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리니케 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니케 교는 독일의 하펠 강 협곡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북쪽의 융퍼젠제 호수와 남쪽의 글리니커 호수 사이에 위치한다. 1660년 최초의 나무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이후 벽돌 다리를 거쳐 1907년 현재의 철제 다리가 개통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서베를린과 동독 사이의 국경 통과 지점으로, 미국과 소련 간의 스파이 교환 장소로 사용되어 "스파이의 다리"라는 별칭을 얻었다. 2015년 영화 《스파이 브릿지》의 촬영지로도 사용되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글리니케 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글리니케 교
원어 이름Glienicker Brücke
원어독일어
다른 이름스파이의 다리
명명 유래글리니케 궁전
위치반제 - 포츠담
구조 정보
통과 도로연방도 1호선
하천하펠 강
길이128m
22m
최대 경간74m
역사 정보
개통1907년
기타 정보
웹사이트글리니케 교
[[포츠담]]과 [[베를린]]을 잇는 글리니케 교, [[바벨스베르크 공원]]에서 바라본 모습
포츠담과 베를린을 잇는 글리니케 교, 바벨스베르크 공원에서 바라본 모습

2. 위치

글리니케 다리, 동쪽을 바라보며


이 다리는 북쪽의 융퍼젠제와 남쪽의 글리니커 호수 사이의 하펠 강을 가로지른다. 1번 연방 고속도로가 이 다리를 통과한다. 글리니케 궁전과 야흐트슐로스 글리니케는 다리의 동쪽(베를린) 끝 근처, 고속도로 맞은편에 있다. 포츠담 트램 93번(포츠담 중앙역에서 출발)과 베를린 버스 316번(반제역에서 출발)은 다리의 포츠담 쪽 종점에 있는 트램 정류장에서 종착하고 서로 연결된다. 포츠담과 반제 역은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3. 역사

1970년대에 글리니케 교는 노후화되어 대대적인 수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리 비용은 서베를린 정부와 동독 정부 간의 분쟁 원인이 되었다. 1980년 서베를린 정부는 다리의 서베를린 쪽 절반을 수리했고, 1985년에는 동독 쪽 절반의 수리 비용을 지불하는 대가로 다리의 이름을 "통일의 다리"에서 "글리니케 다리"로 공식 변경했다.

1989년 11월 10일 저녁,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다음 날, 글리니케 다리는 보행자 통행이 재개되었다. 1990년 독일 통일 과정에서 국경 요새와 바리케이드는 철거되었다.

3. 1. 초기 역사

글리니케 다리, 프란츠 자비어 산드만의 그림, 1845년


1660년경, 이 지역의 하펠 강에 사냥터인 슈톨페로 가기 위해 최초의 나무 다리가 건설되었다. 1800년대 초, 프로이센의 수도 베를린과 호엔촐레른의 포츠담 거주지 사이 샤세의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비목재 다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은 1834년에 벽돌과 나무로 된 도개교를 설계하여 완공했다. 20세기 초, 싱켈의 다리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더 이상 처리할 수 없었고, 다리의 가동 부분을 작동시키는 것은 하펠 강에서 증기선 교통의 지연을 초래했다.

1904년, 프로이센 정부는 싱켈의 다리를 현대적인 철제 다리로 대체하기 위한 설계 공모전을 개최했다. 요한 카스파 하코르트 회사(Johann Caspar Harkort Company)가 당선작을 제출했고, 현재의 다리는 1907년 11월 16일에 개통되었다.

독일 영화 스튜디오 우파(Universum Film AG)는 1944년과 1945년에 글리니케 다리에서 영화 ''다리 아래서(Unter den Brücken)''를 촬영했다. 1945년 4월 말, 불발탄이 다리를 심각하게 손상시켰다. 이 철교의 재건은 서독동독이 수립된 후인 1949년에야 완료되었다. 동독 정부는 동독과 서방 연합군이 점령한 서베를린 사이의 국경이 다리 중간을 가로질렀기 때문에 이 다리를 "통일의 다리"라고 명명했다.

3. 2. 20세기 이후

20세기 초,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설계한 다리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더 이상 처리할 수 없게 되었고, 다리의 가동 부분은 하펠 강에서 증기선 교통의 지연을 초래했다.[1] 1904년, 프로이센 정부는 싱켈의 다리를 현대적인 철제 다리로 대체하기 위한 설계 공모전을 개최했다.[1] 요한 카스파 하코르트 회사(Johann Caspar Harkort Company)가 당선작을 제출했고, 현재의 다리는 1907년 11월 16일에 개통되었다.[1]

1944년과 1945년에 독일 영화 스튜디오 우파(Universum Film AG)는 글리니케 다리에서 영화 ''다리 아래서(Unter den Brücken)''를 촬영했다.[1] 1945년 4월 말, 불발탄이 다리를 심각하게 손상시켰다.[1] 이 철교의 재건은 서독동독이 수립된 후인 1949년에야 완료되었다.[1] 동독 정부는 동독과 서방 연합군이 점령한 서베를린 사이의 국경이 다리 중간을 가로질렀기 때문에 이 다리를 "통일의 다리"라고 명명했다.[1]

2012년, 냉전 시대에 이 다리에서 이루어진 스파이 교환을 그린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스파이 브릿지》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1]

3. 3. 냉전 시대

냉전 초기, 이 다리는 연합군이 베를린 구역과 군사 연락 임무가 있는 포츠담을 연결하는 통로로 주로 사용되었다. 두 도시의 독일 거주자들은 베를린과 포츠담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S반 교외 철도를 더 자주 이용했다. 1952년 5월 27일, 동독 당국은 서베를린과 서독 시민의 다리 통행을 금지했다. 1961년 8월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다리는 동독 시민의 통행도 금지되었다. 연합군 군사 요원과 외국 외교관만 항상 다리를 통행할 수 있었다.[1]

서베를린과 동베를린 사이, 그리고 서베를린과 동독 사이의 모든 검문소 중에서 글리니케 다리는 소련의 존재뿐만 아니라 완전한 소련의 통제하에 있다는 유일한 검문소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모든 검문소는 동독의 통제하에 있었고 소련의 존재는 없었다.[1]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리는 예상 수명을 다하여 상당한 수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리 비용은 서베를린 정부와 동독 정부 간의 분쟁의 초점이 되었다. 1980년 서베를린 정부는 다리의 자국 쪽 절반을 수리했고, 1985년 서베를린 정부는 다리의 "통일의 다리"에서 "글리니케 다리"로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대가로 동독 쪽 절반의 수리 비용을 지불했다.[1]

1989년 11월 10일 저녁, 베를린 장벽이 열린 다음 날, 글리니케 다리는 보행자에게 다시 개방되었다. 1990년 독일 통일의 일환으로 국경 요새와 바리케이드는 철거되었다.[1]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스파이 브릿지》는 2012년 냉전 시대에 이 다리에서 이루어진 스파이 교환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1]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에서는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루돌프 아벨을 교환하는 곳으로 등장한다.[1]

2015년 《스파이 브릿지》 촬영 중인 글리니케 교

3. 4. 스파이 다리



글리니케 다리는 동구권과 서방 세력에 속한 서베를린의 미국 구역 사이의 제한된 국경 통과 지점이었기 때문에, 미국과 소련은 간첩 교환을 위해 이 다리를 사용했으며, 다리는 동독이 아닌 소련에 의해 직접 통제되었다.[7] 기자들은 이를 "스파이의 다리"라고 불렀다.[3]

  • 1962년 2월 10일, 첫 번째 포로 교환이 이루어졌다.[7] 미국은 1957년 소련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루돌프 아벨을 게리 파워스와 교환했는데, 그는 1960년에 격추된 U-2 정찰기 조종사였다.[7]
  • 1985년 3월, 미국 무관 아서 D. 니콜슨이 소련 초병의 총에 맞아 사망했을 때, 그의 시신은 글리니케 다리에서 미 육군에 인도되었다.
  • 1985년 6월 12일, 동유럽에 억류된 23명의 미국 요원과 폴란드 요원 마리안 자차르스키 및 서방에서 체포된 다른 세 명의 소련 요원을 교환했다. 이 교환은 3년간의 협상 끝에 이루어졌다.[8]
  • 1986년 2월 11일, 최종 교환이 있었다. 인권 운동가(''거부자'')이자 정치범인 아나톨리 샤란스키(현재 나탄 샤란스키)와 세 명의 서방 요원은 칼 쾨처와 다른 네 명의 동구권 요원과 교환되었다.[9][10]
  • 2015년 톰 행크스 주연의 영화 《스파이 브릿지》에서는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루돌프 아벨을 교환하는 곳으로 등장한다.

4. 대중문화 속 글리니케 다리


  • 톰 행크스 주연의 2015년 영화 《스파이 브릿지》는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루돌프 아벨의 교환 장소로 글리니케 다리가 등장한다.
  • 1966년 해리 팔머 주연의 영화 ''베를린의 장례식'' ( 렌 데이턴의 소설 원작)등 여러 픽션 작품에서 죄수 교환 장소로 나온다.[1]
  • 영국 밴드 T'Pau는 그들의 첫 앨범 스파이 브릿지의 타이틀곡 제목으로 "스파이의 다리"라는 별칭을 사용했다.[2] 이는 "자유로의 여정"을 비유하며 오랫동안 꿈꿔왔던 관계를 상징한다.[3]
  • 어린이 TV 시리즈 ''코드네임: 이웃집 아이들''에서 KND 스파이와 십대 스파이 교환 장면에 등장하는 다리는 실제 죄수 교환을 패러디한 것이다.[4]
  • 아처 시즌 1 에피소드 6에서 말로리 아처와 KGB 수장 니콜라이 야코프 소령이 냉전 시대 베를린에서 비밀 작전 중 "달빛 아래 밤"에 만났다는 언급이 나온다.[6]
  •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톰 행크스 주연의 2015년 영화 ''스파이 브릿지''는 파워스-아벨 죄수 교환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7]
  • 1971년 영화 ''스파이를 잡아라''에서는 다리 중간 지점에서 교환 도중 한 명이 얼음물에 빠져 익사하는 장면으로 패러디된다.[8]

참조

[1] 웹사이트 Glienicke Bridge (Potsdam/Berlin-Wannsee, 1907) https://structurae.n[...] 2021-08-11
[2] 웹사이트 Stadtplan Berlin https://web.archive.[...] Berlin Transport Authority (BVG) 2011-05-10
[3] 뉴스 Shcharansky to Be Released In a Berlin Exchange Today https://www.nytimes.[...] 1986-02-11
[4] 웹사이트 I Spy: Bridge of Spies https://web.archive.[...] 2016-02-03
[5] 웹사이트 Bridge of Spies http://wcbe.org/post[...] 2015-10-19
[6] 웹사이트 Bridge of Spies/Bridge of Sighs http://www.patheos.c[...] 2015-10-19
[7] 뉴스 Prisoners Are Back on U.S. Soil After Release by Russians https://www.nytimes.[...] 2024-08-01
[8] 뉴스 U.s. Swaps 4 Spies For 25 Prisoners https://www.chicagot[...] 1985-06-12
[9] 뉴스 East, West exchange spies, Shcharansky https://web.archive.[...] 1986-02-11
[10] 뉴스 Lobbyist advised Trump campaign while promoting Russian pipeline http://www.politico.[...] 2016-10-07
[11] 뉴스 "'Tom Hanks mimt den Agenten-Anwalt" http://www.bild.de/r[...] Bild 2014-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