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은 초국가적 조직 범죄, 인신매매, 테러 등에 대응하기 위해 2000년 11월 15일 국제 연합 총회에서 채택된 국제 협약이다. 이 협약은 1994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개최된 국제 조직 범죄 세계 각료 회의에서 논의가 시작되어, 2000년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서명 회의가 열렸다. 협약 본문과 함께 인신매매, 불법 입국, 총기 관련 3개의 의정서(팔레르모 의정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의정서는 특정 범죄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UNTOC는 조직 범죄 집단 참여, 범죄 수익 세탁, 부패 행위 등을 범죄로 규정하고 있으며, 몰수, 재판권, 범죄인 인도, 증인 보호 등 다양한 의무 조항을 포함한다. 2003년 9월 29일 발효되었으며, 각국은 협약의 이행을 위해 법률 제·개정 및 국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체결된 조약 - 특허법 조약
    특허법 조약은 특허 절차의 조화와 간소화를 목표로 2005년 4월 28일부터 발효된 국제 조약이다.
  • 2003년 발효된 조약 - 이주노동자보호위원회
    이주노동자보호위원회는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 이행을 감시하는 UN 기구로서, 차별받지 않을 권리 보장에 주력하며 국제 기구와 연계하여 활동하고 국제 이주자의 날을 통해 사회적 인식 개선을 촉구한다.
  • 2003년 발효된 조약 - 아세안 자유 무역 지대
    아세안 자유무역지대(AFTA)는 아세안 회원국 간 무역 장벽 제거 및 경제 통합 증진을 목표로 1992년 설립된 지역 경제 협력체로, 공통 효과 특혜 관세(CEPT) 제도를 통해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며 아세안 경제 공동체(AEC)의 기반이 되지만, 분쟁 해결 및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무역 원활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조직범죄 - 모사드
    모사드는 1949년 이스라엘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의 지시로 설립되어 해외 정보 수집, 비밀 작전 수행, 대테러 활동 등을 수행하며 이스라엘의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보 기관이다.
  • 조직범죄 - 시장 조작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
조약 정보
이름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 협약
영문명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약칭국연 조직범죄 방지 협약
TOC 조약
팔레르모 조약
종류조직 범죄
국제 형사법
기안일2000년 11월 15일
서명일2000년 12월 12일
서명 장소이탈리아 팔레르모
발효일2003년 9월 29일
발효 조건40개국 비준
기탁자국제 연합 사무총장
사용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서명국147개국
당사국192개국

2. 역사적 배경



국제적인 조직 범죄가 급증함에 따라, 1994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국제 조직 범죄 세계 각료 회의에서 "나폴리 정치 선언 및 세계 행동 계획"이 채택되었고, 국제 조직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법적 틀을 정하는 조약 검토가 제창되었다.

1998년 유엔 총회는 본체 조약과 "인신매매", "불법 입국", "총기"에 관한 세 가지 의정서 초안 작성을 위한 임시 위원회 설치를 결정했다. 2000년 11월 15일 유엔 총회에서 본체 조약과 "인신매매", "불법 입국" 관련 두 의정서가 채택되었고, 2001년 5월 31일에는 "총기" 관련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2000년 12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조약 서명 회의가 개최되었고, 2002년 12월 12일까지 뉴욕 국제 연합 본부에서 서명을 위해 공개되었다. 조약은 개발도상국 등의 조직 범죄 및 테러 방지 활동 지원을 위해 범죄 방지 형사 사법 기금 계좌에 대한 정기 기부를 강조하고 있다.

2014년 12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본 조약 및 부패 방지 협약 등 관련 조약의 가입, 비준, 실시를 요구하는 부대 결의를 채택했다.[18]

2. 1. 국제 협약 채택 및 발효

1994년 11월,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국제 조직 범죄 세계 각료 회의에서 "나폴리 정치 선언 및 세계 행동 계획"이 채택되어, 국제적인 조직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틀을 마련하는 국제 조직 범죄 방지 조약 검토가 제안되었다.[1]

1998년 12월, 국제 연합 총회는 국제 조직 범죄 방지 조약 본체와 "인신매매", "불법 입국", "총기"에 관한 세 가지 부속 의정서 초안 작성을 위한 임시 위원회(정부 간 특별 위원회) 설치를 결정했다. 이 위원회에서 조약 초안이 작성되었고, 2000년 11월 15일에 본체 조약과 "인신매매", "불법 입국"에 관한 두 개의 부속 의정서가, 2001년 5월 31일에는 "총기"에 관한 부속 의정서가 국제 연합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2000년 12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조약 및 관련 의정서 서명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본체 조약에는 124개국, "인신매매" 의정서에는 81개국, "불법 입국" 의정서에는 78개국이 서명했다. 이후 본체 조약 및 세 개의 의정서는 2002년 12월 12일까지 뉴욕 국제 연합 본부에서 서명을 위해 공개되었다.

이 협약은 2003년 9월 29일에 발효되었다.[1]

2. 2. 국제사회의 노력

2014년,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은 야생 동물 밀수에 대한 정책을 강화했다.[2] 2018년 2월, 아프가니스탄은 새로운 형법을 도입하여 자국의 법률을 처음으로 UNTOC에 부합하게 만들었다.[5]

3. 주요 내용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직적 범죄 집단 참여의 범죄화 (제5조): 물질적 이익을 위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기로 합의하거나, 조직범죄단체의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행위, 중대한 범죄 실행을 조직, 지시, 방조, 교사, 원조하거나 상담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19]
  • 범죄수익 세탁의 범죄화 (제6조): 범죄 수익의 출처를 은닉하거나 위장하기 위해 재산을 전환, 이전하는 행위, 범죄 수익인 재산을 취득, 소지, 사용하는 행위, 그리고 이러한 범죄에 참여, 공모, 미수, 방조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모든 중대한 범죄 및 제5조, 제8조, 제23조에 규정된 범죄를 전제 범죄로 포함하며, 각국의 법률에 따라 조직범죄와 관련된 범죄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19]
  • 부패 행위의 범죄화 (제8조): 공무원이 직무 수행과 관련하여 부당한 이익을 약속, 제의, 제공하거나 요구, 수령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19]
  • 사법 방해 범죄화 (제23조): 허위 증언을 유도하거나 판사, 법 집행 공무원의 공무 수행을 방해하기 위해 폭행, 부당한 이익 제공 등의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19]
  • 몰수 및 압수 (제12조): 협약 대상 범죄로 인해 발생한 범죄 수익, 범죄에 사용되었거나 사용하려 했던 재산 등을 몰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19]
  • 재판권 (제15조): 자국 영토, 선박, 항공기 내에서 발생한 범죄, 자국민에 대해 행해진 범죄 등에 대해 재판권을 설정한다. 범죄인 인도 요청 대상자가 요청받은 당사국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양국 국내법에 따라 처벌 가능한 중대한 범죄에 대해 범죄인 인도 조항을 적용하고, 범죄인 인도 조약에서 인도가 허용되는 범죄로 간주하며, 긴급한 경우 인도 요청 대상자를 억류할 수 있다. 자국민이라는 이유로 인도를 거부할 경우, 소추를 위해 자국 당국에 사건을 위탁할 의무가 있다.[19]
  • 법률상 상호 원조 (제18조): 협약 대상 범죄에 관한 수사, 기소, 사법 절차에서 최대한의 법률상 지원을 상호 제공한다.[19]
  • 특별 수사 방법 (제20조): 국내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감시 이전, 전자 감시 등 특별 수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19]
  • 증인 보호 (제24조): 형사 절차에서 증언하는 증인 등에 대한 보복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19]
  • 피해자 지원 및 보호 (제25조): 범죄 피해자에게 원조 및 보호를 제공하고, 피해자가 손해배상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절차를 마련한다.[19]
  • 범죄 방지 형사 사법 기금 기여 (제26조): 국제연합의 자금 조달 체제 내에서 지정된 계좌에 충분하고 정기적인 임의 기여를 하도록 노력한다.[19]

3. 1. 용어 및 적용 범위

이 협약에서 "조직적 범죄 집단"이란, 물질적 이익을 얻기 위해 중대한 범죄 또는 협약에 따라 정해지는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목적으로 일체적으로 행동하는, 세 명 이상으로 구성된 조직된 집단을 말한다.[9]

"중대한 범죄"란, 장기 4년 이상의 자유를 박탈하는 형 또는 이보다 더 중대한 형을 과할 수 있는 범죄를 구성하는 행위를 말한다.[9]

"조직된 집단"이란, 범죄의 즉시 실행을 위해 우연히 형성된 것이 아닌 집단을 말하며, 그 구성원에 대해 정식으로 정해진 역할, 그 구성원의 지속성 또는 발달된 구조를 갖지 않아도 된다.[9]

이 협약은,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5조, 제6조, 제8조 및 제23조의 규정에 따라 정해지는 범죄 및 중대한 범죄로서, 성질상 국제적인 것이며, 또한 조직적 범죄 집단이 관여하는 것의 방지, 수사기소에 대해 적용한다.[9]

3. 2. 핵심 의무 조항

다음은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의 핵심 의무 조항이다.[19]

  • 조직적 범죄 집단 참여의 범죄화 (제5조)
  • 물질적 이익을 얻기 위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기로 합의하는 행위, 또는 조직범죄단체의 목적을 인지하고 그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 조직범죄단체가 중대한 범죄 실행을 조직, 지시, 방조, 교사, 원조하거나 상담하는 행위 역시 범죄로 규정한다.
  • 범죄수익 세탁의 범죄화 (제6조)
  • 범죄 수익의 출처를 은닉하거나 위장하기 위해 재산을 전환, 이전하는 행위, 범죄 수익인 재산을 취득, 소지, 사용하는 행위, 그리고 이러한 범죄에 참여, 공모, 미수, 방조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 모든 중대한 범죄 및 제5조, 제8조, 제23조에 규정된 범죄를 전제 범죄로 포함하며, 각국의 법률에 따라 조직범죄와 관련된 범죄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 부패 행위의 범죄화 (제8조)
  • 공무원이 직무 수행과 관련하여 부당한 이익을 약속, 제의, 제공하거나 요구, 수령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 몰수 및 압수 (제12조)
  • 협약 대상 범죄로 인해 발생한 범죄 수익, 범죄에 사용되었거나 사용하려 했던 재산 등을 몰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 재판권 (제15조)
  • 자국 영토, 선박, 항공기 내에서 발생한 범죄, 자국민에 대해 행해진 범죄 등에 대해 재판권을 설정한다.
  • 범죄인 인도 요청 대상자가 요청받은 당사국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양국 국내법에 따라 처벌 가능한 중대한 범죄에 대해 범죄인 인도 조항을 적용한다.
  • 범죄인 인도 조약에서 인도가 허용되는 범죄로 간주하며, 긴급한 경우 인도 요청 대상자를 억류할 수 있다.
  • 자국민이라는 이유로 인도를 거부할 경우, 소추를 위해 자국 당국에 사건을 위탁할 의무가 있다.
  • 법률상 상호 원조 (제18조)
  • 협약 대상 범죄에 관한 수사, 기소, 사법 절차에서 최대한의 법률상 지원을 상호 제공한다.
  • 특별 수사 방법 (제20조)
  • 국내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감시 이전, 전자 감시 등 특별 수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 사법 방해 범죄화 (제23조)
  • 허위 증언을 유도하거나 판사, 법 집행 공무원의 공무 수행을 방해하기 위해 폭행, 부당한 이익 제공 등의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 증인 보호 (제24조)
  • 형사 절차에서 증언하는 증인 등에 대한 보복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피해자 지원 및 보호 (제25조)
  • 범죄 피해자에게 원조 및 보호를 제공하고, 피해자가 손해배상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절차를 마련한다.
  • 범죄 방지 형사 사법 기금 기여 (제26조)
  • 국제연합의 자금 조달 체제 내에서 지정된 계좌에 충분하고 정기적인 임의 기여를 하도록 노력한다.

4. 부속 의정서 (팔레르모 의정서)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에는 세 가지 부속 의정서가 있으며, 이를 팔레르모 의정서라고도 부른다.[6]


  • 여성 및 아동의 인신매매, 특히 여성 및 아동의 인신매매 방지, 억제 및 처벌을 위한 의정서
  • 육상, 해상 및 항공을 통한 이민자 밀입국 방지 의정서
  • 불법적인 무기 제조 및 무기 밀매 방지 의정서


이 세 의정서는 인신매매, 무기 밀매, 자금 세탁 등과 관련된 국제법의 내용을 담고 있다. 유엔 마약 및 범죄 사무소(UNODC)는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과 그 부속 의정서를 관리한다.[7] 각 의정서는 체약국이 40개국이 되면 발효된다.

4. 1. 인신매매 방지 의정서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을 보충하는 사람(특히 여성 및 아동)의 거래를 방지하고, 억제하며 처벌하기 위한 의정서'이다.[26] 이 의정서는 인신매매 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인신매매 관련 행위의 범죄화, 인신매매 피해자 보호, 관련 방지 조치, 국제 협력 등을 규정한다.[26]

2000년 12월 12일 팔레르모에서 서명되었고, 2003년 12월 25일에 발효되었다. 2020년 5월 현재, 서명국은 117개국, 당사국은 176개국이다. 이 의정서는 인신매매를 방지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인 법적 틀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신매매 행위를 범죄화할 것을 의무화하며, 인신매매 피해자의 보호와 송환, 출입국 관리에 관한 조치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2017년 7월 11일에 이 의정서를 비준하였다.[26]

4. 2. 불법 입국 방지 의정서

정식 명칭은 '국제 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 협약을 보충하는 육로, 해로 및 항공로를 통한 이민 밀입국 방지에 관한 의정서'이다.[27] Protocol Against the Smuggling of Migrants by Land, Sea and Air, Sup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프로토콜 어게인스트 더 스머글링 오브 마이그런츠 바이 랜드, 시 앤드 에어, 서플리멘팅 더 유나이티드 네이션스 컨벤션 어게인스트 트랜스내셔널 오거나이즈드 크라임영어

이 의정서는 이민자 밀입국 방지와 대응을 위한 국제적 법적 틀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민자 밀입국 행위 및 부정한 여행 증명서 제조 등 관련 행위를 범죄화하고, 해로를 통한 밀입국 방지를 위한 국제 협력, 출입국 관리 조치, 대상 이민자 송환 등을 규정한다.[27]

2000년 12월 12일 팔레르모에서 서명되었고, 2004년 1월 28일 발효되었다. 2020년 5월 기준 서명국은 112개국, 당사국은 149개국이다. 일본은 2017년 7월 11일 비준했다.[27]

4. 3. 총기 불법 제조 및 거래 방지 의정서

정식 명칭은 '국제 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 협약을 보충하는 총기 및 그 부품, 구성 부분, 탄약의 불법 제조 및 거래 방지에 관한 의정서'이다.Protocol Against the Illicit Manufacturing of and Trafficking in Firearms, Their Parts and Components and Ammunition, Sup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영어

이 의정서는 총기 등의 불법 제조 및 거래를 방지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법적 틀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8] 총기 등의 불법 제조 및 거래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도록 의무화하며, 이러한 불법 행위를 막기 위한 제조 및 수입 시 총기 각인, 기록 보존, 정보 교환 등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28]

2020년 5월 현재, 서명국은 52개국, 당사국은 118개국이다. 일본은 다른 국가들의 체제 구축 미비를 이유로 이 의정서를 국회에서 승인하지 않았으나, 2015년 4월 현재 당사국은 2005년 44개국에서 113개국으로 증가했다. 2020년 5월 현재도 일본은 이 의정서에 대해 미비준 상태이다.

5. 대한민국의 이행 노력

대한민국은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 비준 이후, 협약 이행을 위해 관련 국내법을 제정 및 개정하는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5. 1. 법률 제·개정

대한민국은 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UNTOC) 비준 이후, 협약 이행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국내법을 제정 및 개정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법률명주요 내용
범죄수익은닉규제법범죄수익의 세탁 및 테러자금 조달 행위 규제
국제형사사법공조법범죄인 인도, 형사사법 공조 등 국제 협력 강화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금융정보분석원(FIU) 설치, 의심거래보고(STR) 제도 운영 등


5. 2. 과제 및 전망

일본은 2000년 12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열린 서명 회의에서 조약에 서명하고 2003년 5월 국회에서 승인했지만[19], 비준까지는 14년 이상이 걸렸다. 조약 체결을 위해서는 중대한 범죄 공모, 자금 세탁, 사법 방해 등을 범죄로 규정하고, 범죄 수익 몰수, 범죄인 인도 등에 대한 법 정비 및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

일본 정부는 공모죄 신설을 포함한 법률 개정안을 제출했지만, 공모죄 대상 범위가 넓고 모호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민진당은 공모죄 없이도 비준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20] 노다 정권 당시 법무대신이었던 오가와 도시오는 정권 약화와 부처 간 책임 떠넘기기로 비준이 무산되었다고 밝혔다. 반면, 자민당은 현행법만으로는 부족하며 공모죄 신설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아베 정권은 공모죄 구성 요건을 엄격화한 '테러 등 준비죄' 신설을 통해 조직적인 범죄 처벌 및 범죄 수익 규제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 2017년 6월 참의원에서 가결 및 성립시켰다.[22] 일본 정부는 개정법 시행 후인 2017년 7월 11일 조약을 수락, 8월 10일 발효시켜 188번째 당사국이 되었다.[23][24][25]

대한민국에서도 공모죄 도입 및 적용 범위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은 공모죄 오남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조직범죄 증가에 따라 디지털 증거 수집, 사이버 수사 역량 강화 등 새로운 과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특성상 국가 간 긴밀한 공조는 필수적이며, 정보 교환, 합동 수사 등 실질적인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6. 공무원 투명성 증진

세계은행,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G20, APEC은 공무원·관료의 수입 공개가 이해 상충 행위로 정부의 정책·의사 결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공 기관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으로서 공무원의 투명성을 추진하고 있으며[29][30], 공무원 자산 공개 제도에 관한 틀의 모델 등을 제공하고 있다.

2021년 도호쿠 신사 임직원에 의한 총무성 간부 접대 문제로 관료와 민간 기업의 부정한 접촉을 방지하는 규칙의 형해화가 드러나, 일본에서도 국제 표준의 관민 접촉 규칙의 투명화가 시급해지고 있다[31].

참조

[1] 뉴스 Researchers simulate mafia and terrorism recruitment https://phys.org/wir[...] Phys.org 2019-07-25
[2] 웹사이트 Wildlife trafficking to become a ‘serious crime’ under UNTOC https://www.worldecr[...] 2014-02-20
[3] 뉴스 Botswana Makes Progress https://allafrica.co[...] Allafrica.com 2018-09-12
[4] 뉴스 Japan and an Anti-Crime Bill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17-06-01
[5] 뉴스 Afghanistan: UN mission welcomes new penal code, urges measures to protect women from violence https://news.un.org/[...] Un.org 2018-02-22
[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AND THE PROTOCOLS THERETO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11-07-16
[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Palermo Convention) {{!}} veritaszim http://www.veritaszi[...] 2020-05-30
[8] 뉴스 Organised crime in Africa / Weak laws make tackling organised crime harder https://enactafrica.[...] Enactafrica.org 2018-11-08
[9] 뉴스 Lions, tigers and bears: Wildlife trafficking in the age of globalisation https://www.dailymav[...] Dailymaverick.co.za 2019-02-20
[10] 웹사이트 UN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Treaty status https://treaties.un.[...]
[11] 뉴스 Palermo Bills Suspended https://en.radiofard[...] Radiofarda.com 2018-07-25
[12] 뉴스 Iran's Watchdog Rejects Bills To Join U.N. Crime Conventions https://en.radiofard[...] Radiofarda.com 2018-07-15
[13] 뉴스 Iran Postpones Approval Of UN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Crime https://en.radiofard[...] Radiofarda.com 2019-01-19
[14] 뉴스 「共謀罪」法案を閣議決定 今国会で成立目指す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03-21
[15] 뉴스 【テロ等準備罪】論点整理 構成要件は共謀罪より厳格化 一般人は対象外 http://www.sankei.co[...] 産経新聞社 2017-04-06
[16] 문서 マネーロンダリング及びテロ資金対策を強化 https://www.sangiin.[...]
[17] 웹사이트 UN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Treaty status https://treaties.un.[...]
[18] 문서 2014年
[19] 웹사이트 条約 第156回国会 6 国際的な組織犯罪の防止に関する国際連合条約の締結について承認を求めるの件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7-04-26
[20] 웹사이트 民進党茨城県連 民進プレス号外2017/4/27 http://www.dp-ibarak[...] 2017-05-22
[21] 뉴스 組織犯罪処罰法改正案が衆院通過 自民、公明両党と日本維新の会などの賛成多数で可決 https://www.sankei.c[...] 2017-05-23
[22] 뉴스 「テロ等準備罪」法が成立 https://www.sankei.c[...] 2017-06-15
[23] 문서 2017年(平成29年)7月11日外務省告示第252号「国際的な組織犯罪の防止に関する国際連合条約の日本国による受諾に関する件」
[24] 뉴스 国際組織犯罪防止条約の受諾を閣議決定、発効は8月10日 https://www.sankei.c[...] 2017-07-11
[25] 뉴스 社説 組織犯罪防止条約への加盟 共謀罪の懸念は依然残る https://mainichi.jp/[...] 2017-08-11
[26] 문서 2017年(平成29年)7月11日外務省告示第253号「国際的な組織犯罪の防止に関する国際連合条約を補足する人(特に女性及び児童)の取引を防止し、抑止し及び処罰するための議定書の日本国による受諾に関する件」
[27] 문서 2017年(平成29年)7月11日外務省告示第254号「国際的な組織犯罪の防止に関する国際連合条約を補足する陸路、海路及び空路により移民を密入国させることの防止に関する議定書の日本国による受諾に関する件」
[28] 웹사이트 Signatures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and its Protocols http://www.unodc.org[...]
[29] 웹사이트 財務開示 https://www.worldban[...] 세계은행
[30] 웹사이트 経済協力開発機構ライブラリー https://www.oecd-ili[...]
[31] 뉴스 日本の接待規制、国際標準に遅れ 米欧は透明化徹底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1-03-17
[32] 웹인용 대표부 활동 - 국제 범죄예방 및 형사사법(국제범죄예방센터/범죄예방 및 형사사법 위원회) https://overseas.mof[...] 대한민국 외교부 2024-02-14
[33] 웹인용 최근발효조약 - (조약 제2258호)UN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협약 https://www.mofa.go.[...] 대한민국 외교부 2024-02-14
[34] 웹인용 보도자료 - 대한민국,「국제연합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 협약(UNTOC)」가입 https://www.mofa.go.[...] 대한민국 외교부 2024-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