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일본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일본질(ὁμοούσιος, homoousios)은 "동일한 본질"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이 용어는 영지주의에서 먼저 사용되었으며, 니케아 신경 채택 이전 오리겐과 같은 초기 교회 저술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4세기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의 기독론 논쟁에서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니케아 신경은 성자가 아버지와 동일한 본질을 가진다고 선언했다. 니케아 신조에서 이 단어의 사용은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제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리 - 조직신학
    조직신학은 성경적, 논리적 체계를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핵심 주제인 계시, 삼위일체, 인간, 그리스도, 구원, 교회, 종말 등을 다루는 학문이다.
  • 교리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삼위일체 -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은 기독교의 주요 신조로,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의 신인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으로 아타나시우스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남부 골 지방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방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영원한 저주"와 같은 구절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삼위일체 - 가톨릭 신학
    가톨릭 신학은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신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는 학문으로, 하느님과의 만남을 통해 드러나는 계시를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된 계시를 중심으로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갈망, 삼위일체, 성사, 구원론, 사후 세계 등을 다루며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제시하고 다른 교파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그리스도론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그리스도론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일본질

2. 용어

ὁμοούσιον(호모우시온)이라는 용어는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동일 본질grc대격 형태로, 니케아 공의회 (325년)에서 그리스도의 존재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채택되었다.[2] 이 용어는 그리스어 원본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 라틴어에는 동사 'to be'의 현재 분사가 없기 때문에 두 가지 주요한 대응 변형이 발생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용어 ousia||grc는 라틴어로 일반적으로 essentia|본질la 또는 substantia|실체la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어 용어 homoousios||grc는 결과적으로 라틴어로 coessentialisla 또는 consubstantialisla로 번역되었고, 이로 인해 영어 용어 'coessential'과 'consubstantial'이 생겨났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homoousios||grc가 정확하게는 'coessential'로 번역되는 반면, 'consubstantial'은 훨씬 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공동 기도문''은 이 용어를 "아버지와 동일 본질을 지닌"으로 표현한다.[3]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동일 본질grc에서 신학 용어 ὁμοουσιότης|호모우시오테스|동일 본질성grc도 파생되었다. 이 용어는 알렉산드리아의 디디무스와 다른 신학자들과 같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저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3. 니케아 이전 사용

ὁμοούσιοςgrc 용어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채택되기 이전에 사용되었다.[4][5][6][7][8][9][10][11][12][13] 기독교 영지주의에서 ὁμοούσιοςgrc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영지주의 이전에는 그 존재의 흔적이 전혀 없다.[14] 초기 교회 신학자들은 영지주의의 유출설 교리를 알고 있었을 것이다. 영지주의 텍스트에서 이 단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생성자'와 '생성된' 사이의 본질의 동일성.
  • '같은 본질에서 생성된' 것들 사이의 본질의 동일성.
  • '시지기'의 파트너들 사이의 본질의 동일성.


예를 들어, 바실리데스는 무(無)이신 신과 동일 본질의 세 아들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15][16] 발렌티누스주의 영지주의자 프톨레마이오스는 플로라에게 보낸 편지에서 선한 신의 본성은 자신과 유사하고 동일 본질의 존재만을 낳고 낳는 것이라고 말한다.[17] 이처럼 ὁμοούσιοςgrc라는 단어는 이미 2세기 영지주의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그들의 저술을 통해 정통 이단자들에게 알려졌지만, 이러한 영지주의적 용어 사용은 니케아 신경에서와 같이 성부와 성자 사이의 특정한 관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18]

4. 니케아 신경 채택

니케아 신경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독교 교회에서 성부, 성자, 성령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공식 교리이다.

오리겐은 비삼위일체론적 맥락에서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라는 단어를 사용한 최초의 교회 저술가로 보인다.[19] 그러나 그는 성자의 신성을 성부의 신성보다 열등하다고 여겼다.[20]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성자는 아버지와 정확히 동일한 본질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니케아 신경에서 성자는 아버지처럼 불변한다고 선언되었다.[21]

니케아 신경[23]아타나시우스 신경[24]은 성자가 아버지로부터 나셨고 아버지와 동등하다고 단언한다.

일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 안의 세 위격 간의 구별을 강조하기 위해 ὁμοιούσιος|호모이우시오스grc()라는 용어[29]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grc라는 용어는 니케아 정통주의의 일관된 표식이 되었다.

이 교리는 4세기에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 사이의 기독론에 대한 아리우스 논쟁 동안 형성되었다.

아타나시우스와 다른 친니케아주의자들은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온grc 또는 동질성에 대한 교리를 고집했고, 결국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에서 그 사용이 확인되었다.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전에 니케아 신경이 합법적인 교리이며 반대하는 자는 이단이라고 선언하는 칙령을 발표했다.[30]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고 의장을 맡았던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니케아 신경에서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온grc이라는 단어의 사용을 제안했다.[32]

5. 아리우스 논쟁과 호모우시오스

4세기에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 사이의 기독론 논쟁은 호모우시오스(ὁμοούσιος, 동일본질) 교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아리우스는 성자가 성부와 본질이 다르다고 주장한 반면, 아타나시우스는 성자가 성부와 동일한 본질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 논쟁 과정에서 다양한 아리우스주의 분파가 나타났다.

분파설명
호모이우시안주의 (ὅμοιος|호모이오스|비슷한grc)성자는 "본질상 비슷"하지만 반드시 아버지의 본질과 동일시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
호모이안주의 (ὅμοιος|호모이오스|비슷한grc)성자는 본질이나 본질에 대한 언급 없이 성부와 유사하다고 선언. 일부는 다른 설명을 지지하기도 함.
헤테로우시안주의 (아노모이안주의 포함)성부와 성자는 본질 및/또는 속성이 다르다고 주장.



아타나시우스는 이러한 주장에 맞서 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온|동일본질grc 교리를 옹호했으며, 이는 결국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년)에서 확인되었다.[30]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니케아 신조를 합법적인 교리로 선언하는 칙령을 발표했다.[30]

6. 사벨리우스주의와의 관계

ὁμοούσιοςgrc(호모우시온)라는 용어는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 그리스도의 존재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채택되었다.[2]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사용되었으며, 라틴어로는 coessentialisla 또는 consubstantialisla로 번역되었다. 영어로는 ''coessential''과 ''consubstantial''로 번역되는데, 일부 현대 학자들은 전자가 더 정확한 번역이며, 후자는 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3] 성공회 공동 기도문에서는 이 용어를 "아버지와 동일 본질을 지닌"으로 표현한다.

ὁμοούσιοςgrc(동일 본질)에서 신학 용어 ὁμοουσιότηςgrc(동일 본질성)도 파생되었다.

7.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누스 대제

니케아 신경에서 호모우시온(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동일본질grc)이라는 단어는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제안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고 의장을 맡았으며, 이 단어 사용을 지지하도록 했다.[2] 아리스토텔레스 용어 ousia|우시아grc는 라틴어로 essentiala(본질) 또는 substantiala(실체)로 번역되었고,[3] 그리스어 homoousios|호모우시오스grc는 라틴어로 coessentialisla 또는 consubstantialisla로 번역되었다.

참조

[1] LSJ οὐσία
[2] L&S consubstantialis
[3]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http://justus.anglic[...] Charles Wohlers 2018-01-21
[4] 간행물 Dogmengeschichte
[5] 간행물 L'homoousios preniceno
[6] 간행물 El Simbolo Niceno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7] 간행물 El Homoousios Preniceno Extraeclesiastico
[8] 간행물 God in Patristic Thought SPCK
[9] 간행물 Aufierchristliche Einflilsse auf die Entwicklung des christlichen. Trinitatsdogmas, zugleich ein religions- und dogmengeschichtlicher Versuch zur Erklarung der Herkunft der Homousie Brill
[10] 간행물 L'heresie d'Arius et la 'foi' de Nicke Letouzey & Ane
[11] 간행물 Early Christian Creeds Longman
[12] 간행물 Homoousios. Die Geschichte des Begriffs bis zum Konzil von Konstantinopel (381)
[13] 간행물 Divine Substance
[14] 간행물 Christ in Christian Tradition Mowbrays
[15] 간행물 Refutatio omnium haeresium
[16] 간행물 Patristische Texte und Studien W de Gruyter
[17] 간행물 Panarion
[18] 서적 "The Pattern of Christian Truth: A Study in the Relations Between Orthodoxy and Heresy in the Early Church." AMS Press
[19] 간행물 PG
[20] 간행물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The Chicago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T&T Clark
[22] 학술지 Origen's Anti-Subordinationism and Its Heritage in the Nicene and Cappadocian Line Brill
[23] 웹사이트 Nicene Creed http://www.reformed.[...] 2017-05-31
[24] 웹사이트 Athanasian Creed http://www.reformed.[...] 2017-05-31
[25] 웹사이트 The Trinity: Doctrine Development and Definition http://www.christian[...] 2017-06-01
[26] 웹사이트 Orthodoxy: An Ironic Side Note on Heresy, and the Trinity http://www.christian[...] 2017-06-01
[27] 웹사이트 Holy Trinity and Modern Arians Part 2 http://www.biblicalc[...] 2017-06-01
[28] 학술지 The Antecedents of Arius
[29] LSJ ὁμοούσιος
[30] 기타 Theodosian Code 16:2, 1 Friell, G., Williams, S., Theodosius: The Empire at Bay, London, 1994.
[31] 간행물 Select Treatises Longmans, Green, & Co
[32] 서적 Byzantium: The Early Centuries Guild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