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성환 (만화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환은 1932년 개성에서 태어난 만화가이다. 1949년 《연합신문》에 《멍텅구리》를 연재하며 데뷔했고, 1950년 '고바우 영감' 캐릭터를 창조하여 1955년부터 신문 만화로 연재를 시작했다. '고바우 영감'은 50년간 14,139편이 연재되어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연재된 만화가 되었다. 그는 '고바우 영감'을 통해 정치적 풍자를 시도하여 투옥되기도 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고바우 영감' 원화는 2013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동아대상, 소파상, 한국만화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카투니스트 - 김중혁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중혁은 《문학과사회》에 중편소설 〈펭귄뉴스〉를 발표하며 등단 후 독특한 개성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소설들을 발표하며 주목받았고, 김유정문학상, 젊은작가상 등을 수상했으며, 소설 창작 외에도 칼럼 기고, 팟캐스트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카투니스트 - 사키루
    사키루는 대중문화 비판적 조롱 스타일의 작품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예술가이며, 미니 캐릭터 디자인, 광고 출연, 자서전 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대한민국의 수감자 - 박노해
    박노해는 1980년대 군사독재 정권에 저항한 '얼굴 없는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시집 《노동의 새벽》 출간 후 사노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나눔문화'를 설립하여 반전 평화 운동과 사진 활동,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진작가, 사회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수감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김성환 (만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성환
출생일1932년 10월 8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기도 개성부
사망 연도2019년 9월 8일
사망지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국적대한민국
직업만화가
장르시사 만화
한국어 이름김성환
한자 이름金星煥
로마자 표기Gim Seonghwan
한국어 이름 (고바우)고바우
로마자 표기 (고바우)Gobau
학력경희대학교
알려진 작품고바우 영감

2. 생애

김성환은 1932년 10월 8일 일제강점기 개성(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에서 태어나,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를 따라 만주로 옮겨 살게 됐다. 만주에서 돈화국민우급학교와 길림6고(중학교)를 졸업하고 경복중학교(현 경복고등학교)에 진학했고, 미술반장을 도맡았다. 그는 1949년에 《연합신문》에 《멍텅구리》를 연재하여 데뷔하게 됐다.[11] 서울의 경복중학교(구제) 재학 중에 만화 기고를 시작했으며, 이후 직업 만화가가 되었다. 1950년 11월 만화 『고사리군』의 아버지 캐릭터로 고바우 영감을 창조했으며, 그 캐릭터를 "만화신보", "희망", "신태양" 등의 만화 잡지에서 활동시킨 후, 1955년부터 신문 만화로 『고바우 영감』을 시작했다.

3. 학력

경복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졸업


4. 작품 활동

김성환은 1932년 10월 8일 일제강점기 개성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에서 태어나, 서울 경복중학교(구제) 재학 중 만화를 시작하여 직업 만화가가 되었다. 1950년 11월 만화 『고사리군』의 아버지 캐릭터로 고바우 영감을 창조, 여러 만화 잡지에서 활동시킨 후 1955년부터 신문 연재를 시작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당시 18세 학생이자 잡지 삽화가였던 김성환은 주변의 사건들을 그림으로 기록했다.[3] 북한군을 피해 도망치는 피난민과 군인들을 스케치했고,[4] 이는 전쟁 속 민간인들의 삶을 보여주는 시각적 기록이 되었다.[5]

전쟁 화가 김성환의 스케치 ''돈암교 부근'' (1950년 6월 한국 전쟁 초기)


1950년 9월 서울 수복 후, 대한민국 국방부 종군 화가로 고용되었다.[3]

4. 1. 고바우 영감

김성환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1955년 동아일보에 처음 등장한 '고바우'라는 캐릭터였다. 이 만화 속 인물은 둥근 눈, 큰 코, 콧수염, 머리 위에 한 가닥의 머리카락을 가진 노인이다. 이 억누를 수 없고 과묵한 노인의 모험은 50년에 걸쳐 14,139편의 에피소드로 연재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연재된 만화가 되었다.[6]

김성환의 유머 감각은 때때로 도발적이었다. 예를 들어, 장택상 국무총리가 개에게 물리는 그림을 그려 물의를 일으켰다.[6] 1958년에는 청와대를 풍자하는 만화를 그려 이승만 정권에 의해 투옥되었는데, 만화에는 사람들이 청와대에서 똥통을 들고 나오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후 이승만의 측근 이기붕은 김성환과 화해를 시도하며 이승만의 일대기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지만, 김성환은 그 요청을 거절했다.[7]

『고바우 영감』은 세 개의 신문을 거쳐 약 45년간 연재를 이어갔다.



이승만, 박정희의 독재 시대에는 타고난 반골 정신으로 아슬아슬한 풍자를 연발하여, 당국으로부터 여러 형태로 압력을 받았다.

일본에서도 『고바우 아저씨』로 1975년과 1984년, 2003년에 출판되었다.

4. 2. 기타 작품

김성환의 기타 작품으로는 다음이 있다.

  • 《꽁생원》
  • 《미스 꾀꼬리》
  • 《맹랑선생》
  • 《멍텅구리》
  • 고바우 영감
  • 《도토리용사》
  • 《빅토리조절구》
  • 《만화로 보는 역사》 (전2권)
  • 《콩이와 들개》
  • 《무언극 고바우》
  • 《고바우 세계 방랑기》
  • 《고바우와 함께 산 반생》
  • 《소케트군》 (전5권)
  • 《꺼꾸리군 장다리군》
  • 《세모돌이 네모돌이》
  • 《김성환 전집 고바우 영감》 (전10권)
  • 《고바우 현대사》 (전4권)


김성환은 한국 전쟁 중 다양한 출판사에서 일했으며,[6] 그 후 수십 년 동안 그의 경력이 번창했다. 1955년 동아일보에 처음 등장한 "고바우 영감"은 김성환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고바우는 둥근 눈, 큰 코, 콧수염, 머리 위에 한 가닥의 머리카락을 가진 노인 캐릭터이다. 이 억누를 수 없고 과묵한 노인의 모험은 50년에 걸쳐 14,139편의 에피소드로 연재되었으며, 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연재된 만화이다.[6]

김성환의 유머 감각은 때때로 도발적이었다. 예를 들어, 장택상 국무총리가 개에게 물리는 그림을 그려 물의를 일으켰다.[6] 1958년에는 청와대를 풍자하는 만화를 그려 이승만 정권에 의해 투옥되기도 했는데, 만화에는 사람들이 청와대에서 똥통을 들고 나오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후 이승만의 측근 이기붕은 김성환과 화해를 시도하며 이승만의 일대기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지만, 김성환은 그 요청을 거절했다.[7]

5. 사건

김성환은 한국 전쟁 중 다양한 출판사에서 일했으며, 그 후 수십 년 동안 그의 경력이 번창했다.[6] 그의 유머 감각은 때때로 도발적이었다. 이승만, 박정희 독재 시대에는 타고난 반골 정신으로 아슬아슬한 풍자를 연발하여 당국으로부터 여러 형태로 압력을 받았다.

5. 1. 경무대 똥통 사건

김성환은 장택상 국무총리가 개에게 물리는 그림을 그린 만화로 물의를 일으켰다.[6] 1958년에는 청와대를 풍자하는 만화를 그려 이승만 정권에 의해 투옥되었는데, 이 만화에는 사람들이 청와대에서 똥통을 들고 나오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7] 이후 이승만의 측근 이기붕은 김성환과 화해를 시도하며 이승만의 일대기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지만, 김성환은 이를 거절했다.[7]

6. 종군 화가 활동

1950년, 김성환은 18세의 학생이자 잡지 삽화가였다. 북한군이 남쪽으로 진격해 오자, 그의 그림은 그 주변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기록했다.[3] 김성환은 북한군의 맹렬한 공격을 피해 도망치는 피난민과 군인들을 스케치했다.[4] 그의 작품은 한국 전쟁의 주변부로 휩쓸린 민간인들의 삶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록이다.[5]

1950년 9월 서울이 수복된 후, 김성환은 대한민국 국방부의 종군 화가로 고용되었다.[3]

7. 등록문화재 지정

문화재청은 2012년 12월 20일 김용환의 《토끼와 원숭이》, 김종래의 《엄마 찾아 삼만리》와 함께 《고바우 영감》 원화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12] 2013년 2월 11일, 이 3건의 만화는 근대 만화 최초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8. 수상

연도상 이름작품명비고
1973년동아대상
1974년소파상〈소케트군〉[13]
1988년서울언론인클럽 신문만화상
1990년언론학회 언론상
1997년한국만화문화상
2002년보관문화훈장


9. 전시

김성환은 개인전, 기념전, 참여전 등 다양한 형태의 전시를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9. 1. 개인전

횟수개최 기간전시 장소전시명
제1회1961년 10월 21일 ~ 10월 27일국립도서관화랑[14]
제2회1963년 10월 25일 ~ 10월 31일국립도서관화랑[15]
제3회1977년 3월 24일 ~ 3월 29일문헌화랑김성환 회화전 [16]
제4회1979년 3월 29일 ~ 4월 3일미도파화랑김성환 동양화전 [17]
제5회1982년 10월 21일 ~ 10월 26일미도파화랑김성환 작품전 [18]
제6회1990년 6월 18일 ~ 6월 24일서울 압구정동 현대미술관김성환 회화전 [19]
제7회1995년 10월 10일 ~ 10월 15일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7층 롯데화랑김성환 세계풍물화전 [20]
제8회
제9회
제10회2004년 6월 7일 ~ 6월 12일서울갤러리 제1전시실판자촌 시대
제11회2007년 3월 20일 ~ 3월 25일서울갤러리 제1전시실고바우 서화 소품전
제12회
제13회2010년 9월 29일 ~ 10월 4일인사동 인사아트센터그 시절 그 모습
제14회2011년 11월 9일 ~ 11월 24일서울 소공동 롯데갤러리다정한 편지


9. 2. 기념전

1987년 5월 6일부터 5월 10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제1회의실에서 「1만회게재 기념전」이 열렸다. 1996년 11월 25일에는 국립중앙도서관 7층에 「고바우 김성환작품전시실」이 개관되어 상설 전시가 시작되었다. 2000년 11월 9일부터 11월 21일까지 세종문화회관 갤러리에서 「고바우 반세기전」이 개최되었다.

9. 3. 참여전

참조

[1] 웹사이트 시사만화가 상징 ‘고바우 영감’ 김성환 화백 별세 http://www.hani.co.k[...] 2019-09-11
[2] 블로그 An Artist at War, 1950 http://tothelastroun[...] Andrew Salmon
[3] 간행물 A Cartoonist at War: 'Gobau's' Korea, 1950, http://www.japanfocu[...] Andrew Salmon 2009-07-13
[4] 뉴스 A teenage cartoonist’s diary of horrors, http://joongangdaily[...] JoongAng Ilbo 1010-07-10
[5] 블로그 Remembering the Battle of the Imjin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KCC), http://londonkoreanl[...] Philip Gowman 2010-07-28
[6] 웹사이트 Kim Seong-kwan http://lambiek.net/a[...] Comiclopedia
[7] citation (오랜만입니다) '고바우' 김성환 화백 "'경무대 똥통' 필화사건?… 유명해지려고 함정 판거야"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11-09-20
[8] 뉴스 「コバウおじさん」漫画家のキム・ソンファンさん死去 享年87歳 https://web.archive.[...] 2019-09-09
[9] 뉴스 인용 '고바우 영감' 김성환 화백 별세(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9-09
[10] 뉴스 45년 정치풍자, 만화가로 살아온 ‘고바우 영감’ 김성환 화백 https://news.v.daum.[...] 2012-07-01
[11] 웹사이트 만화가 김성환 :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 2009-08-28
[12] 뉴스 '고바우 영감' 원화 문화재 된다 https://news.naver.c[...]
[13] 뉴스 만화가金星煥씨 小波賞 受賞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4-02-13
[14] 뉴스 金星煥첫洋畵展 國立圖書館畵廊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1-10-21
[15] 뉴스 두 번째 金星煥 洋畵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3-10-22
[16] 뉴스 東亞포우스트-金星煥회화전(鷄龍山圖外85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7-03-21
[17] 뉴스 金星煥 동양화전 29일부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3-28
[18] 뉴스 金星煥 작품전 미도파화랑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10-19
[19] 뉴스 문화마당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0-06-15
[20] 뉴스 김성환 세계 풍물화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5-10-07
[21] 뉴스 아시아 만화전 21일부터 열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06-12
[22] 뉴스 "<전시> 김성환 이석주 황주리-함께 가는 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3-09-05
[23] 뉴스 사회의 변화·흐름 한눈에 .. 시사만화작가 초대전 열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3-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