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강화도에서 성미카엘신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의 이전을 거쳐 1994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사립대학교이다. 사회과학, 인문학, 미디어,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민주화운동자료관을 개관하는 등 사회 참여적 특징을 갖는다.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2009년 총학생회 선거 조작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구로구의 학교 - 서울정진학교
서울정진학교는 1987년 11월 25일에 개교한 학교이다. - 서울 구로구의 학교 - 동양미래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는 1965년 동양공업고등전문학교로 설립되어 효성그룹 인수 후 동양공업전문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학부, 23개 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교이다. - 성공회 대학 - 릿쿄 대학
릿쿄 대학은 1874년 미국 성공회 선교사가 설립한 릿쿄학교를 기원으로 하는 일본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성서와 영어 교육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국제적인 학풍과 리더십 교육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진 이케부쿠로와 니자 두 캠퍼스를 운영하는 대학이다. - 성공회 대학 - 상하이 세인트 존스 대학
상하이 세인트 존스 대학은 1879년 미국 감리교회에서 설립한 중국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서구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여 중국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1952년 해체되었고, 현재는 화동정법대학이 그 자리에 있으며, 관련 기관들이 여러 곳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성공회 - 샬롬의 집
샬롬의 집은 이주 노동자와 이주민의 권익 보호 및 한국 사회 적응을 지원하며, 상담, 의료, 교육, 문화 활동 지원과 더불어 임금 체불, 산업재해, 의료 문제 등 이주 노동자들의 어려움 해소와 코로나19 상황 속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미등록 이주민을 위한 지원 활동을 펼치는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성공회 - 서울주교좌성당
서울주교좌성당은 1885년 대한 성공회 선교 시작 이후 건립되어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하며, 1922년 건축이 시작되어 1996년에 완공되었고, 1978년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사회 봉사 활동도 펼치고 있다.
성공회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성공회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eonggonghoe Daehakgyo |
영어 이름 | Sungkonghoe University |
한자 표기 | 聖公會大學校 |
설립 | 1914년 (성 미카엘 신학원) |
개교 | 1994년 (종합대학교로 개편) |
종류 | 사립 대학 |
종교 | 성공회 |
건학 이념 | 열림, 섬김, 나눔 |
표어 | 인권과 평화의 대학 |
위치 | 서울특별시 구로구 연동로 320 |
웹사이트 | 성공회대학교 홈페이지 |
학교 관계자 | |
총장 | 김기석 이삭 |
학생 | |
학부생 | 3,090명 |
대학원생 | 447명 |
교직원 | |
행정 직원 | 287명 |
전임 교원 | 89명 (2018년) |
기타 교원 | 168명 (2018년) |
캠퍼스 | |
면적 | 39,431 제곱미터 |
이전 이름 | |
이전 이름 | 성 미카엘 신학원 |
학부 및 대학원 | |
학부 | 인문과학계 사회과학계 자연과학계 공학계 |
대학원 | 7개 대학원 |
2. 연혁
1914년 성 미카엘 신학교로 설립되어 1982년 천신 신학교로 개편되었고, 1994년에 성공회대학교로 개칭되었다. 1995년 세계 성공회 대학 협의회에 가입하였고[6], 1999년 상지대학교, 한신대학교와 함께 민주대학 컨소시엄을 형성하였다[6].
연도 | 내용 |
---|---|
1914년 4월 | 강화에서 성 미카엘 신학교로 개교.[7] |
1921년 5월 | 인천으로 이전. |
1952년 4월 | 청주로 이전. |
1961년 9월 | 부천으로 이전. |
1982년 3월 | 천신신학교로 개편(4년제 대학 학부 과정). |
1992년 2월 | 성공회신학대학교로 인가됨. |
1994년 9월 | 성공회대학교로 개칭. |
2000년 4월 | 민주화 운동 자료관 개관. |
2. 1. 1914~1982 : 성 미카엘신학원
1914년 4월 경기도 강화군에 성 미카엘신학원이 설립되었다.[7] 1915년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휴교하였다. 1921년 5월 인천광역시로 학교를 이전하였다.[7] 1940년 3월 조선총독부의 신사 참배 강요에 대한 거부 선언과 정치적인 이유로 강제 폐교되었으나,[7] 광복 이후 1948년 다시 개교하였다. 1952년 4월 한국 전쟁으로 인천광역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로 학교를 이전하였다.[7] 1961년 9월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 현 교지로 이전하였다. 1965년 4월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2. 2. 1982~1992 : 천신신학교
1982년 3월 성 미카엘신학원은 4년제 대학 학부 과정을 운영하는 천신신학교로 개편되었으며, 초대 교장으로 이재민 박사가 취임하였다.[7] 1986년 10월 국내 및 국외의 특별 헌금으로 학생회관을 준공하였다. 1988년 3월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하여 종합 대학으로 전환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2. 3. 1992~1994 : 성공회신학대학
1992년 2월 천신신학교가 폐지됨과 동시에 성공회신학대학 설립 인가를 받았다.[6] 1993년 3월 이재정 신부가 성공회신학대학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6] 1994년 3월 현재 사회과학부에 해당하는 종교사회학과와 현재 영어학과에 해당하는 선교영어학과를 신설하였다.[6] 1994년 7월 연세대학교와 협력대학 관계를 위한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다.[6]2. 4. 1994~현재 : 성공회대학교
1994년 9월 성공회신학대학에서 성공회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7] 1995년 3월 세계성공회대학협의회에 회원 학교 자격으로 가입하였다.[6] 1997년 3월 이재정 신부가 재취임하였고, 신학도서관을 개관하였다. 2000년 4월 국내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교내에 민주화 운동 자료관을 개관하였다.[7]2005년 성공회대학교는 학교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해 본부 행정조직을 개편하여 팀제를 도입하고 직원 호칭제도 등을 변경하였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교내 대학발전추진위원회가 2005~2014년 성공회대학교 장기발전계획 설명회를 진행하였다.
이 시기 성공회대학교는 상지대학교, 한신대학교와 함께 민주대학 컨소시엄을 구성하고,[6] 원광디지털대학교, 구로구청, 매일경제TV, 한겨레신문사 등과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국내 교육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또한 일본의 릿쿄 대학, 모모야마 대학, 폴학원 대학, 필리핀의 세인트루이스대학과 교류협정을 체결하고, 2000년 인도창 프로그램, 2004년 중국창 프로그램의 발대식을 진행하며 학부 재학생의 해외 교류 활동을 진흥하여 국제 교육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또한 이 시기 성공회대학교는 다수의 학부 전공과 대학원 과정을 신설하였다. 학부 과정으로는 1995년 3월 사회복지학과와 전산정보학과, 1996년 3월 일어학과와 신문방송학과, 9월 정보통신학과, 1997년 12월 유통정보학과, 1998년 10월 중어중국학과, 2001년 7월 디지털콘텐츠학부 등을 신설하였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1996년 3월 신학대학원, 1997년 12월 사회개발대학원, 1999년 11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보과학대학원, 2001년 8월 신학전문대학원 등을 신설하였다.
2003년 4월에는 학교 담장을 철거하였다. 2010년 10월에는 신학관 건축을 완료하였다. 2014년 4월에는 창립 100주년 기념식 및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2019년 4월에는 기숙사 'The Sup'을 개관하였다. 2022년 3월에는 인공지능 및 응용 빅데이터 학과를 신설하였다.
2013년에는 교육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되었다.[11]
3. 학문
성공회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과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1995년 3월 사회복지학과와 전산정보학과를 시작으로, 1996년 3월 일어학과와 신문방송학과, 9월 정보통신학과, 1997년 12월 유통정보학과, 1998년 10월 중어중국학과, 2001년 7월 디지털콘텐츠학부 등이 신설되었다.[11] 학생들은 학부 과정 진학 후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1996년 3월 신학대학원, 1997년 12월 사회개발대학원, 1999년 11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보과학대학원, 2001년 8월 신학전문대학원 등이 설립되었다.[11]
연구소로는 동아시아연구소(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EAI), 민주주의 및 사회운동 연구소(Democracy and Social Movements Institute, DaSM), 사회적기업 연구센터(Research Center for Social Enterprise) 등이 있다.[11]
3. 1. 학부
1995년 3월 사회복지학과와 전산정보학과, 1996년 3월 일어학과와 신문방송학과, 9월 정보통신학과, 1997년 12월 유통정보학과, 1998년 10월 중어중국학과, 2001년 7월 디지털콘텐츠학부 등을 신설하였다.[11] 학생들은 학부 과정에 진학한 후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사회과학대학 (전공 - 사회학, 정치학 및 국제관계학, 경제학, 사회복지학)
- 경영대학
- 인문대학
- 미디어 콘텐츠학과
- 미래융합대학 (전공 - 인공지능, 응용 빅데이터)
- 정보기술대학
; 인문과학계
- 신학과
- 영어영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 중국어중문학과
; 사회과학계
- 사회복지학과
- 사회과학부
- 신문방송학과
- 경영학부
; 자연과학계
- 디지털콘텐츠학과
; 공학계
- 멀티미디어시스템공학과
- 소프트웨어공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글로컬IT학과
3. 2. 대학원
1996년 3월 신학대학원, 1997년 12월 사회개발대학원, 1999년 11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정보과학대학원, 2001년 8월 신학전문대학원 등이 신설되었다.[11]대학원명 | 학과 및 전공 |
---|---|
사회과학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학과, 협동조합경영학과, 아시아문화연구전공, 아시아비정부기구전공 (MAINS) |
신학대학원 | |
교육대학원 | 사회교육전공, 특수교육전공 |
사회복지대학원 | |
평화와 시민사회대학원 | |
문화커뮤니케이션대학원 | |
사회연대경제대학원 | |
일반대학원 | |
신학전문대학원 | 신학석사과정, 신학박사과정, 교회음악석사과정 |
시민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NGO대학원 | NGO학과(비정부기구학전공), 실천여성학전공, 정치경제학전공, 정치정책학전공 |
문화대학원 | 문화기획전공, 미디어·문화연구전공 |
3. 3. 연구소
4. 국제 교류
성공회대학교는 국내외 다수의 대학 및 기관들과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교육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국내에서는 상지대학교, 한신대학교와 함께 민주대학 컨소시엄을 구성하였으며, 원광디지털대학교와 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구로구청, 매일경제TV, 한겨레신문사 등과도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다.[11]
국외에서는 일본의 릿쿄 대학, 모모야마 대학, 폴학원 대학, 필리핀의 세인트루이스대학과 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인도창 프로그램, 2004년 중국창 프로그램 발대식을 통해 학부 재학생의 해외 교류 활동을 지원하였다.[11]
국제 경제 협력 및 문화 교류에 종사할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으로, 전문 분야 학습과 외국어 습득을 목표로 한다. 선발된 학생에게는 수강료의 절반이 장학금으로 지원되며, 인도, 중국 등 현지에서 1년간 배우는 과정이 있다. 제휴 교육 기관에서 수개월간 학습 후 제휴 기업에서 현장 실무 교육을 받는다.[8][9]
5. 상징
성공회대학교 교표는 그리스도의 빛이 퍼져나가는 불꽃과 온누리, 대학의 수호성인인 성 미카엘의 첫 알파벳 M과 천평저울을 단순화한 것이다. 교표 속 문구인 'Lux Mundi'는 '세상의 빛'을 의미하는 요한복음 8장 12절의 라틴어이다.
6. 위상
성공회대학교는 규모가 작은 대학으로, 대중적인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민주화 운동과 사회적 소수자 인권 운동에 기여해 온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진보적인 학풍을 가진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6. 1. 정부 평가
2000년 9월과 2001년 8월 대한민국 교육부는 성공회대학교를 비정부기구 부문의 특성화를 통해 교육개혁추진 우수대학으로 2년 연속 선정하였다.6. 2. 대외 평가
2003년 9월 중앙일보는 성공회대학교를 전국대학평가 사회학 부분 전 분야 상위권으로 선정하였다.[1]6. 3. 국책사업 활동
2004년 2월 대한민국 정보통신부는 성공회대학교를 IT학과 교과과정 개편지원사업 신규지원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2005년 3월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의 IT교수요원 초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7. 주요 인물
8. 논란
2009년 성공회대학교 총학생회에서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 가입과 관련하여 투표 조작 사건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8. 1. 한국대학생연합 가입 총투표 조작 사태
2009년 초, 성공회대학교 총학생회는 4.2 동맹휴업 및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이하 한대련) 가입 건에 대한 총투표를 실시했다. 과반수를 40명 정도 넘긴 학생들이 투표에 참여했고, 그중 각각 80%, 70%를 넘는 학생들이 찬성하여 총투표가 가결되었고, 성공회대학교 총학생회는 한대련에 가입했다.[12]그러나 2009년 12월, 선거가 끝난 개표일 전날 밤 몰래 개표한 결과, 10표 남짓한 차이로 한대련 투표가 (정족수 미달로) 부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내부고발자는 선거인명부를 고치고 50여 표를 더 넣어 가결시켰다고 양심선언했다.[13][14][15]
부총학생회장은 선거인명부에 투표권이 없는 휴학생이 많이 포함되었다고 변명했지만, 학교 측은 순수 재학생만 포함된 명단을 학생 측에 제공했다고 반박했다.
12월 10일 양심고백 이후, 12월 11일 부정선거 주범인 부총학생회장이, 12월 14일 총학생회장이 사죄했다. 1월 14일 1차 토론회가 열렸고, 1월 15일에는 다른 부정선거 가담자가 양심선언을 했다.
학생사회 논의 결과, 주범에게는 부총학생회장 자격 박탈, 학생회원 권리 박탈, 공개적 방법으로 사과문 발표, 교내봉사 120시간(한 학기 이내)의 징계가 내려졌다. 부정투표 가담 후 뒤늦게 양심선언을 한 내부고발자 2명에게는 교내봉사 20시간의 징계가 내려졌다. 총학생회장 등 다른 총학생회 집행부 구성원과 선관위원은 부정투표에 개입하지 않았고, 찬성 25장/반대 25장의 부정투표를 한대련 투표에 한해 넣은 것으로 드러났다.[16]
참조
[1]
웹사이트
교육이념
http://skhu.ac.kr/un[...]
2014-03-18
[2]
뉴스
https://www.bbc.com/[...]
2017-08-30
[3]
웹사이트
Why should we pay back odious and illegitimate debts?
http://www.cadtm.org[...]
2007-03-14
[4]
웹사이트
대학기구 표
http://www.skhu.ac.k[...]
聖公会大学校
2011-10-06
[5]
웹사이트
교육이념
http://www.skhu.ac.k[...]
聖公会大学校
2011-10-06
[6]
웹사이트
역사 1990-1999
http://www.skhu.ac.k[...]
聖公会大学校
2011-10-06
[7]
웹사이트
역사 개교-1989
http://www.skhu.ac.k[...]
聖公会大学校
2011-10-06
[8]
웹사이트
해외창 안내
http://www.skhu.ac.k[...]
聖公会大学校
2011-10-13
[9]
웹사이트
우리도 외국에서 공부할 수 있을까?
http://www.skhugrowt[...]
聖公会大学校メディアセンター
2011-10-13
[10]
웹사이트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www.academyin[...]
[11]
뉴스
35개 사립대 재정지원제한·9개대 국가장학금도 제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29
[12]
웹인용
4.2 동맹휴업 총투표 및 한대련 가입 건 총투표 결과
http://www.skhu.ac.k[...]
2017-05-17
[13]
웹사이트
09학번 강준구 양심선언 - 한대련 총투표는 부정이었습니다
http://www.skhu.ac.k[...]
2009-12-10
[14]
웹사이트
성공회대 한대련 가입투표 “결과 조작됐다” 파문
http://www.hani.co.k[...]
한겨레
[15]
웹사이트
성공회대 학보 224호 1면
http://issuu.com/med[...]
2010-03-03
[16]
웹인용
한대련 부정투표 사건 최종 징계안
http://www.skhu.ac.k[...]
2017-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