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조시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조시모는 417년부터 418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아를 주교 파트로클루스와의 관계를 통해 갈리아 지역의 교회 관할권을 강화하려 했으며, 펠라기우스주의 논쟁에서 처음에는 펠라기우스주의를 옹호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으나, 아프리카 교회의 반발과 황제의 칙령으로 인해 결국 펠라기우스주의를 단죄했다. 또한 아프리카 교회의 주교들에게 사제들의 상소권을 인정하며 갈등을 빚기도 했다. 그는 또한 성직자들의 마니풀룸 착용, 부활절 촛불 봉헌, 술집 출입 금지 등의 칙령을 내렸으며, 성 라우렌시오 성당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18년 사망 - 펠라기우스 (4세기)
펠라기우스는 4세기 후반에 활동한 기독교 신학자로서, 인간의 자유 의지와 성선설을 주장하다가 아우구스티누스와 대립하여 이단으로 정죄받았다. - 크로토네도 출신 - 교황 자카리아
자카리아는 741년부터 752년까지 교황으로 재임하며 혼란스러운 시대에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교황령을 지키고 프랑크 왕국의 왕위 찬탈 과정에 관여했으며, 프랑크 왕국 교회 개혁 지원 및 로마를 기독교 도시로 변화시키기 위한 사업을 추진했다. - 크로토네도 출신 - 교황 안테로
교황 안테로는 235년부터 236년까지 재위한 제19대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으로, 이탈리아 출신이며 순교 또는 자연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칼리스토 카타콤에 묻혔다가 산 실베스트로 알 퀴리날레 교회로 유해가 옮겨졌고, 1월 3일에 기념한다. - 5세기 교황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교황 조시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시모 |
직함 | 로마의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임기 시작 | 417년 3월 18일 |
임기 종료 | 418년 12월 26일 |
선임자 | 인노첸시오 1세 |
후임자 | 보니파시오 1세 |
출생지 | 로마 제국 메소라카 |
사망일 | 418년 12월 26일 |
사망 장소 | 서로마 제국 로마 |
축일 | 12월 27일 |
![]() | |
기타 정보 | |
참고 | 가톨릭 백과사전에 등재됨 |
2. 가문 배경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조시모는 그리스인이었으며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아브라미우스였다. 역사가 아돌프 폰 하르낙은 이를 근거로 그의 가문이 유대인 출신이라고 추론했지만,[4] 이는 루이 뒤셰스에 의해 반박되었다.[5]
417년 3월 18일, 조시모가 로마 주교로 서임되었다. 이 축제에는 아를 주교 파트로클루스[6]가 참석했는데, 그는 콘스탄티우스 3세에 의해 폐위된 아를의 헤로스를 대신하여 임명된 인물이었다. 파트로클루스는 새 교황의 신임을 얻어, 3월 22일에 교황 서한을 받았다. 이 서한을 통해 그는 메트로폴리탄 주교의 권한을 부여받아 비엔넨시스와 나르보넨시스 1 및 2의 갈리아 지방 모든 주교를 관할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갈리아 전체를 위한 일종의 교황 대리가 되었으며, 어떤 갈리아 성직자도 파트로클루스의 신분 증명서 없이는 로마로 여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교황 조시모의 재위 기간 동안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중대한 결정이 내려졌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추방된 카엘레스티우스는 펠라기우스를 옹호하며 로마로 와서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단죄받은 자신의 주장에 대해 항소했다. 조시모는 성 클레멘스 대성당에서 로마 성직자 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심사했다.[11] 밀라노의 바울리노 부제가 카엘레스티우스의 오류를 지적한 목록을 제시했지만, 카엘레스티우스는 이를 부인하고 신앙 선서문을 제출했다.[11]
3. 교황 선출 및 아를과의 관계
400년, 아를은 트리어를 대신하여 민간 갈리아 교구의 최고 정부 관리인 "갈리아 지방 장관(Prefectus Praetorio Galliarum)"의 거주지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사령관의 지원을 받은 파트로클루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조시모를 설득, 앞서 언급한 우위를 확보했다. 비엔, 나르본, 마르세유의 주교들은 아를 관구의 이러한 승격을 자신들의 권리에 대한 침해로 간주하고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는 조시모의 여러 서한을 야기했다. 그러나 이 분쟁은 교황 레오 1세 재위 기간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4. 펠라기우스주의와의 충돌
조시모는 카엘레스티우스에게 설득되어 아프리카 주교들의 결정이 성급했다고 판단하고, 카엘레스티우스를 변호하며 아프리카 주교들을 책망하는 서신을 보냈다.[11] 카르타고의 아우렐리우스는 즉시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에게 해명하는 답신을 보냈다.[11] 조시모는 아프리카 주교들과의 협의 없이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겠다고 밝혔다.[11]
418년 5월 1일, 아프리카 주교 시노드와 호노리우스 황제가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하자, 조시모는 펠라기우스주의와 그 추종자들을 정죄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1]
얼마 지나지 않아 조시모는 주교에게 처벌받은 성직자들의 상소권 문제로 아프리카 주교들과 다시 논쟁을 벌였다. 시카의 아피아리우스 신부가 파면되자 아프리카 교회의 절차를 무시하고 교황에게 직접 상소한 것이다. 조시모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아닌 사르디카 교회회의의 교회법을 근거로 제시하는 실수를 범했고, 아프리카 주교들은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 문제는 조시모 사후에도 계속되었다.[11]
4. 1. 카엘레스티우스의 호소
카엘레스티우스는 펠라기우스주의를 옹호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추방된 후 로마로 와서,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단죄받은 자신의 주장에 대해 새 교황 조시모에게 항소하였다.[11] 417년 여름, 조시모는 성 클레멘스 대성당에서 로마 성직자들과 회의를 열어 카엘레스티우스에 관한 심사를 진행하였다.[11] 밀라노의 바울리노 부제는 411년 카엘레스티우스가 카르타고에서 단죄받은 이유로, 카엘레스티우스가 지닌 사상의 오류 목록을 작성해 제시했다.[11] 카엘레스티우스는 오류를 인정하지 않고,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서신에 담긴 가르침을 받아들인다고 공표하며 신앙 선서문을 제출하였다.[11]
조시모는 카엘레스티우스의 행동에 속아 그가 전임 교황에게 단죄받은 오류 사상을 실제로 주장했는지는 불확실하다고 보았다.[11] 그래서 카엘레스티우스를 단죄한 아프리카 주교들의 결정이 성급하다고 판단, 그를 변호하고 아프리카 주교들을 책망하는 서신을 썼다. 책망받은 주교 중에는 갈리아의 주교 헤로와 라자로도 있었다.[11]
카르타고의 아우렐리우스 대주교는 즉시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이 속았음을 알리고 해명하는 답신을 보냈다.[11] 조시모는 아프리카 주교들을 책망하면서도, 최종 결정은 아프리카 주교들과 협의하여 내리겠다는 뜻을 밝혔다.[11] 418년 5월 1일 아프리카 주교 시노드가 교황에게 답신을 보내고, 호노리우스 황제 역시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한다고 선언하자, 조시모는 펠라기우스주의와 그 추종자들이 정통 기독교 신앙에 위배된다는 칙령을 공표하였다.[11]
4. 2. 아프리카 교회의 반박
카엘레스티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추방된 후, 펠라기우스주의를 옹호하며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단죄받은 것에 대해 새 교황 조시모에게 항소하였다. 417년 여름, 조시모는 성 클레멘스 대성당에서 로마 성직자 회의를 열어 카엘레스티우스를 심사했다. 밀라노의 바울리노 부제는 카엘레스티우스가 411년 카르타고에서 단죄받은 이유인 그의 사상 오류 목록을 작성해 보냈다. 카엘레스티우스는 오류 인정을 거부하고, 인노첸시오 1세의 서신에 담긴 가르침을 받아들인다고 공표하며 신앙 선서문을 제출했다. 조시모는 카엘레스티우스의 행동에 속아, 그가 전임 교황에게 단죄받은 사상을 실제로 주장했는지 불확실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아프리카 주교들의 결정이 성급하다고 판단하고, 카엘레스티우스를 변호하며 아프리카 주교들을 책망하는 서신을 보냈다. 여기에는 갈리아 주교 헤로와 라자로도 포함되었다.[11]
카르타고의 아우렐리우스 대주교는 즉시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이 속았음을 알리고 해명하는 답신을 보냈다. 조시모는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그들을 책망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며 아프리카 주교들과의 협의 없이는 단독으로 결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418년 5월 1일 아프리카 주교 시노드는 교황에게 답신을 보냈고, 호노리우스 황제 역시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한다고 선언하면서, 조시모는 마침내 펠라기우스주의와 그 추종자들이 정통 기독교 신앙에 위배된다고 선언하는 칙령을 공표하였다.[11]
이후 조시모는 주교에게 처벌받은 사제들의 상소권 문제로 아프리카 주교들과 논쟁을 벌였다. 시카의 아피아리우스 신부는 죄를 짓고 교구장 우르바노 주교에게 파면되자, 아프리카 교회의 정식 항소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교황에게 상소하였다. 교황은 즉시 아피아리우스의 항소를 받아들여,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교황 특사를 서신과 함께 아프리카에 보냈다. 하지만 교황이 먼저 아피아리우스에게 아프리카 교회에서 항소 절차를 밟도록 권고하는 편이 더 현명했을 것이다. 조시모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제정된 교회법을 근거로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사르디카 교회회의에서 제정된 교회법이었다. 아프리카 주교들은 조시모가 제시한 내용이 니케아 법전의 아프리카 복사본에는 없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아프리카 사본은 로마 사본과 달리 니케아 공의회 법전이 그대로 실려 있었다. 이 착오로 아피아리우스의 청원 문제를 놓고 교황과 아프리카 주교들 간에 심각한 의견 불일치가 발생하며 갈등이 빚어졌고, 이 논쟁은 조시모 사후에도 계속되었다.[11]
4. 3. 펠라기우스주의 단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추방된 카엘레스티우스는 펠라기우스주의를 옹호하며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단죄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로마로 와서 새 교황 조시모에게 항소하였다.[11] 417년 여름, 조시모는 성 클레멘스 대성당에서 로마 성직자 회의를 열고 카엘레스티우스 문제를 심사했다.[11] 밀라노의 바울리노 부제는 카엘레스티우스가 411년 카르타고에서 단죄받은 이유를 담은 목록을 작성하여 제시했다.[11] 카엘레스티우스는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고, 인노첸시오 1세의 서신에 담긴 가르침을 받아들인다고 공표하며 신앙 선서문을 제출했다.[11]
조시모는 카엘레스티우스의 행동에 넘어가 그가 전임 교황에게 단죄받은 사상을 실제로 주장했는지 불확실하다고 판단했다.[11] 그래서 아프리카 주교들의 결정이 성급했다고 보고, 카엘레스티우스를 변호하고 아프리카 주교들을 책망하는 서신을 보냈다.[11] 책망받은 주교 중에는 갈리아의 주교 헤로와 라자로도 포함되어 있었다.[11] 카르타고의 아우렐리우스 대주교는 즉시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이 속았음을 알리고 해명하는 답신을 보냈다.[11] 조시모는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그들을 책망했지만, 최종 결정은 아프리카 주교들과의 협의 없이는 내리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11]
418년 5월 1일, 아프리카 주교 시노드는 교황에게 답신을 보냈고, 호노리우스 황제 역시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11] 이에 조시모는 마침내 펠라기우스주의와 그 추종자들이 정통 기독교 신앙에 위배된다고 선언하는 칙령을 공표하였다.[11]
5. 아프리카 교회와의 갈등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조시모가 부제들의 마니풀룸 착용[7]과 시골 교구에서의 부활절 촛불 봉헌[8]에 관한 칙령을 내렸으며, 성직자들이 술집을 방문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도 내렸다고 전한다.[8]
6. 기타 업적
이미 언급된 교황의 저술 외에도, 폐위된 주교에 관한 아프리카의 비잔틴 속주 주교들에게 보낸 서신과 프리실리아누스주의와 다양한 성직 계급의 서품에 관한 갈리아와 스페인 주교들에게 보낸 서신이 존재한다.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조시모가 부제들의 마니풀룸 착용에 관한 칙령,[7] 시골 교구에서 부활절 촛불 봉헌에 관한 칙령, 그리고 성직자들이 술집을 방문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다고 전한다. 조시모는 성 라우렌시오 성당에 묻혔다.[8]
7. 사망
참조
[1]
간행물
Pope St. Zosimus
[2]
웹사이트
Mesoraca Italy: Mesoraca guide, city of Mesoraca, Calabria Italy
http://www.initalyto[...]
2018-02-12
[3]
간행물
Zosimus (bishop)
[4]
논문
Sitzungsberichte der Berliner Akademie
1904
[5]
서적
Histoire ancienne de l'église
https://archive.org/[...]
Fontemoing
1910
[6]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ab condita Ecclesia ad annum post Christum natum MCXCVIII
https://books.google[...]
Veit
[7]
간행물
Liber Pontificalis
[8]
서적
Papa S. Zosimo di Castel Reazio: un santo calabrese, riformatore, padre occidentale della Chiesa dimenticato
https://books.google[...]
Calabria Letteraria Editrice
[9]
논문
Sitzungsberichte der Berliner Akademie
1904
[10]
간행물
Histoire ancienne de l'église
[11]
간행물
Bulletino di arch. christ.
18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