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대통령은 그리스의 국가 원수이며, 그리스군 최고사령관이자 의전 서열 1위이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그리스 의회에서 선출되며, 헌법에 따라 의회 의장이 대통령 유고 시 직무를 대행한다. 1974년 이후 제3공화국에서 현재까지 8명의 대통령이 재임했으며, 현재 대통령은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이다. 대통령의 공식 관저는 아테네에 위치한 대통령 관저이다.

2. 권한

대통령은 그리스군의 명목상 최고사령관이며, 국가 의전 서열에서 첫 번째 자리에 있다. 1974년 그리스 헌법은 대통령에게 상당한 권한을 부여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스 총리가 그리스 정부의 실질적인 행정 수반이자 국가의 주요 정치 지도자이다. 대통령의 역할은 1986년 그리스 헌법 개정을 통해 실질적인 권한이 축소되면서 공식적으로 관행에 부합하게 되었다.

의회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에게는 정부의 요청에 따라 선전 포고, 강화 조약 체결, 동맹, 국제 기구 가맹 권한이 부여된다. 이러한 협정 및 조약을 비준하려면 의회 5분의 3의 찬성이 필요하다. 대통령은 또한 각료의 부서 하에 비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1986년 헌법 개정으로 권한이 축소되어, 의회 해산, 총리 해임, 헌법 일부 정지, 비상사태 발령을 할 수 없게 되었다.

3. 선출

그리스 헌법 제32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그리스 의회에 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임기 만료 최소 한 달 전에 특별 회의에서 선출된다. 투표는 최대 5차에 걸쳐 진행되며, 각 차수 사이에는 5일 이내의 간격이 있다.[2]

1차 및 2차 투표에서는 의회 300명 의원 중 200명(과반수 초과)이 필요하며, 3차 투표에서는 180명으로 줄어든다. 4차 투표에서는 151표(단순 과반수)가 필요하다. 5차 투표는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두 후보 간에 치러지며 상대 다수 득표로 결정된다.[2]

의회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4. 취임 선서

대통령은 취임 전 그리스 의회 앞에서 선서를 해야 하며, 이는 그리스 헌법 제33조 2항에 따른다.[2]

"나는 거룩하고, 동일본질이며, 불가분한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헌법과 법률을 수호하고, 이를 충실히 준수하며, 국가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옹호하고, 그리스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며, 그리스 국민의 일반적인 이익과 진보에 봉사할 것을 맹세합니다."

5. 대통령 권한 대행

그리스 헌법에 따르면, 질병, 해외 여행 등의 사유로 그리스 대통령이 일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의회 의장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아 대통령이 직무를 재개할 때까지 국가 원수로서의 권한을 행사한다.[1] 대통령이 사망, 사임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궐위된 경우에도 새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의회 의장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는다.[1] 가장 최근에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던 사람은 1985년 콘스탄틴 카라만리스의 사임 이후 요안니스 알레브라스였다.[1]

6. 역대 대통령

그리스의 역대 대통령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1828년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그리스 독립 전쟁그리스 제1공화국의 통치자로 취임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이후에는 그의 동생인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통치 평의회를 이끌었다.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파블로스 쿤두리오티스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장군의 군사 독재 기간을 거쳐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대통령 재임 중 왕정이 복고되었다.

1967년 4월 21일 쿠데타로 그리스 군사 정권이 집권하여 1974년까지 지속되었다. 군사 정권은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선포하여 대통령제를 도입했다. 게오르기오스 조이타키스,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페돈 키지키스가 차례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974년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현재의 제3 헬레니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페돈 기지키스 임시 대통령 이후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가 첫 선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후 콘스탄티노스 차초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를 거쳐, 2020년부터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가 현직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6. 1. 제1공화국 (1828-1833)

총독 (Κυβερνήτηςel)초상생몰년임기비고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776년 2월 11일 - 1831년 10월 9일1828년 1월 24일 - 1831년 10월 9일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778년 - 1857년1831년 10월 9일 - 1832년 4월 9일이오아니스의 동생.
통치 평의회1832년 4월 9일 - 1833년 2월 2일


6. 1. 1. 통치자

총독 (Κυβερνήτηςel)초상생몰년임기비고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1776년 2월 11일 - 1831년 10월 9일1828년 1월 24일 - 1831년 10월 9일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1778년 - 1857년1831년 10월 9일 - 1832년 4월 9일이오아니스의 동생. 형의 암살로 인해 임시 정부 위원장을 역임.
통치 평의회1832년 4월 9일 - 1833년 2월 2일왕정으로 이행되기 전까지 잠정 통치


6. 2. 그리스 왕국 (1833-1924, 1935-1973)

그리스 왕국, 그리스 국왕 목록 문서를 참조하라.

6. 3. 제2공화국 (1924-1935)

그리스 제2 공화국 참조

대통령초상생몰년도비고
파블로스 쿤두리오티스
1855년 4월 9일 - 1935년 8월 22일제1기, 제2기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1878년 1월 11일 - 1952년 2월 26일군사 독재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1855년 11월 9일 - 1936년 9월 15일왕정 복고로 인해 사임


6. 3. 1. 대통령

1926년 8월 24일 - 1929년 12월 9일제1기, 제2기테오도로스 판갈로스1926년 3월 15일 - 1926년 8월 24일군사 독재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1929년 12월 9일 - 1935년 10월 10일왕정 복고로 인해 사임


6. 4. 군사 정권 (1967-1974)

1967년 4월 21일 쿠데타로 그리스 군사 정권이 집권하면서 1974년까지 군사 정권이 지속되었다. 군사 정권은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선포하여 대통령제를 도입했다.

대통령생몰년임기비고
게오르기오스 조이타키스1910년 1월 10일 - 1996년 10월 21일1967년 12월 13일 - 1972년 3월 21일그리스 왕국 섭정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1919년 5월 5일 - 1999년 6월 27일1972년 3월 21일 - 1973년 6월 1일그리스 왕국 섭정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1919년 5월 5일 - 1999년 6월 27일1973년 6월 1일 - 1973년 11월 25일공화국 선언에 따라 대통령 취임
페돈 키지키스1917년 6월 16일 - 1999년 7월 27일1973년 11월 25일 - 1974년 7월 24일


6. 4. 1. 대통령

1967년 4월 21일 쿠데타 이후 그리스를 통제했던 그리스 군사 정권이 종식되고,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인 1974년에 현재의 제3 헬레니즘 공화국(Γʹ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el)이 수립되었다.

1973년 6월 1일, 군사 정권의 지도자이자 망명한 콘스탄티노스 2세 국왕의 섭정이었던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는 그리스 왕정을 폐지하고 스스로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포했다.[1] 1973년 7월 29일에 열린 조작된 1973년 그리스 공화국 국민투표는 정권 교체를 확인했으며, 대통령제를 확립하는 새로운 1973년 그리스 헌법을 통과시켰다.[1] 이러한 통제된 민주화 시도는 1973년 11월 25일 디미트리오스 이오안니디스 준장이 파파도풀로스를 전복시키면서 종결되었다.[1] 공화국과 그 상징은 형식적으로 유지되었지만, 군사 정권을 위한 겉치레에 불과했다.[1] 페돈 키지키스 중장이 공화국 대통령으로 임명되었지만, 권력은 배후에서 통치한 이오안니디스의 손에 있었다.[1]

1974년 8월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하에서 군사 정권이 몰락하고 민간 통치가 재개된 후, 군사 정권의 헌법적 행위는 무효로 간주되었고, 1974년 12월 8일 새로운 1974년 그리스 공화국 국민투표가 열려 왕정 폐지를 확인했다.[1] 그동안 키지키스는 대통령직을 유지했다.[1] 국민 투표 이후, 그는 첫 번째 선출된 대통령인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1]

1975년 6월 11일에 공포된 그리스 헌법은 그리스를 "대통령 의원 내각제 민주주의" (또는 "공화국" –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는 두 가지 방식으로 번역될 수 있음)로 선언했다.[1] 1985년, 2001년, 2008년 및 2019년에 개정된 이 헌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1]

대통령생몰년임기비고
게오르기오스 조이타키스1910년 1월 10일
- 1996년 10월 21일
1967년 12월 13일
- 1972년 3월 21일
그리스 왕국 섭정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1919년 5월 5일
- 1999년 6월 27일
1972년 3월 21일
- 1973년 6월 1일
그리스 왕국 섭정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1919년 5월 5일
- 1999년 6월 27일
1973년 6월 1일
- 1973년 11월 25일
공화국 선언에 따라 대통령 취임
페돈 키지키스1917년 6월 16일
- 1999년 7월 27일
1973년 11월 25일
- 1974년 7월 24일


6. 5. 제3공화국 (1974-현재)

1967년 4월 21일 쿠데타로 집권한 그리스 군사 정권이 종식되고, 1974년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현재의 제3 헬레니즘 공화국(Γʹ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제3 헬레니즘 공화국el)이 수립되었다.

1973년 6월 1일, 군사 정권 지도자이자 망명한 콘스탄티노스 2세 국왕의 섭정이었던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는 그리스 왕정을 폐지하고 스스로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포했다. 조작된 1973년 그리스 공화국 국민투표로 정권 교체가 확인되었고, 대통령제를 확립하는 1973년 그리스 헌법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1973년 11월 25일 디미트리오스 이오안니디스 준장이 파파도풀로스를 전복시키면서 이러한 민주화 시도는 종결되었다. 공화국은 형식적으로 유지되었지만, 군사 정권의 겉치레에 불과했다. 파에돈 기지키스 중장이 대통령으로 임명되었으나, 실권은 이오안니디스가 쥐고 있었다.

1974년 8월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하에서 군사 정권이 몰락하고 민간 통치가 재개되자, 군사 정권의 헌법적 행위는 무효로 간주되었고, 1974년 그리스 공화국 국민투표로 왕정 폐지가 확정되었다. 기지키스는 대통령직을 유지하다가, 국민 투표 이후 첫 선출 대통령인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1975년 6월 11일 공포된 그리스 헌법은 그리스를 "대통령 의원 내각제 민주주의" (또는 "공화국" –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는 두 가지 방식으로 번역될 수 있음)로 규정했으며, 1985년, 2001년, 2008년, 2019년 개정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6. 5. 1. 대통령

Φαίδων Γκιζίκης|페돈 기지키스el
Phaedon Gizikis|페돈 기지키스영어
무소속-1974년 7월 24일
- 1974년 12월 18일임시 대통령1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
Μιχαήλ Στασινόπουλος|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el
Michail Stasinopoulos|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영어--신민주주의당
ΝΔ|신민주주의당el11974년 12월 18일
- 1975년 6월 19일colspan="2" |2콘스탄티노스 차초스
Κωνσταντίνος Τσάτσος|콘스탄티노스 차초스el
Constantine Tsatsos|콘스탄티노스 차초스영어
신민주주의당
ΝΔ|신민주주의당el21975년 6월 19일
- 1980년 5월 15일colspan="2" |3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Καραμανλής|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el
Konstantinos Karamanlis|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영어
신민주주의당
ΝΔ|신민주주의당el31980년 5월 15일
- 1985년 3월 10일임기 만료 전에 사임-요안니스 알레브라스
Ιωάννης Αλευράς|요안니스 알레브라스el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ΠΑΣΟΚ|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el1985년 3월 10일
- 1985년 3월 30일대통령 대행
(국회의장)4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
Χρήστος Σαρτζετάκης|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el
Christos Sartzetakis|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영어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ΠΑΣΟΚ|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el41985년 3월 30일
- 1990년 3월 4일colspan="2" |5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Καραμανλής|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el
Konstantinos Karamanlis|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영어신민주주의당
ΝΔ|신민주주의당el51990년 3월 4일
- 1995년 3월 10일colspan="2" |6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Κωνσταντίνος Στεφανόπουλος|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el
Konstantinos Stephanopoulos|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영어
무소속61995년 3월 10일
- 2000년 3월 12일colspan="2" |72000년 3월 12일
- 2005년 3월 12일7카롤로스 파풀리아스
Κάρολος Παπούλιας|카롤로스 파풀리아스el
Karolos Papoulias|카롤로스 파풀리아스영어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ΠΑΣΟΚ|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el82005년 3월 12일
- 2010년 3월 12일colspan="2" |92010년 3월 12일
- 2015년 3월 12일8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
Προκόπης Παυλόπουλος|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el
Prokopis Pavlopoulos|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영어
신민주주의당
ΝΔ|신민주주의당el102015년 3월 13일
- 2020년 3월 13일colspan="2" |9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Κατερίνα Σακελλαροπούλου|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el
Katerina Sakellaropoulou|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영어
무소속112020년 3월 13일
- 현재colspan="2" |


7. 공식 관저

아테네 대통령 관저


그리스 대통령의 공식 관저는 아테네 중심부에 있는 대통령 관저이며, 이전에는 신 왕궁이었다.

참조

[1] 뉴스 Κατερίνα Σακελλαροπούλου: Πρόεδρος της Δημοκρατίας με 261 ψήφους https://www.newsit.g[...] NewsIT 2020-01-22
[2] 웹사이트 President: Election of the President http://www.presidenc[...] Presidency of the Hellenic Republic 2015-02-17
[3] 문서 섭정이나 임시 대통령.
[4] 문서 군사 정권이 임명한 사람.
[5] 문서 1967년에 그리스를 떠났다. 1973년에 파파도풀로스가 왕정을 폐지할 때까지 법적으로 국가 원수였다.
[6] 문서 1973~1974년에 군사 정권이 선포한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