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장군은 평안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청천강이 흐르고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 동굴이 발달했다. 북쪽으로 향산군, 서북쪽으로 운산군, 서남쪽으로 녕변군, 남쪽으로 평안남도 개천시, 덕천시와 접한다. 1952년 녕변군 일부를 분리하여 설치되었으며, 1개의 읍, 5개의 노동자구, 2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아연, 석탄, 운모가 채굴되며, 시멘트와 철도 차량을 생산한다. 만포선, 평덕선, 청년팔원선 등 철도 노선이 지나가며, 룡등로동자구에는 트롤리버스 시스템이 존재한다. 연평균 기온은 8.4°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0.4°C, 8월 평균 기온은 24.2°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장군 - 묘향산
묘향산은 청천강 좌안 묘향산맥의 명산으로, 비로봉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불교 유적, 단군 신화 유래, 조선왕조실록 사고,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 등의 특징을 가진 북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구장군 - 룡암역
룡암역은 1934년 4월 1일 용등역으로 개통된 룡암선의 철도역으로, 현재의 룡암선 구간에 위치한다.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동창군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경계를 접하고 1952년 창성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군으로, 금, 은, 인회석 등의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옥수수 경작과 소규모 수력 발전이 이루어지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구장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구장군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Kujang-gun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Gujang-gun |
행정 구역 | |
구분 | 군 |
소속 국가 | 북한 |
소속 도 | 평안북도 |
하위 행정 구역 | 1 읍, 5 rodongjagu, 22 ri |
지리 | |
면적 | 584 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계 | |
인구 (2008년) | 139337 명 |
기타 |
2. 지리
청천강이 군내를 가로지르며, 카르스트 지형으로 용문대굴 등의 석회동굴이 많다. 동쪽으로는 묘향산맥이 지나가고, 가장 높은 지점은 북쪽의 갈봉(1,530m)이다. 산지 지형으로 전체 면적의 17%만이 경작지이고 74%가 산림이다.
2. 1. 기후
청천강이 군내를 가로지른다. 연평균 기온은 8.4°C이고 1월 평균기온은 -10.4°C, 8월 평균기온은 24.2°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로, 상대적으로 시원하고 습한 기후이다.2. 2. 인접 행정 구역
북쪽으로 향산군, 서북쪽으로 운산군, 서남쪽으로 녕변군, 동쪽으로 녕원군, 남쪽으로 평안남도 개천시·덕천시와 경계를 접한다.[3]3. 역사
현재의 구장군은 1952년 12월에 녕변군 룡산면, 백령면, 남신현면, 오리면, 고성면의 일부를 분리해 설치한 것이다.[2] 구장군은 1952년 녕변군에서 분리되어 형성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3. 1. 연혁
1952년 12월, 평안북도 녕변군 룡산면, 남신현면, 백령면 및 오리, 고성면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구장군'''이 설치되었다. 당시 구장군은 1읍(구장읍)과 26개 리(수구리, 룡철리, 안화리, 운흥리, 룡연리, 신흥리, 등립리, 취덕리, 소민리, 귀상리, 상이리, 운룡리, 송호리, 묵시리, 상초리, 하초리, 우현리, 대풍리, 룡문리, 중초리, 조산리, 개화리, 도관리, 하장리, 상구리, 사우리)로 구성되었다.[2][9]이후 구장군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연도 | 주요 변화 |
---|---|
1952년 말 | 안화리가 룡등로동자구로 승격. (1읍 1로동자구 25리) |
1953년 | |
1954년 10월 | 녕변군 삼봉리를 편입. (1읍 2로동자구 24리) |
1958년 | 소민리 일부가 신흥리, 중초리로 분할 편입. (1읍 2로동자구 24리) |
1963년 | 등립리 일부가 룡등로동자구에 편입. (1읍 2로동자구 24리) |
1967년 | 등립리가 등립로동자구로 승격. (1읍 3로동자구 23리) |
1985년 | |
1990년 | |
1996년 | 로현리, 룡성리, 상로리, 가좌리, 천수리, 수양리, 청송리, 석창리가 향산군에 편입. (1읍 5로동자구 22리) |
4. 행정 구역
구장군은 1개의 읍, 5개의 노동자구, 2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1]
한글 | 한자 |
---|---|
구장읍 | 球場邑 |
룡철로동자구 | 龍鐵勞動者區 |
룡등로동자구 | 龍登勞動者區 |
룡문로동자구 | 龍門勞動者區 |
룡수로동자구 | 龍水勞動者區 |
등립로동자구 | 登立勞動者區 |
조산리 | 造山里 |
중초리 | 中草里 |
하초리 | 下草里 |
하장리 | 下長里 |
개화리 | 開華里 |
귀상리 | 貴上里 |
묵시리 | 墨時里 |
룡연리 | 龍淵里 |
삼봉리 | 三峯里 |
상초리 | 上草里 |
상이리 | 上耳里 |
상구리 | 上九里 |
사오리 | 沙烏里 |
신흥리 | 新興里 |
소민리 | 蘇民里 |
송호리 | 松湖里 |
수구리 | 水口里 |
대풍리 | 大豊里 |
도관리 | 都館里 |
운흥리 | 雲興里 |
운룡리 | 雲龍里 |
우현리 | 牛峴里 |
4. 1. 읍
4. 2. 노동자구
4. 3. 리
한글 | 한자 |
---|---|
조산리 | 造山里 |
중초리 | 中草里 |
하초리 | 下草里 |
하장리 | 下長里 |
개화리 | 開華里 |
귀상리 | 貴上里 |
묵시리 | 墨時里 |
룡연리 | 龍淵里 |
삼봉리 | 三峯里 |
상초리 | 上草里 |
상이리 | 上耳里 |
상구리 | 上九里 |
사오리 | 沙烏里 |
신흥리 | 新興里 |
소민리 | 蘇民里 |
송호리 | 松湖里 |
수구리 | 水口里 |
대풍리 | 大豊里 |
도관리 | 都館里 |
운흥리 | 雲興里 |
운룡리 | 雲龍里 |
우현리 | 牛峴里 |
5. 경제
구장군에서는 아연, 석탄, 운모가 채굴된다. 공장에서는 시멘트와 철도 차량을 생산한다. 청천강과 구룡강을 따라 농업 지역이 있다.[5]
2019년, 구장 제1청년수력발전소가 개통되었다. 개통 전 발전기실이 폭우로 침수되었지만, 당시에는 발전기가 설치되지 않았다. 구장 제2청년수력발전소는 건설 중이다.[6]
6. 교통
만포선과 평덕선이 구장군에서 교차하며 광산으로 연결되는 여러 노선이 있다. 평양-향산 관광도로 및 여러 개의 1급 도로가 군을 통과한다.[7]
6. 1. 철도
만포선, 평덕선, 청년팔원선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노선들이 구장에서 교차하며, 군내 광산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지선들이 있다.[7]1970년대부터 룡등로동자구에 트롤리버스 시스템이 있어, 노동자 마을과 인근 광산을 연결했다. 두 대의 트롤리버스가 해당 노선을 운행했다.[8]
7. 자연
청천강이 군내를 가로지른다. 카르스트 지형이며, 용문대굴 등의 석회동굴이 많다.[3]
구장군의 동쪽으로는 묘향산맥이 가로지른다. 가장 높은 지점은 북쪽의 갈봉(1530m)이다. 산지 지형이기 때문에 전체 면적의 17%만이 경작지이고 74%가 산림이다.
연평균 기온은 8.4°C이고 1월 평균기온은 -10.4°C, 8월 평균기온은 24.2°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로, 상대적으로 시원하고 습한 기후라 할 수 있다. 청천강이 군의 중앙을 흐르고, 구룡강이 서쪽 측면을 따라 흐른다.
구장군 지역의 동굴은 석회암 지형에서 제4기 신생대에 형성된 카르스트 동굴이다. 유사한 기원에도 불구하고,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로 인해 크기, 범위 및 미적 특징이 다양하다. 해발 370m에 위치한 룡문굴은 총 길이 7km에 달하며, 석순과 종유석이 특징이다.[3] 해발 470m에 위치한 백룡굴은 동물 모양의 지형과 석주가 특징이다. 개천 꽃굴은 광물질이 풍부한 돌로 만들어진 "꽃의 바다"로 유명하다.[4]
참조
[1]
웹사이트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UN Statistics Division
2010-03-31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3-08-09
[3]
웹사이트
Ryongmun Cavern
https://exploredprk.[...]
2024-09-22
[4]
웹사이트
North Korea's famous caves
https://www.youngpio[...]
2024-09-22
[5]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3-08-09
[6]
비디오
[특집] 기관차가 되라
http://www.uriminzok[...]
2021-08-30
[7]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3-08-09
[8]
뉴스
탄광마을에 무궤도전차 달린다
1983-11-05
[9]
웹사이트
평안북도 구장군 역사
http://www.cybernk.n[...]
[10]
보고서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