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두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두지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남성과 여성의 성기에서 발생하는 끈적한 물질을 의미한다. 남성의 경우 음경의 포피와 귀두 사이에, 여성의 경우 음핵 주변이나 소음순 내부에 생기며, 오줌, 정액, 죽은 피부 세포 등이 섞여 생성된다.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악취가 나고 염증, 성병, 심지어 음경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귀두지 | |
---|---|
일반 정보 | |
정의 | |
어원 | 그리스어 "σμῆγμα" (smêgma, "비누") |
위치 | 남성의 경우: 포피 안쪽, 귀두 주변 여성의 경우: 음핵, 소음순 주름 |
구성 | |
주요 성분 | 죽은 피부 세포 기름 습기 |
생성 원인 | 불충분한 위생 관리 |
위생 | |
제거 방법 | 규칙적인 세척 (물과 순한 비누 사용) |
문제점 | 과도한 축적 시 악취 발생 가능 감염 위험 증가 귀두포피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사회와 문화 | |
인식 | 일부 문화권에서는 금기시되거나 불결한 것으로 여겨짐 |
기타 | |
관련 질환 | 귀두포피염 (balanoposthitis) 음핵포피염 (vulvitis) |
2. 용어
그리스어의 σμήγμα에서 유래하였다. 속성상 많은 속어나 은어를 가지고 있으며, 비속어에도 종종 사용된다. 일례로 한국에서는 좆밥, 영어에서는 dick cheese, dick butter 등의 말을 쓴다. 한자어로는 치구(恥垢)라고 부른다.[2]
건강한 포유류의 경우, 귀두지는 생식기의 윤활과 청결을 돕는 역할을 한다. 수의학에서 귀두지 관찰은 비뇨기계통 질병, 특히 트리코모나스증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가축의 건강을 위해 귀두지를 정기적으로 제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16][18]
귀두지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발견되는 분비물이다. 남성의 경우 음경의 포피와 귀두 사이에, 여성의 경우 음핵 주변이나 소음순 내부에 생긴다. 여성의 귀두지는 피지가 죽은 피부 세포와 결합하여 형성되며, '클리토리스 귀두지'는 아포크린 (땀)과 피지선의 분비물과 탈락하는 상피 세포의 결합으로 정의된다.[2] 클리토리스, 소음순 및 대음순 주변에 위치한 분비선에서 피지가 분비된다. 극단적으로 고약한 냄새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의 징조이거나, 대인관계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제나 탈취제의 사용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
3. 포유류의 귀두지
말의 경우, 음경 포피 주름, 요도 오목, 요도 게실에 귀두지가 축적되면 큰 "콩"을 형성하여 전염성 말 자궁내막염의 원인 물질인 ''테일러렐라 에퀴제니탈리스''의 운반을 촉진할 수 있다.[17]
4. 인간의 귀두지
4. 1. 남성의 귀두지
남성의 경우 음경의 포피와 귀두 사이에 오줌, 정액, 바르톨린 선의 잔류 분비물 등이 쌓여서 생기는 끈적한 물질이다.
남성 성기의 치구는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기기 쉬우며, 귀두를 둘러싸고 있는 포피를 일부러 뒤집어서 씻어주지 않는 한 남아있기 때문에 골칫거리 중 하나이다. 이것의 존재를 모르는 남자들이 어느 날 우연히 포피를 뒤집었다가 역한 냄새와 함께 모습을 드러내는 샛노란색 때 뭉치들에 기겁하는 경우가 많다. 치구는 주로 노란 계통의 때가 귀두에 점점히, 혹은 줄무늬처럼 여러 줄로 뭉쳐있기 때문에 쉽게 분별할 수 있다. 신진대사가 활발한 사춘기 때 분비량이 많아지기도 한다. 치구는 사람에 따라 생성되는 양이 다르다.
자주 세척해주는 것이 좋으며, 소변의 암모니아나 점막의 분비물들과 결합하면 악취가 나게 되고 오랫동안 이를 제거해주지 않으면 악취는 더 심해진다. 치구를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염증으로 인해 음경암으로까지 발전하기도 한다. 희귀한 경우로 이 치구가 포피 안쪽의 쌓여있던 부분 밑으로 들어가 빼낼 수 없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남성이 포경수술을 하면 편리해진다고 하는 근거 중 하나가 치구의 감소이다.
남성의 경우 귀두지가 생성되는 부위와 음경 주위를 씻으면 된다. 극단적으로 고약한 냄새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의 징조이거나, 대인관계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제나 탈취제의 사용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
남성의 경우, 귀두지는 귀두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윤활제 역할을 하여 성교를 용이하게 한다.[7][8][9]
귀두지는 원래 피지선이 음경 프레눌럼 근처에 있는 전피선 (Tyson's glands)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이후 연구에서 이러한 선을 발견하지 못했다.[10] 조이스 라이트(Joyce Wright)는 귀두지가 포피의 점막 표면의 미세한 미세 돌기에서 생성되며, 살아있는 세포가 지속적으로 표면으로 자라면서 지방 변성을 겪고 분리되어 귀두지를 형성한다고 말한다.[7] 파르카쉬(Parkash) 외 연구진은 귀두지가 26.6%의 지방과 13.3%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괴사된 상피 잔해와 일치한다고 판단했다.[10]
새롭게 생성된 귀두지는 부드럽고 촉촉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 스쿠알렌이 풍부하고[11] 전립선 및 정액 분비물, 탈락된 상피 세포, 그리고 Littré의 요도샘의 뮤신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9] 귀두지는 카텝신 B, 라이소자임[12], 키모트립신, 중성구 엘라스타제 및 사이토카인을 포함하여 면역 체계를 돕는다.[13]
라이트에 따르면, 귀두지 생성은 어린 시절에는 적지만 사춘기부터 성적 성숙에 이르기까지 증가하며, 윤활을 위한 귀두지의 기능이 완전히 발휘된다. 중년부터는 생산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노년기에는 거의 귀두지가 생성되지 않는다.[7] 야콥 외스터(Jakob Øster)는 귀두지 발생률이 6~9세의 경우 1%에서 14~17세의 경우 8%로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포경이 없고 검사가 가능한 대상).[14]
회백색 또는 엷은 황색을 띠며, 젖어 굳어진 가루나 점토 모양으로 생긴다. 주로 생기는 부위는 남성기의 경우 포피에 덮인 귀두 부분이다. 관리를 소홀히 하면 치구는 성기 주변에 쌓이게 된다. 때로는 치즈와 비슷한 악취를 풍긴다. 세균, 곰팡이, 일부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성 증상의 발병, 생식기 칸디다증, 생식기 헤르페스, 음경암, 첨규 콘딜로마를 비롯한 성병의 온상이 되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냄새나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라도, 목욕 시에는 치구가 쌓이기 쉬운 부위를 세척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남성기의 경우 포피 안쪽에 쌓이기 쉬우므로, 포피에서 음경을 노출시켜 세척한다.
속어로는 남성의 것을 '''찌꺼기'''라고 부른다.
4. 2. 여성의 귀두지
피지가 죽은 피부 세포와 결합하여 귀두지를 형성한다. ''클리토리스 귀두지''는 아포크린 (땀)과 피지선의 분비물과 탈락하는 상피 세포의 결합으로 정의된다.[2] 클리토리스, 소음순 및 대음순 주변에 위치한 분비선에서 피지가 분비된다.
여성의 경우 음핵 주변이나 소음순 내부에 생기며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 클리토리스의 개부 부분을 부드럽게 씻고 되돌려 놓아야 한다. 귀두지를 자주 제거하지 않으면 클리토리스 유착으로 이어져 클리토리스 자극 (예: 자위 행위)이 고통스러울 수 있다 (클리토리스 통증).[3][4][5][6]
회백색 또는 엷은 황색을 띠며, 젖어 굳어진 가루나 점토 모양으로 생긴다. 주로 여성기의 음핵 주변과 대음순과 소음순 사이에 생긴다. 소음순과 대음순의 틈새, 음핵과 포피의 틈새 등에 쌓이기 쉽다. 소음순 안쪽에는 일상적으로 살균 역할을 하는 분비물이 나오기 때문에,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문질러 씻는 것은 피하고 비누로 가볍게 씻어내는 정도로 한다. 속어로는 '''애액 찌꺼기'''라고 불린다.
5. 위생 관리
남성의 경우에는 음경의 포피와 귀두 사이에 오줌, 정액 등의 잔류 분비물이 쌓여 끈적한 물질이 생기는데, 이를 치구(Smegma)라고 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음핵 주변이나 소음순 내부에 생기며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14]
남성 성기의 치구는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기기 쉬우며, 귀두를 둘러싸고 있는 포피를 뒤집어서 씻지 않으면 남아있기 쉽다. 신진대사가 활발한 사춘기 때 분비량이 많아지기도 한다. 치구는 사람에 따라 생성되는 양이 다르다.
자주 세척해주는 것이 좋으며, 소변의 암모니아나 점막의 분비물들과 결합하면 악취가 나고 오랫동안 제거하지 않으면 더 심해진다. 치구를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염증으로 인해 음경암으로까지 발전하기도 한다.[15] 드물게는 치구가 포피 안쪽에 쌓여 빼낼 수 없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남성이 포경수술을 하면 치구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남성의 경우 귀두지가 생성되는 부위와 음경 주위를 씻으면 된다. 여성의 경우 클리토리스의 개부 부분을 부드럽게 씻고 되돌려 놓아야 한다. 심한 냄새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의 징조이거나, 대인관계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제나 탈취제의 사용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다.
사춘기 동안 귀두지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은 남성과 여성이 좋은 생식기 위생을 실천하는 것을 배움에 따라 제한적인 의미만을 가질 수 있다.[14]
귀두지가 있는 남성은 자극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음경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과거 일부 전문가들은 귀두지 자체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15] 회백색 또는 엷은 황색을 띠며, 젖어 굳어진 가루나 점토 모양으로 생긴다. 주로 생기는 부위는 남성기의 경우 포피에 덮인 귀두 부분, 여성기의 경우 음핵 주변과 대음순과 소음순 사이이다. 관리를 소홀히 하면 치구는 성기 주변에 쌓이게 된다. 때로는 치즈와 비슷한 악취를 풍긴다. 세균, 곰팡이, 일부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성 증상의 발병, 생식기 칸디다증, 생식기 헤르페스, 음경암, 첨규 콘딜로마를 비롯한 성병의 온상이 되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냄새나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라도, 목욕 시에는 치구가 쌓이기 쉬운 부위를 세척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남성기의 경우 포피 안쪽에 쌓이기 쉬우므로, 포피에서 음경을 노출시켜 세척한다.
여성기의 경우, 소음순과 대음순의 틈새, 음핵과 포피의 틈새 등에 쌓이기 쉽다. 여성기의 소음순 안쪽에는 일상적으로 살균 역할을 하는 분비물이 나오기 때문에,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문질러 씻는 것은 피하고 비누로 가볍게 씻어내는 정도로 한다.
6. 임상적 의의
남성의 경우 귀두에 귀두지가 있으면 자극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음경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과거 일부 전문가들은 귀두지 자체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15]
귀두지는 세균, 곰팡이, 일부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성 증상의 발병, 생식기 칸디다증, 생식기 헤르페스, 음경암, 첨규 콘딜로마를 비롯한 성병의 온상이 되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사춘기 동안 귀두지 생성이 증가하지만, 남성과 여성이 좋은 생식기 위생을 실천하면 그 의미는 제한적일 수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smegma
2017-03-02
[2]
웹사이트
Medical Dictionary
http://www.medilexic[...]
Medilexicon
[3]
학술지
Retrospective Study of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litoral Adhesions: Women's Health Providers Should Routinely Examine the Glans Clitoris
2018-06
[4]
학술지
PD25-02 Taking Responsibility for Female Prepucial Disorders: Urologic Management of Phimosis-Based Clitorodynia
2017-04
[5]
학술지
Clitorodynia: A Descriptive Study of Clitoral Pain
2015-08
[6]
학술지
The Role of the Levator Ani Muscle in Evacuation, Sexual Performance and Pelvic Floor Disorders
2000-11
[7]
학술지
How smegma serves the penis: Nature's assurance that the uncircumcised glans penis will function smoothly is provided by smegma
http://www.cirp.org/[...]
1970-09
[8]
학술지
The carcinogenicity of smegma: debunking a myth
http://www.cirp.org/[...]
2006-10
[9]
학술지
Immunological functions of the human prepuce
1998-10
[10]
학술지
Human subpreputial collection: its nature and formation
http://www.cirp.org/[...]
1973-08
[11]
학술지
Lipids of human and equine smegma
[12]
학술지
Immunelectron microscopic localization of cathepsin B in human exocrine glands
1993
[13]
학술지
Microbiology of smegma in boys in Kano, Nigeria
[14]
학술지
Further fate of the foreskin. Incidence of preputial adhesions, phimosis, and smegma among Danish schoolboys
1968-04
[15]
웹사이트
Risk Factors for Penile Cancer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8-06-25
[16]
학술지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PCR detection in bovine preputial smegma spiked with ''Tritrichomonas foetus'' by the addition of agar and resin
[17]
간행물
Disease strategy: Contagious equine metritis
http://www.animalhea[...]
Primary Industries Ministerial Council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2002
[18]
웹사이트
A Clean Sheath Is A Healthy Sheath
http://www.horsecity[...]
2001-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