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교좌성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주교좌성당은 1885년 대한 성공회 선교가 시작된 후 건립된 성당으로,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위치해 있다. 1890년 존 코프 주교가 부지를 매입하고 장림 성당으로 축성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922년 건축이 시작되었으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중단되었다가 1996년에 완공되었다. 1978년 중요 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으며, 1987년 6월 항쟁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실직자 지원, 노숙자 급식 봉사 등 사회 봉사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으며, 시청역에서 가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성공회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성공회 - 샬롬의 집
샬롬의 집은 이주 노동자와 이주민의 권익 보호 및 한국 사회 적응을 지원하며, 상담, 의료, 교육, 문화 활동 지원과 더불어 임금 체불, 산업재해, 의료 문제 등 이주 노동자들의 어려움 해소와 코로나19 상황 속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미등록 이주민을 위한 지원 활동을 펼치는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교회당 - 여의도순복음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조용기 목사와 최자실 목사에 의해 1958년 시작되어 교세 확장을 거쳐 대한민국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로 성장했으며, 세계 최대 교회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교회당 - 온누리교회
온누리교회는 1985년 하용조 목사가 개척하여 대한민국 대표적인 장로교회로 성장했으며, 포스트모던 전도 방식과 조직 구조, 다양한 언어권 예배 제공, 특히 한국 내 가장 큰 영어권 장로교 예배를 특징으로 한다.
서울주교좌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서울 성공회 성당 |
위치 |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교파 | 성공회 |
기공 | 1922년 |
건축가 | 아서 스탠스필드 딕슨 |
양식 | 로마네스크 리바이벌 건축 |
한국어 명칭 | |
한글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 |
로마자 표기 | Daehanseonggonghoe Seouljugyoja DaeSeongdang |
영어 | Seoul Anglican Cathedral of Sts. Mary and Nicholas |
일본어 | 聖公会ソウル主教座聖堂 |
상세 정보 | |
통칭 | 서울주교좌성당 / 서울대성당 |
원어 명칭 | Sts Mary & Nicholas' Cathedral, Seoul |
관구 | 한국관구 |
교구 | 성공회 서울교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
건립 연대 | 1920년대 |
봉헌일 | 1926년 5월 2일 |
주임 신부 | 박성순(야고보) 신부 |
주보 성인 | 성모 마리아와 성 니콜라 |
사제수 | 6명 |
부제수 | 1명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서울주교좌성당 |
영어 이름 | Sts Mary&Nicholas' Cathedral, Seoul |
한자 이름 | 서울主敎座聖堂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35 |
지정일 | 1978년 12월 18일 |
시대 | 1926년 |
2. 역사
1922년 한국교구장 조마가 주교가 주도하고 영국인 건축가 아서 딕슨이 설계하여 대성당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자금 문제 등으로 1926년 부분 완공에 그쳤다. 이후 '예비 대성당'으로 불리며 70여 년간 사용되다가, 1994년 성당 창립 100주년 기념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현재의 모습으로 완공되었다.[4]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교구장 등 성직자들이 피랍, 순교하는 아픔을 겪었다.[4] 1965년 서울교구 설정과 함께 주교좌성당으로 승격되었으며, 1985년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다.[4]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 건축 양식이 섞인 건물로, 1978년 12월 1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1987년 6월 항쟁이 시작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4]
서울대성당 주변에는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덕수궁, 서울특별시청, 서울신문 본사, 조선일보 본사, 주한 영국대사관, 서울특별시의회, 주한 미국대사관 등이 있다. 성당 바로 옆에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 대한성공회가 매입한 경운궁 양이재(대한민국 등록문화재 267호)가 있다.
2. 1. 건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885년 ~ 1926년)
1885년 대한성공회 선교가 강화도에서 시작되었다.[4] 1890년 존 코프 주교가 잉글랜드에서 서품을 받고 한국 교구의 주교로 서울에 도착했다. 존 코프 주교는 현재 서울주교좌성당 부지에 있는 토지와 전통적인 한국식 건물을 매입했다. 성당은 첫 성찬 예식이 거행되면서 설립되었으며, 코프 주교는 교회를 "장림 성당"으로 축성하고 매일 미사를 시작했다.[4]1909년 성공회는 넓은 부지를 매입하고 성당 건축 계획을 확정했다. 1917년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RIBA) 회원인 아서 딕슨에게 성당 설계를 의뢰했다. 1922년 서울주교좌성당 건축이 시작되었으나, 1926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건축이 중단되었고, 원래 건축 계획의 약 절반만 완료되었다. 이후 '예비 대성당'이라 불리며 70여 년을 사용하였다.[4]
2. 2. 미완성 시기 및 한국전쟁 (1926년 ~ 1965년)
1922년 제3대 한국교구장 조마가 주교가 주도하고, 영국인 건축가 아더 딕슨이 설계를 하여 대성당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자금 문제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1926년에 부분 완성되었고, '예비 대성당'이라 불리며 70여 년을 사용하였다.[4]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교구장 세실 쿠퍼 주교, 대성당 주임사제 윤달용 모이서 신부 등이 피랍되어 순교하였다.[4]
1965년 5월 27일 서울교구 설정과 동시에 주교좌성당으로 승격되었고, 주교좌성당으로서 최초의 한인 주교이자 초대 교구장인 이천환(바우로) 주교 승좌식이 봉행되었다.
2. 3. 서울교구 분할 및 성장 (1965년 ~ 1996년)
1965년 5월 27일 성공회가 서울교구와 대전교구로 분리되면서 서울교구 설정과 동시에 서울대성당은 주교좌성당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최초의 한인 주교이자 초대 교구장인 이천환(바우로) 주교의 승좌식이 거행되었다.[4]1985년 12월 25일 영국 Harrison and Harrison (해리슨과 해리슨) 오르간 제작사에서 만들어진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다.[4]

1987년 전두환 군사 독재 정권에 대항한 시민 운동인 6월 항쟁이 서울대성당에서 시작되었다.[4]
1991년 성당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당초 서울시는 확장에 대한 계획을 거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또는 한국 전쟁 중에 분실되었던 원래 설계 도면이 대영 박물관 기록 보관소에서 재발견된 후 허가를 받았다.
1996년 5월 2일 서울주교좌성당이 완공되어 재축성되었다.[4]
2. 4. 완공 및 현재 (1996년 ~ 현재)
1994년 성당 창립 100주년 기념으로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현재의 모습으로 완전히 공사를 마쳤다.[4] 1996년 5월 2일 서울주교좌성당 완공 및 재축성이 이루어졌다. 1998년에는 실직자를 위한 희망터를 개소하고, 노숙자 급식 봉사, 결식 아동 도시락 제공, 독거인 반찬 제공을 시작하였다. 1999년에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방문하였다. 2005년에는 개신교 (장로교, 감리교) 목사들이 방문하여 함께 감사성찬례를 봉헌하였고, 2006년에는 경동교회(한국기독교장로회)와 교환 감사성찬례/예배를 처음 시행한 이후 매년 시행하고 있다.3. 건축
1922년 제3대 한국교구장 마크 트롤로프(한국이름 조마가) 주교가 주도하고, 영국인 건축가 아더 딕슨이 설계를 하여 대성당 공사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자금 문제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1926년에 부분 완공되었고, 1994년 성당 창립 100주년 기념으로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현재의 모습으로 완전히 공사를 마쳤다.
3. 1. 건축 양식
1922년 제3대 한국교구장 마크 트롤로프(한국이름 조마가) 주교가 주도하고, 영국인 건축가 아더 딕슨이 설계를 하여 대성당 공사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자금 문제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1926년에 부분 완성되었다. 미완성인 상태로 '예비 대성당'이라 불리며 70여 년을 사용하다가, 1994년 성당 창립 100주년 기념으로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현재의 모습으로 완전히 공사를 마쳤다.로마네스크 양식의 건물이면서도 처마장식, 기와지붕에는 한국의 건축 양식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4. 주변 시설
서울주교좌성당 주변에는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덕수궁, 서울특별시청, 서울신문 본사, 조선일보 본사, 주한 영국 대사관, 서울특별시의회, 주한 미국 대사관 등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대성당 바로 옆에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에 대한성공회가 덕수궁에서 옮겨온 경운궁 양이재가 있다. 양이재는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267호이다.
5. 찾아가는 길

참조
[1]
웹사이트
Arts & Crafts Architecture in Birmingham II: AS Dixon & the Birmingham Guild of Handicraft « Birmingham Conservation Trust
http://www.birmingha[...]
Birmingham Conservation Trust
2014-02-04
[2]
웹사이트
정동야행
http://www.jeongdong[...]
2020-09-11
[3]
문서
はじめソウル特別市から建設許可が下りなかったが、もともとの設計図が偶然[[英国]]の田舎の教会で見つかり、拡張建設が許可になった。
[4]
문서
쿠퍼 주교는 피난길을 역행하여 용인성당을 순방하려다 피랍, 윤 모이서 신부는 대성당을 지키다가 피랍당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