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녕변군은 평안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평양에서 북쪽으로 약 80km 거리에 있다. 고구려, 발해, 고려 시대를 거치며 연주, 무주 등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영변대도호부로 설치되었다. 1895년 평양부 영변군으로 개편되었고, 1897년 평안북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현재 녕변읍과 26개 리, 팔원로동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견직물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녕변 핵과학연구소가 위치해 북한 핵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주목받는 지역이기도 하다. 청년팔원선이 통과하며, 철옹성, 약산동대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녕변군 - 운산 전투
운산 전투는 1950년 10월 한국 전쟁 중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대한민국 육군 제1보병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의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어 중국의 한국 전쟁 본격 개입을 알리고 한미 관계와 남북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 녕변군 - 녕변 원자력 연구소
녕변 원자력 연구소는 북한의 핵 시설로, 1962년에 설치되어 1980년대부터 5MW급 실험용 원자로를 가동하며 핵 개발 의혹을 받아 2007년 가동 중단되었으나 이후 재가동과 핵연료 재처리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1897년 설치 - 장진군
장진군은 함경남도 개마고원 위에 랑림산맥과 부전령산맥에 걸쳐 있는 군으로, 추운 기후와 장진호, 장진강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댐 건설과 한국 전쟁 격전지였고, 현재는 목재 생산, 광업, 밭농사, 축산업이 이루어진다. - 1897년 설치 - 목포우체국
목포우체국은 1897년 무안우체국사로 개국하여 195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전라남도 목포시와 신안군 일부 지역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차례 청사 이전과 증축을 거쳐 현재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하고 있다.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동창군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경계를 접하고 1952년 창성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군으로, 금, 은, 인회석 등의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옥수수 경작과 소규모 수력 발전이 이루어지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녕변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녕변군 (寧邊郡) |
유형 | 군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안북도 |
행정 구역 | |
종류 | 행정 구역 |
구성 | 1읍, 1로동자구, 26리 |
지리 | |
좌표 | 39°50' N, 125°45' E |
면적 | 506.2 km² |
인구 통계 | |
2008년 인구 | 113,852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조선어) | 녕변군 (표준어: 영변군) |
조선글 (한글) | 녕변군 |
한자 | 寧邊郡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Nyŏngbyŏn-gun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 | Nyeongbyeon-gun |
기타 | |
관련 시설 | 녕변 핵 시설 |
2. 지리
평양에서 북쪽으로 약 80km 거리에 있다. 청천강의 북안에 있으며, 그 지류인 구룡강이 군내를 가로지르고 있다. 최고봉은 북부에 있는 향적산(805m)이다. 구릉에 둘러싸인 지형이다. 서쪽으로 박천군·태천군, 북쪽으로 운산군, 동쪽으로 구장군과 인접하고 남쪽은 평안남도에 접한다.
고구려·발해의 영역이었고 고려시대에는 연주(연산부)·무주로 불렸다.[2] 1012년에는 강감찬이 거란과 싸웠고, 1216년에는 김취려가 금 군과 싸웠다.[2]
현재 녕변군의 행정 구역은 녕변읍(寧邊邑)과 팔원로동자구(八院勞動者區), 26리로 구성되어 있다. 고성리, 구산리, 구항리, 관하리, 남등리, 남산리, 대천리, 룡성리, 룡추리, 룡포리, 룡화리, 망일리, 명덕리, 봉산리, 서산리, 서화리, 서위리, 송강리, 송화리, 세죽리, 하초리, 화평리, 연화리, 오봉리, 옥창리가 있다.
녕변군은 예부터 견직물(비단 직물)의 생산지로 알려졌다. 녕변에는 녕변 핵과학연구소가 위치해 있어, 북한 핵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로 여겨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청년팔원선이 녕변군을 통과한다. 청년팔원선은 하초역, 녕변역, 팔원청년역, 대장역을 지난다. 녕변선은 팔원청년역에서 분강역까지 이어진다.
구룡강과 산에 둘러싸인 읍성인 철옹성이 있다. 영변읍내에는 기암과 진달래꽃의 명소인 약산동대가 있다. 약산동대는 시인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 등장하는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천주사, 서운사(소운사), 북수구문터, 육승정, 만노문이 있다.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3. 역사
조선 왕조 시대에는 연산도호부·무산현이 설치되었고, 1428년(세종 10년)에 양자를 아울러 조선 세종의 명으로 영변대도호부가 설치되었다.[2] 부사(府使)와 판관(判官)을 두고, 병마도절제사로 하여금 부사를 겸임하게 하였다.[2] 이후 한동안 평안도병마절도사가 영변대도호부사직을 겸직하였다.[2] 1624년에는 이괄의 난의 무대가 되었다.[2]
1895년 23부제에 의해 평양부 영변군으로 개편되었다.[2]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면서 평안북도에 속했고, 1897년에 평안북도의 관찰사영(도청)이 정주에서 영변으로 이전하였다.[2] 1921년까지, 영변은 평안북도의 도청 소재지였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는 녕변군에 읍내면, 팔원면, 소림면, 연산면, 태평면,룡산면, 고성면, 남송면, 독산면, 봉산면, 백령면, 북신현면, 남신현면, 오리면을 설치하였고, 1918년에 읍내면이 녕변면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재편에 의해 구장군·향산군이 분할되었다.[2] 1952년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녕변면, 팔원면, 소림면, 봉산면 및 연산면, 고성면, 오리면의 각 일부 지역을 가지고, 녕변군을 설치하고 녕변읍, 연산리, 문화리, 서화리, 대천리, 룡화리, 룡포리, 약산리, 서외성리, 팔원리, 화평리, 송화리, 명덕리, 옥창리, 룡성리, 봉산리, 고성리, 관하리, 구산리, 망일리, 룡흥리, 남등리, 서위리, 룡추리, 상추리, 봉동리, 봉남리, 남산리, 하초리, 구항리, 삼봉리, 오봉리, 송강리, 세죽리를 설치하였다. 1980년대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핵 관련 시설의 건설이 시작되면서 북핵 문제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지명이 되었다.[2]
4. 행정 구역
5. 경제
6. 교통
7. 관광
참조
[2]
웹사이트
평안북도 영변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