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선형 연산자로, 그래프의 구조를 행렬 형태로 표현한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유계 작용소이며, 라플라스 행렬, 접속 행렬, 가중 그래프,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 등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연산자는 그래프의 연결성, 스펙트럼 특성, 생성 나무의 개수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며, 이산 라플라스 연산자와의 관계를 통해 열 방정식과 같은 물리적 현상을 모델링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그래프 이론 연구와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중심성
    중심성은 그래프 이론에서 네트워크 내 노드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네트워크 흐름, 워크 구조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거리 정규 그래프
    거리 정규 그래프는 지름이 d일 때 특정 조건을 만족하며 교차 배열로 특징지어지는 그래프로, 완전 그래프, 순환 그래프, 홀수 그래프 등이 그 예시이다.
  • 그래프 이론 -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과학, 공학, IT,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보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시각적 사고를 돕는다.
  • 그래프 이론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는 프레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 출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오일러에 의해 그래프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해결되었으며 그래프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
개요
유형행렬
분야그래프 이론
정의그래프의 꼭짓점과 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기호L
관련 개념인접 행렬
차수 행렬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정의
정의그래프 G의 라플라스 행렬 L은 L = D - A로 정의되며, 여기서 D는 그래프의 차수 행렬이고 A는 인접 행렬이다.
속성
고유값모든 고유값은 0 또는 양수이다.
최소 고유값은 0이다.
고유값의 다중도는 그래프의 연결 성분 수와 같다.
두 번째로 작은 고유값(algebraic connectivity)은 그래프의 연결성을 나타낸다.
응용
활용 분야스펙트럼 클러스터링
차원 축소 (비선형 차원 축소)
이미지 분할
기계 학습
데이터 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기타
관련 정리키르히호프의 정리 (Kirchhoff's theorem)
관련 개념치거 상수 (그래프 이론) (Cheeger constant (graph theory))

2. 정의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그래프의 꼭짓점과 변을 기반으로 정의되는 선형 연산자이다. 이 연산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차수 행렬과 인접 행렬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mathbb K가 실수체(\mathbb R) 또는 복소수체(\mathbb C)이고, 그래프 \Gamma의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유한한 상한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즉,

:\textstyle\sup_{v\in\operatorname V(\Gamma)}\deg v<\aleph_0이다.

이때, \operatorname V(\Gamma)로 생성되는 \mathbb K-힐베르트 공간

:V=\operatorname L^2(\operatorname V(\Gamma);\mathbb K)

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

:\Delta_\Gamma\colon V\to V

유계 작용소이며,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 두 정의는 서로 같다.

만약 \Gamma가 유한 그래프라면, \operatorname V(\Gamma) 위에 임의의 전순서를 부여하여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를 정수 성분 대칭 행렬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Gamma의 '''라플라스 행렬'''이라고 한다.[30]

V의 원소는 함수

:f\colon\operatorname V(\Gamma)\to\mathbb K

:\sum_{v\in\operatorname V(\Gamma)}|f(v)|^2<\infty

로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mathbb K-선형 변환을 정의할 수 있다.

:\Delta_\Gamma\colon V\to V

:\Delta_\Gamma f\colon v\mapsto \sum_{uv\in\operatorname E(\Gamma)}\left(f(v)-f(u)\right)

즉, 임의의 두 꼭짓점 u,v\in\operatorname V(\Gamma)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langle u|\Delta_\Gamma|v\rangle = \begin{cases}


  • 1&uv\in\operatorname E(\Gamma)\\

\deg v&u=v\\

0&u\ne v,\;uv\not\in\operatorname E(\Gamma)

\end{cases}

다른 방법으로는, 그래프 \Gamma의 (방향이 없는) 변들로 생성되는 \mathbb K-힐베르트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W=\operatorname L^2(\operatorname E(\Gamma);\mathbb K)

\Gamma 위에 임의의 유향 그래프 구조를 주고, 그 유향 변들의 집합을

:\operatorname{E_{or}}(\Gamma)\subseteq\operatorname V(\Gamma)^2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E\colon W\to V

:E|u,v\rangle = |u\rangle - |v\rangle \qquad\left((u,v)\in\operatorname{E_{or}}(\Gamma)\right)

이는 유계 작용소를 정의하며, 따라서 그 에르미트 수반

:E^\dagger\colon V\to W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을 합성하여 유계 작용소

:\Delta_\Gamma=EE^\dagger

:\Delta_\Gamma\colon V\to V

를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Gamma유향 그래프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다. (반면, E^\dagger E\colon W\to W는 일반적으로 유향 그래프 구조에 의존한다.)

2. 1. 라플라스 행렬

단순 그래프 G의 라플라스 행렬 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L_{i,j} := \begin{cases}

\deg(v_i) & \mbox{if}\ i = j \\

  • 1 & \mbox{if}\ i \neq j\ \mbox{and}\ v_i \mbox{ is adjacent to } v_j \\

0 & \mbox{otherwise},

\end{cases}

또는 행렬 표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 = D - A,

여기서 ''D''는 차수 행렬이고 ''A''는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다. G가 단순 그래프이므로, A는 1 또는 0만 포함하며 대각선 요소는 모두 0이다.

다음은 레이블이 지정된 무방향 그래프와 해당 라플라스 행렬의 예시이다.

레이블이 지정된 그래프차수 행렬인접 행렬라플라스 행렬
6개의 꼭짓점을 가진 무방향 그래프
\left(\begin{array}{rrrrrr}\left(\begin{array}{rrrrrr}\left(\begin{array}{rrrrrr}



무방향 그래프의 경우, 인접 행렬과 라플라스 행렬 모두 대칭이며 라플라스 행렬의 행과 열의 합이 모두 0임을 알 수 있다(이는 라플라스 행렬이 특이 행렬임을 직접적으로 의미한다).

방향 그래프의 경우, 응용 분야에 따라 내차수 또는 외차수를 사용할 수 있다.[19]

레이블이 지정된 그래프인접 행렬외차수 행렬외차수 라플라스 행렬내차수 행렬내차수 라플라스 행렬
3개의 꼭짓점을 가진 방향 그래프
\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



방향 그래프에서 인접 행렬과 라플라스 행렬은 모두 비대칭이다. 라플라스 행렬에서 내차수 또는 외차수 중 무엇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열의 합 또는 행의 합이 0이 된다.

2. 2. 접속 행렬을 통한 정의

그래프의 접속 행렬을 이용하여 라플라스 행렬을 정의할 수도 있다.

|v| \times |e| 크기의 방향성을 가진 접속 행렬 ''B''는 정점 ''v''와 간선 ''e'' (정점 v_iv_j를 연결하며, ''i'' ≠ ''j'')에 대한 원소 B_{v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_{ve} = \left\{\begin{array}{rl}

1, & \text{if } v = v_i\\

  • 1, & \text{if } v = v_j\\

0, & \text{otherwise}.

\end{array}\right.

이 정의에서 간선은 기술적으로 방향성을 가지지만, 그 방향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동일한 대칭 라플라시안 |v| \times |v| 행렬 ''L''을 생성한다.

:L = B B^\textsf{T}

여기서 B^\textsf{T}는 ''B''의 전치 행렬이다.

무방향 그래프접속 행렬라플라시안 행렬
\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가중 엣지를 갖는 그래프의 경우, 가중치 인접 행렬 ''B''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하여 해당 대칭 라플라시안을 L = B B^\textsf{T}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더 깨끗한 대안적 접근 방식은 가중치를 연결성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즉, 일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인접 행렬을 계속 사용하고 가중치 값만 보유하는 행렬을 도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중치가 없는 |v| \times |e| 인접 행렬 ''B''의 정의를 재사용하며, 정점 ''v''와 엣지 ''e'' (정점 v_iv_j를 연결하며, ''i'' > ''j'')에 대한 요소 B_{v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_{ve} = \left\{\begin{array}{rl}

1, & \text{if } v = v_i\\


  • 1, & \text{if } v = v_j\\

0, & \text{otherwise}.

\end{array}\right.

이제 엣지 가중치를 포함하는 대각선 |e| \times |e| 행렬 ''W''도 정의한다. 기술적으로 ''B''의 정의에서 엣지는 방향성을 갖지만, 그 방향은 임의일 수 있으며, 여전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동일한 대칭 라플라시안 |v| \times |v| 행렬 ''L''을 생성한다.

:L = B W B^\textsf{T}

여기서 B^\textsf{T}는 ''B''의 전치 행렬이다.

다음 예는 각 엣지 e_i에 가중치 값 ''i''를 할당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i=1, 2, 3, 4.

무향 그래프인접 행렬엣지 가중치라플라시안 행렬
\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2. 3. 가중 그래프의 라플라스 행렬

가중 그래프의 경우, 인접 행렬의 각 원소는 해당 변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라플라스 행렬은 단순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차수 행렬과 인접 행렬의 차이로 정의된다.

: L = D - A,

여기서 ''D''는 차수 행렬이고 ''A''는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다.

유향 그래프의 경우, 응용 분야에 따라 내차수 또는 외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인접 행렬내차수 행렬내차수 라플라시안외차수 행렬외차수 라플라시안
\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left(\begin{array}{rrr}



접속 행렬을 이용한 정의도 확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중치를 나타내는 행렬 ''W''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중치가 없는 |v| \times |e| 인접 행렬 ''B''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점 ''v''와 엣지 ''e'' (정점 v_iv_j를 연결하며, ''i'' > ''j'')에 대한 요소 ''B''''ve''는 다음과 같다.

:B_{ve} = \left\{\begin{array}{rl}

1, & \text{if } v = v_i\\


  • 1, & \text{if } v = v_j\\

0, & \text{otherwise}.

\end{array}\right.

이제 엣지 가중치를 포함하는 대각선 |e| \times |e| 행렬 ''W''도 정의한다. ''B''의 정의에서 엣지는 방향성을 갖지만, 그 방향은 임의일 수 있으며, 여전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동일한 대칭 라플라시안 |v| \times |v| 행렬 ''L''을 생성한다.

:L = B W B^\textsf{T}

여기서 B^\textsf{T}는 ''B''의 전치 행렬이다.

다음 예는 각 엣지 e_i에 가중치 값 ''i''를 할당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i=1, 2, 3, 4.

무향 그래프인접 행렬엣지 가중치라플라시안 행렬
100px\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2. 4.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

라플라스 행렬의 정규화는 차수가 큰 꼭짓점의 영향을 줄이고, 그래프의 스펙트럼 특성을 더 잘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 정규화에는 주로 대칭 정규화와 랜덤 워크 정규화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대칭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대칭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L^\text{sym} := (D^+)^{1/2} L (D^+)^{1/2} = I - (D^+)^{1/2} A (D^+)^{1/2}

여기서,

  • `L`은 비정규화 라플라스 행렬이다.
  • `A`는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다.
  • `D`는 차수 행렬이다.
  • D^+는 무어-펜로즈 역행렬이다.


L^\text{sym}의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

:L^\text{sym}_{i,j} := \begin{cases}

1 & \mbox{if } i = j \mbox{ and } \deg(v_i) \neq 0\\

  • \frac{1}{\sqrt{\deg(v_i)\deg(v_j)}} & \mbox{if } i \neq j \mbox{ and } v_i \mbox{ is adjacent to } v_j \\

0 & \mbox{otherwise}.

\end{cases}

  • `i = j` 이고, 꼭짓점 `v_i`의 차수가 0이 아니면, 1이다.
  • `i ≠ j` 이고, 꼭짓점 `v_i`와 `v_j`가 인접해 있으면, -\frac{1}{\sqrt{\deg(v_i)\deg(v_j)}}이다.
  • 그 외의 경우에는 0이다.


인접 행렬이 대칭인 경우에만 대칭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도 대칭이 된다.
랜덤 워크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랜덤 워크 정규화 라플라스 행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text{rw} := D^+L = I - D^+A

여기서 D^+는 무어-펜로즈 역행렬이다.

L^\text{rw}의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text{rw}_{i,j} := \begin{cases}

1 & \mbox{if } i = j \mbox{ and } \deg(v_i) \neq 0\\

  • \frac{1}{\deg(v_i)} & \mbox{if } i \neq j \mbox{ and } v_i \mbox{ is adjacent to } v_j \\

0 & \mbox{otherwise}.

\end{cases}

  • `i = j` 이고, 꼭짓점 `v_i`의 차수가 0이 아니면, 1이다.
  • `i ≠ j` 이고, 꼭짓점 `v_i`와 `v_j`가 인접해 있으면, -\frac{1}{\deg(v_i)}이다.
  • 그 외의 경우에는 0이다.


인접 행렬이 대칭인 경우에도, 왼쪽 또는 오른쪽 정규화된 라플라시안 행렬은 일반적으로 대칭이 아니다. (고립된 정점이 없는 경우).

L^\text{rw}는 랜덤 워크 정규화 라플라시안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L^\text{rw} = I - P이고, P = D^+A가 그래프에서 랜덤 워크의 전이 행렬이기 때문이다.

3. 성질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들을 갖는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유계 작용소이자 자기 수반 작용소이며, 그 성분들은 꼭짓점에 대한 표준 정규 직교 기저에서 모두 정수이다. 즉,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유한한 임의의 그래프 \Gammau,v\in\operatorname V(\Gamma)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langle u|\Delta_\Gamma|v\rangle = \langle v|\Delta_\Gamma|u\rangle \in\mathbb Z

또한, 그 고윳값들은 모두 음이 아닌 실수이다.[31]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의 고윳값들을 (중복수를 고려하여)

:\lambda_0(\Delta_\Gamma)\le \lambda_1(\Delta_\Gamma) \le \lambda_2(\Delta_\Gamma)\le\dotsb

로 표기하면,

:0\le\lambda_0(\Delta_\Gamma)

이다.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의 작용소 노름은 다음과 같은 상계를 갖는다.[31]

:\|\Delta_\Gamma\|\le2\max_{v\in\operatorname V(\Gamma)}\deg v

(무향) 그래프 ''G''와 그 라플라스 행렬 ''L''에 대한 고윳값 \lambda_0 \le \lambda_1 \le \cdots \le \lambda_{n-1}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L''은 대칭 행렬이다.
  • ''L''은 양의 정부호 행렬이다(즉, 모든 i에 대해 \lambda_i \ge 0이다). 이는 라플라스 행렬이 대칭이고 대각 우세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 ''L''은 M-행렬이다(비대각선 요소는 음수이지만, 고윳값의 실수 부분은 0 이상이다).
  • ''L''의 모든 행 합과 열 합은 0이다. 실제로 합에서, 정점의 차수는 각 이웃에 대해 "−1"과 함께 합산된다.
  • 결과적으로 \lambda_0 = 0이며, 이는 벡터 \mathbf{v}_0 = (1, 1, \dots, 1)L \mathbf{v}_0 = \mathbf{0}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라플라스 행렬이 특이 행렬임을 의미한다.
  • 그래프의 연결 요소 수는 라플라시안의 영공간의 차원과 0 고유값의 대수적 중복도이다.
  • ''L''의 가장 작은 0이 아닌 고유값은 스펙트럼 갭이라고 한다.
  • ''L''의 두 번째로 작은 고유값(0일 수 있음)은 그래프 ''G''의 대수적 연결도 (또는 피들러 값)이며 그래프의 가장 희소한 컷을 근사한다.
  • 라플라시안은 f : V \to \mathbb{R} 형태의 n차원 함수 공간에 대한 연산자이며, 여기서 V는 G의 정점 집합이고, n = |V|이다.
  • G가 k-정규일 때, 정규화된 라플라시안은 다음과 같다: \mathcal{L} = \tfrac{1}{k} L = I - \tfrac{1}{k} A, 여기서 A는 인접 행렬이고 I는 항등 행렬이다.
  • 여러 개의 연결 요소가 있는 그래프의 경우, ''L''은 블록 대각 행렬이며, 각 블록은 각 구성 요소에 대한 해당 라플라스 행렬이다(정점의 재정렬 후일 수 있음, 즉 ''L''은 블록 대각 행렬과 순열 유사하다).
  • 라플라스 행렬 ''L''의 대각합은 2m과 같으며, 여기서 m은 고려된 그래프의 간선 수이다.
  • 단위 노름 고유벡터 \mathbf{v}_i와 해당 고유값 \lambda_i를 사용하여 L의 고유분해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lambda_i & = \mathbf{v}_i^\textsf{T} L \mathbf{v}_i \\

& = \mathbf{v}_i^\textsf{T} M^\textsf{T} M \mathbf{v}_i \\

& = \left(M \mathbf{v}_i\right)^\textsf{T} \left(M \mathbf{v}_i\right). \\

\end{align}

\lambda_i는 벡터 M \mathbf{v}_i와 자기 자신의 내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는 \lambda_i \ge 0임을 보여주며, 따라서 L의 고유값은 모두 음수가 아니다.

  • 정규화된 대칭 라플라시안의 모든 고유값은 0 = μ0 ≤ … ≤ μn−1 ≤ 2를 만족한다. 이러한 고유값(정규화된 라플라시안의 스펙트럼으로 알려짐)은 일반 그래프의 다른 그래프 불변량과 잘 관련되어 있다.[1]

  • L^\text{rw} = I-D^{-\frac{1}{2}}\left(I - L^\text{sym}\right) D^\frac{1}{2}가 성립한다.


즉, L^\text{rw}는 정규화된 라플라시안 L^\text{sym}과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L^\text{rw}가 일반적으로 대칭이 아니더라도 실수 고유값을 가지며, 이는 정규화된 대칭 라플라시안 L^\text{sym}의 고유값과 정확히 동일하다.

|v| \times |e| 크기의 방향성을 가진 접속 행렬 ''B''는 정점 ''v''와 간선 ''e'' (정점 v_iv_j를 연결하며, ''i'' ≠ ''j'')에 대한 원소 ''B''''v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_{ve} = \left\{\begin{array}{rl}

1, & \text{if } v = v_i\\

  • 1, & \text{if } v = v_j\\

0, & \text{otherwise}.

\end{array}\right.

이 정의에서 간선은 기술적으로 방향성을 가지지만, 그 방향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동일한 대칭 라플라시안 |v| \times |v| 행렬 ''L''을 생성한다.

:L = B B^\textsf{T}

여기서 B^\textsf{T}는 ''B''의 전치 행렬이다.

무방향 그래프접속 행렬라플라시안 행렬
\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다른 곱인 B^\textsf{T}B는 원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점 기반 라플라시안'' 행렬 ''L''과 대조적으로, 소위 |e| \times |e| 크기의 ''간선 기반 라플라시안''을 정의한다.

3. 1. 부분 그래프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그래프 \Gamma
  • 꼭짓점 집합 S\subseteq\operatorname V(\Gamma)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30]

:\lambda_1(\Gamma)\le \lambda_1(\Gamma\setminus S)+|S|

3. 2. 생성나무

유한 그래프 \Gamma의 라플라스 행렬을 이용하여 그래프의 생성나무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30]

임의의 꼭짓점 v\in\operatorname V(\Gamma)에 대해, \Delta_\Gamma에서 v에 대응하는 행과 열을 생략한 (|\operatorname V(\Gamma)|-1)\times(|\operatorname V(\Gamma)|-1) 행렬을 \Delta_\Gamma[v]로 표기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det\Delta_\Gamma[v]\in\mathbb Z는 항상 자연수이다.
  • \det\Delta_\Gamma[v]v\in\operatorname V(\Gamma)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 \det\Delta_\Gamma[v]\Gamma의 생성나무의 수와 같다.[30]
  • \textstyle\det\Delta_\Gamma[v] = |\operatorname V(\Gamma)|^{-1}\sum_{i=1}^

    \lambda_i(\Delta_\Gamma)이다.[30]

    3. 3. 표현

    유클리드 공간\mathbb R^n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한 그래프 \Gamma의 '''균형 직교 표현'''(balanced orthogonal representation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rho\colon\operatorname V(\Gamma)\to\mathbb R^n

    이다.

    • (균형성) \textstyle\sum_{v\in\operatorname V(\Gamma)}\rho(v)=0
    • (직교성) \textstyle \sum_{v\in\operatorname V(\Gamma)}\rho_i(v)\rho_j(v) = \delta_{ij}\qquad\forall i,j\in\{1,\dotsc,n\}

    이 두 조건에 의하여, 균형 직교 표현이 존재하려면 n\ge 1+\operatorname V(\Gamma)이어야 한다.

    유한 그래프 \Gamma\mathbb R^n 속의 균형 직교 표현 \rho가 주어졌으며, 또한

    :\lambda_1(\Delta_\Gamma)>0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30]

    :\sum_{uv\in\operatorname E(\Gamma)}\|\rho(u)-\rho(v)\|

    \ge \lambda_1(\Delta_\Gamma)+\lambda_2(\Delta_\Gamma)+\dotsb+\lambda_n(\Delta_\Gamma)

    |v| \times |e| 크기의 방향성을 가진 접속 행렬 ''B''는 정점 ''v''와 간선 ''e'' (정점 v_iv_j를 연결하며, ''i'' ≠ ''j'')에 대한 원소 ''B''''v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_{ve} = \left\{\begin{array}{rl}

    1, & \text{if } v = v_i\\

    • 1, & \text{if } v = v_j\\

    0, & \text{otherwise}.

    \end{array}\right.

    이 정의에서 간선은 기술적으로 방향성을 가지지만, 그 방향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동일한 대칭 라플라시안 |v| \times |v| 행렬 ''L''을 생성한다.

    :L = B B^\textsf{T}

    여기서 B^\textsf{T}는 ''B''의 전치 행렬이다.

    무방향 그래프접속 행렬라플라시안 행렬
    \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다른 곱인 B^\textsf{T}B는 원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점 기반 라플라시안'' 행렬 ''L''과 대조적으로, 소위 |e| \times |e| 크기의 ''간선 기반 라플라시안''을 정의한다.

4. 일반화 및 확장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일반화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 일반화 라플라시안: 단순 그래프의 라플라스 행렬을 일반화한 것이다. 비대각선 원소의 부호에 제약이 완화된 행렬이다.[3] 인접한 꼭짓점에 대응하는 비대각선 원소는 0보다 작아야 하지만, 인접하지 않은 꼭짓점에 대응하는 비대각선 원소는 0이어야 한다. 대각선 원소는 어떤 숫자든 될 수 있다.
  • 자기 라플라시안: 그래프의 변에 복소수 가중치를 부여해 정의한다. 양자 물리학에서 자기장 하의 전하 입자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 실수 가중치를 갖는 방향성 그래프에 대한 자기 라플라스 연산자는 대칭화된 라플라스 연산자와 복소수 항목을 갖는 에르미트 위상 행렬의 하대마르 곱으로 구성된다. 양자 물리학에서 자기 라플라스 연산자는 그래프에서 자기장의 작용을 받는 자유 전하 입자의 현상을 설명하는 연산자로 해석될 수 있으며, 매개변수는 전하라고 불린다.[4]
  • 변형 라플라시안: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1]


:\Delta(s) = I - sA + s^2(D - I)

여기서 ''I''는 단위 행렬, ''A''는 인접 행렬, ''D''는 차수 행렬, ''s''는 (복소) 수이다. 표준 라플라시안은 \Delta(1)이다.[21]

  • 부호 없는 라플라시안: 단순 그래프에서 부호 없는 라플라스 연산자 Q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6]


:Q = D + A

여기서 D는 차수 행렬이고, A는 인접 행렬이다. 부호 있는 라플라시안과 마찬가지로, 부호 없는 라플라시안 역시 양의 반정부호 행렬이며, 인수분해할 수 있다.

  • 유향 멀티그래프: 방향 그래프의 경우, 응용 분야에 따라 내차수 또는 외차수를 사용한다. 유향 멀티그래프에 대한 라플라스 행렬은 외차수 행렬과 인접 행렬의 차이로 정의된다.[7][26]


:L = D - A

여기서 ''D''는 대각 행렬로, ''D''''i'',''i''는 정점 ''i''의 밖차수와 같으며, ''A''는 ''A''''i'',''j''가 ''i''에서 ''j''로 가는 간선의 수(루프 포함)와 같은 행렬이다.

4. 1. 일반화 라플라시안

단순 그래프에서 라플라스 행렬을 일반화한 형태가 일반화 라플라시안이다. 일반화 라플라시안은 비대각선 원소의 부호에 대한 제약이 완화된 행렬이다.[3] 즉, 인접한 꼭짓점에 대응하는 비대각선 원소는 0보다 작아야 하지만, 인접하지 않은 꼭짓점에 대응하는 비대각선 원소는 0이어야 한다. 대각선 원소는 어떤 숫자든 될 수 있다.

일반화 라플라시안 Q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egin{cases}

Q_{i,j} < 0 & \mbox{만약 } i \neq j \mbox{ 이고 } v_i \mbox{가 } v_j \mbox{에 인접하면}\\

Q_{i,j} = 0 & \mbox{만약 } i \neq j \mbox{ 이고 } v_i \mbox{가 } v_j \mbox{에 인접하지 않으면} \\

\mbox{어떤 숫자} & \mbox{그렇지 않으면}.

\end{cases}

4. 2. 자기 라플라시안

자기 라플라시안은 그래프의 변에 복소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의되는 연산자이다. 이는 양자 물리학에서 자기장 하의 전하 입자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

실수 가중치 w_{ij}를 갖는 방향성 그래프에 대한 자기 라플라스 연산자는 대칭화된 라플라스 연산자와 복소수 항목을 갖는 에르미트 위상 행렬의 하대마르 곱으로 구성된다.

:\gamma_q(i, j) = e^{i2 \pi q(w_{ij}-w_{ji})}

이는 복소 평면에서 위상으로 에지 방향을 인코딩한다.

양자 물리학의 맥락에서 자기 라플라스 연산자는 그래프에서 자기장의 작용을 받는 자유 전하 입자의 현상을 설명하는 연산자로 해석될 수 있으며, 매개변수 q는 전하라고 불린다.[4]

다음은 q=1/4인 경우의 예시이다.

인접 행렬대칭화된 라플라스 연산자위상 행렬자기 라플라스 연산자
\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left(\begin{array}{rrrr}


4. 3. 변형 라플라시안

변형 라플라시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1]

:\Delta(s) = I - sA + s^2(D - I)

위 식에서,

  • ''I''는 단위 행렬
  • ''A''는 인접 행렬
  • ''D''는 차수 행렬
  • ''s''는 (복소) 수


이다.

표준 라플라시안은 \Delta(1)이다.[21]

4. 4. 부호 없는 라플라시안

단순 그래프 Gn개의 꼭짓점을 가질 때, 부호 없는 라플라스 연산자 Q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6]

:Q = D + A

여기서 D는 차수 행렬이고, A는 인접 행렬이다. 부호 있는 라플라시안 L과 마찬가지로, 부호 없는 라플라시안 Q 역시 양의 반정부호 행렬이며,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할 수 있다.

:Q = RR^\textsf{T}

여기서 R은 사건 행렬이다. Q는 이분 연결 요소(고립된 정점은 이분 연결 요소임)를 가질 경우에만 0-고유벡터를 갖는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bf{x}^\textsf{T} Q \mathbf{x} = \mathbf{x}^\textsf{T} R R^\textsf{T} \mathbf{x} \implies R^\textsf{T} \mathbf{x} = \mathbf{0}.

이는 그래프가 이분 연결 요소를 가질 경우에만 \mathbf{x} \neq \mathbf{0}인 해를 갖는다.

4. 5. 유향 멀티그래프

방향 그래프의 경우, 적용 분야에 따라 내차수 또는 외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유향 멀티그래프에 대한 라플라스 행렬은 외차수 행렬과 인접 행렬의 차이로 정의된다.[7][26]

:L = D - A

여기서 ''D''는 대각 행렬로, ''D''''i'',''i''는 정점 ''i''의 밖차수와 같으며, ''A''는 ''A''''i'',''j''가 ''i''에서 ''j''로 가는 간선의 수(루프 포함)와 같은 행렬이다.

5. 이산 라플라스 연산자와의 관계

그래프 라플라스 행렬은 유한 차분법을 통해 얻어지는 음의 연속 라플라스 연산자를 근사하는 그래프 상의 음의 이산 라플라스 연산자의 행렬 형태로 볼 수 있다. (이산 푸아송 방정식 참조)[2] 이 해석에서, 모든 그래프 정점은 격자점으로 취급된다. 정점의 국소 연결성은 이 격자점에서 유한 차분 근사 스텐실을 결정하고, 격자 크기는 모든 에지에 대해 항상 1이며, 균질 노이만 경계 조건, 즉 자유 경계의 경우에 해당하여 어떠한 격자점에도 제약이 없다.[2]

''n''개의 꼭짓점을 가진 단순 그래프(루프나 다중 변을 갖지 않는 무향 그래프)를 생각할 때, 그 라플라시안 행렬 L_{n \times 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9]

:L = D - A

여기서 ''D''는 그래프의 차수 행렬, ''A''는 인접 행렬이다. G는 단순 그래프이므로, A의 성분은 1 또는 0뿐이며, 그 대각 요소는 모두 0이다.

Directed graph영어의 경우, 입차수 또는 출차수 중 하나가 용도에 따라 사용될 것이다.

L의 요소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L_{i,j} := \begin{cases}

\deg(v_i) &\mbox{if}\ i = j \\


  • 1 &\mbox{if}\ i \neq j\ \mbox{and}\ v_i \mbox{ is adjacent to } v_j \\

0 &\mbox{otherwise}

\end{cases}

여기서 \operatorname{deg}(v_i)는 꼭짓점 i의 차수이다.

\phi가 그래프에 걸쳐 열 분포를 설명한다고 가정하면(\phi_i는 정점 i에서의 열), 뉴턴의 냉각 법칙에 따르면, 노드 i와 노드 j 사이를 이동하는 열은, 노드 i와 노드 j가 연결되어 있다면, \phi_i - \phi_j에 비례한다(노드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열은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면, 열 용량 k에 대해,

:\begin{align}

\frac{d \phi_i}{d t}

&= -k \sum_j A_{ij} \left( \phi_i - \phi_j \right) \\

&= -k \left( \phi_i \sum_j A_{ij} - \sum_j A_{ij} \phi_j \right) \\

&= -k \left( \phi_i \ \deg(v_i) - \sum_j A_{ij} \phi_j \right) \\

&= -k \sum_j \left( \delta_{ij} \ \deg(v_i) - A_{ij} \right) \phi_j \\

&= -k \sum_j \left( \ell_{ij} \right) \phi_j.

\end{align}

행렬-벡터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begin{align}

\frac{d\phi}{dt} &= -k(D - A)\phi \\

&= -kL \phi

\end{align}

이를 통해,

:\frac{d \phi}{d t} + kL\phi = 0

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정식은 행렬 −''L''이 라플라스 연산자 \nabla^2를 대체하고 있는 열 방정식|en|Heat equation한국어과 같은 형식이다. 따라서, ''L''은 "그래프 라플라시안"이라고 불린다.

이 미분 방정식의 해를 찾기 위해, 1차 Matrix differential equation영어을 풀기 위한 표준적인 기법을 적용한다. 즉, ''L''의 고유 벡터 \mathbf{v}_i(L\mathbf{v}_i = \lambda_i \mathbf{v}_i)의 선형 결합으로 \phi를 쓴다. 시간에 의존하는 \phi = \sum_i c_i \mathbf{v}_i를 대입한다.

원래 식에 대입하면(''L''이 대칭 행렬이기 때문에 그 단위 노름 고유 벡터 \mathbf{v}_i는 직교한다는 사실을 이용):

:\begin{align}

\frac{d\left(\sum_i c_i \mathbf{v}_i\right)}{dt} + kL\left(\sum_i c_i \mathbf{v}_i\right) &= 0 \\

\sum_i \left[\frac{dc_i}{dt} \mathbf{v}_i + k c_i L \mathbf{v}_i\right] &= \\

\sum_i \left[\frac{dc_i}{dt} \mathbf{v}_i + k c_i \lambda_i \mathbf{v}_i\right] &= \\

\frac{dc_i}{dt} + k \lambda_i c_i &= 0\\

\end{align}

이 해는

:c_i(t) = c_i(0) e^{-k \lambda_i t}

이다.

''L''의 고유값 \lambda_i는 음이 아니며, 이는 미분 방정식의 해가 평형에 접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lambda_i와 초기 조건 c_i(0)이 주어지면, 어떤 시점에서의 해라도 찾을 수 있다.[24] 전체 초기 조건 \phi(0)의 관점에서 각각의 i에 대한 c_i(0)를 찾기 위해서는, \phi(0)을 단위 노름 고유 벡터 \mathbf{v}_i로 투영한다.

:c_i(0) = \left\langle \phi(0), \mathbf{v}_i \right\rangle

무향 그래프의 경우, L이 대칭 행렬이므로 이는 잘 동작하며, 스펙트럼 정리에 의해, 그 고유 벡터는 모두 직교한다.

6. 응용

그래프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스칼라런 스펙트럼 군집화[11]
  • PyGSP: 파이썬에서의 그래프 신호 처리[12]
  • megaman: 수백만 개의 점에 대한 매니폴드 학습[13]
  • smoothG[14]
  • 동적 그래프를 위한 라플라시안 변곡점 감지 (KDD 2020)[15]
  • LaplacianOpt (가중 그래프의 라플라시안의 두 번째 고유값을 최대화하기 위한 줄리아 패키지)[16]
  • LigMG (대규모 불규칙 그래프 멀티그리드)[17]
  • Laplacians.jl[18]

7. 예

유한 완전 그래프 K_n의 라플라스 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langle u|\Delta_{K_n}|v\rangle=n\langle u|v\rangle-1=

\begin{cases}

n-1 & u=v\\


  • 1 & u\ne v

\end{cases}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Delta_{K_n}=n - \mathsf J

여기서 \mathsf J는 모든 성분이 1인 행렬(아다마르 곱의 항등원)이다. K_n 속의 생성 나무의 수는 다음과 같다.

:\det \Delta_{K_n}[u] = \det(n - \mathsf J_{(n-1)\times(n-1)}) = n^{n-2}

특히, K_2의 라플라스 행렬은 다음과 같다.

:\Delta_{K_2} = \begin{pmatrix}

1&-1\\

  • 1&1

\end{pmatrix}

이 행렬의 고윳값은 다음과 같다.

:\lambda_0(\Delta_{K_2})=0

:\lambda_1(\Delta_{K_2})=2

꼭짓점 차수가 상한을 갖는 (유한 또는 무한) 그래프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다음은 레이블이 지정된 무방향 그래프와 해당 라플라시안 행렬의 예시이다.

그래프 라벨링(Graph labeling)차수 행렬인접 행렬라플라시안 행렬
\left(\begin{array}{rrrrrr}\left(\begin{array}{rrrrrr}\left(\begin{array}{rrrrrr}


참조

[1] 서적 Spectral Graph Theory http://www.math.ucsd[...]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 간행물 Learning Theory and Kernel Machines: 16th Annual Conference on Learning Theory and 7th Kernel Workshop, COLT/Kernel 2003, Washington, DC, USA, August 24–27, 2003, Proceedings Springer
[3] 서적 Algebraic Graph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Springer-Verlag 2001
[4] 학회 Graph Signal Processing for Directed Graphs based on the Hermitian Laplacian https://ecmlpkdd2019[...]
[5] 저널 The Deformed Consensus Protocol http://hal.archives-[...]
[6] 저널 Towards a Spectral Theory of Graphs Based on the Signless Laplacian, III 2010
[7] 저널 Matrix Tree Theorems
[8] 웹사이트 SciPy https://github.com/s[...] 2023-10-04
[9] 웹사이트 NetworkX https://github.com/n[...] 2023-10-04
[10] 웹사이트 Julia https://github.com/J[...] 2023-10-04
[11] 웹사이트 2.3. Clustering https://scikit-learn[...]
[12] 웹사이트 PyGSP: Graph Signal Processing in Python https://github.com/e[...] 2022-03-23
[13] 웹사이트 Megaman: Manifold Learning for Millions of Points https://github.com/m[...] 2022-03-14
[14] 웹사이트 SmoothG https://github.com/L[...] 2020-09-17
[15] 웹사이트 Announcing Our Paper at KDD 2020 https://complexdatal[...]
[16] 웹사이트 Harshangrjn/LaplacianOpt.jl https://github.com/h[...] 2022-02-02
[17] 웹사이트 LigMG (Large Irregular Graph MultiGrid)-- A distributed memory graph Laplacian solver for large irregular graphs https://github.com/l[...] 2022-01-05
[18] 웹사이트 Laplacians.jl https://github.com/d[...] 2022-03-11
[19] 문서 Laplacian Matrix
[20] 서적 Algebraic Graph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Springer-Verlag 2001
[21] 저널 The Deformed Consensus Protocol
[22] 서적 Spectral graph theory American Math. Soc.
[23] 서적 Spectral Graph Theory http://www.math.ucsd[...]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4] 서적 Network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5] 간행물 Learning Theory and Kernel Machines: 16th Annual Conference on Learning Theory and 7th Kernel Workshop, COLT/Kernel 2003, Washington, DC, USA, August 24–27, 2003, Proceedings Springer
[26] 저널 Matrix Tree Theorems http://www.sciencedi[...]
[27] 저널 A survey of graph Laplacians 1995
[28] 저널 Laplacian matrices of graphs: a survey 1994-01
[29] 서적 The Laplacian spectrum of graphs https://www.seas.upe[...] 매니토바 대학교 2000-07-01
[30] 서적 Algebraic graph theory https://www.math.uwa[...] Springer Verlag
[31] 저널 Eigenvalues of the Laplacian of a graph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