고리오 11세의 경제 제재는 유럽 전역의 피렌체 상인들에게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는데, 특히 아비뇽의 알베르티 은행이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프랑스 왕 샤를 5세 등 많은 이들은 교황의 금지 제재를 무시했다.[3][32]
3. 3. 피렌체의 저항과 종교적 혼란
피렌체는 1375년 7월 밀라노와 동맹을 맺고 교황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전쟁 수행은 피렌체의 시뇨리아가 임명한 8인 위원회에 완전히 위임되었다.[48] 피렌체는 같은 해 교황령 내에서 반란을 선동했다. 볼로냐, 페루자, 오르비에토, 비테르보 등 40개가 넘는 교황령 도시에 공작원들을 보내 반란을 조장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추기경의 노력으로 교황령에 다시 복속된 곳이었다.[48] 르네상스 인문주의 학자이자 피렌체 재상인 콜루초 살루타티는 고대 공화주의로 돌아가 "압제적"이고 "타락한" 교황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촉구하는 공문을 퍼뜨렸다.[48]교황 그레고리오 11세는 1376년 3월 31일 피렌체 정부 인사 모두를 파문하고 피렌체에서 종교적 행사를 금지하는 금지제재를 선포했다. 이는 유럽 전역에서 피렌체인들의 체포와 노예화, 재산 몰수를 합법화하는 것이었다.[50] 처음에는 금지제재에 불복종하기보다는 피렌체는 편달 고행자를 포함한 별도의 기독교 행진과 과거에 이단으로 간주됐던 프라티첼리 같은 조직이 재출현하는 등 단체를 조직했다. 피렌체의 종교재판 조직은 박멸되었으며, 피렌체 시뇨리아는 교회 재판소가 못마땅하게 여겼던 사금융과 그 밖의 것들을 합법적 제한으로 밀어붙였다.
1377년 10월, 피렌체 정부가 피렌체 주교 안젤로 리카솔리와 피에솔레 주교 네리 코르시니에게 성무집행을 재개하라고 압박하자 그들은 도피했다.[51] 시뇨리아가 고위 성직자들에게 막대한 부담금을 할당하거나 재산을 압류하자 그들은 직책을 버리고 근무지를 이탈했다.[48] "종교 개혁 이전 유럽의 어디에서도 시도되지 않은 기독교 재산의 광범위한 정리"는 점점 갈수록 분쟁을 유발하게 하였다.[45] 피렌체의 전체적인 전쟁 비용은 에 이르렀다.[52]
그레고리오 11세의 경제 제재의 결과로, 피렌체 상인들은 유럽 전체에 경제적 손실을 보았으며, 특히 아비뇽의 알베르티 은행가들이 그랬지만, 프랑스 왕 샤를 5세 등 많은 이들은 금지제재를 무시하였다.
호크우드는 피렌체와의 불가침 협정을 지키기 위해 교황령 안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하는 것에만 관여하고 토스카나 지역에서 전쟁을 일으키지 않으려 노력했다. 그러다가 1377년 그레고리오 11세를 배신하고 반교황 연합에 참여했다. 그레고리오 11세의 다른 용병대장들 역시 1377년 2월 체세나 약탈 같은 로마냐 지역에서만 소극적으로 활약하였다. 1377년 봄, 교황령 군대가 피렌체의 동맹으로 남아있던 볼로냐를 재점령했다.[48]
1377년, 로베르 드 제네브 추기경(훗날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그레고리오 11세의 군대를 이끌었다. 이때 로베르는 그가 지휘하던 용병들이 요청한 체세나(Cesena) 시민들에 대한 학살을 승인하였다. 1377년 2월에 벌어진 이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최소 약 3,000 명에서 최대 8,000명 정도가 학살당했다. 1377년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는 로마 지역을 사수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옴으로 인해 70년간 이어졌던 아비뇽 유수가 막을 내렸다. 교황은 이듬해 3월에 사망했다.[49]
3. 4. 군사적 충돌과 체세나 학살
호크우드는 피렌체와의 불가침 협정을 지켜 교황령 내 반란 진압에만 관여하고 토스카나 지역에서의 전쟁은 피하려 했다. 그러나 1377년 그레고리오 11세를 배신하고 반교황 연합에 참여했다. 그레고리오 11세의 다른 용병대장들도 로마냐 지역에서만 소극적으로 활동했는데, 특히 1377년 2월 체세나 약탈은 체세나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3] 1377년 봄, 교황령 군대는 피렌체의 동맹으로 남아있던 볼로냐를 재점령하였다.[48]
1377년, 로베르 드 제네브 추기경(훗날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은 그레고리오 11세의 군대를 이끌고 반란을 진압했다. 이때 로베르는 그가 지휘하던 용병들이 요청한 체세나(Cesena) 시민들에 대한 학살을 승인하였다. 1377년 2월에 벌어진 이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최소 약 3,000 명에서 최대 8,000명 정도가 학살당했다.[49]
3. 5. 교황의 로마 귀환과 그레고리오 11세의 죽음
1377년, 제네바 추기경 로베르(후의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그레고리오 11세의 군대를 이끌었다. 이때 로베르는 그가 지휘하던 용병들이 요청한 체세나 시민들에 대한 학살을 승인하였는데, 1377년 2월에 벌어진 이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최소 약 3,000명에서 최대 8,000명 정도가 학살당했다. 이를 체세나 학살이라 부른다.[49] 같은 해 1월 17일, 그레고리오 11세는 로마 지역을 사수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옴으로 인해 70년간 이어졌던 아비뇽 유수가 막을 내렸다.[49] 교황은 이듬해 1378년 3월에 사망하였다.[49]4. 종전
전쟁은 1378년 7월 티볼리에서 교황 우르바노 6세와의 협상을 통해 강화 조약을 체결한 후 막을 내렸다.[45] 피렌체는 교황에게 (반면 교황 그레고리오 11세의 본래 배상 요구액은 [48])을 지불하였고 세속 정부가 교회에 대항해 만든 모든 법률들을 폐지하였다. 또한 고위 성직자들에게서 약탈하거나 압수한 모든 재산들을 돌려주었다. 이탈리아로 돌아온 교황은 피렌체에 내려졌던 성무집행 금지를 취소하였다.[53]
1378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사르자나에서 베르나보 비스콘티의 중재 하에 평화 회담이 열렸다. 교전 당사자들 외에도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헝가리, 스페인, 나폴리 왕국이 대표단을 파견했다. 3월 31일, 회담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평화 조건이 잠정적으로 합의되었지만, 비스콘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당사자들에게 조건을 전달했지만, 회담은 결렬되었다.[10][11]
마침내 1378년 7월 티볼리에서 교황 우르바노 6세와 협상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조약에 따라 피렌체는 교황에게 을 지불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요구한 원래의 배상금 [3]), 세속 정부가 교회에 반하여 제정한 모든 법률을 폐지하고, 성직자로부터 몰수하거나 약탈한 모든 재산을 반환해야 했다. 그 대가로 교황은 피렌체에 부과된 교황령을 철회하고 교회의 피렌체에 대한 호의를 회복해야 했다.[12]
그 배경에는 그레고리우스 11세의 사망과 후임 우르바노 6세의 즉위로 인해 교회 대분열이 발발했다는 사정이 있었다.[36] 이 조약에 따라 피렌체는 교황에게 의 배상금을 지불하고(당초 그레고리우스 11세는 을 요구했다)[37], 세속 정부가 제정한 모든 반교회법을 폐지하고 성직자로부터 몰수되거나 빼앗긴 모든 재산을 반환하게 되었다. 그 대신 교황은 피렌체에 대한 성무 금지령을 철회하고 파탄 났던 피렌체의 교회 조직과 정부의 관계를 조정했다.[38]
5. 8성인 위원회
8성인 위원회는 8성인 전쟁 기간 동안 피렌체의 시뇨리아에 의해 임명되었다.[54] 8성인 위원회는 두 개가 있었는데, 하나는 피렌체가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협약을 체결할 때 지급된 130,000 플로린을 마련하기 위해 조직되었고, 다른 하나는 교황을 상대로 한 전쟁에 필요한 외교적, 군사적 준비를 위해 조직되었다.[48]
8성인 조직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징수 위원회를 8성인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전시 위원회를 8성인으로 보기도 한다.[54] 8성인 전쟁에 대한 첫 역사적 언급은 1445년 피렌체의 역사가 도메니코 부오닌세니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동시대 역사가인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조반니 모렐리의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았다.[54] 부오닌세니는 8성인 전쟁 직후 발생한 치옴피의 난 때 만들어진 8인의 조직을 언급하며 1378년 8월에 사용된 명칭을 적용하였다. 1376년 3월 31일에는 징수 위원회(otto dei preti, 문자 그대로는 8인의 성직자)를 파문하는 칙서가 발표되었다.[54]
5. 1. 1375년 8인의 성직자회 (Otto dei Preti)
8성인(Otto Santiit)은 8성인 전쟁 중에 피렌체 시뇨리아가 임명한 두 개의 8인 위원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14]8성인의 정체성은 논쟁의 대상인데, 1375년에 피렌체가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체결할 때 지급된 130,000플로린을 마련하기 위해, 피렌체와 피에솔레의 고위 성직자들에게 강제 대출을 부과한 특별 위원회인 '8인의 성직자회'(Otto dei Preti, 문자 그대로는 '8인의 사제')를 8성인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54] 그러나 일부에서는 교황과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외교적, 군사적 조치를 취한 '전쟁 위원회'(Otto della guerra)를 8성인으로 보기도 한다.[48]
8성인 전쟁에 대한 첫 역사적 언급은 1445년 피렌체의 역사가 도메니코 부오닌세니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동시대 역사가인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조반니 모렐리의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았다.[54] 부오닌세니는 8성인 전쟁 직후 발생한 치옴피의 난 때 만들어진 8인의 조직을 언급하며 1378년 8월에 사용된 명칭을 적용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1376년 3월 31일에 징수 위원회(Otto dei Preti)를 파문하는 칙서가 발표되었다.[54]
1375년 7월 7일, 8인의 성직자회는 불가침 조약을 따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위 성직자들에게 세금 징수를 하였다.[54]
이름 |
---|
마테오 말레피치(Matteo Malefici) |
안토니오 디 포레세 사케티(Antonio di Forese Sacchetti) |
바르도 디 굴리엘모 알토비티(Bardo di Guglielmo Altoviti) |
살비 필리포 살비(Salvi Filippo Salvi) |
조반니 단졸로 카포니(Giovanni d'Angiolo Capponi) |
안토니오 디 필리포 톨로시니(Antonio di Filippo Tolosini) |
레코 디 구이도 구아차(Recco di Guido Guaza) |
미켈레 디 푸초(Michele di Puccio) |
전시 위원회(Otto della guerra)는 1376년 8월 14일에 4곳의 길드 대표자들과 4명의 귀족들로 구성되었다.[48]
구분 | 이름 | 소속 |
---|---|---|
대길드 대표자 | 조반니 디니(Giovanni Dini) | 향신료 | ||
양모 제조[48] | ||
소길드 대표자 | 마테오 솔디(Matteo Soldi) | 포도주 소매업[48] | ||
곡물[48] | ||
피렌체 엘리트 인원[48] | 알레산드로 데 바르디(Alessandro de' Bardi) | ||
조반니 마갈로티(Giovanni Magalotti) | ||
안드레아 살바티(Andrea Salvati) | ||
톰마소 스트로치(Tommaso Strozzi) |
5. 2. 1376년 8인의 전쟁 위원회 (Otto della Guerra)
8성인(Otto Santiit)은 8성인 전쟁 기간 동안 피렌체 시뇨리아가 임명한 두 개의 8인 위원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40] 피렌체가 존 호크우드와 불가침 조약을 맺기 위해 130000플로린을 지불했을 때, 이 금액을 충당하기 위해 피렌체와 피에솔레의 성직자들에게 강제 대출을 부과하는 특별 위원회 8명이 구성되었다. 이를 '8인의 성직자회'라고 한다. 나중에 교황과의 전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군사적, 외교적 조치를 취하기 위해 8명의 두 번째 위원회인 '8인의 전쟁 위원회'가 구성되었다.[41]8성인의 정체성은 논쟁의 대상인데, '8인의 성직자회'는 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Otto Santi''로 받아들여지지만, 일부는 ''Otto Santi''가 '8인의 전쟁 위원회'를 지칭한다고 주장한다.[42] 8성인 전쟁에 대한 첫 역사적 언급은 1445년 피렌체의 역사가 도메니코 부오닌세니에 의해 ''Otto Santi''로 나타났으며, 동시대인 역사가인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조반니 모렐리의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았다.[25] 부오닌세니는 8성인 전쟁 직후 발생한 치옴피의 난 때 만들어진 8인의 조직(''Gli Otto Santi del Popolo di Dio'')을 언급한 1378년 8월에 사용된 명칭을 ''Otto della Guerra''에 적용했다.[43] 이와 대조적으로, 1376년 3월 31일에 파문하는 칙서가 발표되었는데, 칙서에서는 "Otto dei Preti"(문자 그대로는 '8인의 성직자'를 의미하는 대출 위원회)를 지칭하기 위해 이 칭호가 사용되었다.[25]
1375년 7월 7일에 임명되어 불가침 조약을 위해 성직자들에게 과세하는 역할을 수행한 ''Otto dei Preti''는 다음과 같다.
성직자 |
---|
마테오 말레피치 |
안토니오 디 포르세 사케티 |
바르도 디 구글리엘모 알토비티 |
살비 필리포 살비 |
조반니 디 안지올로 카포니 |
안토니오 디 필리포 톨로시니 |
레코 디 귀도 구아자 |
미켈레 디 푸치오 |
''Otto della Guerra''(전쟁 위원회)는 1376년 8월 14일에 임명되었으며 4명의 길드 대표와 4명의 귀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졌다.[44]
대길드 대표 | 소길드 대표 | 피렌체 엘리트 가문 구성원 |
---|---|---|
조반니 디니 (향신료) | 마테오 솔디 (포도주 소매업)[20] | 알레산드로 데 바르디 |
구초 구치 (모직물 제조)[20] | 조반니 디 모네 (곡물)[20] | 조반니 마갈로티 |
안드레아 살바티 | ||
톰마소 스트로치 |
6. 한국과의 관계 및 영향
(8성인 전쟁의 '한국과의 관계 및 영향' 섹션은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http://www.ucpress.e[...]
2002
[2]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03
[3]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4]
서적
John Hawkwood: An English Mercenary in Fourteenth-Century Ital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5]
서적
Europe: Hierarchy and Revolt, 1320-1450
Blackwell Publishing
2000
[6]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P
2003
[7]
논문
Florentine Politics and the Diffusion of Heresy in the Trecento: A Socioeconomic Inquiry
1959
[8]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People
Weidenfeld & Nicolson
1970
[9]
서적
Signori e mercenari - La guerra nell'Italia del Rinascimento
Il Mulino
2006
[10]
서적
The Popes at Avignon, 1305–1378
https://archive.org/[...]
Thomas Nelson
1963
[11]
서적
Florentine Politics and Society, 1343–1378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12]
서적
Florence: her history and art, to the fall of the Republic
Methuen & Co., Trinity Hall, Cambridge
1903
[13]
문서
A temporary, special committee invested with extraordinary powers.
[14]
논문
Who were the Eight Saints?
1963
[15]
문서
The word "ciompi", of uncertain etymology, refers to the florentine wool-carding workers
[16]
간행물
八聖人戦争期フィレンツェにおける政争と社会不安
https://doi.org/10.2[...]
イタリア学会
1986
[17]
논문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http://www.ucpress.e[...]
2002
[18]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03
[19]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03
[20]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21]
서적
John Hawkwood: An English Mercenary in Fourteenth-Century Ital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22]
서적
Europe: Hierarchy and Revolt, 1320-1450
Blackwell Publishing
2000
[23]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24]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25]
논문
Who were the Eight Saints?
1963
[26]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P
2003
[27]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28]
논문
Florentine Politics and the Diffusion of Heresy in the Trecento: A Socioeconomic Inquiry
1959
[29]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30]
논문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http://www.ucpress.e[...]
2002
[31]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People
Weidenfeld & Nicolson
1970
[32]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33]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34]
서적
Signori e mercenari - La guerra nell'Italia del Rinascimento
Il Mulino
2006
[35]
서적
Europe: Hierarchy and Revolt, 1320-1450
Blackwell Publishing
2000
[36]
논문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http://www.ucpres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37]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38]
서적
Florence: her history and art, to the fall of the Republic
Methuen & Co., Trinity Hall, Cambridge
1903
[39]
간행물
"Who were the Eight Saints?"
1963
[40]
문서
A temporary, special committee invested with extraordinary powers.
[41]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42]
간행물
"Who were the Eight Saints?"
1963
[43]
문서
The word "ciompi", of uncertain etymology, refers to the florentine wool-carding workers
[44]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45]
논문
"The War of the Eight Saints in Florentine Memory and Oblivion"
http://www.ucpres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46]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03
[47]
서적
John Hawkwood: An English Mercenary in Fourteenth-Century Ital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48]
서적
A History of Florence 1200-1575
Blackwell Publishing
2006
[49]
서적
Europe: Hierarchy and Revolt, 1320-1450
Blackwell Publishing
2000
[50]
서적
Negotiating Survival: Florence and the Great Schism, 1378-1417
Fairleigh Dickinson UP
2003
[51]
간행물
"Florentine Politics and the Diffusion of Heresy in the Trecento: A Socioeconomic Inquiry."
1959
[52]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People
Weidenfeld & Nicolson
1970
[53]
서적
Florence: her history and art, to the fall of the Republic
Methuen & Co., Trinity Hall, Cambridge
1903
[54]
간행물
"Who were the Eight Saints?"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