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규 (19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오규는 1952년 강원도 강릉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했다.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 차관보 등을 거쳐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정책실장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냈으며, 2007년에는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잠시 맡기도 했다.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과 함께 재정경제부 장관직에서 물러났으며,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재 대한민국 대사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중수
김중수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관료, 교육자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경희대학교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한림대학교 총장,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주OECD 대한민국대표부 대사, 한국은행 총재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이사 및 유한재단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재정경제부 장관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재정경제부 장관 - 강봉균 (정치인)
강봉균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차관, 정보통신부 장관,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정책을 주도하며 외환위기 극복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조달청장 - 임창열
임창열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경제학자, 행정가로서, 여러 정부 부처 차관, 장관, 경기도지사, 언론사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조달청장 - 안응모
안응모는 대한민국 경찰 순경으로 시작하여 내무부 치안본부장과 장관을 역임하고 단국대학교 총동창회 회장 등을 지냈으며, 1991년 강경대 치사 사건으로 경질된 후 2024년에 사망하였다.
권오규 (195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권오규 |
원어 이름 | 권오규 |
로마자 표기 | Kwon Oh-kyu |
출생일 | 1952년 8월 17일 |
출생지 | 강릉시, 강원도 (남)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정치인, 관료 |
학력 | |
학사 | 서울대학교 |
석사 | 미네소타 대학교 |
박사 | 중앙대학교 |
정치 경력 | |
직책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
임기 시작 | 2006년 7월 18일 |
임기 종료 | 2008년 2월 29일 |
대통령 | 노무현 |
국무총리 | 한명숙, 한덕수 |
이전 장관 | 한덕수 |
권한대행 | |
직책 | 국무총리 권한대행 |
임기 시작 | 2007년 3월 7일 |
임기 종료 | 2007년 3월 9일 |
대통령 | 노무현 |
내각 | 권오규 잠정 내각 |
기타 |
2. 생애
강원도 강릉시 출신으로, 본관은 안동 권씨이다.[2]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10][3] 1974년 제15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했다.[10]
재정경제부와 조달청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치며 경제 관료로서 경력을 쌓았고,[10][3] 노무현 정부에서는 대통령비서실의 핵심 참모로 활동하며 정책수석비서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대사,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10][4]
2006년 7월 부총리 겸 제9대 재정경제부 장관에 임명되어 참여정부의 경제 정책을 이끌었으며,[10][4] 2007년에는 잠시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기도 했다.[4] 장관 재임 중 2007년 남북정상회담 수행[5] 및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 관련 활동[6] 등 주요 현안에 관여했다.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과 함께 공직에서 물러났으며,[8] 재정경제부가 기획재정부로 개편됨에 따라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으로 기록되었다.[8] 2009년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례위원회 운영위원을 맡았다.[8]
2. 1. 공직 입문
경기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진학했으며, 1974년 제15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재정경제부에서 경력을 쌓아 1999년에는 경제정책국 국장을, 2001년에는 차관보를 역임하며 주요 보직을 거쳤다.[10][3]2. 2. 노무현 정부 참여
2003년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었다.[10][3] 2004년에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대사를 지냈으며, 국제 통화 기금(IMF) 대리대사도 역임했다.[10][4]2006년 다시 대통령비서실로 돌아와 경제정책 수석비서관과 정책실장을 역임하며 참여정부의 경제 정책을 총괄하였다.[10] 같은 해 7월에는 부총리 겸 제9대 재정경제부 장관에 취임하였다.[10][4] 재정경제부 장관 재임 당시, 국내 기업과 자금의 해외 투자를 어렵게 만드는 차별적 규정들을 철폐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1]
2007년 3월 7일 한명숙 국무총리가 사퇴하자, 같은 해 3월 9일까지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4] 같은 해 10월 2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하여 회담에 참석했다.[5] 같은 달 1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수전 슈워브 미국 통상대표와 회담하고,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의 조기 비준을 요청했다.[6] 같은 해 12월에는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참석차 방남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승훈 부총리와 회담했다.[7]
2008년 노무현 대통령의 퇴임과 함께 재정경제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 같은 해 8월 재정경제부가 기획재정부로 개편되면서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으로 기록되었다.[8] 2009년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례위원회 운영위원을 맡았다.[8]
2. 3.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2006년 7월 부총리 겸 제9대 재정경제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0][4] 노무현 정부(2003~2008) 재임 당시 장관으로서, 국내 기업과 자금의 해외 투자를 어렵게 만드는 규제를 완화하는 데 힘썼다.[1]2007년 3월 7일 한명숙 국무총리가 사퇴함에 따라, 같은 해 3월 9일까지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5] 같은 해 10월 2일에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회담에 배석했다.[5] 이는 남북 관계 개선 및 경제 협력 증진 노력의 일환이었다.
같은 해 10월 18일 미국을 방문하여 수잔 슈와브 미국 통상대표와 회담하고,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의 조기 비준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통상 외교 활동을 펼쳤다.[6] 같은 해 12월에는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참석차 대한민국을 방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승훈 부총리와 회담하며 남북 경제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7]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과 함께 재정경제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 같은 해 8월 재정경제부가 기획재정부로 개편됨에 따라, 권오규는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으로 기록되었다.[8]
2. 4. 퇴임 이후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에 따라 재정경제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8월 재정경제부가 기획재정부로 개편됨에 따라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이 되었다. 2009년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례위원회 운영위원을 역임했다.[8]3. 학력
4. 경력
1974년 제15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1999년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국장을 지냈고, 2001년에는 같은 부처의 차관보를 역임했다. 2002년 제20대 조달청장으로 임명되었으며, 2003년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었다.[3]
2004년에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대사와 국제통화기금(IMF) 대리대사를 지냈다. 2006년 다시 대통령비서실로 복귀하여 경제정책 수석비서관과 정책실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같은 해 7월, 부총리 겸 제9대 재정경제부 장관에 취임했다.[10][4]
2007년 3월 7일 한명숙 국무총리가 사퇴하자, 3월 9일까지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2일에는 노무현 대통령의 방북을 수행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배석했다.[5] 같은 달 1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수전 슈와브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만나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조기 비준을 요청했다.[6] 12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에 참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승훈 부총리와 회담했다.[7]
2008년 노무현 대통령의 퇴임과 함께 재정경제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8월 재정경제부가 기획재정부로 개편되면서 마지막 재정경제부 장관으로 기록되었다. 2009년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당시 장례위원회 운영위원을 맡았다.[8]
5. 수상
- 1993년 녹조근정훈장
참조
[1]
뉴스
S. Korea to lift discriminatory rules against overseas investment: finance minister
https://english.hani[...]
2007-01-02
[2]
웹사이트
‘기득권을 깨야만 경제 위기 극복’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
https://kwon.org/201[...]
2019-12-02
[3]
뉴스
出揃った新経済チーム顔ぶれ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3-02-28
[4]
뉴스
大統領側近の前面布陣、ウリ党内に露骨な不満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6-07-03
[5]
뉴스
盧大統領「金総書記の確固な平和意志を確認」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10-04
[6]
뉴스
権副首相が訪米、FTA早期批准協力要請の方針
https://jp.yna.co.kr[...]
연합뉴스
2007-10-18
[7]
뉴스
副首相級に格上げされた経協共同委…全副首相がソウル入り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07-12-05
[8]
뉴스
故・盧前大統領の葬儀委員会、朴正煕・崔圭夏氏の2倍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5-28
[9]
뉴스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3-07
[10]
웹사이트
다음 인물정보
http://k.daum.net/q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