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계식 조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계식 조준기는 가늠쇠와 가늠자를 정렬하여 조준선을 형성, 사수의 시야 내에 조준점을 만들어 표적을 조준하는 방식이다. 조준선 간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지며, 총의 기울임이 발생하면 정확한 사격이 어려워진다. 기계식 조준기에는 개방형, 폐쇄형, 접이식 가늠쇠 등이 있으며, 조준기의 정렬 방식, 눈부심 방지, 명암 대비 향상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조절 가능한 가늠자는 다양한 사정거리, 바람의 영향 등을 보정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영점 조절을 통해 사수의 눈에 맞게 조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기 부품 - 피카티니 레일
    피카티니 레일은 소형 무기에 부착물을 장착하기 위한 표준 마운팅 시스템으로, MIL-STD-1913 표준을 따르며, 위버 레일과 유사하지만 슬롯 크기가 달라 부착물 호환성에 차이가 있다.
  • 화기 부품 - 탄창
    탄창은 여러 발의 탄약을 보관하여 화기에 장전하는 장치로, 초기 튜브형에서 박스형으로 발전하여 현대 화기의 표준이 되었으며, 박스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클립과는 구별된다.
기계식 조준기

2. 작동 원리

가늠쇠와 가늠자를 맞추는 동심원리는 개방 가늠쇠 및 폐쇄 가늠쇠, 그리고 이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 개·폐 가늠쇠에 적용된다.[2]

조준선 중앙 정렬 방식의 조준 모습; 초점이 맞지 않는 회색 점은 표적을 나타냅니다.


조준선 하단 정렬 방식의 조준 모습; 초점이 맞지 않는 회색 점은 표적을 나타냅니다.


총기의 발사체탄도 궤적을 따라 총열 축 아래로 휘어지기 때문에, 의도한 표적을 명중시키려면 표적의 정확한 거리에 있는 궤적의 정확한 지점을 조준해야 한다.[2] 이를 위해 사수는 조준선을 가늠자와 조준기에 정렬하여 일관된 '조준선'('조준 축')을 형성하고, 이는 사수의 시야 내에서 표적을 직접 가리키는 '조준점'(POA)을 생성한다. 가늠자와 조준기 사이의 거리를 '조준선 간 거리'라고 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진다.

"영점 조절"은 지정된 거리(보통 100 야드/미터)에서 탄도의 교차점을 조준 축이 조절하여 해당 거리에서 미리 결정된 ''탄착점''(POI)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영점"이라고 한다. 이 "영점"을 기준으로 다른 거리에서 사격할 때 조준점을 탄착점과 쉽게 겹치도록 재조정할 수 있다. 현대식 가늠자는 영점 조절을 위해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제공하며, 먼 거리에서 탄착점을 보정할 수 있는 고저 표시가 있기도 하다.[2] 조준 축(직선)과 발사체 궤적(포물선)이 교차하려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있어야 하므로, 가늠자가 총열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사격하기 어렵다(이 상황을 기울임이라고 함).

소총이나 카빈총과 같은 장총의 가늠자는 보통 사수의 눈에 더 가까운 총열이나 리시버 뒷부분의 제비꼬리 홈에 장착된다. 조준기는 제비꼬리, 납땜, 나사, 스테이킹 방식으로 총구에 가깝게 장착된다. 일부 조준기에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덮개가 있으며, 덮개가 원형이면 눈이 자연스럽게 정렬되는 참조점을 제공한다.[2]

권총의 가늠자는 프레임 (리볼버, 데린저, 단발식) 또는 슬라이드 (자동 권총)에 장착된다. 짧은 총신 리볼버의 가늠자는 프레임 상단 스트랩에 밀링된 홈이며, 조준기는 블레이드 형태이다.

일반적인 블레이드 또는 포스트형 철제 가늠자의 경우, 조준기의 포스트를 가늠자 홈 중앙에 놓고 두 가늠자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2] 눈은 한 번에 하나의 초점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가늠자, 조준기, 표적은 모두 별도의 평면에 있으므로 이 중 하나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어떤 평면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는 가늠자 유형에 따라 다르며, 사수는 최상의 조준 정렬을 위해 올바른 평면에 초점을 유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준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시차 때문에 조준 정렬 각도의 작은 오차는 표적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탄환이 표적을 빗나가게 한다. 예를 들어, 10미터 공기 소총 사수가 0.5mm 직경의 10환을 맞추려 하고, 4.5mm 직경의 펠릿을 사용할 경우, 조준 정렬 오차가 0.2mm에 불과해도 3mm 탄착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1000m에서 동일한 정렬 불량은 300mm 이상의 오차를 유발한다.[3]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리면 각도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가변 조절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 짧은 조준선보다 작은 증분으로 조절된다. 조준기가 총열 전단에 있으면 가늠자를 총열에서 리시버나 텐션으로 옮겨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릴 수 있다.[4]

2. 1. 기본 원리

발사체탄도 궤적을 따라 총열 축 아래로 휘어지는 총기의 경우, 의도한 표적을 명중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해당 표적의 정확한 거리에 있는 궤적의 정확한 지점을 조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수는 조준선을 가늠자와 조준기에 정렬하여 일관된 '조준선'('조준 축'이라고 함)을 형성하고, 이는 다시 사수의 시야 내에서 '조준점'(POA)을 생성하며, 이 조준점은 표적을 직접 가리킨다(즉, 조준). 가늠자와 조준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조준선 간 거리'라고 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진다.

"영점 조절"은 지정된 거리(일반적으로 100 야드/미터)에서 탄도의 교차점을 조준 축이 조절하여 해당 거리에서 미리 결정된 ''탄착점''(POI)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영점"이라고 한다. 해당 "영점"을 기본 참조점으로 사용하여, 다른 거리에서 사격할 때 조준점을 탄착점과 쉽게 겹치도록 재조정할 수 있다. 현대식 가늠자는 영점 조절을 위해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모두 제공하며, 종종 사수가 먼 거리에서 증가하는 탄착점을 빠르게 보정할 수 있는 고저 표시가 있다(정밀도는 다소 제한적임).[2] 조준 축(직선)과 발사체 궤적(포물선)이 교차하려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있어야 하므로, 조준 또는 영점 조절 시 가늠자가 총열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사격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상황을 기울임이라고 함).

소총 및 카빈총과 같은 장총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사수의 눈에 더 가까이 있는 총열 또는 리시버의 뒷부분에 있는 제비꼬리 홈에 장착되어 쉽게 시각적 인식을 할 수 있다. 조준기는 제비꼬리 방식으로, 납땜, 나사를 조이거나, 또는 스테이킹 방식으로 총구에 매우 가깝게 장착된다. 일부 조준기 어셈블리에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분리 가능한 덮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덮개가 원형인 경우 눈이 자연스럽게 정렬되는 참조점을 제공한다.[2]

권총의 경우, 가늠자는 프레임 (리볼버, 데린저, 단발식의 경우) 또는 슬라이드 (자동 권총의 경우)에 장착된다. 예외는 권총 종류에 따라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짧은 총신 리볼버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상단 스트랩에 밀링된 홈이며, 조준기는 예상대로 블레이드이다. 특정 권총은 슬라이드를 가로지르는 고리 모양 브래킷에 가늠자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블레이드 또는 포스트형 철제 가늠자의 경우, 사수는 조준기의 포스트를 가늠자 홈 중앙에 놓고 두 가늠자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2] 눈은 한 번에 하나의 초점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가늠자, 조준기 및 표적은 모두 별도의 평면에 있으므로 세 평면 중 하나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어떤 평면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는 가늠자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사수의 과제 중 하나는 최상의 조준 정렬을 위해 올바른 평면에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언은 조준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시차로 인해, 조준 정렬 각도의 작은 오차조차도 표적으로부터의 거리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표적에서 벗어나는 궤적을 초래하여 탄환이 표적을 빗나가게 된다. 예를 들어, 10미터 공기 소총 사수가 0.5mm 직경의 점인 10환을 맞추려고 하고, 4.5mm 직경의 펠릿을 사용할 경우, 조준 정렬의 오차가 0.2mm에 불과해도 완전한 빗나감이 될 수 있다 (3mm 탄착점 오차). 1000m에서 동일한 정렬 불량은 100배로 확대되어 300mm 이상의 오차, 즉 조준 정렬 불량의 1,500배가 된다.[3]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리면 궁극적인 각도 오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가변 조절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 더욱 동일한 짧은 조준선에 비해 작은 증분으로 조절된다. 조준기가 총열 전단에 있으면 가늠자를 총열에서 리시버나 텐션으로 옮겨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릴 수 있다.[4]

작고 움직이는 표적 (예: 스킷 사격, 트랩 사격, 클레이 비둘기 사격)을 사격하는 데 사용되는 샷건의 가늠자는 매우 다르게 작동한다. 가늠자는 완전히 제거되고, 사수의 머리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위치시키는 것이 후방 참조점을 제공한다. 밝은 색 (일반적으로 비드는 황동과 같은 연마된 금속 또는 녹색 및 주황색) 원형 비드가 총열 끝에 배치된다. 종종 이 비드는 열을 유지하고 뜨거운 총열로 인한 신기루 효과를 줄이기 위해 통풍이 잘 되는, 높고 평평한 ''리브''를 따라 배치된다. 소총이나 권총처럼 조준하는 대신, 샷건은 항상 표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준하며, 초점이 맞지 않는 총열과 비드의 이미지는 표적 아래 (얼마나 아래에 있는지는 표적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지에 따라 다름)와 측면 이동이 있는 경우 표적보다 약간 앞에 배치된다. 이 조준 방법은 전방 가늠자/후방 가늠자 조합보다 정밀하지 않지만 훨씬 빠르며, 산탄의 넓은 확산은 약간의 조준 오차가 있더라도 효과적인 명중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샷건은 또한 리브 중간에 위치한 더 작은 비드인 ''중간 비드''를 제공하여 총열 정렬에 대한 더 많은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부 샷건에는 소총 스타일의 가늠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칠면조 사냥용으로 설계된 샷건에서 발견된다.

2. 2. 정렬 방식

발사체탄도 궤적을 따라 총열 축 아래로 휘어지는 총기의 경우, 의도한 표적을 명중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해당 표적의 정확한 거리에 있는 궤적의 정확한 지점을 조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수는 조준선을 가늠자와 조준기에 정렬하여 일관된 '조준선' (조준 축)을 형성하고, 이는 다시 사수의 시야 내에서 '조준점'(POA)을 생성하며, 이 조준점은 표적을 직접 가리킨다(즉, 조준). 가늠자와 조준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조준선 간 거리'라고 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진다.

"영점 조절"은 지정된 거리(일반적으로 100 야드/미터)에서 탄도의 교차점을 조준 축이 조절하여 해당 거리에서 미리 결정된 ''탄착점''(POI)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영점"이라고 한다. 해당 "영점"을 기본 참조점으로 사용하여, 다른 거리에서 사격할 때 조준점을 탄착점과 쉽게 겹치도록 재조정할 수 있다. 현대식 가늠자는 영점 조절을 위해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모두 제공하며, 종종 사수가 먼 거리에서 증가하는 탄착점을 빠르게 보정할 수 있는 고저 표시가 있다(정밀도는 다소 제한적임).[2] 조준 축(직선)과 발사체 궤적(포물선)이 교차하려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있어야 하므로, 조준 또는 영점 조절 시 가늠자가 총열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사격하기가 매우 어렵다(이 상황을 기울임이라고 함).

소총 및 카빈총과 같은 장총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사수의 눈에 더 가까이 있는 총열 또는 리시버의 뒷부분에 있는 제비꼬리 홈에 장착되어 쉽게 시각적 인식을 할 수 있다. 조준기는 제비꼬리 방식으로, 납땜, 나사를 조이거나, 또는 스테이킹 방식으로 총구에 매우 가깝게 장착된다. 일부 조준기 어셈블리에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분리 가능한 덮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덮개가 원형인 경우 눈이 자연스럽게 정렬되는 참조점을 제공한다.[2]

권총의 경우, 가늠자는 프레임 (리볼버, 데린저, 단발식의 경우) 또는 슬라이드 (자동 권총의 경우)에 장착된다. 예외는 권총 종류에 따라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짧은 총신 리볼버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상단 스트랩에 밀링된 홈이며, 조준기는 예상대로 블레이드이다. 특정 권총은 슬라이드를 가로지르는 고리 모양 브래킷에 가늠자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블레이드 또는 포스트형 철제 가늠자의 경우, 사수는 조준기의 포스트를 가늠자 홈 중앙에 놓고 두 가늠자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2] 눈은 한 번에 하나의 초점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가늠자, 조준기 및 표적은 모두 별도의 평면에 있으므로 세 평면 중 하나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어떤 평면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는 가늠자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사수의 과제 중 하나는 최상의 조준 정렬을 위해 올바른 평면에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언은 조준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시차로 인해, 조준 정렬 각도의 작은 오차조차도 표적으로부터의 거리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표적에서 벗어나는 궤적을 초래하여 탄환이 표적을 빗나가게 된다. 예를 들어, 10미터 공기 소총 사수가 0.5mm 직경의 점인 10환을 맞추려고 하고, 4.5mm 직경의 펠릿을 사용할 경우, 조준 정렬의 오차가 0.2mm에 불과해도 완전한 빗나감이 될 수 있다(3mm 탄착점 오차). 1000m에서 동일한 정렬 불량은 100배로 확대되어 300mm 이상의 오차, 즉 조준 정렬 불량의 1,500배가 된다.[3]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리면 궁극적인 각도 오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가변 조절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 더욱 동일한 짧은 조준선에 비해 작은 증분으로 조절된다. 조준기가 총열 전단에 있으면 가늠자를 총열에서 리시버나 텐션으로 옮겨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릴 수 있다.[4]

작고 움직이는 표적(예: 스킷 사격, 트랩 사격, 클레이 비둘기 사격)을 사격하는 데 사용되는 샷건의 가늠자는 매우 다르게 작동한다. 가늠자는 완전히 제거되고, 사수의 머리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위치시키는 것이 후방 참조점을 제공한다. 밝은 색(일반적으로 비드는 황동과 같은 연마된 금속 또는 녹색 및 주황색) 원형 비드가 총열 끝에 배치된다. 종종 이 비드는 열을 유지하고 뜨거운 총열로 인한 신기루 효과를 줄이기 위해 통풍이 잘 되는, 높고 평평한 ''리브''를 따라 배치된다. 소총이나 권총처럼 조준하는 대신, 샷건은 항상 표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준하며, 초점이 맞지 않는 총열과 비드의 이미지는 표적 아래(얼마나 아래에 있는지는 표적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지에 따라 다름)와 측면 이동이 있는 경우 표적보다 약간 앞에 배치된다. 이 조준 방법은 전방 가늠자/후방 가늠자 조합보다 정밀하지 않지만 훨씬 빠르며, 산탄의 넓은 확산은 약간의 조준 오차가 있더라도 효과적인 명중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샷건은 또한 리브 중간에 위치한 더 작은 비드인 ''중간 비드''를 제공하여 총열 정렬에 대한 더 많은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부 샷건에는 소총 스타일의 가늠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늠자는 일반적으로 칠면조 사냥용으로 설계된 샷건에서 발견된다.

2. 3. 동심원리

가늠쇠와 가늠자를 맞추는 동심원리는 개방 가늠쇠 및 폐쇄 가늠쇠, 그리고 이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 개·폐 가늠쇠에 적용된다.[2] 동심원리의 대표적인 예시로 대한민국군에서 사용되는 K2 소총이 있으며, M16A1 소총에는 개·폐 가늠쇠가 사용되었다. 동심원리, 개·폐 조준기, 탄젠트식 조준기, 로터리식 가늠자 등이 있다.

총기의 발사체탄도 궤적을 따라 총열 축 아래로 휘어지기 때문에, 의도한 표적을 명중시키려면 표적의 정확한 거리에 있는 궤적의 정확한 지점을 조준해야 한다.[2] 이를 위해 사수는 조준선을 가늠자와 조준기에 정렬하여 일관된 '조준선' ('조준 축')을 형성하고, 이는 사수의 시야 내에서 표적을 직접 가리키는 '조준점'(POA)을 생성한다. 가늠자와 조준기 사이의 거리를 '조준선 간 거리'라고 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진다.

"영점 조절"은 지정된 거리(보통 100 야드/미터)에서 탄도의 교차점을 조준 축이 조절하여 해당 거리에서 미리 결정된 ''탄착점''(POI)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영점"이라고 한다. 이 "영점"을 기준으로 다른 거리에서 사격할 때 조준점을 탄착점과 쉽게 겹치도록 재조정할 수 있다. 현대식 가늠자는 영점 조절을 위해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제공하며, 먼 거리에서 탄착점을 보정할 수 있는 고저 표시가 있기도 하다.[2] 조준 축(직선)과 발사체 궤적(포물선)이 교차하려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있어야 하므로, 가늠자가 총열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사격하기 어렵다 (이 상황을 기울임이라고 함).

소총이나 카빈총과 같은 장총의 가늠자는 보통 사수의 눈에 더 가까운 총열이나 리시버 뒷부분의 제비꼬리 홈에 장착된다. 조준기는 제비꼬리, 납땜, 나사, 스테이킹 방식으로 총구에 가깝게 장착된다. 일부 조준기에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덮개가 있으며, 덮개가 원형이면 눈이 자연스럽게 정렬되는 참조점을 제공한다.[2]

권총의 가늠자는 프레임 (리볼버, 데린저, 단발식) 또는 슬라이드 (자동 권총)에 장착된다. 짧은 총신 리볼버의 가늠자는 프레임 상단 스트랩에 밀링된 홈이며, 조준기는 블레이드 형태이다.

일반적인 블레이드 또는 포스트형 철제 가늠자의 경우, 조준기의 포스트를 가늠자 홈 중앙에 놓고 두 가늠자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2] 눈은 한 번에 하나의 초점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가늠자, 조준기, 표적은 모두 별도의 평면에 있으므로 이 중 하나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어떤 평면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는 가늠자 유형에 따라 다르며, 사수는 최상의 조준 정렬을 위해 올바른 평면에 초점을 유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준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시차 때문에 조준 정렬 각도의 작은 오차는 표적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탄환이 표적을 빗나가게 한다. 예를 들어, 10미터 공기 소총 사수가 0.5mm 직경의 10환을 맞추려 하고, 4.5mm 직경의 펠릿을 사용할 경우, 조준 정렬 오차가 0.2mm에 불과해도 3mm 탄착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1000m에서 동일한 정렬 불량은 300mm 이상의 오차를 유발한다.[3]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리면 각도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가변 조절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 짧은 조준선보다 작은 증분으로 조절된다. 조준기가 총열 전단에 있으면 가늠자를 총열에서 리시버나 텐션으로 옮겨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릴 수 있다.[4]

3. 기계식 조준기의 종류

기계식 조준기는 가늠쇠와 가늠자로 구성되며, 이 둘을 정렬하여 목표물을 조준한다.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개방형 가늠쇠 (Open sights): 가늠자와 가늠쇠를 일직선으로 정렬하여 조준하는 방식으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산탄총의 경우 가늠자를 생략하고 밝은 색 원형 비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 폐쇄형 가늠쇠 (Aperture sights): 가늠자 구멍을 통해 가늠쇠를 보는 방식(동심 원리)으로 정밀도를 높인다. '피프 사이트(peep sight)'라고도 불리며, 구멍이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진다. '고스트 링' 조준기는 얇은 링을 사용하여 빠른 조준이 가능하다.
  • 개·폐 가늠쇠: M16A1 소총처럼 개방형과 폐쇄형 가늠쇠를 모두 사용한다.


K2 소총은 동심 원리를 이용한 폐쇄형 가늠쇠를 채택하여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되고 있다.[2]

19세기 후반에는 "탱 조준기" 또는 "사다리식 조준기"가 사용되었는데, 넓은 범위의 수직 조정을 통해 먼 거리 사격을 가능하게 했다. 현대 돌격 소총이나 스포츠화된 반자동 소총에는 접이식 가늠쇠/가늠자(백업 가늠쇠, BUIS)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주 조준경(광학 조준경 등)이 고장나거나 상황에 맞지 않을 때 보조 조준 시스템으로 활용된다.

3. 1. 개방형 가늠쇠 (Open sights)

개방형 가늠쇠는 사수의 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주로 총열이나 리시버 뒷부분의 제비꼬리 홈에 장착되는 가늠자와 총구 근처에 고정되는 가늠쇠로 구성된다. 가늠쇠는 주로 사각형 포스트나 포스트 위의 비드 형태를 띄며, 가늠자를 사용할 때는 이 포스트나 비드를 뒷 가늠자 노치의 중앙에 수직 및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개방형 가늠자, 그리고 긴 아이 릴리프에 적합한 구경 가늠자의 선택: A) U-노치와 포스트, B) 파트리지, C) V-노치와 포스트, D) 익스프레스, E) U-노치와 비드, F) V-노치와 비드, G) 사다리꼴, H) 고스트 링. 회색 점은 표적을 나타낸다.


개방형 가늠쇠는 시야를 덜 가리지만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조준 방식은 중앙 조준과 6시 조준 두 가지가 있다. 중앙 조준은 앞 가늠자를 표적 중앙에, 6시 조준은 표적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6시 조준은 특정 거리와 표적 크기에만 적합하다.[5]

조준 시에는 앞 가늠자 양옆과 노치 가장자리 사이에 '광선'이라 불리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 광선은 조준 정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수직 정렬은 앞 포스트 상단을 뒷 가늠자 상단과 맞추거나, 비드를 V/U 노치 바로 아래에 둔다. 포스트 위치에 따라 탄착점이 달라진다.

개방형 가늠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파트리지(Partridge): 사각형 포스트와 평평한 바닥의 사각형 노치. 표적 사격에 적합하다.[2]
  • V-노치 및 U-노치: 파트리지의 변형.[2]
  • 벅혼(Buckhorn): 뒷 가늠자 양쪽에 돌출된 연장선이 큰 링을 형성한다.
  • 세미 벅혼(Semi-buckhorn): 더 넓고 부드러운 곡선형 노치와 중앙의 "V"를 가진다. 윈체스터 및 말린 레버 액션 소총에 주로 사용된다.
  • 익스프레스(Express): 위험한 빅 게임 사냥용 대구경 소총에 사용된다. 넓은 "V" 형태와 굵은 흰색 대비선, 큰 흰색/금색 비드 앞 가늠자가 특징이다. 근거리에서 빠른 조준에 유리하다.[2]


개방형 가늠쇠는 흔하고, 저렴하며, 간단하고, 튼튼하며, 가볍고, 환경 조건에 강하며, 배터리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가늠자보다 정밀도가 낮고 조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며, 조준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시야 하단을 가리고 시력이 좋지 않은 사수에게는 효과가 떨어진다.[2]

산탄총의 경우, 가늠자는 제거하고 사수의 머리 위치로 후방 참조점을 대신하며, 총열 끝에 밝은 색 원형 비드를 사용한다. 가늠 방식으로 조준하며, 정밀 조준보다는 빠른 조준에 적합하다. 일부 산탄총은 리브 중간에 '중간 비드'를 추가하여 정렬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소총 스타일 가늠자를 장착하기도 한다. 전술 환경에서는 광섬유 앞 조준기가 선호되며, 소총처럼 의도적인 조준 사격이 가능하다.[9] 많은 산탄총 비드 조준기는 "8자 모양" 구성을 위해 설계되어, 앞 비드와 중간 비드가 겹쳐져 8자 모양을 이룰 때 정확한 조준이 된다.[10]

3. 2. 폐쇄형 가늠쇠 (Aperture sights)

가늠쇠와 가늠자를 맞추는 동심 원리와, 개방형 가늠쇠 및 폐쇄형 가늠쇠에 동시 기동형인 개/폐 가늠쇠가 있다. 동심 원리의 대표적인 K2 소총은 대한민국군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M16A1 소총에서는 개/폐 가늠쇠가 사용되었다.

SIG SG 550 돌격 소총의 후방 회전식 다이옵터 드럼 가늠자. "3" (300m 설정) 위에 있는 조준 구멍을 볼 수 있다.


전방 조준경에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크고 (왼쪽) 작은 (오른쪽) 구경의 조준경을 통해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


구경식 조준기(Aperture sight)는 "피프 사이트(peep sight)"라고도 하며, 얇은 링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흐려지는 "고스트 링" 조준기부터, 핀홀 크기의 구멍이 있는 큰 디스크나 다른 폐쇄 장치를 사용하는 표적 구경 조준기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링이 두꺼울수록 조준이 더 정확해지고, 링이 얇을수록 조준이 더 빨라진다.[2]

구경식 조준기의 작동 원리는 종종 인간의 눈이 후방 구멍을 통해 볼 때 자동으로 전방 조준경을 중앙에 맞추어 정확성을 보장한다고 설명한다.[2] 그러나, 구경식 조준기는 시차 억제라는 현상 때문에 전방 조준경이 후방 구멍의 중앙에 있지 않아도 정확하다.[11] 이는 구경이 눈의 동공 직경보다 작을 때 구경 자체가 표적, 전방 조준경, 후방 구멍 및 눈의 전체 광학 시스템에 대한 입사 동공이 되기 때문이다. 구경의 직경이 눈의 동공 직경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한, 후방 구멍 링 내에서 전방 조준경의 정확한 시각적 위치는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구경의 직경이 눈의 동공 직경 외부로 침범하기 시작하면서 시차 이동으로 인해 정확성이 약간 저하되기 시작할 뿐이다. 구경식 조준기의 추가적인 장점은 작은 구경이 더 큰 피사계 심도를 제공하여 전방 조준경에 초점을 맞출 때 표적이 덜 흐릿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저조도 조건에서는 시차 억제 현상이 현저히 더 좋다. 조준경을 통해 보는 피사계 심도는 밝은 조건과 동일하게 유지된다.[11] 이는 눈의 동공이 저조도 조건에서 더 넓어져 더 큰 구경과 더 흐릿한 표적을 의미하는 개방형 조준기와 대조적이다. 이러한 단점은 구경식 조준기를 통한 이미지가 개방형 조준기보다 더 어둡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준기는 여러 분야의 표적 소총과 Pattern 1914 Enfield, M1917 Enfield, M1 Garand, No. 4 시리즈 Lee–Enfield, M14 소총, Stgw 57, G3 및 M16 시리즈를 비롯한 여러 군용 소총에 사용된다. 군사 전투 또는 사냥용 소총 구경 조준기는 최적화되지 않은 현장 조건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표적 구경 조준기와 같이 최대한의 정확성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12]

Stevens Model 350 산탄총에 장착된 고스트 링의 예시


고스트 링 조준기는 일부 사람들에게 가장 빠른 형태의 조리개 조준기로 여겨진다. 정확도가 높고, 사용하기 쉬우며, 다른 거의 모든 비광학 조준기보다 표적을 덜 가린다. 이 때문에 고스트 링 조준기는 일반적으로 진압용 및 전투용 산탄총과 맞춤형 권총에 장착되며, 소총의 백업 조준 시스템으로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고스트 링은 비교적 최근의 혁신으로, 뒷부분 링의 극도로 얇은 두께와 약간 더 두꺼운 앞 조준점에서 기존의 조리개 조준기와 다르다. 얇은 링은 표적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반면, 더 두꺼운 앞 기둥은 빠르게 찾기 쉽도록 한다. 공장에서 제작된 Mossberg 고스트 링 조준기는 매우 얇은 링의 양쪽에 두꺼운 강철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산탄총이 떨어져 링의 모양을 손상시키거나 변형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표면에 충격을 가할 경우 조준기의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10미터 공기 소총 표적 다이옵터 및 구형 조리개 조준기 사진


표적 조리개 조준기는 최대 정밀도를 위해 설계되었다.[13] 후면 조준기 요소(종종 "다이옵터"라고 함)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1.2mm 이하의 구멍이 있는 큰 원반(직경 최대 1인치 또는 2.5cm)이며 사수의 눈 가까이에 위치한다.[14] 고급 표적 다이옵터는 일반적으로 시합 사수를 위해 최적의 조준 조건을 보장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다이옵터 조리개 및 광학 필터 시스템과 같은 액세서리를 수용한다. 일반적인 최신 표적 사격 다이옵터는 100m에서 2mm에서 4mm 단위로 풍향 및 고도 보정을 제공한다. 일부 국제 사격 연맹(ISSF)(올림픽) 사격 경기는 마지막 샷 시리즈의 최고 경쟁자의 최종 점수가 득점 링 포인트의 10분의 1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준의 정밀도를 조준선에 요구한다.

보완적인 전면 조준기 요소는 단순한 구슬 또는 포스트일 수 있지만, 더 자주 "구형"형 조준기이며, 나사산 캡이 있는 원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모양이 다른 탈착식 전면 조준기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흔한 것은 다양한 너비와 높이의 포스트 또는 다양한 직경의 링이다. 이는 사용되는 표적에 가장 적합하도록 사수가 선택할 수 있다. 유색 투명 플라스틱 삽입 요소도 중앙에 구멍을 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불투명 링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표적을 덜 가린 시야를 제공한다. 고급 표적 전면 조준기 터널은 일반적으로 시합 사수를 위해 최적의 조준 조건을 보장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조리개 및 광학 시스템과 같은 액세서리를 수용한다. 일부 고급 표적 조준기 제조업체는 조리개 메커니즘이 통합된 전면 조준기도 제공한다.

ISSF 시합 사격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둥근 표적을 조준하기 위해 둥근 후면 및 전면 조준기 요소를 사용하면 눈과 두뇌가 동심원을 쉽게 정렬하는 자연스러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최대 정밀도의 경우에도, 과녁과 전면 및 후면 조준기 링(전면 링을 사용하는 경우) 사이의 상당한 영역에서 흰색이 보여야 한다. 중심을 결정하는 가장 좋은 열쇠는 조리개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므로, 좁고 희미한 빛의 링은 더 크고 밝은 링보다 실제로 작업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 정확한 크기는 매우 주관적이며 사수의 선호도와 주변 조명 모두에 따라 다르므로 표적 소총에는 쉽게 교체 가능한 전면 조준기 삽입물과 조절 가능한 조리개 메커니즘이 함께 제공된다.

조준점의 윤곽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을 만큼 조여지면서도, '깜빡임'을 유발하지 않을 만큼 넉넉한 조리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프론트 조리개 크기 선택의 핵심이다. 조리개가 너무 작으면 표적과 프론트 조리개 외곽선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해져 사수는 표적 주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작은 눈 움직임을 생성해야 한다. USA 슈팅(USA Shooting)은 최소 3 분각(MOA)의 경계 공간을 생성하는 프론트 조리개를 권장한다. 정밀 사격(Precision Shooting)의 연구에 따르면, 이는 사수의 자신감을 높이고, 유지 시간을 줄이며, 보다 결정적인 사격을 가능하게 했다.[15] 그러나 성능을 향상시키는 프론트 조리개 크기의 상한이 존재할 수 있다. 2013년 연구자들은 골프 경기의 퍼팅 기술(시각적 정렬과 운동 능력을 결합하는 또 다른 기술)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다양한 크기의 동심원을 표적(골프 홀) 주변에 배치하여 표적의 인지된 크기를 조작함으로써, 더 작은 원으로 표적을 둘러싸서 인지된 크기를 증가시킬 때 성능이 향상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표적이 더 크게 인식될 때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아냈다.[16]

3. 3. 기타 가늠쇠

K2 소총은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동심원리 가늠쇠를 채택하고 있으며, M16A1 소총은 개방 가늠쇠와 폐쇄 가늠쇠를 함께 사용하는 개·폐 가늠쇠를 사용했다.

19세기 후반 소총은 "탱 조준기" 또는 "사다리식 조준기"라 불리는 두 가지 유형의 조리개식 조준기를 사용했다. 전장식 소총과 초기 탄약에 사용된 검은 화약은 총알을 고속으로 추진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조준기는 매우 넓은 범위의 수직 조정을 가졌으며, 종종 여러 도에 달하는 범위로 매우 먼 거리의 사격을 정확하게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45-70 탄약은 최대 약 1371.60m 거리에서 정확도를 시험했으며, 이는 3도의 각도 상승을 필요로 했다. 사다리식 조준기와 탱 조준기는 모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조준기 손상의 위험을 줄였다. 사다리식 조준기는 총열에 장착되었으며,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조준기로 사용할 수 있었다. 탱 조준기는 소총의 작동부 뒤에 장착되어 매우 긴 조준 거리를 제공했으며, 사용하려면 펼쳐야 했다. 탱 조준기가 있는 소총은 근거리 사용을 위해 개방형 조준기를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았다. 탱 조준기는 종종 버니어 캘리퍼스 눈금을 가지고 있어, 조준기의 전체 범위에서 1분각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까지 눈금 표시가 된 군용 M1917 사다리식 조준기


군용 소총의 조리개식 조준기는 얇은 링과 함께 더 큰 조리개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단순한 기둥형 가늠자를 사용한다.

3. 4. 접이식 가늠쇠 (Flip-up sights)

돌격 소총과 스포츠화된 반자동 소총은 사용자가 쉽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접이식 가늠쇠와 가늠자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늠쇠는 주무기 조준경(일반적으로 광학 조준경 - 망원 조준경 또는 레드 도트 사이트와 같은 -)이 고장 나거나 현재 전술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보조 조준 시스템으로 자주 사용되며, '''백업 가늠쇠'''(BUIS)라고 불린다.[2] 백업 가늠쇠는 광학 조준 장치와 탠덤으로 레일 통합 시스템 (가장 흔하게는 피카티니 레일)을 통해 장착되지만, 총구 축에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오프셋" BUIS도 존재한다. 비확대 광학 장치(예: 반사 조준경 또는 홀로그래픽 조준경)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접이식 가늠쇠와 가늠자는 종종 주 광학 조준경과 동일한 시야에 나타나도록 설계되며, 이는 ''공시''로 알려져 있다.

4. 기계식 조준기 조절

발사체탄도 궤적을 따라 총열 축 아래로 휘어지는 총기의 경우, 의도한 표적을 명중시키려면 해당 표적의 정확한 거리에 있는 궤적의 정확한 지점을 조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수는 조준선을 가늠자와 조준기에 정렬하여 일관된 '조준선'('조준 축')을 형성하고, 이는 사수의 시야 내에서 '조준점'(POA)을 생성하며, 이 조준점은 표적을 직접 가리킨다. 가늠자와 조준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조준선 간 거리'라고 하며, 이 거리가 길수록 조준 시 각도 오차가 작아진다.

"영점 조절"은 지정된 거리(일반적으로 100 야드/미터)에서 탄도의 교차점을 조준 축으로 조절하여 해당 거리에서 미리 결정된 ''탄착점''(POI)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영점"이라고 한다. 해당 "영점"을 기본 참조점으로 사용하여, 다른 거리에서 사격할 때 조준점을 탄착점과 쉽게 겹치도록 재조정할 수 있다. 현대식 가늠자는 영점 조절을 위해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모두 제공하며, 종종 사수가 먼 거리에서 증가하는 탄착점을 빠르게 보정할 수 있는 고저 표시가 있다(정밀도는 다소 제한적임).[2] 조준 축(직선)과 발사체 궤적(포물선)이 교차하려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있어야 하므로, 조준 또는 영점 조절 시 가늠자가 총열 위에 수직으로 있지 않으면 정확하게 사격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상황을 기울임이라고 함).

일반적인 블레이드 또는 포스트형 철제 가늠자의 경우, 사수는 조준기의 포스트를 가늠자 홈 중앙에 놓고 두 가늠자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2] 눈은 한 번에 하나의 초점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가늠자, 조준기 및 표적은 모두 별도의 평면에 있으므로 세 평면 중 하나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어떤 평면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는 가늠자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사수의 과제 중 하나는 최상의 조준 정렬을 위해 올바른 평면에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언은 조준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시차로 인해, 조준 정렬 각도의 작은 오차조차도 표적으로부터의 거리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표적에서 벗어나는 궤적을 초래하여 탄환이 표적을 빗나가게 된다. 예를 들어, 10미터 공기 소총 사수가 0.5mm 직경의 점인 10환을 맞추려고 하고, 4.5mm 직경의 펠릿을 사용할 경우, 조준 정렬의 오차가 0.2mm에 불과해도 완전한 빗나감이 될 수 있다(3mm 탄착점 오차). 1000m에서 동일한 정렬 불량은 100배로 확대되어 300mm 이상의 오차, 즉 조준 정렬 불량의 1,500배가 된다.[3]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리면 궁극적인 각도 오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가변 조절 메커니즘이 있는 경우, 더욱 동일한 짧은 조준선에 비해 작은 증분으로 조절된다. 조준기가 총열 전단에 있으면 가늠자를 총열에서 리시버나 텐션으로 옮겨 조준선 간 거리를 늘릴 수 있다.[4]

고정 가늠자는 조정할 수 없는 가늠자이다. 예를 들어, 많은 리볼버에서 후방 가늠자는 총의 리시버 상단에 밀링된 홈으로 구성된 고정 가늠자로 구성된다. 조절 가능한 가늠자는 다양한 사정거리, 바람의 영향에 맞게 조정하거나, 다양한 탄약 탄환 무게 또는 추진제 장약을 보정하도록 설계되어, 발사체의 속도 및 외부 탄도학을 변경하여 궤적과 탄착점을 변경한다. 가늠자 조정은 직교적이므로 풍향은 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정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총기를 발사할 때 수평이 아닌 기울어진 상태로 잡으면 조정이 더 이상 직교하지 않으므로, 최고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총기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조정 가능한 가늠자의 단점은 움직이는 부품의 본질적인 취약성이다. 고정 가늠자는 단단한 금속 조각(일반적으로 강철)이며, 총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면 유용성을 넘어 손상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반면에 조절 가능한 가늠자는 부피가 크고 총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부품이 있다. 조절 가능한 가늠자에 대한 단단한 충격은 일반적으로 조정 불량으로 이어지고, 총에서 완전히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자기 방어 또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총은 고정 가늠자를 사용하거나 보호를 위해 측면에 "날개"가 있는 가늠자(예: M4 카빈총의 가늠자)를 사용한다.

사냥용 총기에 사용되는 아이언 사이트는 절충안이 되는 경향이 있다. 조절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드라이버 또는 알렌 렌치와 같은 도구로만 가능합니다. 콤팩트하고 견고하게 제작되었으며, 위치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설계되었다. 반면에 표적 가늠자는 훨씬 부피가 크고 조정하기가 더 쉽다. 일반적으로 도구 없이 수평 및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큰 노브가 있으며, 종종 별도의 보호 케이스에 보관할 수 있도록 총에서 빠르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가장 흔한 것은 양방향으로 조정되는 후방 가늠자이지만, 군용 소총은 종종 후방에 ''탄젠트 가늠자''를 가지고 있으며, 후방 가늠자의 슬라이더는 다양한 사정거리에 대해 미리 눈금이 매겨진 고도 조절 장치를 가지고 있다. 탄젠트 가늠자의 경우 후방 가늠자는 종종 고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고, 전방 가늠자는 풍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M16A2 이후의 M16 시리즈 소총은 다이얼로 조정 가능한 사정거리 눈금이 매겨진 후방 가늠자를 가지고 있으며, 주어진 사정거리에서 소총을 "영점 조정"하기 위해 고도 조절 가능한 전방 가늠자를 사용한다. 후방 가늠자는 풍향 조정 및 영점 사정거리 변경에 사용된다.

5. 다른 방식의 조준기

6. 조준 보조 장치 (Enhancements)

광학식 조준기, 레드 도트 사이트와 같은 조준 보조 장치는 기계식 조준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장치들은 조준선 정렬과 표적 획득을 쉽게 하여 사격 정확도를 높인다.

철제 조준기는 단순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특정 목적에 맞는 철제 조준기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눈부심 방지 (Glare Reduction)'''

가늠자에서 발생하는 눈부심은 조준에 큰 영향을 준다. 반사되는 빛은 조준기의 밝기나 높이를 다르게 보이게 하여 오차를 유발한다. 주변광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변화하는 눈부심은 조준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눈부심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무광 마감: 조준기에 광택이 없는 마감을 하여 빛 반사를 줄인다. 톱니 모양이나 비드 블라스팅은 파란 강철이나 스테인리스강 조준기에 사용되며, 파커라이징이나 무광 검은색 페인트도 효과적이다.
  • 스모킹: 성냥이나 라이터로 조준기 아래에 그을음을 얇게 덮는다.
  • 진흙/먼지: 흙이나 먼지를 얇고 균일하게 묻혀 눈부심을 줄인다.


많은 표적 조준기는 수직 또는 언더컷 형태로 설계되어 빛이 눈부심을 일으키는 각도를 줄인다. 하지만 이러한 조준기는 옷이나 나뭇가지 등에 걸리기 쉬워 표적용 총기에만 주로 사용된다. 조준기 후드는 언더컷 조준기가 걸릴 가능성을 줄여주며, 일부 레버 액션 소총에 흔히 사용되지만, 일부 사격 규정에서는 금지된다.

; '''명암 대비 향상 (Contrast Enhancements)'''

사격 선수들은 조준기와 빛 사이의 대비를 높이기 위해 무광 검정 마감을 주로 사용하지만, 어두운 표적이나 저조도 환경에서는 검은색 조준기의 시인성이 좋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명암 대비 향상 기능이 개발되었다. 전방 조준기의 명암 대비 향상은 후방 조준기에 사용되는 것보다 약간 더 커야 사수의 관점에서 거의 동일하게 보인다.

명암 대비 향상 방식
방식설명특징
삼점식(Three-dot)전방 조준기 칼날 상단 근처에 밝은 흰색 점, 후방 조준기 노치 양쪽에 점 배치[17]반자동 권총에서 가장 흔함, 저조도에서 전방 조준기 점을 후방 조준기 점 사이에 수평으로 놓고 표적은 가운데(전방) 점 위에 배치, 일부는 다른 색상의 점 제공
흰색 윤곽선 후방(White outline rear)후방 조준기 노치 둘레에 두껍고 밝은 흰색 윤곽선이 있는 점 전방 조준기 사용[18]
직선 팔자(Straight Eight)단일 점 전방 조준기와 그 아래에 점이 있는 후방 노치를 수직으로 정렬하여 팔자 모양 형성[19]하이니(Heinie) 특수 제품에서 생산
조준기 삽입물(Sight inserts)전방 조준기 칼날에 빨간색이나 주황색 등 유색 플라스틱 삽입물[20]리볼버에 주로 사용
막대 / 점 또는 익스프레스 조준기(Bar / dot or Express sight)개방형 V자형 후방 조준기는 빠른 조준과 넓은 시야 제공, 전방 조준기의 점은 후방 조준기의 수직 막대 위에 놓여 "I"에 점을 찍는 것과 비슷[17]익스프레스 라이플에 전통적으로 사용, 일부 권총에서도 사용, 장거리 정밀 사격에는 정확도 낮음
금색 구슬(Gold bead)[17]IPSC 및 IDPA 사격의 많은 경쟁자들이 선호
야간 조준기(Night sights)바이알에 든 소량의 트리튬 가스가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형광 물질을 빛나게 함[21]전술 화기에서 사용,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 필수적인 시인성 제공, 밝은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아, 일부 회사는 광섬유 조준기와 트리튬 바이알을 결합
광섬유(Fiber optics)짧은 광섬유 조각을 사용하여 주변광을 팁에 집중시켜 점이 주변보다 밝게 보이도록 함[22]주로 전방 조준기에 사용, 권총, 소총, 샷건에서 애프터마켓 액세서리 및 공장 총기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음



개방형 조준기의 다양한 명암 대비 향상 방법.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삼점식, 흰색 윤곽선, 직선 팔자, 빨간 삽입물, 점 및 막대, 금색 구슬


슈타이어(Steyr) 삼각 권총 조준기


FN Five-seven의 트리튬 발광 권총 야간 조준기


조절식 개방형 조준기 후면 요소에 사용된 녹색 광섬유 명암 대비 향상 막대

6. 1. 눈부심 방지 (Glare Reduction)

철제 조준기, 특히 가늠자에서 발생하는 눈부심은 조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가늠자에서 반사되는 빛은 조준기의 밝기나 높이를 다르게 보이게 하여 조준 시 오차를 유발한다. 주변광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하는 눈부심은 조준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눈부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무광 마감: 조준기에 광택이 없는 마감을 하여 빛 반사를 줄인다. 톱니 모양이나 비드 블라스팅은 파란 강철이나 스테인리스강 조준기에 사용되는 방법이며, 파커라이징이나 무광 검은색 페인트도 효과적이다.
  • 스모킹: 조준기 아래에 성냥이나 라이터로 그을음을 얇게 덮는 방법이다.
  • 진흙/먼지: 얇고 균일하게 흙이나 먼지를 묻혀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많은 표적 조준기는 수직 또는 언더컷 형태로 설계되어 빛이 눈부심을 일으키는 각도를 줄인다. 하지만 이러한 조준기는 옷이나 나뭇가지 등에 걸리기 쉬워 표적용 총기에만 주로 사용된다. 조준기 후드는 언더컷 조준기가 걸릴 가능성을 줄여주며, 일부 레버 액션 소총에 흔히 사용되지만, 일부 사격 규정에서는 금지된다.

6. 2. 명암 대비 향상 (Contrast Enhancements)

사격 선수들은 조준기와 빛 사이의 대비를 높이기 위해 조준기에 무광 검정 마감을 주로 사용하지만, 어두운 표적이나 저조도 환경에서는 검은색 조준기의 시인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명암 대비 향상 기능이 개발되었다. 전방 조준기의 명암 대비 향상은 후방 조준기에 사용되는 것보다 약간 더 커야 사수의 관점에서 거의 동일하게 보인다.

; 삼점식(Three-dot): 반자동 권총에서 가장 흔한 방식으로, 전방 조준기 칼날 상단 근처에 밝은 흰색 점이 있고, 후방 조준기 노치 양쪽에 점이 있다. 저조도에서는 전방 조준기 점을 후방 조준기 점 사이에 수평으로 놓고, 표적은 가운데(전방) 점 위에 배치한다. 일부 조준기 회사는 전방 및 후방 조준기에 다른 색상의 점을 제공하기도 한다.[17]

; 흰색 윤곽선 후방(White outline rear): 후방 조준기 노치 둘레에 두껍고 밝은 흰색 윤곽선이 있는 점 전방 조준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18]

; 직선 팔자(Straight Eight): 하이니(Heinie) 특수 제품에서 생산하는 방식으로, 단일 점 전방 조준기와 그 아래에 점이 있는 후방 노치를 수직으로 정렬하여 팔자 모양을 만든다.[19]

; 조준기 삽입물(Sight inserts): 리볼버에 주로 사용되며, 전방 조준기 칼날에 빨간색이나 주황색과 같은 유색 플라스틱 삽입물을 넣는 방식이다.[20]

; 막대 / 점 또는 익스프레스 조준기(Bar / dot or Express sight): 익스프레스 라이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며 일부 권총에서도 볼 수 있다. 개방형 V자형 후방 조준기는 빠른 조준과 넓은 시야를 제공하지만, 장거리 정밀 사격에는 정확도가 낮다. 전방 조준기의 점은 후방 조준기의 수직 막대 위에 놓이며, "I"에 점을 찍는 것과 비슷하다.[17]

; 금색 구슬(Gold bead): IPSC 및 IDPA 사격의 많은 경쟁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이다.[17]

; 야간 조준기(Night sights): 전술 화기에서 사용되며, 바이알에 들어 있는 소량의 트리튬 가스가 방사성 붕괴를 일으켜 형광 물질을 빛나게 한다. 자체 발광 트리튬 조준기는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 필수적인 시인성을 제공한다.[21] 그러나 밝은 곳에서는 트리튬 발광이 잘 보이지 않아, 일부 회사는 광섬유 조준기와 트리튬 바이알을 결합하여 밝고 어두운 환경 모두에서 잘 보이는 조준기를 제공한다.

; 광섬유(Fiber optics): 공기총 및 머즐로더에서 시작된 방식으로, 짧은 광섬유 조각을 사용하여 주변광을 팁에 집중시켜 점이 주변보다 밝게 보이도록 한다. 주로 전방 조준기에 사용되지만, 많은 회사들이 전방 및 후방 조준기 모두에 광섬유를 사용하는 조준기를 제공한다. 광섬유 조준기는 권총, 소총, 샷건에서 애프터마켓 액세서리 및 공장 총기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22]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webster.com https://mw3.merriam-[...]
[2] 웹사이트 Choosing the Right Sight http://www.chuckhawk[...] chuckhawks.com 2008-07-24
[3] 문서
[4] 웹사이트 Peep Show http://www.rifleshoo[...] Guns & Ammo Network 2010-09-23
[5] 웹사이트 CMP - First Shot Online! http://www.odcmp.org[...]
[6] 웹사이트 Shooting a Shotgun vs. a Rifle {{!}} OR {{!}} Hunter Ed.com™ https://www.hunter-e[...] 2018-04-22
[7] 뉴스 Clays Shooting: Tips from the Shotgun Pros https://www.range365[...] 2018-04-22
[8] 웹사이트 Why Shotguns and Fiber-Optics Don't Mix https://www.outdoorl[...] 2018-04-22
[9] 웹사이트 Sighting Systems for the Defensive Shotgun - Lucky Gunner Lounge https://www.luckygun[...] 2018-04-22
[10] 웹사이트 Point of Impact http://www.browning.[...] 2018-04-22
[11] 웹사이트 Parallax Suppression with a Target Rifle Aperture Sight http://dougkerr.net/[...] 2015-02-06
[12] 웹사이트 The Ultimate Guide to the AR15 Iron Sights Ver 1.1 https://thenewriflem[...] 2016-05-16
[13] 간행물 Head Position, Diopter Interval and Lint by Heinz Reinkemeier, UIT Journal at www.issf-sports.org http://www.issf-spor[...]
[14] 웹사이트 Use of sight and choosing sight insert (Norwegian: Bruk av sikte og valg av hullkorn) - From an article published in the Norwegian newsletter Norsk Skyttertidende by John Olav Ågotnes http://www.skytterla[...] 2018-10-17
[15] 웹사이트 Where Are You Looking? https://www.usashoot[...] 2011-01-03
[16] 논문 Visual illusions can facilitate sport skill learning 2014-10-15
[17] 웹사이트 Description Of Sights http://www.novaksigh[...] Novak Sights Web site 2008-07-29
[18] 웹사이트 Sight Accessories - .126 White Outline Rear Sight Blade Kit http://www.smith-wes[...] Smith & Wesson Web site 2008-07-29
[19] 웹사이트 Heinie Straight Eight Sights http://www.heinie.co[...] Heinie Specialty products Web site 2008-07-29
[20] 웹사이트 Handgun Sights http://www.kimberame[...] Kimber of America Web site 2008-07-29
[21] 웹사이트 AmeriGlo Independent Light Tritium Night Sights http://www.chuckhawk[...] Chuck Hawks Web site 2008-07-29
[22] 웹사이트 Novak Fiber Optic Sights http://www.novaksigh[...] Novak Sights Web site 2008-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