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호주 남부 해안에 위치한 만으로, 국제수로기구(IHO)와 호주수로국(AHS)의 정의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정의된다. IHO는 인도양의 일부로 간주하지만, 호주에서는 남극해로 분류하며, 해안선은 절벽, 서핑 해변, 암반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지역은 고래 관찰, 특히 남방긴수염고래의 번식지로 유명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어업과 석유 및 가스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석유 탐사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만 - 카펀테리아만
    카펀테리아만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위치하며, 덥고 습한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상업적 새우 양식, 아연 광산, 축산업이 주요 산업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만 - 보터니만
    보터니 만은 1770년 제임스 쿡 선장이 상륙하여 호주에 대한 영국의 관심을 촉발하고, 식물학자 조셉 뱅크스와 다니엘 솔랜더가 다양한 식물을 발견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죄수 식민지 건설 예정지였으나 포트 잭슨으로 변경되었고, 현재는 시드니 공항과 항만이 위치하며 국립공원으로 일부가 보호되는 시드니 남쪽의 만이다.
  • 인도양의 만 - 페르시아만
    페르시아만은 아라비아 반도와 이란 사이의 내해로, 풍부한 석유 매장량과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으며, '걸프'라고도 불리지만 명칭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
  • 인도양의 만 - 아카바만
    아카바만은 시나이 반도 동쪽과 아라비아 반도 서쪽 사이 홍해 북쪽에 위치한 깊은 만으로,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고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하며 역사적, 관광적 가치가 높다.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지도 정보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경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경계 (국제수로기구 정의는 빨간색, 오스트레일리아 수로 서비스 정의는 초록색).
기본 정보
위치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태즈메이니아주, 빅토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종류대양성 만
유출인도양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
유역오스트레일리아
면적약 45,926 제곱킬로미터
지리

2. 범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범위에 대해서는 국제수로기구(IHO)와 호주수로국(AHS)이 제시하는 두 가지 주요 정의가 사용된다.[3][4][5] 국제적으로는 인도양의 일부로 간주되지만[6], 호주 내에서는 남극해의 일부로 보는 시각이 있으며, 이는 두 기관의 정의 차이와도 연관된다.[4]

지리적으로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상당 부분은 남호주와 서호주에 걸쳐 있는 광대한 널라보 평원의 바로 남쪽에 위치한다. 에어 고속도로는 헤드 오브 더 바이트와 유클라 사이 구간에서 만의 해안 절벽 근처를 지나간다.

2. 1. 국제수로기구(IHO) 정의

국제수로기구(IHO)는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다음과 같은 경계로 정의한다.[3]



''북쪽.'' 호주 본토의 남쪽 해안.

''남쪽.'' 웨스트 케이프 호우에서 사우스웨스트 케이프, 태즈메이니아를 잇는 선.

''동쪽.'' 케이프 오트웨이, 빅토리아에서 킹 섬을 거쳐 케이프 그림, 태즈메이니아 북서쪽 끝을 잇는 선.



국제수로기구의 정의에 따르면,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인도양의 일부로 간주된다.[3][6] 그러나 호주 내에서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며, 국제수로기구에 해당 정의의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4]

2. 2. 호주수로국(AHS) 정의

호주수로국(AHS)은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케이프 파슬리, 서호주에서 케이프 카르노, 남호주까지 이어지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정의한다. 이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약 1160km이다.[4][5]

2. 3. 기타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해양 공원, 2007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범위에 대해서는 국제수로기구(IHO)와 호주수로국(AHS)의 두 가지 정의가 사용된다.

IHO는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다음과 같은 경계로 정의한다.[3]

  • ''북쪽.''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의 남쪽 해안.
  • ''남쪽.'' 웨스트 케이프 호우(남위 35° 08′, 동경 117° 37′)에서 태즈메이니아의 사우스웨스트 케이프를 잇는 선.
  • ''동쪽.'' 빅토리아주의 케이프 오트웨이에서 킹 섬을 거쳐 태즈메이니아 북서쪽 끝인 케이프 그림을 잇는 선.


반면, AHS는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서호주의 케이프 파슬리에서 남호주의 케이프 카르노까지 이어지는, 약 1160km 거리의 더 좁은 지역으로 정의한다.[4][5]

해양 분류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외부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인도양의 일부로 간주한다.[6] 그러나 AHS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분류하며[4], IHO에 이러한 정의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IHO는 "대양과 해역의 경계" 간행물(현재 유효한 1953년판[3]과 승인되지 않은 2002년 초안 모두)에서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을 인도양에 포함시킨다. 참고로 베이스 해협과 태즈먼 해는 2002년 초안에서 남태평양에 포함되었으나, 1953년판에서는 베이스 해협이 인도양의 일부였다.

3. 해안선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해안선은 높이 60m에 달하는 해안 절벽과 서핑에 적합한 넓은 모래사장, 그리고 암석 해안 등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해안선은 약 5천만 년 전 곤드와나 대륙에서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과 남극 대륙이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었다.

만의 해안선 대부분은 강수량이 매우 적은 널라보 평원과 마주하고 있다. 특히 서호주와 남호주 해안에 걸쳐서는 분다 절벽을 포함한 긴 해안 절벽 지대가 나타나며, 동쪽의 에어 반도 지역에서는 파울러스 만, 스모키 만, 스트리키 만과 같은 여러 만과 누이츠 군도 등의 섬들이 복잡하게 얽힌 해안선을 이룬다.[7][8]

3. 1. 서호주 해안

케이프 파슬리 주변 지역은 윌가른 순상지의 고대 결정질 암석이 동쪽으로 드러난 곳이다. 이곳에서 해안은 북동쪽으로 굽어지며, 해안과 평행하게 가파른 절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스라엘 평원은 이 절벽(이곳에서는 와일리 절벽이라고 불림)과 해안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해안 모래 언덕 뒤편으로는 해안 석호들이 사슬처럼 이어져 있다. 해안선이 동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절벽은 해안과 직접 만나 백스터 절벽을 이루는데, 이 절벽은 약 200km에 걸쳐 뻗어 있다. 코클비디 근처에 이르면 절벽은 다시 내륙 쪽으로 들어간다. 이곳의 로 평원은 해안을 따라 약 300km 길이로 펼쳐져 있으며, 가장 넓은 곳의 내륙 깊이는 약 35km에 달한다. 해안가에는 넓은 모래 언덕 지대가 발달해 있는데, 일부는 식물이 자라지 않는 나대지 상태이며, 다른 지역은 해안 사구 식생, 관목 지대, 맬리 숲 등으로 덮여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유클라와 서호주–남호주 경계 부근에서 절벽은 다시 해안선과 만나며, 분다 절벽 또는 널라보 절벽이라 불리는 이 지형은 약 220km 길이로 이어져 헤드 오브 더 바이트까지 도달한다.[7]

3. 2. 남호주 해안

서호주–남호주 경계 근처의 유클라에서부터 해안 절벽이 다시 나타나며, 분다 절벽(Bunda Cliffs) 또는 널라보 절벽(Nullarbor Cliffs)이라 불리는 이 절벽은 동쪽으로 220km가량 뻗어 헤드 오브 더 바이트(Head of the Bight)까지 이어진다.[7] 이 해안 절벽은 높이가 최대 60m에 달하기도 한다.

헤드 오브 더 바이트 지점에서 절벽은 북동쪽 내륙으로 방향을 튼다. 이후 서부 에어 반도(Western Eyre Peninsula)의 해안선은 파울러스 만(Fowlers Bay), 스모키 만(Smoky Bay), 스트리키 만(Streaky Bay)과 같은 여러 만과 누이츠 군도(Nuyts Archipelago)를 포함한 암석 갑(곶) 및 섬들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 해안선은 주로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쌓여 굳어진 풍성토 석회암으로 형성되었다. 파도와 해류의 지속적인 작용은 이 석회암을 침식시켜 만들어진 모래로 해변과 모래 언덕 지형을 발달시켰다. 한편, 남부 에어 반도(Southern Eyre Peninsula) 지역에서는 고대의 화강암 기반암인 골러 순상지(Gawler Craton)의 일부가 지표면에 노출되어 나타나기도 한다.[8] 남호주 해안은 이러한 극적인 절벽 지대 외에도 서핑에 적합한 넓은 모래사장과 암석으로 이루어진 작은 산(암산) 등이 번갈아 나타나는 다양한 해안 경관을 보여준다.

4. 역사와 탐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1627년 네덜란드 항해사 프랑수아 타이스가 서쪽 해안을 따라 항해하면서 유럽인들에게 처음 알려졌다. 이후 1802년 영국 항해사 매튜 플린더스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을 일주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해안선을 정확하게 지도에 담았다. 육지에서의 탐험은 1840년부터 1841년까지 영국 탐험가 에드워드 존 에어에 의해 이루어졌다.

4. 1. 매튜 플린더스의 탐험

영국 항해사 매튜 플린더스는 1802년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대륙 일주 항해 중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의 해안선을 처음으로 정확하게 지도화했다. 그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항해하며 해안선을 기록한 항로를 만들었다.

4. 2. 에드워드 존 에어의 탐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해안은 1802년 영국 항해사 매튜 플린더스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대륙 일주 항해를 하며 처음으로 정확하게 지도화했다. 이후 육지에서의 조사는 영국 탐험가 에드워드 존 에어에 의해 1840년부터 1841년까지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5. 자연사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2015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약 5천만 년 전 곤드와나 대륙이 분리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 대륙이 나뉘어질 때 형성되었다.[9][10] 만의 해안선은 높이가 최대 60m에 달하는 절벽서핑을 즐기기 좋은 해변, 그리고 암반 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11] 이러한 독특한 자연환경은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가 되고 있으며, 특정 시기에는 고래 관찰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11][12]

5. 1. 지형 및 기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약 5천만 년 전 곤드와나 대륙이 분리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 대륙이 나뉘어질 때 형성되었다.[9][10]

만의 해안선은 높이가 최대 60m에 달하는 절벽서핑을 즐기기 좋은 해변, 그리고 암반 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11]

만의 해안선 대부분과 접하고 있는 널라보 평원은 과거 마이오세 시기에 융기한 해저 지형이다.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형이 매우 평탄하다. 이곳의 기후는 강수량이 매우 적고 여름철 기온과 증발률이 높은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를 나타낸다. 지표면으로 물이 흐르는 하천과 같은 배수 시스템은 발달하지 않았으나, 석회암 지반 아래로 물이 스며들어 동굴을 형성하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해 있다. 널라보 평원 북쪽으로는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이 펼쳐져 있으며, 이곳의 물은 내륙 유역 시스템을 통해 흘러가 여러 개의 작은 염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형 및 기후적 특징으로 인해 육지로부터 지표수 유출이나 영양분 공급이 매우 적다. 따라서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다른 주요 대륙붕 지역에 비해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빈영양 상태)를 보인다.

5. 2. 생물 다양성

커먼웰스 해양 보호 구역의 절벽.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지표수 유출과 육상 영양분의 부족으로 인해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다른 주요 대륙붕에 비해 영양분이 적어 일반적으로 "바다의 사막"으로 불리기도 한다.[14] 하지만 만의 동부, 에어 반도 해안을 따라서는 심해수가 계절적으로 솟아오르는 현상(용승)이 발생하여 표층수에 풍부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는 중요한 해양 생태계 핫스팟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14]

여름과 가을철의 용승 현상은 높은 영양분 농도를 가져와 식물성 플랑크톤의 1차 생산을 활발하게 한다. 이는 풍부한 동물 플랑크톤 군집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정어리멸치 같은 작은 플랑크톤성 어류가 호주 해역에서 가장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배경이 된다. 어린 남방 참다랑어는 이 풍부한 먹이 자원을 찾아 매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으로 이동한다.[14]

이처럼 특정 조건 하에서는 풍부한 생태계를 이루며,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해역은 전반적으로 높은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 특히 거대 조류(macroalgae)는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며 1,200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또한, 대부분의 무척추동물 그룹에서 종의 90% 이상이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이지만, 이 만에만 서식하는 종의 비율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4]

남부 호주에 서식하는 약 600종의 어류 중 약 370종이 이 지역에서 기록되었다. 해안 가오리(''Urolophus orarius'')나 관모 세동가리(''Trinorfolkia cristata'')처럼 남호주에만 서식하며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에서 발견되는 고유종도 존재한다.[14] 하지만 만 전체의 어류 분포나 풍부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14]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해양 포유류 두 종에게 필수적인 서식지를 제공한다.

  • 남방긴수염고래(''Eubalaena australis'')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매년 겨울철 헤드 오브 바이트 지역에서 새끼를 낳고 번식한다.[12][14] 이 고래들은 남극의 먹이 터에서 이동해 온 후, 다시 남극으로 돌아갈 때까지 이 지역에서 먹이를 먹지 않는다.[12] 과거 19세기 포경 활동으로 인해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했으나, 이후 보호 노력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13] 고래 관찰은 이 지역의 중요한 관광 활동 중 하나이다.[11]
  • 호주 바다사자(''Neophoca cinerea'')는 호주 고유종으로 현재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만의 절벽 지대에 형성된 작은 군집에서 번식한다.[14]


이처럼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독특하고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이곳의 복잡한 생태계를 보존하고 자원 추출이나 기타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4] 해안선의 자연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곳 중 하나로 에어 조류 관측소가 있다.

6. 고래 관찰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다양한 고래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특히 만의 서부와 동부 해안, 그리고 만 안쪽은 남방긴수염고래가 겨울철에 새끼를 낳고 기르기 위해 찾아오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만 안쪽 지역에서는 고래 보호를 위해 보트를 이용한 접근은 제한되지만, 대신 육상에서 고래 관찰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남방긴수염고래 외에도 큰돌고래참돌고래 등이 관찰되며, 때로는 혹등고래, 밍크고래, 향유고래, 범고래, 참고래 등 다른 종류의 고래들도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영양분이 풍부한 이 해역은 피그미푸른고래의 중요한 먹이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피그미푸른고래는 주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서식하기 때문에 배를 이용한 관찰은 어렵지만, 헬리콥터를 타고 상공에서 관찰하는 투어가 가능하다.

6. 1. 남방긴수염고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남방긴수염고래(''Eubalaena australis'')에게 매우 중요한 서식지이다. 매년 남반구의 겨울철이 되면, 남방긴수염고래들은 남극의 여름 먹이터를 떠나 이곳으로 이동해 온다.[12] 특히 만 안쪽의 헤드 오브 바이트(Head of Bight) 지역은 고래들이 새끼를 낳고 기르는 주요 번식 장소로 이용된다.[12][14] 고래들은 이곳에 머무는 동안 먹이를 먹지 않고 육아에 집중하며, 이후 다시 남극으로 돌아간다.[12]

과거 19세기 포경 산업으로 인해 남방긴수염고래의 개체 수는 심각하게 감소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보호 노력에 힘입어 그 수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13] 남방긴수염고래는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보존 대상 종으로, 호주 연방의 환경 보호 및 생물 다양성 보존법(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ct 1999)에 따라 '멸종 위기(endangered)' 종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14]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해안선은 높은 절벽 지형을 갖추고 있어 육상에서의 고래 관찰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며, 이는 겨울철 인기 있는 생태 관광 활동 중 하나이다.[11] 다만, 만 안쪽에서는 고래 보호를 위해 보트를 이용한 접근이나 관광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6. 2. 기타 고래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에서는 남방긴수염고래 외에도 다양한 고래류가 발견된다. 큰돌고래참돌고래가 관찰되며, 때로는 혹등고래, 밍크고래, 향유고래, 범고래, 참고래 등도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이 해역은 영양분이 풍부하여 플랑크톤크릴이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피그미푸른고래에게 중요한 먹이 공급원이 된다.

6. 3. 피그미푸른고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해역은 영양분이 풍부하여 플랑크톤크릴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곳은 피그미푸른고래에게 훌륭한 먹이 공급원이 된다. 피그미푸른고래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주로 머물기 때문에 배를 이용한 관찰 투어는 없다. 대신, 헬리콥터를 타고 상공에서 관찰하는 투어가 있다.

7. 현재 상황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경제적으로 어업, 포경, 조개류 산업 등에 활용되어 왔다. 특히 남방 참다랑어는 주요 어획 대상 중 하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만에서의 석유 및 가스 탐사가 시도되었으나,[15]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와 지역 사회의 반대,[18][19] 그리고 경제성 문제 등으로 인해 BP, 에퀴노르, 셰브론과 같은 주요 기업들의 탐사 계획은 결국 무산되었다.[17][21][24] 호주 상원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20]

해안선을 따라 세두나나 유클라(Eucla) 같은 일부 정착지에는 만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만, 에어 고속도로나 널라보 평원에 위치한 다른 지역들은 접근성이 좋지 않다.

7. 1. 어업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은 경제적으로 오랜 기간 어업, 포경, 조개류 산업의 일부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남방 참다랑어는 이 만에서 가장 선호되는 어획 대상이었다.

만의 해양 환경은 육지로부터 영양분 유입이 적어 빈영양 상태로 "바다의 사막"이라 불리기도 하지만,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과거부터 포경을 포함한 어업 활동의 무대가 되어 왔다. 현재는 고래류와 상어류의 개체 수가 많아 이상적인 고래 관찰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7. 2. 석유 및 가스 탐사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에서의 석유 및 가스 탐사는 1960년대 후반에 처음 시작되었다.[15] BP, 에퀴노르, 셰브론과 같은 여러 주요 석유 회사들은 2017년부터 이 지역 남부에서 탐사정 시추 계획을 제안했다.[16] 그러나 2016년 10월 11일, BP는 해당 계획이 경쟁력이 없고 자사의 전략적 목표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탐사 계획을 철회했다.[17]

탐사 제안은 지역 사회의 반대에 직면했으며,[18] 특히 호주 야생 보호 협회는 최악의 경우 석유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 호주 남부 해안선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19] 이러한 상황에서 호주 상원은 2016년 2월 22일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에서의 석유 또는 가스 생산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으며, 이 조사는 2016년 호주 연방 선거 이후인 9월 13일에 재개되었다.[20]

2017년 10월에는 셰브론 역시 이 프로젝트에서 철수했지만,[21] 2019년에 BP와 함께 탐사에 다시 참여했다.[22] 국가 해양 석유 안전 및 환경 관리 당국(NOPSEMA)은 2019년 말 탐사 계획을 승인했지만,[23] 에퀴노르는 결국 2020년 2월, 수익성 문제를 이유로 프로젝트에서 최종적으로 철수했다.[24]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PDF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4] PDF AHS – AA609582 http://www.hydro.gov[...] The Australian Hydrographic Service 2012-07-05
[5] 백과사전 Great Australian Bight https://www.britanni[...] 2011-09-29
[6] 웹사이트 Marine Gazetteer Placedetails http://www.marinereg[...] VLIZ 2013-05-30
[7] 논문 Origin of the Late Neogene Roe Plains and their calcarenite veneer: implications for sedimentology and tectonics in the Great Australian Bight 2006
[8] 서적 Coastal Landscapes of South Australia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2016
[9] 웹사이트 http://rses.anu.edu.[...] 2022-03
[10] 웹사이트 Dispersal of Gondwanaland http://homepages.see[...] University of Leeds 2008-10-21
[11] 웹사이트 National Parks South Australia > Whale watching http://www.environme[...] 2015-03-12
[12] 뉴스 Nature’s glory makes a whale of a splash http://www.adelaiden[...] Sunday Mail 2014-08-02
[13] 보고서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for the Southern Right Whale - A Recovery Plan under the 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ct 1999 (2011–2021) http://www.environme[...] 2015-03-12
[14] 서적 Benthic Protection Zone of the great Australian Bight Marine Park: 1. Literature Review http://www.environme[...] South Australi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3-12
[15] 웹사이트 Petroleum Exploration in the Great Australian Bight http://www.petroleum[...] South Australia State Development
[16] 뉴스 Oil giant Chevron aiming to begin drilling its first exploration well in the Great Australian Bight in 2017 http://www.adelaiden[...] 2015-08-28
[17] 뉴스 BP withdraws from Great Australian Bight drilling http://www.abc.net.a[...] ABC 2016-10-11
[18] 웹사이트 Campaigns that Changed South Australia https://commonslibra[...] 2024-02-29
[19] 뉴스 BP oil spill in Great Australian Bight would be catastrophic, modelling shows https://www.theguard[...] 2015-10-09
[20] 웹사이트 Oil or Gas Production in the Great Australian Bight - Senate Committee http://www.aph.gov.a[...]
[21] 뉴스 Chevron drops Great Australian Bight drilling plans https://www.abc.net.[...] 2022-03-14
[22] 웹사이트 BP, Chevron to invest $116M on exploration in Australia after Bight exit https://www.offshore[...] 2022-03-14
[23] 웹사이트 Environment Plan: Stromlo-1 exploration drilling program https://docs.nopsema[...] 2019-12-19
[24] 뉴스 Great Australian Bight: Equinor abandons controversial oil drilling plans https://www.bbc.com/[...] 2022-03-14
[25]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