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리능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리능력은 권리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자격으로, 자연인뿐만 아니라 법인도 권리능력을 가질 수 있다. 대륙법 국가에서는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으로 법적 능력을 구분하며, 영미법에서는 legal capacity가 권리능력만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민법은 행위 능력이 제한되는 경우와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의 행위 능력을 제한하고 있다. 법인은 법률에 따라 권리 능력을 가지며, 정관에 명시된 목적 범위 내에서 법률 행위를 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법 - 유언
    유언은 사망 후 재산 상속 및 개인적 의사를 반영하는 법률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유언자의 사망 시 효력이 발생하고 생전에는 철회 가능하며, 유언의 무효 또는 취소 사유가 존재한다.
  • 민법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권리능력
법적 능력
정의법률에 따라 권리와 의무를 가질 수 있는 자격
관련 개념권리능력
행위능력
책임능력
권리능력
설명권리를 가지고 의무를 부담할 수 있는 추상적인 자격
발생 시기일반적으로 출생 시
소멸 시기일반적으로 사망 시
행위능력
설명단독으로 유효한 법률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
제한 사유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효과행위능력이 제한된 자의 법률 행위는 취소 가능
책임능력
설명자신의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능력
판단 기준자신의 행위의 의미와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지능과 판단력
관련 법률민법, 형법
참고 사항
관련 문서미성년자
성년후견제도

2. 권리 능력과 행위 능력

법적 능력은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두 가지로 구분된다.[15] 대륙법 국가에서는 법적 능력을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으로 나누어 파악하지만, 영미법 국가에서는 legal capacity를 대륙법의 권리능력만을 가리키며, 행위능력은 legal capacity의 행사(exercise)로 본다.[15]

장애인 권리 조약 협상 과정에서 이러한 인식 차이로 혼란이 있었고, 의장 초안에는 "legal capacity"와 "the capacity to act"를 구분하는 안도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 "legal capacity"로 통일되었다(장애인 권리 조약 12조).[16]

2. 1. 권리 능력

권리능력은 권리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자격을 의미한다. 자연인뿐만 아니라 법인도 권리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대륙법 국가에서는 법적 능력을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한다.[15] 반면 영미법 국가에서는 legal capacity를 대륙법에서 말하는 권리능력만을 지칭하며, 행위능력은 legal capacity의 행사(exercise)로 간주한다.[15]

장애인 권리 조약 협상 과정에서는 각국의 인식 차이로 혼란이 있었으며, 의장 초안에서는 "legal capacity"와 "the capacity to act"를 구분하는 방안도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 "legal capacity"로 통일되었다(장애인 권리 조약 12조).[16]

2. 2. 행위 능력

행위 능력은 단독으로 유효한 법률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엇을 입고 무엇을 살지와 같은 일상적인 결정뿐만 아니라, 요양원으로 이사할지, 대수술을 받을지 와 같은 인생을 바꾸는 결정까지 포괄한다.[1]

국가시민 간의 사회 계약의 한 측면으로서 국가는 사회의 취약하고 연약한 구성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공공 정책의 측면에서 이는 ''친권주의''(parens patriae) 정책이다. 국가는 무역 증진에 직접적인 사회적,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국 영토 내에서 운영될 수 있는 기업 형태를 정의하고, 기업과 그들과 계약을 맺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공정한 기회를 통해 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한다.

민법은 행위 능력이 제한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표준화된 종류의 사람들은 그들의 자유가 제한을 받아 왔다. 이러한 제한은 일반적인 계약의 자유 정책과, 일반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상세한 인권 및 시민권에 대한 예외이다. 예를 들어, 이동의 자유가 수정될 수 있고, 투표권이 박탈될 수 있다.

정신 능력의 상실은 개인의 고유한 신체적 상태로 인해 유사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기대하는 정상적인 수준의 수행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질병에 걸려 현재 수준의 수행에 미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 그 결과로 개인 스스로를 돌볼 수 없거나,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게 된다면, 그러한 사람들은 의존성을 통해 취약해지며 학대 또는 착취의 위험으로부터 국가의 보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전에 이루어진 모든 합의는 무효화될 수 있으며, 법원은 해당 개인을 국가의 보호 대상자로 선언하고 임명된 법정 대리인에게 위임장을 부여할 수 있다.

영국의 정신 능력법 2005년(MCA)은 능력에 대한 두 단계의 검사를 규정한다.[8]

# 해당 개인이 특정 결정을 내릴 수 없는가?

#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것이 개인의 마음이나 뇌 기능의 손상 또는 장애로 인해 발생했는가?[8]

MCA는 개인이 다음 네 가지 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없을 경우,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명시한다.[8]

# 제공된 정보를 이해할 수 없다.

# 결정을 내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래 정보를 유지할 수 없다.

# 결정을 내리기 위해 사용 가능한 정보를 평가할 수 없다.

# 자신의 결정을 전달할 수 없다.[8]

형법에서, 전통적인 관습법인 맥노튼 규칙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했더라도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알지 못하는 모든 사람을 책임에서 면제했다.

법적 능력에 관해서는 대륙법과 영미법에서 인식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15]

대륙법 국가에서는 법적 능력을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한다.[15] 영미법 국가에서는 legal capacity는 대륙법에서 말하는 권리능력만을 지칭하며, 행위능력은 legal capacity의 행사(exercise)로 간주된다.[15]

2. 2. 1. 미성년자

미성년자는 만 19세 미만으로, 원칙적으로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야 법률 행위를 할 수 있다. (민법한국어 제5조) 미성년자가 법정대리인의 동의 없이 한 법률 행위는 취소할 수 있다. (민법 제5조) 단, 미성년자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법률 행위도 예외적으로 인정된다. (민법 제6조, 제7조, 제8조) 혼인한 미성년자는 성년자로 간주된다. (민법 제826조의2)[5]

여러 국가에서 "미성년자"의 정의는 다양하며, 각 국가마다 문화편견을 반영하여 성년의 나이, 혼인 가능 연령, 투표 연령 등을 정의한다. 많은 관할 구역에서 계약 당사자 중 한 명이 미성년자인 법적 계약은 미성년자에 의해 무효화될 수 있다. 미성년자가 의료 행위를 받기 위해서는 동의가 미성년자의 부모 또는 법정 대리인에 의해 결정된다. 미국의 투표권은 현재 18세로 정해져 있으며, 알코올 구매 및 섭취 권한은 미국 주법에 의해 21세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2]

계약상 책임의 예로, 대부분의 캐나다 법은 미성년자가 필수품 구매 및 유익한 서비스 계약을 제외하고는 본인이 체결한 계약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성년자는 필수적인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만 적정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브리티시컬럼비아의 ''미성년자법''은 필수품 및 유익한 서비스 계약을 포함한 모든 계약이 미성년자에 대해 시행될 수 없다고 선언한다. 해당 주에서는 학생 대출 및 법률에 의해 명시적으로 시행 가능한 다른 계약만 미성년자에게 구속력을 갖는다.[2]

성인과 미성년자 간의 계약에서 성인은 구속되지만 미성년자는 선택에 따라 계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계약은 무효화 가능). 미성년자는 성년에 도달하면 계약을 비준할 수 있다. 이행된 계약의 경우, 미성년자가 계약에 따라 어떤 이익을 얻었다면, 얻은 것이 무가치하지 않은 한 의무를 회피할 수 없다. 계약 거부 시 양 당사자는 법원에 신청할 수 있다. 법원은 반환, 손해 배상 또는 계약 해제를 명령할 수 있다. 부동산 양도와 관련된 모든 계약은 달리 판결될 때까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3]

미성년자 (일반적으로 18세 미만)는 어떤 경우든 체결한 계약을 부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계약 전체가 부인되어야 한다. 관할 구역에 따라, 미성년자는 여전히 소유하고 있는 상품을 반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현금 지불을 대가로 소매 품목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물물 교환 거래는 미래 행동에 대한 약속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법률상 허구를 통해 계약이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미성년자는 이러한 거래를 부인할 수 없다.[3]

  • 부인 – 시기적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성년에 도달한 지 2년이 넘은 계약은 비준된 것으로 간주된다. 미성년자는 나이를 허위로 진술한 경우에도 여전히 부인을 할 수 있다. 그들은 불법 행위 위반에 직면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주에서는 반대 급부를 반환할 수 없는 경우 부인을 허용하지 않는다.[3]
  • 의무 – 대부분의 주에서는 미성년자가 상품 (반대 급부)이 여전히 미성년자의 소유에 있는 경우에만 반환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많은 주에서는 미성년자가 계약 체결 이전의 상태로 성인 (상대방)을 복원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미성년자는 반환 시 문제의 상품에 대한 손해, 마모 등에 대해 책임을 지기 시작하고 있다. 일부 주에서는 불법 행위에 대한 소송을 계약의 시행으로 간주하여 허용하지 않는다.[3]
  • 책임 – 필수품의 경우, (1) 계약된 품목은 미성년자의 생존에 필수적이어야 하며, (2) 가치는 현재의 생활 수준 또는 재정/사회적 지위에 해당해야 하며 (과도한 가치가 아님), (3) 미성년자는 해당 품목을 제공해야 하는 부모/보호자의 보살핌을 받지 않아야 한다. 미성년자는 사치품 (재정/사회/생활 수준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 구매 계약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다.[3]
  • 비준 – 의무를 받아들이고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것. 명시적 비준 (미성년자의 경우)은 구두 또는 서면으로 계약에 구속될 의사가 있음을 명시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묵시적 비준은 미성년자의 행위가 부인과 일치하지 않거나, 미성년자가 이행된 계약을 합리적인 기간 내에 부인하지 않는 경우이다.[3]


일반적으로 법원은 미성년자가 성년에 도달한 후 미성년자로서 체결한 계약 의무의 성격과 계약의 성인 당사자가 얼마나 이행했는지에 대해 충분한 기회를 가졌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4]

싱가포르에서는 21세 미만의 개인을 미성년자로 간주하지만, 민법 1909년 제35조 및 제36조에 따라 18세 이상의 미성년자가 체결한 특정 계약은 성인과 동일하게 취급된다.[6]

2. 2. 2. 피성년후견인

피성년후견인은 질병, 장애, 노령 등으로 인해 사무 처리 능력이 지속적으로 결여된 사람을 말한다. 법원이 성년후견개시 심판을 하면 피성년후견인이 된다. 피성년후견인의 법률 행위는 원칙적으로 취소할 수 있다.[1] 단, 가정법원이 취소할 수 없는 법률 행위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일용품 구입 등 일상생활에 필요하고 대가가 과도하지 않은 법률 행위는 성년후견인이 취소할 수 없다.

2. 2. 3. 피한정후견인

대한민국 민법은 질병, 장애, 노령, 그 밖의 사유로 인한 정신적 제약으로 사무를 처리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에 대하여 가정법원이 한정후견개시 심판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심판을 받은 사람을 피한정후견인이라고 한다.[1]

피한정후견인은 원칙적으로 행위능력을 가지지만, 가정법원은 피한정후견인이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행위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만약 피한정후견인이 한정후견인의 동의가 필요한 법률행위를 동의 없이 하였다면, 그 행위는 취소할 수 있다.[1]

가정법원은 피한정후견인 본인, 배우자, 4촌 이내의 친족, 한정후견인 등의 청구에 따라 피한정후견인이 한정후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행위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1] 이는 피한정후견인의 상태 변화에 따라 행위 능력 범위를 조절하여 피한정후견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후견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2. 2. 4. 제한능력자 보호 제도

대한민국 민법은 제한능력자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주요 제도로는 후견 제도와 법정대리인 제도가 있다.

후견 제도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성년후견
  • 한정후견
  • 특정후견
  • 임의후견

3. 법인 및 단체의 법적 능력

법인은 법률에 따라 권리 능력을 가지며, 정관에 명시된 목적 범위 내에서 법률 행위를 할 수 있다. 법인의 대표자는 법인을 대표하여 법률 행위를 하며, 대표자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간주된다.

주(州)마다 일반 및 유한 파트너십의 정의에 대한 접근 방식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 어떤 주에서는 이러한 파트너십을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아 권리능력을 사업을 수행하는 자연인들의 합으로 취급한다. 반면, 다른 주에서는 파트너십에 별도의 법적 인격을 부여하여 법인과 유사하게 만든다.

미국 법에서, 유한책임회사 (LLC)는 법인이다. 일부 법학자들은 알고리즘적 실체가 인공지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법적 능력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3][14]

일부 주에서는 노동 조합이 노동 조합 활동과 관련된 계약이 아닌 한 권리 능력이 제한된다.

사업체가 지급불능 상태가 되면, 채권자가 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해당 사업체가 계속 거래를 할지, 아니면 매각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관리인, 수탁자 또는 이와 유사한 법적 기능 담당자가 임명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해당 사업체의 권리능력은 부채가 부당하게 증가하고 기존 채권자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도록 제한된다.

3. 1. 법인의 종류

법인은 설립 근거와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법인의 권리능력 범위는 법인이 설립된 곳의 법률과 법인의 정관에 명시된 권한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법인의 권리능력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거나 암묵적으로 내포되지 않은 행위는 모두 '권한 외의 행위'(ultra vires), 즉 법인의 권한 밖의 행위로 간주되어 법인이 집행할 수 없다. 그러나 법인과 거래하는 선의의 제3자의 권리와 이익은 보통 보호된다.[13][14]

미국 법에서 유한책임회사(LLC)는 법인으로 취급된다. 일부 법학자들은 알고리즘적 실체가 인공지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법적 능력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주(州)마다 일반 파트너십 및 유한 파트너십의 정의에 대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어떤 주에서는 이러한 파트너십을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아 권리능력을 사업을 수행하는 자연인들의 합으로 취급한다. 반면, 다른 주에서는 파트너십에 별도의 법적 인격을 부여하여 법인과 유사하게 만든다.

사업체가 지급불능 상태가 되면, 채권자의 채무 회수를 위해 해당 사업체의 계속 거래 또는 매각 여부를 결정하는 관리인, 수탁자 등이 임명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사업체의 권리능력은 제한된다.

3. 2. 법인의 권한 외 행위 (Ultra Vires)

법인의 권리능력 범위는 법인이 설립된 곳의 법률과 법인 정관의 권한 조항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인 규칙에 따르면, 법인의 권리능력에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포함되지 않은 모든 것은 ''권한 외의 행위(ultra vires)'' 즉, 법인의 "권한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법인이 집행할 수 없다. 그러나 법인과 거래하는 선의의 제3자의 권리와 이익은 일반적으로 보호된다.[13][14]

3. 3. 불법 행위 능력

법인은 불법 행위에 대한 책임도 질 수 있다. 법인의 권리능력 범위는 법인의 설립지 법률과 법인 정관에 포함된 권한 조항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인 규칙은 법인의 권리능력에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포함되지 않은 모든 것은 ''권한 외의 행위(ultra vires)'' 즉, 법인의 "권한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법인에 의해 집행될 수 없다. 그러나 법인과 거래하는 선의의 제3자의 권리와 이익은 일반적으로 보호된다.[13][14]

4. 국제적 관점

국제적으로 권리능력에 대한 논의는 장애인 권리 조약 협상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대륙법과 영미법 간의 법적 능력(legal capacity) 인식 차이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15]

4. 1. 장애인 권리 협약

장애인 권리 조약 협상 과정에서는 각국의 인식 차이로 혼란도 있었으며, 의장 초안에서는 "legal capacity"와 "the capacity to act"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안도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 "legal capacity"로 통일되었다(장애인 권리 조약 12조).[16]

4. 2. 영미법과 대륙법의 차이

대륙법과 영미법에서 법적 능력(legal capacity)을 인식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15]

대륙법 국가에서는 법적 능력을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두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한다.[15] 반면, 영미법 국가에서는 legal capacity를 대륙법에서 말하는 권리능력만을 지칭하며, 행위능력은 legal capacity의 행사(exercise)로 간주한다.[15]

장애인 권리 조약 협상 과정에서는 이러한 각국의 인식 차이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의장 초안에서는 "legal capacity"와 "the capacity to act"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안도 논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legal capacity"로 통일되었다(장애인 권리 조약 12조).[16]

5. 한국의 특수한 상황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ental Capacity Act https://www.nhs.uk/c[...] 2024-01-17
[2] 웹사이트 Infants Act [RSBC 1996] Chapter 223 http://www.qp.gov.bc[...]
[3] 웹사이트 A Consent Theory of Contracts http://www.randybarn[...] Randy E. Barnett 1986-03
[4] 서적 Business Law Today: The Essentials South-Western College/West, Ohio 2003
[5] 문서 "Hauer v. Union State Bank of Wautoma"
[6] 법률 Civil Law Act 1909 s35-36 (Singapore) https://sso.agc.gov.[...]
[7] 법률 Minors' Contracts Act 1987 https://sso.agc.gov.[...]
[8] 웹사이트 Assessing capacity https://www.scie.org[...]
[9]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www.irishstat[...] 2016-11-28
[10] 법률 Mental Capacity Act 2008 s4 (Singapore) https://sso.agc.gov.[...]
[11] 법률 Mental Capacity Act 2008 s11 (Singapore) https://sso.agc.gov.[...]
[12] 법률 Part 5 of the Mental Capacity Act 2008 (Singapore) https://sso.agc.gov.[...]
[13] 서적 Autonomous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4] 논문 Algorithmic Entities Wash. UL Rev. 2017
[15] 웹사이트 障害者権利条約に関する第5回国連総会アドホック委員会(概要)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7-20
[16] 웹사이트 自己決定支援と意思決定支援 https://www.toyo.ac.[...] 東洋大学 2019-07-20
[17] 문서 조합은 권리능력이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