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수는 대한성공회 주교이자 사회 운동가이다. 1930년 강화에서 태어나 단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성 미가엘신학원을 졸업했다. 1964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성 베드로 학교장, 성공회 서울교구장, 성공회대 총장 등을 역임했다. 1984년 주교, 1993년 관구장 대주교로 서품되었으며, 지적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고 푸르메재단 이사장으로 재임하는 등 장애인 인권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에 참여했으며, 만해대상 평화 부문을 수상했다.
김성수 주교는 1930년 강화군 온수리에서 할아버지 때부터 신앙을 계승한 성공회 신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서울교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배재중학교에 진학하였으나, 학생 시절 폐결핵에 걸려 학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기적적으로 병이 나아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성 미가엘신학원(현재 성공회대학교)에 입학했고, 1957년 단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2]
김성수 주교는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자 했다. 1964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74년부터 대한민국 최초의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봉사했다.[3] 1984년 주교로 서품되었고, 1993년에는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선친에게서 물려받은 강화도 온수리의 3,000평 대지에 지적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일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하였다.[4] 또한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재활 병원 건립을 목표로 하는 복지 기관인 푸르메재단의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2. 생애
1964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74년부터 대한민국 최초의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봉사했다.[3] 1979년 당시에는 지적 장애인을 위한 교육이 없던 때였기에, 성 베드로 학교는 선각자적인 역할을 했다.
1984년 주교로 서품되었고, 1993년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4·13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하여 6월 민주항쟁에 기여했다. 서울주교좌성당에는 6월 민주항쟁의 시작지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의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 외국인 노동자 쉼터인 경기도 마석 '샬롬의 집' 등도 그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시작되었다.[3]
1999년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강화도 온수리 땅에 지적장애인 직업재활 공동체 '우리마을'을 설립하고 촌장으로 활동했다. 이러한 공로로 만해대상 평화 부문 수상자로 결정되었다.[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30년 강화군 온수리에서 할아버지 때부터 신앙을 계승한 성공회 신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서울 교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배재중학교에 진학하였다. 학생시절 폐결핵에 걸려 학업을 중단했으나, 기적적으로 병이 나아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성 미가엘신학원(현재 성공회대학교)에 입학했다. 1957년 단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2]
2. 2. 사제 서품과 사회 참여
김성수 신학생은 하루 종일 일해도 꽁보리밥 한 그릇을 겨우 먹을 수 있는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목격하면서부터 어려운 사람들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고, 그러한 생각은 1964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74년부터 대한민국 최초의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봉사하는 원동력이 되었다.[3]
1964년 서른넷 늦은 나이에 사제가 된 김성수 신부는 교구의 인사발령으로 국내 첫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10년 넘게 일했다. 성 베드로 학교가 만들어진 1979년에는 지적 장애인들의 장애를 배려한 교육이 없던 때였으니, 성 베드로 학교는 그 존재함만으로도 선각자였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6·10 국민대회의 서막이 된 '4·13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함으로써 6월 민주항쟁에 함께 했다. 지금도 서울주교좌성당에는 6월 민주항쟁의 시작지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시작된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 외국인 노동자 쉼터인 경기도 마석 '샬롬의 집' 등이 모두 그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자리를 잡았다.[3]
2. 3. 성공회 주교와 사회 운동
1984년 주교로 서품되었고, 1993년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선친으로부터 받은 강화도 온수리 3,000평 대지에 지적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일할 곳을 마련하였다. 또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재활병원 건립을 목적으로 하는 복지기관인 푸르메재단 이사장으로 재임했었다.[3]
1964년 서른넷의 늦은 나이에 사제가 된 김성수 신부는 교구의 인사발령으로 국내 첫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10년 넘게 일했다. 1979년 당시에는 지적 장애인들의 장애를 배려한 교육이 없던 때였기에, 성 베드로 학교는 그 존재함만으로도 선각자였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6·10 국민대회의 서막이 된 '4·13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함으로써 6월 민주항쟁에 함께 했다. 지금도 서울주교좌성당에는 6월 민주항쟁의 시작지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시작된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 외국인노동자 쉼터인 경기도 마석 '샬롬의 집' 등은 모두 그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자리를 잡았다.[3] 성공회대 총장으로 8년간 재직할 때는 '등록금을 밥값으로 낭비할 수 없다'며 판공비를 모두 반납했다.
초대 성공회 한국관구장, 성공회대 총장 등을 지낸 김 주교는 1999년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내놓아 공동체를 세웠다.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지적장애인 직업재활 공동체 '우리 마을'을 설립하고 '촌장'으로 세상을 섬기는 활동을 하여 강원도 인제군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리는 만해대상의 평화 부문 수상자로 결정되었다.[4]
2. 4. 우리마을 설립과 노년
1984년 주교로 서품되었으며, 1993년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선친으로부터 받은 강화도 온수리 3,000평 대지에 지적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일할 곳을 마련하였다.[4] 또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재활병원 건립을 목적으로 하는 복지기관인 푸르메재단 이사장으로도 재임했었다.
성공회대 총장 등을 지낸 김성수 주교는 1999년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내놓아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지적장애인 직업재활 공동체 '우리 마을'을 설립하였다. '우리마을' 촌장으로서 세상을 섬기는 활동으로 강원도 인제군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리는 만해대상 평화 부문 수상자로 결정되었다.[4]
3. 활동 및 업적
성공회대학교 총장으로 8년간 재직하면서 '등록금을 밥값으로 낭비할 수 없다'며 판공비를 모두 반납하기도 했다. 사회에 봉사한 공로로 강원도 인제군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리는 만해대상의 평화 부문 수상자로 결정되었다.[4]
3. 1. 장애인 인권 운동
김성수 주교는 1984년 주교 서품을 받았고, 1993년에는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그는 선친에게서 물려받은 강화도 온수리의 3,000평 대지에 지적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일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하였다.[4] 또한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재활 병원 건립을 목표로 하는 복지 기관인 푸르메재단의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4년, 34세의 늦은 나이에 사제가 된 김성수 신부는 교구의 인사 발령으로[3] 국내 첫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에서 10년 넘게 교장으로 일했다. 1979년 성 베드로 학교가 설립될 당시에는 지적 장애인들의 장애를 고려한 교육이 없었기 때문에, 성 베드로 학교는 그 존재만으로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에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4·13 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하여 6월 민주항쟁에 동참하였다. 현재 서울주교좌성당에는 6월 민주항쟁의 시작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시작된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과 경기도 마석에 위치한 외국인 노동자 쉼터인 '샬롬의 집'도 김성수 주교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자리를 잡았다. 또한 성공회대학교 총장으로 8년간 재직하면서 '등록금을 밥값으로 낭비할 수 없다'며 판공비를 모두 반납하기도 했다.
3. 2. 민주화 운동
1964년 서른넷의 늦은 나이에 사제가 된 김성수 신부는 교구의 인사발령으로[3] 국내 첫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10년 넘게 일했다. 1979년 당시에는 지적 장애인들의 장애를 배려한 교육이 없던 때였기에, 성 베드로 학교는 그 존재만으로도 선각자였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6·10 국민대회의 서막이 된 '4·13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함으로써 6월 민주항쟁에 함께 했다. 지금도 서울주교좌성당에는 6월 민주항쟁의 시작지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시작된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 경기도 마석의 외국인노동자 쉼터인 '샬롬의 집' 등도 모두 그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자리를 잡았다.
3. 3. 사회 선교 활동
김성수 신부는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목격하면서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자 했다. 1964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74년부터 대한민국 최초의 지적장애인 특수학교인 성 베드로 학교장으로 봉사했다.[3] 1984년 주교로 서품되었고, 1993년에는 관구장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선친으로부터 받은 강화도 온수리 3,000평 대지에 지적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일할 곳을 마련하였다. 또한 장애인 재활병원 건립을 위한 복지기관인 푸르메재단 이사장으로도 활동했다.
1979년 당시에는 지적 장애인을 위한 교육이 부족했기에 성 베드로 학교는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1987년 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 김성수 주교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4·13호헌 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하여 6월 민주항쟁에 참여했다. 서울주교좌성당에는 이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시작된 '성공회 나눔의 집' 운동과 경기도 마석의 외국인노동자 쉼터 '샬롬의 집'도 김성수 주교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설립되었다.[3] 성공회대 총장 재직 8년간은 '등록금을 밥값으로 낭비할 수 없다'며 판공비를 반납하기도 했다.
초대 성공회 한국관구장, 성공회대 총장 등을 지낸 김 주교는 1999년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 지적장애인 직업재활 공동체 '우리 마을'을 설립했다. '촌장'으로서 사회에 봉사한 공로로 강원도 인제군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리는 만해대상의 평화 부문 수상자로 결정되었다.[4]
4. 평가 및 유산
(이전 단계에서 빈 문자열이 출력되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엠파스 인물정보
http://people.empas.[...]
[2]
뉴스
신년 종교인 대담/잘 사는 것은 무엇인가 김성수 주교
http://www4.hankooki[...]
한국일보
2003-01-03
[3]
문서
성공회 성직자 인사발령
[4]
뉴스인용
장애인 마을서 콩나물 심는 '촌장 주교님'
http://news.chosun.c[...]
서울신문
201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