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래픽 디자이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래픽 디자이너는 시각적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각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이다. 하시구치 고요는 일본 최초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프랑스, 체코,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가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문제 파악, 정보 수집 및 분석,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시각적 해결책을 찾으며, 드로잉, 인쇄, 사진, 시간 기반 미디어 등 다양한 제작 및 렌더링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관련 학과 졸업이나 사설 학원 과정을 통해 교육을 받으며, 광고 대행사, 기업 홍보실, 웹 디자인 에이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어도비 제품군, 스케치, 피그마, 시네마4D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한국그래픽디자이너협회와 같은 관련 단체가 존재한다. 2023년 미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중간 연봉은 5만 8,900달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가 목록 - 조각가
    조각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입체 예술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통해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진화해왔다.
  • 그래픽 디자이너 - 아트 디렉터
    아트 디렉터는 광고, 출판, 영화, 게임 등에서 시각적인 부분을 총괄하며, 분야에 따라 카피라이터, 프로덕션 디자이너, 편집자 등과 협력하여 시각 결과물을 만들고 디자인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디자인 감각, 제작 지식, 컴퓨터 디자인 능력, 협업 및 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 그래픽 디자이너 - 장 줄리앙
    프랑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장 줄리앙은 주요 매체에 작품을 발표하고 퐁피두 센터 등과 협업했으며, 파리 테러 이후 평화의 상징을 제작하여 세계적인 연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 컴퓨터 관련 직업 - 웹마스터
    웹마스터는 웹사이트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사람으로, 초기에는 시스템 관리자를 의미했으나 웹 기술 발전과 함께 웹사이트 관리, 개발, 콘텐츠 관리, 마케팅 등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 또는 회사를 포괄하며, 웹사이트 관리자를 위한 공식 연락 창구로도 활용된다.
  • 컴퓨터 관련 직업 - 소프트웨어 개발자
그래픽 디자이너
개요
로고 디자인을 디지털 방식으로 작업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로고 디자인을 디지털 방식으로 작업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직업 정보
직업명그래픽 디자이너
유형직업
활동 분야광고
책 디자인
브랜드 관리
일러스트레이션
페이지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웹 코믹
웹 디자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디지털 애니메이션
3D 모델링
역량기술 지식, 문화적 관련성
관련 직업제작 아티스트
그래픽 아티스트
웹사이트 디자이너
데스크톱 출판
역할 및 업무
주요 업무시각 디자인 작품을 만드는 사람
업무 내용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미술
다양한 매체에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 콘텐츠 제작
광고, 브랜딩, 출판, 웹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적 디자인 작업 수행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디자인 컨셉을 개발
타이포그래피, 색상, 이미지 등을 사용하여 시각적 메시지 구성
레이아웃 및 디자인 요소를 조화롭게 배치
디지털 및 인쇄 매체에 적합한 디자인 제작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결과물 도출
디자인 트렌드 및 기술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
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디자인 프로젝트 완성
핵심 역량디자인 원칙 및 요소에 대한 이해
다양한 디자인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예: Adobe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타이포그래피, 색상 이론, 레이아웃 디자인에 대한 전문 지식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및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인 아이디어 및 컨셉 개발 능력
고객 요구사항 및 피드백에 대한 수용 능력
시간 관리 및 마감 기한 준수 능력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디자인 트렌드 및 기술 변화에 대한 학습 능력
분야별 세부 역할
광고광고 캠페인 시각 디자인
광고 디자인 (인쇄물, 온라인 광고)
광고 레이아웃, 배너 제작
출판서적, 잡지 디자인
표지 디자인, 내부 레이아웃
편집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브랜딩로고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브랜드 가이드라인 제작
시각적 브랜드 요소 디자인
웹 디자인웹사이트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웹사이트 레이아웃 디자인
웹사이트 그래픽 요소 디자인
기타모바일 앱 디자인
게임 디자인
영상 그래픽 디자인
애니메이션 디자인
3D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전시 디자인
환경 그래픽 디자인
학문적 접근
학문적 특징기술과 문화적 관련성을 모두 고려하는 접근법
심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계
창의성, 혁신,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
디자인 과정은 분석, 계획, 실행, 평가 단계를 포함
디자인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함
관련 학문 분야심리학: 시각적 인지, 색채 심리, 사용자 행동 이해
기하학: 시각적 형태, 구조, 비례 이해
예술: 조형 원리, 미적 감각, 창의적 표현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디지털 미디어 활용
커뮤니케이션: 정보 전달, 설득 전략, 시각적 메시지 구성
마케팅: 소비자 행동, 브랜드 전략, 시각적 마케팅
디자인 교육디자인 학교, 대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그래픽 디자인 전공 개설
실습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
디자인 이론, 역사, 기술, 실무 경험 교육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기회 제공
포트폴리오 개발 및 디자인 경력 개발 지원
바우하우스 등 디자인 사조의 영향
기술 및 도구
디자인 도구다양한 디자인 소프트웨어 활용 (예: Adobe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편집, 드로잉 등 다양한 작업 수행
웹 디자인 도구 및 기술 (예: HTML, CSS, JavaScript)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 활용
기술적 지식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기술 활용 능력
색상 이론,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디자인에 대한 이해
디지털 미디어 및 인쇄 매체에 대한 이해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최신 디자인 트렌드 및 기술 변화에 대한 지식
산업 및 고용
고용 분야광고 대행사
출판사
디자인 스튜디오
웹 디자인 회사
기업 디자인 부서
마케팅 회사
교육 기관
프리랜서
고용 전망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중요성 증가로 수요 증가 추세
디지털 미디어 및 웹 디자인 분야 성장으로 고용 기회 확대
프리랜서 시장 및 독립 디자인 스튜디오 증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자인 인력 수요 증가
경쟁 심화 및 고용 불안정 가능성 존재
급여경력 및 전문성에 따라 급여 수준 차이
프리랜서의 경우 시간당 또는 프로젝트별 급여 책정
고용 형태 및 기업 규모에 따라 급여 수준 차이
숙련된 디자이너의 경우 높은 급여 및 프리미엄 수입 가능
기타
디자인의 중요성정보 전달 및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강화
브랜드 인지도 및 가치 향상
사용자 경험 및 만족도 향상
문화적 가치 및 정체성 표현
창의적 문제 해결 및 혁신 촉진
디자인 윤리저작권 및 지적 재산권 준수
디자인 도용 및 표절 방지
윤리적 디자인 실천 및 책임감
사회적 책임 및 공익 증진

2. 역사

하시구치 고요는 일본 최초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알려져 있다.

2. 1. 한국

(내용 없음)

2. 2. 세계

3. 종류

그래픽 디자이너는 담당하는 작업의 성격이나 주로 사용하는 매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룬다.

3. 1. 분야별

아트 디렉터, 에디토리얼 디자이너, 사진작가 등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조판, 일러스트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 디자인 등을 직접 담당하기도 하지만, 해당 분야 전문가에게 맡기기도 한다. 주로 팸플릿이나 광고와 같은 출판·인쇄 매체, 또는 웹사이트와 같은 전자 매체를 위한 그래픽을 제작한다.

하지만 'graphic-'이라는 형용사 자체가 영어에서 "인쇄의-, 도안의-"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웹 디자이너UI 디자이너는 "웹 크리에이터"나 "CG 그래픽 디자이너"와는 구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일본에서는 "디자인" 또는 "디자이너"라는 말이 상업적 목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 화가들은 그래픽 디자이너와 구분되기를 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요코오 타다노리처럼 화가가 되기 위해 디자이너를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화가 쪽이 제작에 대한 제약이 적고 신분이 더 높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4. 역할 및 자질

그래픽 디자이너는 시각적 의사소통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의사소통 문제를 파악하고,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한다. 그 다음,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을 구상한다.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디자인 결과물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자인 접근 방식은 목표하는 대상 고객과 사용될 미디어 채널을 고려하여 개발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디자인이 효과적이려면 해당 대상 고객의 사회적 및 문화적 규범을 이해해야 한다.[17] 특정 대상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것은 잠재적인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18]

또한, 그래픽 디자이너는 디자인 결과물을 실제로 만들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드로잉, 오프셋 인쇄, 사진뿐만 아니라 필름, 비디오, 컴퓨터 멀티미디어와 같은 시간 기반 및 상호작용 미디어에 대한 지식도 포함된다. 다양한 매체에서 색상을 관리하는 것 역시 중요한 역할이다.[17] 예를 들어, 디지털 매체와 인쇄 매체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 모델을 사용한다. 디지털 디자인에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을 사용하는 RGB 모델이 쓰인다. 반면, 인쇄 디자인에는 감산 혼합 방식의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 검정(Key/Black)으로 이루어진 CMYK 모델을 사용한다. 이는 화면에서 보이는 색상과 종이에 인쇄된 색상이 다르게 보이기 때문인데, 일반적으로 종이에 인쇄된 색상이 화면에서보다 더 어둡게 나타난다.[19]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트 디렉터, 에디토리얼 디자이너, 사진작가 등의 역할을 겸하기도 한다. 조판, 일러스트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웹 디자인과 같은 분야를 직접 담당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맡기기도 한다. 주로 팸플릿이나 광고와 같은 출판인쇄 매체, 또는 웹사이트와 같은 전자 매체를 위한 그래픽을 제작한다.

'그래픽(graphic)'이라는 단어 자체가 영어에서 '인쇄의, 도안의'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엄밀히 말하면 웹 디자이너나 UI 디자이너는 '웹 크리에이터'나 'CG 그래픽 디자이너'와는 구분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디자인'이나 '디자이너'라는 용어가 상업적인 목적을 강하게 내포하는 경향이 있어, 순수 예술을 하는 화가들은 그래픽 디자이너와 구분되기를 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요코오 타다노리는 화가가 되기 위해 디자이너를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화가 쪽이 창작 활동에 제약이 적고 사회적으로 더 높은 지위로 여겨지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5. 교육 및 취업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일반적인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졸업 후에는 다양한 분야로 취업할 수 있다. 주요 취업 분야는 아래와 같다.

그래픽 디자이너 주요 취업 분야
분야주요 취업처
광고/홍보광고대행사, 기업체 홍보실
미디어신문사, 잡지사, 방송사, 컨텐츠 전문 제작사, 출판사
디자인 전문웹디자인 에이전시, 브랜딩 디자인 에이전시
IT/게임게임 제작사, IT 포털 및 스타트업



디자인 업계에서는 부수적인 자격증보다는 실력과 경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취업 과정에서 자신의 실력을 보여주는 포트폴리오가 매우 중요하다. 포트폴리오는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또는 실력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과거에 만든 작품이나 관련 내용 등을 모아 놓은 자료철 또는 자료 묶음, 작품집으로, 실기와 관련된 경력증명서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바인더, 클리어파일, 스크랩북 등을 이용했으나, 정보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대부분 이메일을 통해 디지털 형식의 포트폴리오 제출을 요구한다. 주로 개인 웹사이트 주소나 PDF, JPG 이미지 파일, 영상 파일 등으로 제출한다.

포트폴리오는 자신의 독창성과 능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간단명료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자신이 지원하는 분야를 하나로 정하고, 그에 맞춰 포트폴리오의 수와 질을 판단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시각적 의사소통 문제 또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이너는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 의사소통 문제를 파악한다.

#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잠재적 접근 방식을 생성한다.

#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시각적 해결책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단한다.

의사소통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은 대상 고객과 미디어 채널을 고려하여 개발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관련성 있고, 이해하기 쉽고, 효과적인 시각적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해 해당 대상 고객의 사회적 및 문화적 규범을 이해해야 한다.[17] 특정 대상 고객의 개인과 직접 대화하면 잠재적인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

그래픽 디자이너는 또한 제작 및 렌더링 방법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제작 기술 및 방법에는 드로잉, 오프셋 인쇄, 사진 및 시간 기반, 대화형 미디어(영화, 비디오, 컴퓨터 멀티미디어)가 포함된다. 자주 디자이너는 다양한 미디어에서 색상을 관리하는 역할도 맡는다.[17] 예를 들어, 그래픽 디자이너는 디지털 및 인쇄 광고에 다른 색상 모델을 사용한다. RGB는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을 의미하며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에 사용되는 가산 혼합 색상 모델이다. 그러나 CMYK는 감산 혼합 색상인 청록(Cyan), 자홍(Magenta), 노랑(Yellow), 검정(Key=Black)으로 구성되며 인쇄 미디어 디자인에 사용된다. 서로 다른 모델을 사용하는 이유는 인쇄 광고를 디자인할 때 색상이 화면과 종이에 인쇄되었을 때 다르게 보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종이에 인쇄된 색상은 화면보다 어둡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19]

6. 사용 소프트웨어

7. 관련 단체


  • 한국그래픽디자이너협회 (JAGDA)

8. 저명한 그래픽 디자이너

하시구치 고요는 일본 최초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알려져 있다.

수많은 수상 경력 등 업적이 널리 알려진 인물이나 그래픽 디자인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 인물을 아래에 나열한다.

'''프랑스'''


  • 알퐁스 마리아 카사드르 (Adolphe Mouron Cassandre)
  • 피에르 베르나르 (Pierre Bernard)
  • 로만 치에슬레비치 (Roman Cieślewicz) (폴란드 출신)


'''체코'''

'''이탈리아'''

  • 안드레아 라우크 (Andrea Rauch)
  • 브루노 몽구지 (Bruno Monguzzi) (스위스 국적도 있음)


'''헝가리'''

  • 이스트반 오로스 (István Orosz)


'''폴란드'''

  • 발데마르 시에르지 (Waldemar Świerzy)
  • 로만 치에슬레비치 (Roman Cieślewicz) (프랑스에서도 활동)
  • 얀 레니차 (Jan Lenica) (독일에서도 활동)
  • 얀 믈로도제니에츠 (Jan Mlodozeniec)


'''네덜란드'''

  • 윔 크로웰 (Wim Crouwel)
  • 딕 브루나 (Dick Bruna) (미피 시리즈 그림책 작가로도 유명하다.)


'''독일'''

  • 우베 레슈 (Uwe Loesch)
  • 피에르 멘델 (Pierre Mendell)
  • 페터 슈미트 (Peter Schmidt)
  • 얀 레니차 (Jan Lenica) (폴란드 출신)


'''러시아'''

'''영국'''

  • 클레어 리틀리 (Clare Littler)
  • 다니엘 P. 터너 (Daniel P. Turner)
  • 네빌 브로디 (Neville Brody)


'''포르투갈'''

  • 주앙 마샤두 (João Machado)


'''핀란드'''

  • 타파니 아르토마 (Tapani Aartomaa)


'''스위스'''

  • 브루노 몽구지 (Bruno Monguzzi) (이탈리아 국적도 있음)
  • 니클라우스 트록슬러 (Niklaus Troxler)
  • 요제프 뮐러-브록만 (Josef Müller-Brockmann)


'''덴마크'''

  • 페르 아르놀디 (Per Arnoldi)


'''일본'''

  • 아오키 카츠노리 (青木克憲)
  • 아오바 마스테루 (青葉益輝)
  • 아키타 히로시 (秋田寛)
  • 아키야마 타카시 (秋山孝)
  • 아사쿠라 나오미 (朝倉直巳)
  • 아사바 카츠미 (浅葉克己)
  • 아와즈 키요시 (粟津潔)
  • 이토 나오키 (伊藤直樹)
  • 이나기시 히로미 (稲吉紘実)
  • 이누에 시야 (井上嗣也)
  • 이마타케 시치로 (今竹七郎)
  • 우노 아키라 (宇野亜喜良)
  • 엔도 죠 (遠藤享)
  • 오쿤 아키라 (おーくん・あきら)
  • 오하시 타다시 (大橋正)
  • 오오누키 타쿠야 (大貫卓也)
  • 오카모토 시게오 (岡本滋夫)
  • 오쿠노 쇼지로 (奥野正次郎)
  • 오쿠무라 우키마사 (奥村靫正)
  • 카사이 카오루 (葛西薫)
  • 카타야마 토시히로 (片山利弘)
  • 카츠이 미츠오 (勝井三雄)
  • 카메쿠라 유사쿠 (亀倉雄策)
  • 카와카미 슌 (川上俊)
  • 키쿠치 아츠미 (菊地敦己)
  • 키무라 쿠니히사 (木村恒久)
  • 쿠마다 고로 (熊田五郎)
  • 쿠도 쿄카츠 (工藤強勝)
  • 쿠로다 세이타로 (黒田征太郎)
  • 코노 타카시 (河野鷹思)
  • 코지마 료헤이 (小島良平)
  • 후루히라 마사요시 (古平正義)
  • 코차에 (COCHAE) (지쿠하라 요우스케・타케다 미키)
  • 사이토 마코토 (サイトウマコト)
  • 사카구치 켄 (サカグチケン)
  • 사카모토 히로키 (坂本廣樹)
  • 사토 카즈카즈 (佐藤可士和)
  • 사토 코이치 (佐藤晃一)
  • 사토 타쿠 (佐藤卓)
  • 사토 나오키 (佐藤直樹)
  • 사토미 소우지 (里見宗次)
  • 사노 켄지로 (佐野研二郎)
  • 신도 미츠오 (信藤三雄)
  • 스기우라 코헤이 (杉浦康平)
  • 스기우라 히스이 (杉浦非水)
  • 스기타 유타카 (杉田豊)
  • 스즈키 나츠키 (鈴木夏希)
  • 타이쿤 그래픽스 (タイクーングラフィックス)
  • 타케무라 신타로 (竹村真太郎)
  • 타나아미 케이이치 (田名網敬一)
  • 타나카 이쿠오 (田中一光)
  • 타나카 히데유키 (田中秀幸)
  • 타나베 마사카즈 (田邊雅一)
  • 타치바나 하지메 (立花ハジメ)
  • 타니다 이치로 (谷田一郎)
  • 치하라 테츠야 (千原徹也)
  • 토다 마사토시 (戸田正寿)
  • 토다 토스무 (戸田ツトム)
  • 나가이 카즈마사 (永井一正)
  • 나가이 히로아키 (永井裕明)
  • 나카지마 히데키 (中島英樹)
  • 나카죠 마사요시 (仲條正義)
  • 나가토모 히로노리 (長友啓典)
  • 나가하라 야스시 (永原康史)
  • 나카무라 마코토 (中村誠)
  • 니이지마 미노루 (新島実)
  • 하야카와 요시오 (早川良雄)
  • 하라 켄야 (原研哉)
  • 하라 히로시 (原弘)
  • 하리타츠오 (はりたつお)
  • 하야시 노리아키 (林規章)
  • 하마다 마스지 (濱田増治)
  • 히지카타 히로카츠 (土方弘克)
  • 히라노 오타로 (平野湟太郎)
  • 히로무라 마사아키 (廣村正彰)
  • 후쿠다 시게오 (福田繁雄)
  • 반도 타카아키 (板東孝明)
  • 히라노 케이코 (平野敬子)
  • 후미 사사다 (フミ・ササダ)
  • 후루타 와타루 (古田亘)
  • 호리우치 세이이치 (堀内誠一)
  • 마에다 타카시 (前田高志)
  • 마츠이 케이조 (松井桂三)
  • 마츠나가 마코토 (松永真)
  • 마츠모토 겐토 (松本弦人)
  • 미즈타니 코우지 (水谷孝次)
  • 미자와 오사무 (美澤修)
  • 유지 사토 (U. G. サトー)
  • 와카노 케이 (若野桂)
  • 모리 히로시 (森啓)
  • 야나세 마사유메 (柳瀬正夢)
  • 야하기 키즈로 (矢萩喜從郎)
  • 야마나 후미오 (山名文夫)
  • 요코오 타다노리 (横尾忠則)
  • 와다 마코토 (和田誠)


'''홍콩'''

  • 진대강 (靳埭強) [21]
  • 헨리 스타이너 (Henry Steiner)


'''이스라엘'''

  • 댄 라이징거 (Dan Reisinger)


'''미국'''

  • 아이반 체르마예프 (Ivan Chermayeff)
  • 안드레아 그로스만 (Andrea Grossman)
  • 에이프릴 그레이먼 (April Greiman)
  • 시모어 쿼스트 (Seymour Chwast)
  •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Stefan Sagmeister)
  • 솔 바스 (Saul Bass)
  • 헨리 울프 (Henry Wolf)
  • 폴 데이비스 (Paul Brooks Davis)
  • 폴 랜드 (Paul Rand)
  • 밀턴 글레이저 (Milton Glaser)
  • 모리스 빈더 (Maurice Binder)


'''캐나다'''

  • 버튼 크레이머 (Burton Kramer)
  • 휴 사이먼 (Hugh Syme)

9. 임금

미국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eng)에 따르면, 2023년 5월 기준 그래픽 디자이너의 중간값 연봉은 58900USD였다. 하위 10%는 36420USD 미만을, 상위 10%는 100450USD 이상을 벌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Graphic Design? A Beginner's Guide to This Creative Career https://www.rasmusse[...] Rasmussen University 2023-10-17
[2] 웹사이트 What is graphic design http://www.aiga.org/[...] AIGA 2009-06-29
[3]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Graphic Designer: A Step-By-Step Guide https://www.forbes.c[...] Forbes 2023-07-03
[4] 웹사이트 This skill is in ‘giant’ demand—and can pay up to $145 an hour as a side hustle https://www.cnbc.com[...] CNBC 2023-03-15
[5] 웹사이트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Graphic Design https://web.archive.[...] College of Liberal Arts 2021-10-13
[6] 웹사이트 Graphic design and psychology: how are they related? https://lamenteesmar[...] La Mente es Maravillosa 2023-09-14
[7]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geometry in graphic design https://www-uic-mx.t[...] Universidad Intercontinental 2017-11-28
[8] 웹사이트 What is the importance of web design for your audience? https://www.smartins[...] Smart Insights 2020-01-03
[9] 웹사이트 Business Model Canvas: Explained with Examples https://creately.com[...] 2023-12-29
[10] 논문 Visual accessibility in graphic design: A client–designer communication failure 2015
[11] 웹사이트 Graphic Design Careers: A Complete Guide https://www.forbes.c[...] Forbes 2023-07-03
[12] 웹사이트 Bachelor’s Degrees In Graphic Desig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forbes.c[...] Forbes 2023-07-03
[13] 웹사이트 From the shadow to the centre: Tensions, contradictions and ambitions in building graphic design as a professio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oimbra 2022-08-07
[14] 논문 Characteristics of Design as an Academic and Creative Discipline Ural Federal University 2020-08-25
[15] 웹사이트 Vigencia de la Bauhaus en la formación académica de los diseñadores gráficos https://web.archive.[...] Francisco José de Caldas District University 2016-03-04
[16] 웹사이트 Graphic Designers https://www.bls.gov/[...] 2024-08-30
[17] 웹사이트 NASAD Competencies Summary http://www.docstoc.c[...]
[18] 논문 Intercultural Design Competence: A Guide for Graphic Designers Working Across Cultural Boundaries 2016
[19] 서적 The new graphic design school : A foundation course in principles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20] 웹사이트 What is graphic design? http://www.aiga.org/[...] AIGA 2009-11-12
[21] 기타 カン・タイキョンと読む
[22] 뉴스 젊은 그래픽 디자이너들, 세월호 포스터전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5-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