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왕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왕 단층은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일대에 걸쳐 분포하는 단층으로, 제4기 동안 여러 차례 재활동한 활성단층이다. 단층대의 구조는 주향 이동 단층의 특징을 보이며, ESR 연대 측정 결과 약 76만 년 전부터 11만 년 전까지 적어도 6번 이상 재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북도 음성군과 진천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인제군 등지에서 노두가 확인되었으며, 이 지역들에서 금왕 단층의 활동에 따른 지형 변화와 퇴적 분지가 발달했다. 금왕 단층은 음성 분지, 풍암 분지와 같은 퇴적 분지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진 발생 가능성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주시의 지리 - 고래산
    고래산은 고래 등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 여주 들녘의 산으로, 신라 시대 창건된 고달사 및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있는 고달사지가 남동쪽 자락에 위치하여 한국 불교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자 관광 명소이다.
  • 진천군의 지리 - 미호강
    미호강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흐르며 다수의 지류를 거느린 하천으로,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생태계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보호가 필요하다.
  • 진천군의 지리 - 서운산
  • 음성군의 지리 - 미호강
    미호강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흐르며 다수의 지류를 거느린 하천으로,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생태계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보호가 필요하다.
  • 음성군의 지리 - 가섭산
    가섭산은 디지털 TV, FM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 송출 시설이 위치한 곳으로, 충주, 제천, 음성, 이천, 여주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며, 이름은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명인 가섭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금왕 단층
지도
11번이 금왕 단층, 13번이 공주 단층
11번이 금왕 단층, 13번이 공주 단층
강원도와 동해안 지역의 지진(1978-2023)과 단층 분포도
명칭
이름금왕 단층
다른 이름금왕 斷層, Geumwang Fault
명명 유래음성군 금왕읍
위치
지역경기 육괴
위치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도시진천군, 음성군, 여주시, 원주시, 횡성군, 홍천군, 인제군
단층 정보
길이170 km
주향북동-남서
유형주향 이동 단층
유라시아판 및 아무르판 내부
상태활성단층?
지진직접 연관된 지진 없음
지질학적 정보
암석 단위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중생대 대보 화강암 및 불국사 화강암류, 백악기 초평층군
단층 형성 시기중생대 백악기 이후, 신생대 제4기에 다수 활동함

2. 금왕 단층의 구조와 특징

금왕 단층은 전형적인 주향 이동 단층으로, 단층핵, 혼합대, 단층손상대, 모암 등으로 구성된다.

2. 1. 단층대의 구조

금왕 단층은 지하 깊숙이 숨어 있지만 진천군에서 설악산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에서 그 흔적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3][1]

일반적인 대규모 단층대의 구조이다.
Core : 단층핵 Mixed Zone : 혼합대 Damage Zone : 단층손상대 Wall Rock : 모암 Gouge : 단층비지 Breccia : 단층각력암 Cataclasite : 압쇄암 Shear Zone : 전단대 Fracture : 단열, 절리, 균열 등 Veins : 세맥

3. 금왕 단층의 제4기 활동

금왕 단층은 제4기 동안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음성군 맹동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홍천군 동면, 서석면 그리고 인제군 상남면 일대에서 재활동하였다.[1] ESR 연대측정법을 통해 확인된 금왕 단층의 재활동 시기와 지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ESR 연대측정

ESR 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금왕 단층의 활동 시기를 추정하였다. 금왕 단층에 발달한 단층비지의 ESR 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면, 금왕 단층은 약 76만, 50만, 35만, 22만, 15만, 그리고 11만 년 전에 걸쳐 적어도 6번 재활동한 것으로 해석된다.[1]

시기지역
약 76만 년 전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대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일대[1]
약 50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 음성군 맹동면 일대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일대[1]
약 35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 음성군 맹동면 일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홍천군 영귀미면 일대와 서석면 일대[1]
약 22만 년 전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일대와 인제군 상남면[1]
약 15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1]
약 11만 년 전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1]



방사성 원소로부터 방사성 에너지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단층비지들은 ESR 신호가 포화되어 ESR 연대를 측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포화된 단층비지의 마지막 활동 시기는 단층비지의 ESR 연대측정법의 한계인 약 200만 년 전 이전으로 추정된다.[1]

3. 2. 제4기 활동 시기

ESR 연대측정법 연대 측정 결과에 따르면, 금왕 단층은 제4기 동안 적어도 6번 이상 재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동 시기는 약 76만 년 전, 50만 년 전, 35만 년 전, 22만 년 전, 15만 년 전, 그리고 11만 년 전이다. 각 시기별 재활동 지역은 다음과 같다.[1]

시기재활동 지역
약 76만 년 전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일대
약 50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 음성군 맹동면 일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일대
약 35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 음성군 맹동면 일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홍천군 서석면 일대
약 22만 년 전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일대, 인제군 상남면
약 15만 년 전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일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
약 11만 년 전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



방사성 원소로부터 방사성 에너지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단층비지들은 ESR 신호가 포화되어 ESR 연대를 측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포화된 단층비지의 마지막 활동 시기는 ESR 연대측정법의 한계인 약 200만 년 전 이전으로 추정된다.[1]

4. 금왕 단층의 노두

금왕 단층은 지하 깊숙이 숨어 있지만, 진천군에서 설악산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에서 그 흔적을 드러내고 있다.[3][1]

4. 1. 노두 위치

위치좌표지질주향경사성향ESR 연대측정값비고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화강암490±90 ka, 370±100 ka, 310±60 ka
음성군 맹동면 두성리쥐라기 화강암, 초평층 조립질사암북동 26°
북동 35°
북서 76°
북서 83°
좌수향 주향이동710±70 ka, 480±40 ka, 330±20 ka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화강반암북동 25°북서 65°240±30 ka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흑운모 화강암북동 8°
북동 14°
북서 77°
남동 76°
330±50 ka, 290±20 ka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흑운모 화강암북동 20°
북동 48°
북서 71°
남동 76°
520±60 ka, 340±40 ka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흑운모 화강암북동 40°
북동 25°
남동 84°
북서 65°
830±80 ka, 320±50 ka
횡성군 공근면 청곡리선캄브리아기 화강암질 편마암북동 66°남동 62°좌수향 주향이동250±20 ka, 300±10 ka, 290±20 ka
홍천군 서석면 어론리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 중생대 안산암좌수향 주향이동260±90 ka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편마암좌수향 주향이동170±10 ka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 백악기 화강암북동 36°북서 80°좌수향 주향이동170±30 ka, 160±30 ka, 220±20 ka, 210±20 ka, 230±30 ka, 200±30 ka, 220±30 ka, 110±20 ka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 화강편마암북동 32°
북동 15°
남동 81°
남동 87°
좌수향 주향이동520 ka, 405 ka, 315 ka, 218 ka인제 나들목 남쪽
인제군 기린면 북리흑운모 화강암북동 30°
북동 32°
남동 78°
남동 84°
판정불가
인제군 기린면 북리흑운모 화강암북동 53°
북동 20°
북서 65°
북서 86°


4. 2. 지역별 노두 특징

금왕 단층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까지 여러 지역에서 그 모습을 드러낸다.

  •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 음성군 맹동면 충북혁신도시 - 평택제천고속도로 금왕휴게소 : 카카오맵 위성사진에서 보이는 평야 지대와 산악 지대의 선명한 경계선이 금왕 단층선이다. 이 단층선의 남동부에는 초평층군이 분포하여 높은 산지를 이루는 반면, 북서부에는 흑운모 화강암이 분포하여 저산성 구릉 및 평야가 넓게 나타난다. 이는 풍화에 약한 화강암의 차별 침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4] ESR 연대측정 결과, 약 71만 년 전 음성군 맹동면 일대, 약 48~56만 년 전 및 29~39만 년 전 음성군 맹동면~진천군 덕산읍 일대, 약 14만 년 전 진천군 덕산읍 일대에서 단층 활동이 발생했다.[9]
  •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 : 북북동 주향의 단층을 기준으로 북서쪽에는 백악기 화강암, 남동쪽에는 음성 분지의 퇴적층 초평층군이 분포한다. ESR 연대측정 결과는 약 33만 년 전이다. 진천군~음성군 일대 금왕단층 남서 말단부에서는 약 33만 년 전 이후 단층비지의 재활동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10]
  •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여주시 점동면 현수리 (약 23.7 km) : 청미천으로 유입되는 수계를 따라 선상지가 다수 발달한다. 특히 여주시 점동면 뇌곡리 및 성신리 일대에는 큰 규모의 선상지가 발달해 있다.[1]
  •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 흑운모 화강암에 주향 북동 40°, 경사 남동 84°의 부수단층이 발달하며 약 3 cm 두께의 단층비지띠가 있다. 약 50 m 떨어진 노두에는 주향 북동 25°, 경사 북서 65° 방향의 부수단층이 약 4 cm 두께의 단층비지띠로 발달해 있다. ESR 연대측정 결과는 각각 830±80 ka, 320±50 ka이다.[13]
  •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 흑운모 화강암에서 유래된 파쇄암 내에 약 25 m 폭의 단층핵이 발달되어 있다. 단층핵 북서쪽 경계부에는 약 4 m 폭, 남동쪽 경계부에는 약 6 m 폭의 단층비지대가 발달해 있다. ESR 연대측정 결과는 각각 340±40 ka, 520±60 ka이다.[13]
  •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 : 흑운모 화강암 내에 주향 북동 8°, 경사 북서 77°와 주향 북동 14°, 경사 남동 76° 방향의 부수단층들이 발달되어 있다. ESR 연대는 330±50 ka 및 290±20 ka이다.[13]
  •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 : 화강반암 내에 주향 북동 25°, 경사 북서 65°의 부수 단층이 발달되어 있다. 최대 ESR 연대는 240±30 ka이다.[13]
  • 횡성군 공근면 청곡리 : 선캄브리아기 화강암질 편마암 내에 약 80 m 두께의 파쇄암대가 발달해 있으며 단층의 주향은 북동 66°, 경사는 남동 62°이다. 단층핵의 ESR 연령은 250±20 ka, 300±10 ka, 290±20 ka이다.[1]
  • 횡성군 횡성읍 학곡리-공근면 가곡리 (8.1 km) 및 공근면 가곡리-홍천군 영귀미면 노천리 (약 13 km) : 선상지가 발달한다. 공근면 청곡리 일대에는 금왕 단층에 인접하여 좌수향의 굴절 하도가, 공근면 공근리 일대에는 좌수향의 굴절 하도가, 공근면 덕촌리 일대에는 선상구조를 따라 우수향의 굴절하도가 관찰된다.[1]
  • 홍천군 서석면 어론리 :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과 안산암의 경계 단층으로, 편마암과 백악기 이암의 파쇄대가 발달하고 있다. 파쇄대의 폭은 200 m 이상이며, 초파쇄대 내에 3~4 cm의 단층비지가 발달하고 있다. ESR 연령은 260±90 ka이다.[1]
  •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 : 단층대는 편마암과 원파쇄암대 사이에 30-40 m 폭의 단층역암대로 발달한다. 폭 2 m의 초파쇄암대, 20 m 파쇄암대, 폭 30 m의 단층역암대로 구성된다. ESR 연대측정 결과는 170±10 ka이다.[1]
  • 홍천군 서석면 어론리-수하리 (약 12.4 km) : 배후 산지 및 유역 규모에 비해 선상지가 비교적 크게 발달한다. 내촌천 및 수하천에는 하안단구가 산발적으로 발달하며, 수하리 일대 수하천의 지류 하천에서는 좌수향으로 굴절된 하도 형태가 관찰된다. 일부 지류 하천 및 소하천에서는 연속적인 경사급변점이 확인되었다.[1]
  • 홍천군 내면 방내리와 서석면 수하리, 인제군 상남면 경계의 행치령 일대 : 수유동길을 따라 동북동 방향으로 흘러 방내천으로 유입되는 무명 하천은 하천쟁탈의 결과로 단구화된 고유로(古流路, Paleo-stream)로 판단된다. 이는 금왕 단층의 활동에 따른 지각의 융기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
  •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 : 금왕 단층대 최초의 지표파열단층이 발견되었다. 약 5만~3만 8천년 전 역이동 성분을 가진 주향 이동성 단층 활동을 지시한다.[22]
  •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 :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과 백악기 화강암 경계부에 파쇄암이 발달해 있으며 단층면의 주향은 북동 36°, 경사는 북서 80°이다. ESR 연대측정 결과로부터 구한 단층암의 마지막 활동시기는 170±30 ka, 160±30 ka, 220±20 ka, 210±20 ka, 200±30 ka, 220±30 ka, 110±20 ka이다.[1]
  •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인제 나들목 부근 : 폭 23 m의 단층핵이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편마암의 경계부에 발달하며, 단층핵의 양쪽 경계가 뚜렷하게 관찰된다. ESR 연대는 약 52, 41, 32, 22만 년 전으로 분석되었다.[25]
  • 인제군 기린면 북리 : 흑운모 화강암 내에 폭 11 m와 17 m의 단층핵이 드러나 있다.[1]


설악산 지역의 금왕 단층은 고원생대 경기편마암복합체 편마암과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류의 경계를 이루는 수직 경사의 좌수향 주향이동 단층이다. 설악산 화강암체 내부로 이어지는 단층의 북부 연장은 확실하게 인지되지 않아 한계령 단층 이남 지역에서 끝나는 것으로 보인다. 쥐라기 대보 화강암의 일종인 오색 화강암과 백악기 설악산 화강암과의 경계를 기준으로 산정된 단층의 수평 변위량은 250 m 정도이나, 흑운모 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의 경계를 기준으로는 최소 2.5 km 이상으로 산정된다.[26]

5. 금왕 단층을 따라 발달한 퇴적 분지

음성 분지와 금왕 단층의 ESR 연대측정값


금왕 단층은 주향 이동 운동으로 인해 형성된 퇴적 분지를 가지고 있다. 금왕 단층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음성군 맹동면에 걸쳐 있는 음성 분지에서 시작된다. 카카오맵 위성사진을 보면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에서 충북혁신도시를 지나 평택제천고속도로 금왕휴게소에 이르기까지 추적되는 평야 지대와 녹색 산악 지대의 경계선이 마치 자를 대고 그은 것처럼 선명한데 이 선이 바로 금왕 단층의 단층선이다.[4] 이 금왕 단층선의 남동부에는 초평층군이 분포하여 비교적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나, 금왕 단층선의 북서부에는 흑운모 화강암이 분포하여 저산성 구릉 및 평야가 넓게 나타난다. 이는 아마도 풍화에 상대적으로 약한 화강암의 차별 침식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층선을 따라 금왕 단층의 노두와 제4기의 단층 활동을 지시하는 ESR 연대측정값이 다수 보고되었다.

  • 여주 지질도폭(1975)에서는 여주시 동부 점동면 현수리에서 장안리, 강천면 강천리와 부평리, 도전리로 이어지는 주향 북동 5~10°의 단층선이 발견되었다. 이 단층은 중생대 쥐라기 대보 화강암 지대를 지나며 단층경면을 보인다.[5]
  • 음성 지질도폭(1976)에서는 단층은 보고되지 않았다.[6]
  • 장호원 지질도폭(1989)에서는 음성군 생극면에서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까지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이 보고되었다. 이 단층은 중생대 쥐라기 편마상흑운모-(각섬석)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호상 편마암의 경계를 이룬다.[7]


홍나리와 이희권(2012)의 연구에 따르면, 금왕 단층은 지하 1~4 km 이상의 깊은 곳에서 형성된 주향 이동 단층이며, ESR 연대측정 결과 제4기에 약 20만년 주기로 단층 운동이 발생했다.[8]

음성군 맹동면 일대에서 약 71만 년 전, 음성군 맹동면~진천군 덕산읍 일대에서 약 48~56 및 29~39만 년 전, 진천군 덕산읍 일대에서 약 14만 년 전에 단층 활동이 발생했다.[9]

맹동면 쌍정리 지역에는 약 2 m 폭의 단층핵이 발달되어 있으며, ESR 연대측정 결과는 약 33만 년 전이다. 진천군~음성군 일대 금왕단층 남서 말단부에서는 약 33만 년 전 이후 단층비지의 재활동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10]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서 여주시 점동면 현수리 일대에 이르는 약 23.7 km 구간에는 청미천으로 유입되는 수계를 따라 선상지가 다수 발달한다.[1]

오종현(2023) 등의 연구에서는 금왕 단층이 지하수의 유동통로 역할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산 단층과 같은 활성단층들과는 달리 현재 거의 유의미한 활동을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1]

5. 1. 음성 분지

'''음성 분지'''(陰城盆地, Eumseong Basin)는 경기 지괴와 옥천 습곡대의 경계를 이루는 공주 단층계를 따라 형성된 백악기의 퇴적분지로서, 북서쪽 경계를 이루는 금왕 단층과 남동쪽 경계부를 이루는 공주 단층 사이에 자리 잡은 마름모꼴의 인리형 분지(pull-apart basin)이다. 지리적으로는 음성군 맹동면진천군 초평면 일대에 해당한다.[27][1]

음성 분지 내 퇴적암은 층리의 변화가 심한데 이는 경계 단층의 활동으로 분지가 열리고 퇴적이 시작된 후 단속적인 단층 활동으로 인해 분지의 확장과 퇴적 작용이 반복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이다.[28] 음성 분지에 퇴적암이 퇴적된 후 발생한 단층운동은 음성 분지의 북서쪽 경계부에 발달한 금왕 단층에 집중된 것으로 해석되며,[29] 음성 분지 내 퇴적암에 발달한 습곡구조는 공주 단층보다는 금왕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30] 음성 분지는 최대 33km의 연장과 7 km 폭으로서 약 140 km2의 면적을 가진다.[31]

음성 분지의 퇴적암 지층 '''초평층군'''은 초평층과 백야리층으로 구분된다.

  • '''초평층'''(草坪層)은 적색 각력암과 적색 셰일 및 회색 역암과 회녹색 셰일로 구성되며 적색의 암석이 더 우세하다. 초평층은 북동 30°방향의 축을 가진 습곡 작용을 받아 동시기의 층준을 추적하기 어렵다.
  • '''백야리층'''(白也里層)은 음성 분지 북반부를 차지하고 초평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으로 추정된다. 백야리층은 회색의 역암, 역질사암, 알코스질사암, 셰일 등으로 구성되며 적색 암상이 거의 없다. 맹동면 한티재의 암회색 셰일에서는 많은 연흔이 발견되었고 담회색 사암 중에서 사층리가 발견되었다. 셰일은 역질사암과 호층을 이루며 식물 화석을 함유한다. 백야리층의 두께는 약 300 m이다.[1]


최성자 등(1995)은 음성분지 남측의 초평층에서 ''Clavator(?)'' sp. cf. ''Clavator'' sp. (Neagu & Georgescu-Donos 1973). ''Flabellochara'' sp. cf. ''Flabellochara jurongica'' (S. Wang et Zhang 1982), ''Mesochara'' sp. B., ''Mesochara'' sp. C., ''Feistiella'' sp. 4종 6속의 윤조화석을 발견하고 초평층의 지질 시대백악기 오트리브절에서 압트절(Aptian)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지층을 경상 누층군의 상부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에 대비시켰다.[32]

5. 2. 풍암 분지

'''풍암 분지'''는 금왕 단층을 따라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노천리에서 서석면 수하리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백악기의 횡압축성(Transpressional) 단층 분지이다.[1] 분지 내에는 중생대 백악기퇴적암 지층이 분포하며 역암, 알코스질사암, 이암, 자색의 셰일과 사암, 화산쇄설암 등으로 구성된다.[1] 퇴적암 지층은 곳에 따라 주향과 경사가 다르며 정단층, 습곡, 절리 등의 구조를 포함하여 분포가 단속적이고 심하게 변형되어 있다.[1]

풍암 분지는 초기에는 주변 기반암과 근원암으로부터 쇄설성 퇴적물을 공급받았으나, 이후 화산 분출로 인한 화산 쇄설물이 추가 공급되면서 호성과 선상지 환경 하에 두꺼운 퇴적층이 쌓였다.[33] 분지의 폭은 7 km, 길이는 20 km, 면적은 약 140km2, 두께는 300~500 m 정도이다.[1][34]

풍암 분지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 김기영과 김현규(1996)는 지진파 속도 조사 결과 P파는 초속 3.4~6.9 km, S파는 초속 1.5~3.0 km이며, 푸아송 비는 0.29~0.44 정도라고 보고하였다.[35]
  • 이희권(1998)은 구조지질학적 연구를 통해 풍암 분지가 금왕 단층의 주향 이동 운동에 의해 형성된 횡압축 분지라고 해석하였다.[1]
  • 김영화와 장승익(1998)은 시험시추공 코어 관찰을 통해 11개 암상군을 분류하였다.[36]
  • 김현규와 김기영(1998)은 고해상도 반사파 탐사를 통해 분지 지하 구조를 규명하고, 퇴적암 지층의 두께가 350~400 m에 이른다고 해석하였다.[37]
  • 김기영과 허식(1999)은 탄성파 자료를 층서학적 측면에서 재해석하고 지층을 3개 층군으로 구분하였다.[38]
  • 김기영과 허식(1999)은 풍암 분지 중부에서 탄성파 조사를 실시하고 지층을 5개 층군으로 구분하였다.[39]
  • 박용희와 도성재(2004)는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를 통해 고지자기극의 위치가 한반도에서 보고된 백악기 후기제3기의 고지자기극 위치와 가깝다고 보고하였다.[40]
  • 김기영과 홍명호(2006)는 시추공 탄성파 조사 결과 대규모 파쇄대나 단층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41]

6. 금왕 단층과 지진

금왕 단층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활성단층으로 여겨진다.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이희권 교수는 금왕 단층이 원주~홍천~속초에 걸쳐 있으며,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42]

6. 1. 지진 발생 가능성

활성단층 분야 권위자이자 금왕 단층을 오랫동안 연구 조사한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이희권 교수는 금왕 단층이 원주~홍천~속초에 걸쳐있으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활성단층의 가능성이 높아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42]

참조

[1] 저널 금왕단층의 내부구조 및 단층발달사 (Internal Structure and Movement History of the Keumwang Fault) http://www.koreascie[...] 2016-09-00
[2]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00
[3]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저널 금왕단층 일대의 지형 발달과 현생 지각 운동 (I) 제4기 지형의 발달 특성 및 분포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Neotectonic Crustal Deformation along the Geumwang Fault (I):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Quaternary Landforms) https://www.dbpia.co[...] 2022-02-00
[5] 웹인용 驪州 地質圖幅說明書 (여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0-00
[6] 웹인용 陰城 地質圖幅說明書 (음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6-00-00
[7] 웹인용 長湖院圖幅 地質報告書 (장호원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00-00
[8] 저널 충청북도 음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금왕단층의 특성 및 ESR 연대 (Structural features and ESR dating of the Keumwang fault at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https://www.dbpia.co[...] 2012-12-00
[9] 저널 충청북도 진천-음성군 일대에 발달한 금왕단층의 시간-공간적 활동형태 (Space-time patterns of fault activity of the Keumwang Fault developed in the Jincheon-Eumseong-gun, Chungcheongbuk-do) https://www.dbpia.co[...] 2014-12-00
[10] 저널 충청북도 음성군 쌍정리 지점에 발달한 금왕단층의 특성 및 ESR 연대 (ESR age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eumwang Fault developed in the Ssangjeong-ri,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https://www.dbpia.co[...] 2018-08-00
[11] 저널 음성 분지 지역 지하수 주원소 수리지구화학과 지질 특성의 관계 분석 (Assessing relationship of major element hydrogeochemistry in groundwater and geological features in the Eumseong basin area) https://www.dbpia.co[...] 2023-06-00
[12] 웹인용 原州圖幅 地質報告書 (원주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00-00
[13] 저널 강원도 원주시 일대에 발달한 금왕단층의 제4기 활동형태 (Quaternary activity patterns of the Keumwang Fault in the Wonju-si area) https://www.dbpia.co[...] 2017-02-00
[14] 웹인용 陽德院 地質圖幅說明書 (양덕원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4-00-00
[15] 저널 강원도 횡성군 학곡리 일대에 발달된 금왕단층의 단층암 특성 (Structural features of fault rocks developed in the Hakgok-ri, Hoengseong-gun, Gangwon-do) https://www.dbpia.co[...] 2012-02-00
[16] 웹인용 豊岩:地質圖幅說明書 (풍암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7] 웹인용 甲川圖幅 地質報告書 (갑천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00-00
[18] 저널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일대에 발달하는 금왕단층대의 특성 https://www.dbpia.co[...] 2010-12-00
[19] 저널 백악기 풍암 퇴적분지의 생성 진화와 퇴적물 기원 (Basin evolution and provenance of sediments of the Cretaceous Poongam sedimentary Basin) https://koreascience[...] 1999-00-00
[20] 저널 백악기 풍암분지에 대한 구조지질학적 연구 (Structural analysis of the Cretaceous Pungam Basin) https://www.dbpia.co[...] 1998-06-00
[21] 저널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 일대에 발달하는 금왕단층대의 내부구조 및 단층암의 미구조 특성 https://www.dbpia.co[...] 2012-02-00
[22] 저널 홍천군 수하리 금왕단층 부차단층의 제4기 지표파열과정 (Quaternary surface rupture process along the subsidiary fault in the Geumwang Fault Zone, Suha site, Hongcheon) https://www.dbpia.co[...] 2022-10-00
[23] 웹인용 自隱 地質圖幅說明書 (자은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0-00
[24] 저널 단층파쇄대 구간에 시공되는 터널의 보강설계 사례 https://scienceon.ki[...] 2013-00-00
[25] 웹인용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 발달한 금왕단층대의 구조적 특성과 제4기 시간·공간적 활동패턴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pace-time pattern of Quaternary fault activity of the Keumwang fault zone in the Inje-gun area, Gangwon-do) https://www.dbpia.co[...] 2022-10-00
[26] 웹인용 설악산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12-00
[27] 저널 주향이동 분지 형성, 퇴적층 충전의 특징과 한반도 백악기 소분지 (Characteristics of strike-slip basin formation and sedimentary fills and the Cretaceous small basins of the Korean Peninsula) http://jgsk.or.kr/_c[...]
[28] 저널 음성분지의 지구조적 진화 https://www.dbpia.co[...] 1997-09-00
[29] 저널 음성분지 북부지역에 발달한 지질구조에 대한 연구 (Structural Analysis of Northern Resion of Eumseong Basin) https://www.dbpia.co[...] 2019-10-00
[30] 웹인용 3D 모델링을 통한 백악기 음성분지의 복원과 구조적 진화 (Restoration and structural evolution of the Cretaceous Eumseong Basin using 3D modeling) https://www.dbpia.co[...] 2020-10-00
[31] 웹인용 한반도 지각변형 연구 [1], 제 2 절 음성분지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00-00
[32] 저널 음성분지 초평층(백악기)의 윤조화석 (Charophytes from the Chopyeong Formation (Cretaceous) of the Eumsung Basin, Korea) https://www.dbpia.co[...] 1995-10-00
[33] 저널 백악기 풍암 퇴적분지의 생성 진화와 퇴적물 기원 (Basin evolution and provenance of . sediments of the Cretaceous Poongam sedimentary Basin) https://scienceon.ki[...] 1999-00-00
[34] 웹인용 한반도 지각변형 연구 [1], 제 1절 풍암분지 https://data.kigam.r[...] 1998-00-00
[35] 저널 시추공 지오폰을 이용한 풍암분지 퇴적암의 탄성파 특성 연구 https://kiss.kstudy.[...] 1996-04-00
[36] 저널 풍암퇴적분지 내 시추공 PABH1에서의 물리검층에 의한 암상의 판정 (Lithology Determination by Log Analysis from a Borehole-PABH1 in the Pungam Sedimentary Basin) https://kiss.kstudy.[...] 1998-08-00
[37] 저널 중력추를 이용한 풍암분지 경계 부근에서의 고해상도 반사파 탐사 (High-resolution Seismic Study Using Weigh-drop at the Boundary of Pungam Basin) https://scholar.kyob[...] 1998-12-00
[38] 저널 고해상도 탄성파자료를 이용한 풍암분지 북동부의 퇴적구조 및 퇴적환경 연구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Based on a High - Resolution Seismic Profile across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the Pungam Basin) https://kiss.kstudy.[...] 1999-06-00
[39] 저널 풍암분지 중부지역의 고해상도 탄성파자료 해석 (Interpretation of High - resolution Seismic Data in the Middle Part of the Pungam Basin, Korea) https://kiss.kstudy.[...] 1999-09-00
[40] 저널 풍암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 (Paleomagnetic and Rock-Magnetic Studies of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Poongam Basin) https://scholar.kyob[...] 2004-04-00
[41] 저널 풍암분지 시험시추공 주변에서의 지표 및 시추공 초동주시 동시역산 (Simultaneous traveltime inversion of surface and borehole seismic data in the Pungam basin) https://kiss.kstudy.[...] 2006-03-00
[42] 뉴스 "강원도 지진 과학적 근거 충분 내진보강 등 선제적 대응 나서야" https://www.kado.net[...] 2017-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