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아니체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아니체토는 2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었다. 시리아 에메사 출신으로, 재위 기간 동안 스미르나의 폴리캅과 부활절 날짜를 논의했으며, 영지주의와 마르키온주의에 반대했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순교했다고 전해지며, 축일은 4월 20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년 사망 - 유통 (부릉효왕)
유통은 후한 시대에 부친의 뒤를 이어 부릉왕에 봉해졌으며, 영강 원년에 사망하여 시호를 효라 칭해졌고, 그의 아들 유사가 뒤를 이었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 시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루가
루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저자이자 바울의 동료였으며, 예수의 삶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역사를 기록하고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린 화가로도 전해진다. - 시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교황 아니체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니체토 |
칭호 | 교황 성인 |
직책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기원후 157년경 |
재임 종료 | 기원후 168년 4월 20일경 |
이전 교황 | 비오 1세 |
다음 교황 | 소테르 |
출생일 | 1세기 후반 |
출생지 | 로마 페니키아 에메사 |
사망일 | 기원후 168년 4월 |
사망지 | 로마, 로마 제국 |
축일 | 4월 20일 (서방) 4월 17일 (그리스) |
상징물 | 교황관, 종려나무 가지 |
![]() | |
한국어 표기 | |
로마자 표기 | Aniketus |
기타 정보 | |
교파 | 가톨릭교회 |
2. 생애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아니체토는 시리아 에메사(오늘날의 홈스) 출신이다.[3]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요한의 복음서의 제자인 스미르나의 폴리캅이 로마를 방문하여 부활절 날짜에 대해 논의했다. 폴리캅과 스미르나 교회는 유월절과 같은 날인 니산월 14일에 십자가형을 기념한 반면, 로마 교회는 예수의 부활 요일인 일요일에 부활절을 기념했다. 두 사람은 합의를 보지 못했지만, 아니체토는 폴리캅과 스미르나 교회가 기존 날짜를 유지하도록 양보했다.[4]
기독교 역사가 헤게시푸스도 아니체토 재위 기간 동안 로마를 방문했는데, 이는 로마 교황청의 초기 중요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자주 인용된다.[4] 아니체토는 영지주의와 마르키온주의에 적극적으로 반대했으며,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사제들이 긴 머리를 하는 것을 금지했다.[3][5]
교회 전승에 따르면 아니체토는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 통치 기간에 순교했다고 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없다.[6] 그의 축일은 현재 4월 20일에 기념되지만, 1970년 이전에는 4월 17일이었다.[6][7] 교황 연대기는 그가 갈리스토 묘지에 묻혔다고 기록한다.[3]
2. 1. 출신 및 배경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아니체토는 시리아 에메사(오늘날의 홈스) 출신이었다.[3]2. 2. 부활절 날짜 논쟁
이레네오에 따르면, 교황 아니체토의 재위 기간 동안 요한의 복음서의 제자인 스미르나의 폴리캅이 로마를 방문하여 부활절 축하에 대해 논의했다.[4] 폴리캅과 스미르나 교회는 유월절과 일치하는 니산월 14일에 십자가형을 기념했는데, 이 날짜는 요일에 관계없이 지켜졌다.[4] 반면 로마 교회는 예수의 부활 요일인 일요일에 부활절을 기념했다.[4] 두 사람은 공통된 날짜에 합의하지 못했지만, 아니체토는 폴리캅과 스미르나 교회가 그들이 익숙해진 날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보했다.[4] 이 논쟁은 다음 세기에 더욱 격렬해질 것이었다.[4]2. 3. 헤게시푸스의 로마 방문
기독교 역사가 헤게시푸스는 아니체토 재위 기간 동안 로마를 방문했다. 이 방문은 로마 교황청의 초기 중요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자주 인용된다.[4]2. 4. 영지주의 및 마르키온주의 반대
아니체토는 영지주의와 마르키온주의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5]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아니체토는 사제들이 긴 머리를 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아마 영지주의자들이 긴 머리를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3]2. 5. 순교 전승 및 축일
교회 전승에 따르면, 아니체토는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 순교했다고 전해진다.[6]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한 역사적 근거는 없다.[6] 그의 사망일로는 4월 16일, 17일, 20일 등 여러 날짜가 언급되지만, 현재 그의 축일은 4월 20일에 기념된다.[7] 1970년 이전에는 4월 17일이 축일이었다.[6] 한국 가톨릭에서는 현재도 4월 17일을 아니체토의 축일로 지내고 있다. 교황 연대기는 그가 갈리스토 묘지에 묻혔다고 기록한다.[3]참조
[1]
웹사이트
Άγιος Ανίκητος ο Ιερομάρτυρας πάπας Ρώμης Ορθόδοξος Συναξαριστής
http://www.saint.gr/[...]
[2]
간행물
Pope St. Anicetus
Robert Appleton Company
[3]
서적
Book of the Pontiffs (Liber Pontificalis) (Liverpool University Press - Translated Texts for Historians)
Liverpool University Press
[4]
기타
Historia Ecclesiastica
[5]
웹사이트
St. Anicetus, Pope and Martyr
https://www.bartleby[...]
[6]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7]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8]
문서
他キリスト教諸教派の一覧
[9]
웹사이트
Pope Anicetus - New World Encyclopedia
http://www.newworl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