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진군은 기원전 111년 전한이 남월을 멸망시킨 후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교주에 속했으며, 베트남 북서부에 위치한 현들을 관할했다. 후한 시대에는 주달의 반란(157년)과 이순의 점령(377년)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이후 진, 남조 송, 남조 제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동이 있었다. 523년에는 애주가 설치되면서 애주에 속하게 되었고, 수나라 시기에는 폐지되었다가 다시 설치되기도 했다. 당나라 시기에 애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구진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지만, 758년에 다시 애주로 개칭되면서 구진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구진군
개요
국가중국
행정 구역 명칭구진군
한자九真郡
병음Jiǔzhēn Jùn
베트남어Quận Cửu Chân
위치현재의 베트남 북중부 지방
존속 기간기원전 111년 ~ 6세기 초
역사
설치기원전 111년, 전한에 의해 설치
관할 지역청호아 성
응에안 성
하띤 성
꽝빈 성
주요 사건징 자매의 반란 (40년)
조구의 반란 (192년 ~ 193년)
인구
호구19,694호 (기원 2년)
35,743호 (140년)
행정
속현서포현(胥浦縣)
거풍현(居風縣)
도롱현(都隆縣)
함환현(咸驩縣)
무편현(無編縣)
무공현(無功縣)
상이현(常離縣)

2. 역사

기원전 111년, 남월 정복 이후 구진군이 설치되었다.

157년, 주달이 구진군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377년, 이순이 구진군을 점령했다.

구진군은 시대에 따라 속한 현이 달라졌다.

시대속현
전한[1]서포, 거풍, 도방, 여발, 함환, 무공, 무편
후한[2]서포, 거풍, 함환, 무공, 무편
[3]서포, 이풍, 진오, 건초, 상락, 부락, 송원
남조 송[4]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군안, 무녕, 도방, 녕이, 진오
남조 제[5]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진오, 군안, 길방, 무녕
[7]구진, 이풍, 서포, 융안, 군안, 안순, 일남



523년 (남조 양 보통 4년), 교주에서 분할되어 애주가 설치되면서[6] 구진군은 애주에 속하게 되었다. 589년 (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은 폐지되어 애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수나라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애주는 다시 구진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622년 (무덕 5년), 당나라에 의해 구진군은 애주로 바뀌었다. 742년 (천보 원년), 애주는 다시 구진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에 다시 애주로 바뀌면서 구진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8]

2. 1. 전한 시대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전한남월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이 설치되었다. 구진군은 교주에 속했으며, 서포, 거풍, 도방, 여발, 함환, 무공, 무편의 7개 현을 관할했다.[1] 교지자사부에 속했으며, 작은 강이 52개 있어 함께 8560리를 간다.[9]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5,743호, 166,013명이 있었다. 계관(界關)이 있었다.[10][9]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치소는 서포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포현胥浦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타인호아 북서
거풍현居風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타인호아 북
도롱현都龐縣
都寵縣
베트남 타인호아 성 깜투이 남동 일대
여발현餘發縣베트남 닌빈 성 김손 동부 일대
함환현咸驩縣베트남 응에안 성 디엔짜우 서
무절현無切縣베트남 닌빈 성 닌빈
무편현無編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뉴쑤언 동


2. 2. 신나라 시대

왕망(王莽)이 세운 신나라 시기에는 일부 현의 이름이 변경되었다.[1]

전한
서포환성(驩成)
무편구진정(九眞亭)


2. 3. 후한 ~ 당나라 시대

후한 시대에 구진군은 서포, 거풍, 함환, 무공, 무편의 5개 현을 관할했다[2]157년, 주달이 구진군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377년에는 이순이 구진군을 점령했다.

진 시대에 구진군은 서포, 이풍, 진오, 건초, 상락, 부락, 송원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에 구진군은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군안, 무녕, 도방, 녕이, 진오의 11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에 구진군은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진오, 군안, 길방, 무녕의 10개 현을 관할했다[5]

523년 (남조 양 보통 4년), 교주에서 분할되어 애주가 설치되었다[6]。 구진군은 애주에 속했다.

589년 (개황 9년),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은 폐지되어 애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애주는 구진군으로 개칭되었다. 구진, 이풍, 서포, 융안, 군안, 안순, 일남의 7개 현을 관할했다[7]

622년 (무덕 5년), 에 의해 구진군은 애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애주는 구진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구진군은 애주로 개칭되어, 구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8]

3. 행정 구역

구진군은 시대에 따라 속현이 বারবার 바뀌었다.

후한 시대에는 서포, 거풍, 함환, 무공, 무편의 5개 현을 관할했다.[2]

진 시대에는 서포, 이풍, 진오, 건초, 상락, 부락, 송원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에는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군안, 무녕, 도방, 녕이, 진오의 11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에는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진오, 군안, 길방, 무녕의 10개 현을 관할했다.[5]

523년 (남조 양 보통 4년), 교주에서 애주가 분리 설치되면서[6] 구진군은 애주에 속하게 되었다.

589년 (개황 9년),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은 폐지되어 애주에 통합되었다. 607년 (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애주는 다시 구진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구진군은 구진, 이풍, 서포, 융안, 군안, 안순, 일남의 7개 현을 관할했다.[7]

622년 (무덕 5년), 에 의해 구진군은 애주로 바뀌었다. 742년 (천보 원년)에 애주는 다시 구진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에 다시 애주로 바뀌면서 구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8]

3. 1. 전한 시대

교지자사부에 속했다. 작은 강이 52개 있어 함께 8560리를 간다.[9]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5,743호, 166,013명이 있었다. 계관(界關)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0][9]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7현이고 치소는 서포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포현胥浦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타인호아 북서
거풍현居風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타인호아 북
도롱현都龐縣
都寵縣
베트남 타인호아 성 깜투이 남동 일대
여발현餘發縣베트남 닌빈 성 김손 동부 일대
함환현咸驩縣베트남 응에안 성 디엔짜우 서
무절현無切縣베트남 닌빈 성 닌빈
무편현無編縣베트남 타인호아 성 뉴쑤언 동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전한남월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이 설치되었다. 구진군은 교주에 속했으며, 서포, 거풍, 도방, 여발, 함환, 무공, 무편의 7개 현을 관할했다.[1]

3. 2. 신나라 시대

서포현은 환성현, 무편현은 구진정현으로 개칭되었다.[1]

전한
서포환성
무편구진정


3. 3. 후한 ~ 당나라 시대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전한남월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이 설치되었다. 구진군은 교주에 속했으며, 서포, 거풍, 도방, 여발, 함환, 무공, 무편의 7개 현을 관할했다[1]

후한 시대 구진군은 서포, 거풍, 함환, 무공, 무편의 5개 현을 관할했다[2]

진 시대 구진군은 서포, 이풍, 진오, 건초, 상락, 부락, 송원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 시대 구진군은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군안, 무녕, 도방, 녕이, 진오의 11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제 시대 구진군은 이풍, 서포, 송원, 고안, 건초, 상락, 진오, 군안, 길방, 무녕의 10개 현을 관할했다[5]

523년(남조 양 보통 4년), 교주에서 분할되어 애주가 설치되었으며[6], 구진군은 애주에 속했다.

589년(개황 9년),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구진군은 폐지되어 애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애주는 구진군으로 개칭되었다. 구진군은 구진, 이풍, 서포, 융안, 군안, 안순, 일남의 7개 현을 관할했다[7]

622년(무덕 5년), 에 의해 구진군은 애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애주는 다시 구진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에 다시 애주로 개칭되어 구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8]

4. 역대 태수

이름재임 기간
거익창기원전 54년까지
임연건무 초기 (4년간)
축량(祝良)138년
예식(兒式)? ~ 157년
사유? ~ 226년[4]
곡랑? ~ 272년


4. 1. 전한

거익창은 기원전 54년까지 활동한 인물이다.

4. 2. 후한

임연 (건무 초기): 4년간 다스렸다.[1]

축량(祝良, 138년 당시)[2]

예식(兒式, ? ~ 157년)[3]

사유(士䵋, ? ~ 220년)[4]

4. 3. 삼국 시대


  • 사유 (220년 ~ 226년)
  • 곡랑 (? ~ 272년)

5. 구진군과 관련된 사건

157년 주달의 반란, 377년 이순의 구진군 점령 등 구진군과 관련된 사건들이 있었다.

5. 1. 주달의 반란 (157년)

157년, 주달이 구진군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1] 이 사건은 당시 구진군의 불안정한 상황을 보여준다.

5. 2. 이순의 점령 (377년)

377년, 이순이 구진군을 점령했다.[3]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宋書
[5] 서적 南斉書
[6] 서적 梁書
[7] 서적 隋書
[8] 서적 旧唐書
[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0]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