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한다.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24개 현을 관할했다.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함께 명칭이 변경되었고, 북제 시대에는 동평군으로 개칭되어 태산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역대 태수로는 소육, 진준, 응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산둥성의 군 - 제남군
제남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박양군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에 개칭되었으며, 왕조 교체에 따라 제남국, 낙안군 등으로 변화를 겪었고, 현재 산둥성 지난시, 빈저우 시, 쯔보 시 일대에 걸쳐 있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태산군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국가 | 한나라 |
| 위치 | 산둥성 중부 |
| 설치 시기 | 기원전 206년 |
| 폐지 시기 | 후한 말기 또는 삼국시대 초기 |
| 역사 | |
| 전한 시대 | 한고조 시기에 설치 제나라 지역 일부 포함 제나라의 옛 수도인 임치를 치소로 함 경제 시기에 제나라의 왕국이 폐지됨에 따라 태산군으로 편입 |
| 신나라 시대 |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태재군'으로 개칭 |
| 후한 시대 | 후한 초기에는 다시 태산군으로 복귀 후한 말기 군벌 할거 시기에 군현 단위 행정 체계가 붕괴되어 폐지됨 조위 시기에 다시 태산군을 설치함 |
| 행정 구역 | |
| 속현 (전한 시대) | 박현 (博縣) 임치현 (臨菑縣) 극현 (劇縣) 치현 (緇縣) 몽음현 (蒙陰縣) 동평양현 (東平陽縣) 양구현 (梁父縣) 거평현 (鉅平縣) 태평현 (太寧縣) 무염현 (蕪鹽縣) 형현 (嬴縣) 개양현 (蓋縣) 남성현 (南城縣) |
| 속현 (후한 시대) | 박현 (博縣) 임치현 (臨菑縣) 극현 (劇縣) 치현 (緇縣) 몽음현 (蒙陰縣) 동평양현 (東平陽縣) 양구현 (梁父縣) 거평현 (鉅平縣) 무염현 (蕪鹽縣) 형현 (嬴縣) 개양현 (蓋縣) 남성현 (南城縣) |
| 인구 | |
| 호구 (전한 말기) | 20만 1096호 |
| 인구 (전한 말기) | 86만 7264명 |
| 호구 (후한 말기) | 17만 4412호 |
| 인구 (후한 말기) | 80만 8909명 |
2. 역사
진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한다.
기원전 178년(전한 문제 2년), 유흥거가 제북왕이 되면서 제나라에서 제북국이 분리되었다.[7] 기원전 122년(원수 원년), 제북왕이 태산 부근의 땅을 무제에게 헌상하자 태산군이 설치되었다.[8] 기원전 87년(후원 2년), 제북왕 유관이 자살하자[9] 제북국은 폐지되어 태산군에 병합되었다.[10] 태산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전한 말에는 17만 2086호, 72만 6604명이 있었다.[11]
후한 때 태산군은 봉고, 박, 거평, 영, 무, 남성, 양부, 산저, 남무양, 래무, 개, 비의 12현을[12], 진 때는 봉고, 박, 거평, 영, 무, 남성, 양부, 산저, 남무양, 래무, 신태의 11현을[13], 남조 송 때는 봉고, 박, 거평, 영, 무, 남성, 양부, 무양의 8현을[14], 북위 때는 봉고, 박, 거평, 영, 무, 양부의 6현을[15] 관할하였다.
북제 때, 태산군은 동평군으로 개칭되면서 태산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16]
2. 1. 전한
기원전 178년(전한 문제 2년), 유흥거가 제북왕이 되면서 제나라에서 제북국이 분리되었다.[7] 기원전 122년(원수 원년), 제북왕이 태산 부근의 땅을 무제에게 헌상하자 태산군이 설치되었다.[8] 기원전 87년(후원 2년), 제북왕 유관이 자살하자[9] 제북국은 폐지되어 태산군에 병합되었다.[10]태산군은 연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전한 말에는 17만 2086호, 72만 6604명이 있었다.[11] 다음은 태산군에 속했던 24개 현의 목록이다.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봉고현 | 奉高縣 | 타이안시 다이웨구 범진(范鎭) | 무제가 원봉 2년(기원전 109년)에 조성한 명당(明堂)이 있다. |
| 박현 | 博縣 | 타이안시 타이산구 구현촌(舊縣村) 일대 | 태산묘(泰山廟)가 있고, 서북에 대산(岱山)이 있다. |
| 치현 | 茬縣 | 지난시 창칭구 남동 장하진(張夏鎭) | 응소에 따르면 치산(茬山)이 동북에 있다. |
| 노현 | 盧縣 | 지난시 창칭구 남서 광리촌(廣里村) 일대 | 제북왕의 도읍이었다. |
| 비성현 | 肥成縣 | 타이안시 페이청시 | 응소에 따르면 비 자작국이었다. |
| 이구현 | 虵[20]丘縣 | 타이안시 다이웨구 고현점촌(古縣店村) | 수향(隧鄕)이 있는데 옛 수(隧)나라다. |
| 강현 | 剛縣 | 타이안시 닝양현 강성진(罡城鎭) | 옛 천(闡)이다. |
| 시후국 | 柴侯國 | 타이안시 신타이시 시성촌(柴城村) 일대 | |
| 갑현 | 蓋縣 | 쯔보시 이위안현 개야촌(盖冶村) | 임악산(臨樂山)에서 수수(洙水)가 발원해 지수(池水 - 사수泗水의 오기로 보임)로 흘러들어간다. 또 기수(沂水)가 남쪽에서 하비에 이르러 사수로 들어가는데, 네 군(태산·낭야·성양·동해)을 지나 6백 리를 다니며 청주를 적신다. |
| 양보현 | 梁父縣 | 타이안시 신타이시 동량장(東良庄) | |
| 동평양현 | 東平陽縣 | 신타이시 | |
| 남무양현 | 南武陽縣 | 린이시 핑이현 | 관석산(冠石山)이 있어 치수(治水)가 흘러나와 남으로 하비에 이르러 사수로 들어가는데, 두 군을 지나 940리를 다닌다. |
| 내무현 | 萊蕪縣 | 쯔보시 쯔촨구 남 악명촌(岳明村) 일대 | 원산(原山)에서 치수(甾水)가 나와서 동으로 박창(博昌)에 이르러 제수(泲水)로 들어가 유주를 적신다. |
| 거평현 | 鉅平縣 | 타이안시 닝양현 대문구진(大汶口鎭) 북 | 정정산사(亭亭山祠)가 있다. |
| 영현 | 嬴縣 | 라이우시 성자현촌(城子縣村) | 철관이 있다. |
| 모현 | 牟縣 |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일대 | 옛 부용국이다. |
| 몽음현 | 蒙陰縣 | 린이시 멍인현 대성자촌(大城子村) | 《우공》(禹貢)의 몽산(蒙山)이 서남쪽에 있고, 사당이 있다. 전유국(顓臾國)이 몽산 아래에 있다. |
| 화현 | 華縣 | 린이시 페이현 고성리촌(古城里村) | |
| 영양후국 | 寧陽侯國 | 타이안시 닝양현 | |
| 승구현 | 乘[21]丘縣 | 지닝시 옌저우구 서 | |
| 부양후국 | 富陽侯國 | 타이안시 둥핑현 동 | |
| 도산후국 | 桃山侯國 | 타이안시 닝양현 북동 | |
| 도향후국 | 桃鄕侯國 | 지닝시 원상현 | |
| 식후국 | 式侯國 | ? |
2. 2. 신나라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1]| 전한 | 신 |
|---|---|
| 강(剛) | 유(柔) |
| 남무양(南武陽) | 환선(桓宣) |
| 몽음(蒙陰) | 몽은(蒙恩) |
| 화(華) | 익음(翼陰) |
| 영양(寧陽) | 영순(寧順) |
| 도산(桃山) | 포로(裒魯) |
| 도향(桃鄕) | 장정(鄣亭) |
2. 3.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태산군은 12개 현, 8,929호, 437,317명을 거느렸다.[2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봉고현 | 奉高縣 | 타이안시 다이웨구 범진(范鎭) | 현 경내에 명당(明堂)이 있었다. |
| 박현 | 博縣 | 타이안시 타이산구 구현촌(舊縣村) 일대 | 현 경내에 태산묘(泰山廟), 구산(龟山), 용향성(龍鄕城)이 있었고, 현 서북쪽에 대산(岱山)이 있었다. |
| 양보후국 | 梁甫候國 | 타이안시 신타이시 동량장(東良庄) | 전한의 양부현(梁父縣)이다. 현 경내에 도구취(菟裘聚)가 있었다. |
| 거평후국 | 鉅平候國 | 타이안시 닝양현 대문구진(大汶口鎭) 북쪽 | 현 경내에 정선산(亭禪山), 양관정(陽關亭)이 있었다. |
| 영현 | 嬴縣 | 라이우시 성자현촌(城子縣村) | 철광석이 생산되었다. |
| 산치후국 | 山茌候國 | 지난시 창칭구 남동쪽 장하진(張夏鎭) | 전한의 치현(茬縣)이다. |
| 내무현 | 萊蕪縣 | 쯔보시 쯔촨구 남쪽 악명촌(岳明村) 일대 | 현 경내에 원산(原山)이 있는데, 반수(潘水)가 여기서 나온다. |
| 갑현 | 蓋縣 | 쯔보시 이위안현 개야촌(盖冶村) | 기수(沂水)가 흘러나온다. |
| 남무양후국 | 南武陽候國 | 린이시 핑이현 | 현 경내에 전유성(颛臾城)이 있었다. |
| 남성현 | 南城縣 | 린이시 핑이현 동고현촌(東故縣村) 일대 | 본래 동해군의 속현이었다. 현 경내에 동양성(東陽城)이 있었다. |
| 비현 |
2. 4. 서진
영가의 난 이후 후조의 석륵에게 점령되었다.[24] 서진 시대 태산군은 11개 현, 9,300호를 거느렸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봉고현 | 奉高縣 | 타이안시 다이웨구 범진(范鎭) | 현 서남쪽에 명당(明堂)이 있었다. |
| 박현 | 博縣 | 타이안시 타이산구 구현촌(舊縣村) 일대 | 현 경내에 귀산(龜山)이 있었다. |
| 영현 | 嬴縣 | 라이우시 성자현촌(城子縣村) | 철광석이 생산되었다. |
| 남성현 | 南城縣 | 린이시 핑이현 동고현촌(東故縣村) 일대 | |
| 양보후국 | 梁父候國 | 타이안시 신타이시 동량장(東良庄) | |
| 산치현 | 山茌縣 | 지난시 창칭구 남동 장하진(張夏鎭) | 치산(茌山)이 현 동북쪽에 있었다. |
| 신태현 | 新泰縣 | 신타이시 | 본래 평양현(平陽縣)이었다. |
| 남무양현 | 南武陽縣 | 린이시 핑이현 | 현 경내에 전유성(颛臾城)이 있었다. |
| 내무현 | 萊蕪縣 | 쯔보시 쯔촨구 남 악명촌(岳明村) 일대 | 현 경내에 원산(原山)이 있었다. |
| 모현 | 牟縣 |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일대 | 옛 모나라(牟國)이다. |
| 거평현 | 鉅平縣 | 타이안시 닝양현 대문구진(大汶口鎭) 일대 | 현 경내에 양관정(陽關亭)이 있었다. |
2. 5. 남조 송
유유가 후연을 공격하여 회수 이북 지역을 수복하면서 태산군을 되찾았다.[25] 이후 태산군은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명제 시기 회수 이북 지역이 북위로 넘어가면서 태산군은 상실되었다.[25] 태산군 상실 이전 인구는 8,177호, 45,581명이었다.[2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봉고현 | 奉高縣 | 타이안시 다이웨 구 범진(范鎭) | 령(令) |
| 거평현 | 鉅平縣 | 타이안시 닝양현 대문구진(大汶口鎭) 일대 | |
| 영현 | 嬴縣 | 라이우시 성자현촌(城子縣村) | |
| 모현 | 牟縣 |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일대 | |
| 남성현 | 南城縣 | 린이시 핑이현 동고현촌(東故縣村) 일대 | |
| 무양현 | 武陽縣 | 린이시 핑이현 | |
| 양보현 | 梁父縣 | 타이안시 신타이시 동량장(東良庄) | |
| 박현 | 博縣 | 타이안시 타이산 구 구현촌(舊縣村) 일대 |
2. 6. 북위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남성현, 신태현, 무양현이 동태산군으로 분리되었다. 태산군은 동태산군과 함께 연주의 속군이었다가, 529년(북위 효장제 영안 2년) 동태산군이 북서주로 분리되면서 연주의 속군으로 남았다. 이후 태산군은 6개 현, 26,800호, 91,873명을 거느렸다. 수나라 때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연주에 통폐합되어 사라졌다.[26][27][28]|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거평현 | 鉅平縣 | 타이안시 닝양현 자요진(磁窯鎭) |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치소가 자요진 일대의 거평성에서 평락성(平樂城)으로 옮겨졌다. 정정산사(亭亭山祠), 곽성(霍城), 양관성(陽關城), 거평성(鉅平城), 축구(祝丘), 방성(防城), 용산사(龍山祠)가 있었다.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폐지되었다. |
| 봉고현 | 奉高縣 | 타이안시 다이웨구 범진(范鎭) | 양보산(梁父山), 대악사(岱岳祠), 왕부산(玉符山), 고명당기(故明堂基)가 있었다.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대산현(岱山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 박평현 | 博平縣 | 타이안시 타이산구 구현촌(舊縣村) 일대 | 본래 박현(博縣)이었는데 469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박평성(博平城), 방성(防城), 용산사(龍山祠), 야수산(野首山), 모산사(牟山祠), 오자서의 사당(伍子胥廟)이 있었다. |
| 영현 | 嬴縣 | 라이우시 묘산진(苗山鎭) 일대 | 469년 치소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마이산사(馬耳山祠)가 있는데, 문수(汶水)가 그 일대에서 나온다. 당부(唐阜), 영성(嬴城), 동치산(銅治山)이 있었다. |
| 모현 | 牟縣 |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일대 | 내무성(萊蕪城), 평주성(平州城), 모성(牟城), 망석산(望石山)이 있었다. 556년 박평현에 통폐합되었다. |
| 양보현 | 梁父縣 | 타이안시 신타이시 천보채(天寶寨) | 469년 치소가 옛 양부성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도구택(菟裘澤), 양부성(梁父城), 귀산(龜山), 양속비(羊續碑), 정녀산사(貞女山祠), 운모산(雲母山)이 있었다. |
2. 7. 북제
북제 때, 동평군으로 개칭되면서 태산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16]3. 태수
전한, 후한, 조위 시대에 태산군을 다스린 태수는 다음과 같다.[29][30]
| 시기 | 이름 |
|---|---|
| 전한 | 소육 (성제 시기) |
| 전한 | 엄망(嚴望, 전한 말기) |
| 전한 | 공사 (애제 시기) |
| 전한 | 정현(丁玄, ? ~ 기원전 1년) |
| 후한 | 진준 (28년 ~ ?) |
| 후한 | 주휘 (원화 연간 ~ ?) |
| 후한 | 진총 |
| 후한 | 두밀 |
| 후한 | 원강 |
| 후한 | 이고 |
| 후한 | 황보규 (환제 시기) |
| 후한 | 임준 (환제 시기?) |
| 후한 | 장거 (영제 시기?) |
| 후한 | 응소 (189년 ~ 194년) |
| 후한 | 설제 (194년 ~ ?) |
| 후한 | 양무 (헌제 시기) |
| 후한 | 여건 (헌제 시기) |
| 조위 | 제갈서 (255년 당시) |
| 조위 | 상시 (? ~ 258년) |
3. 1. 전한
3. 2. 후한
| 이름 | 재임 기간 |
|---|---|
| 진준 | 28년 ~ ? |
| 주휘 | 원화 연간 ~ ? |
| 진총 | ? |
| 두밀 | ? |
| 원강 | ? |
| 이고 | ? |
| 황보규 | 환제 시기 |
| 임준 | 환제 시기? |
| 장거 | 영제 시기? |
| 응소 | 189년 ~ 194년 |
| 설제 | 194년 ~ ? |
| 양무 | 헌제 시기 |
| 여건 | 헌제 시기 |
3. 3. 조위
- 제갈서 (255년 당시)
- 상시 (? ~ 258년)
참조
[1]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ress
1987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Donghan Zhengqu Dili
Shandong Education Press
1999
[4]
서적
Book of Later Han
[5]
서적
Book of Jin
[6]
서적
Book of Wei
[7]
서적
史記
[8]
서적
史記
[9]
서적
漢書
[10]
서적
漢書
[11]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2]
서적
後漢書
[13]
서적
晉書
[14]
서적
宋書
[15]
서적
魏書
[16]
서적
隋書
[17]
서적
사기
[18]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
서적
한서
[20]
기타 # 추가적인 정보가 없어서 기타로 분류
[21]
기타 # 추가적인 정보가 없어서 기타로 분류
[22]
서적
한서
[23]
웹사이트
후한서 111권 지 제21 군국지 3 연주 태산군
https://zh.wikisourc[...]
[24]
웹사이트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연주 태산군
https://zh.wikisourc[...]
[25]
웹사이트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연주 태산태수
https://zh.wikisourc[...]
[26]
웹사이트
위서 106권 中 지 제2 中 지형지 中 연주 태산군
https://zh.wikisourc[...]
[27]
웹사이트
위서 106권 中 지 제2 中 지형지 中 북서주 동태산군
https://zh.wikisourc[...]
[28]
웹사이트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서주 노군
https://zh.wikisourc[...]
[29]
서적
한서
[30]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