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수지 (간호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지는 한국 최초의 간호학 박사로, 간호학 교육 발전과 간호 지도자 양성에 기여한 인물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간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간호학회 회장, 정신전문간호사회 회장, 한국호스피스협회 회장 및 이사장을 역임했다. 또한,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사람 돌봄 이론'을 개발하고, 호스피스 케어를 국내에 처음 소개했다. 말라위 대양간호대학 교장으로 봉사하며, 국제간호대상,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 - 김명수 (1942년)
    김명수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여러 정당에서 당무위원 겸 국방안보특임고문 등을 지냈으며, 현재 평화문제연구소 소장과 통일정책연구협의회 공동의장 및 통일교육협의회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 수상자 - 윤종필
    윤종필은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과 대한간호협회 이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전 군인으로,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에서 활동했다.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 수상자 - 어윤희
    어윤희는 충청도 충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사업가로, 낙도 지역 전도, 3·1 운동 주도, 독립운동 자금 지원, 유린보육원 설립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김수지 (간호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수지
출생1942년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여수시
사망2016년 11월 25일
국적대한민국
직업간호학자
분야간호학

2. 학력

3. 주요 경력

기간경력
1978년 ~ 1984년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1981년 ~ 1984년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학전공 주임교수
1984년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간호과학과 교수
1994년 ~ 1996년대한간호학회 회장
1998년 ~ 2001년정신전문간호사회 회장
2005년한국호스피스협회 회장
2006년 ~ 2009년한국호스피스협회 이사장
2006년 4월 ~ 2010년제4대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


4. 생애 및 공적

김수지는 한국 최초의 간호학 박사로, 국내 간호 지도자 양성 및 간호교육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간호학 박사학위(DNSc, 1978)를 받고 귀국한 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에 국내 최초의 간호학 박사과정을 설립(1978)하였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대학의 석학교수 사례금 전액을 기부하여 1990년부터 매년 해외 대학원 과정에 있는 한국인 간호학생들에게 'Susie Kim Fellowship' 장학금을 수여하며, 간호교육자와 연구자 양성에 힘썼다.

4. 1. 간호교육 혁신 및 인재 양성

한국 최초의 간호학 박사로 국내 간호 지도자 양성 및 간호교육 발전에 공헌했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간호학 박사학위(DNSc, 1978)를 받고 귀국 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에 국내 최초의 간호학 박사과정을 설립(1978)했다. 또한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대학의 석학교수 사례금 전액을 종잣돈으로 해서, 1990년부터 매년 해외 대학원 과정에 있는 한국인 간호학생들에게 'Susie Kim Fellowship' 장학금을 수여하며, 간호교육자와 연구자들을 교육하는데 힘썼다.

1984년에는 간호학계의 국제 멤버십 단체인 시그마 테타 타우(Sigma Theta Tau International)[2]의 회원으로, 한국에서 처음 개최되는 국제 학술대회를 한국간호학회와 공동으로 성사시켰다. 1990년에는 국내 최초로 정신보건간호사 훈련과정을 개설했으며, 대한간호협회 교육이사 재임 시절에는 회원의 계속교육을 통한 자질 향상과 새로운 간호이론 및 실무에 관한 기술 습득을 위해 간호 현장의 각 분야별로 다양한 패키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의 보수교육 틀을 정립했다. 1995년에는 한국간호학회장을 역임하면서 학회 창립 25주년 특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2400여 쪽에 달하는 간호학대사전[3]을 편찬했다.

4년간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 시절엔 한국형 강의 콘텐츠 모듈화를 시도해 일방형 수업에서 토론 수업 등 직접 강의실에서 수업하듯한 생동감 있는 강의 체제를 도입했다.

4. 2. '사람 돌봄 이론' 개발 및 정신보건 간호 발전

김수지는 세계적 간호 이론인 '사람 돌봄 이론(Interpersonal Caring Theory, ICT)'을 개발하고, 10가지 핵심 개념(알아봐줌, 동참함, 공유함, 경청함, 동행함, 칭찬함, 안위함, 희망 불어넣음, 용서함, 용납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 방치되어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회복 및 사회적응을 위한 간호재활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또한 평안하고 존엄성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보살피는 호스피스 케어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과 조직을 체계화했다.[1]

1984년에는 간호학계의 국제 멤버십 단체인 시그마 테타 타우(Sigma Theta Tau International[2])의 회원으로서, 한국에서 처음 개최되는 국제 학술대회를 한국간호학회와 공동으로 성사시켰다. 1990년에는 국내 최초로 정신보건간호사 훈련과정을 개설했으며, 대한간호협회 교육이사 재임 시절에는 회원의 계속교육을 통한 자질 향상과 새로운 간호 이론 및 실무 기술 습득을 위해 간호 현장의 각 분야별로 다양한 패키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의 보수교육 틀을 정립했다. 1995년에는 한국간호학회장을 역임하면서 학회 창립 25주년 특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2400여 쪽에 달하는 간호학대사전[3]을 편찬했다.

4. 3. 호스피스 케어 도입 및 체계화

평안하고 존엄성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보살피는 호스피스 케어[1]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과 조직을 체계화했다.

4. 4. 국내외 봉사활동

1980년대 초반, 남편 김인수 고려대학교 교수와 함께 한국 문화에 맞는 가정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개발하고 한국가정사역원을 설립했으며, 총 5만여 쌍의 부부를 교육하였고, 아버지 학교, 자녀 교육 세미나, 고부 워크숍 등을 실시했다. 개발도상국에서의 봉사 및 간호 교육 증진에도 힘썼다. 중국 조선족 자치주 옌볜 보건위생국의 요청으로 지역사회 보건 간호 초소를 설치하고 옌볜 조선족 자치주 위생보건학교에서 보건 교육 및 지역사회 보건 간호 실무를 지도했다.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서 만성 정신질환자 및 정신장애인을 위해 '돌봄 이론'을 수차례에 걸쳐 교육하고 시범 실시했다.

2011년 1월 2일부터 4년간 아프리카 말라위 수도인 릴롱궤에 위치한 대양간호대학에서 보수 없이 교장직을 맡아 봉사했으며, 말라위 은코마 지역의 인근 7개 마을에 거주하는 300여 명의 장애인들에게 정규적인 건강 관리 및 식량 구호 등의 봉사활동을 펼쳤다.

4. 5. 기타 활동

세계적 간호 이론인 '사람 돌봄 이론(Interpersonal Caring Theory, ICT)'을 개발하고, 10가지 핵심 개념(알아봐줌, 동참함, 공유함, 경청함, 동행함, 칭찬함, 안위함, 희망 불어넣음, 용서함, 용납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 방치되어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회복 및 사회적응을 위한 간호재활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평안하고 존엄성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보살피는 호스피스 케어[1]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과 조직을 체계화했다.

1984년 간호학계의 국제 멤버십 단체인 시그마 테타 타우(Sigma Theta Tau International[2]) 회원으로서 한국에서 처음 개최되는 국제 학술대회를 한국간호학회와 공동으로 성사시켰다. 1990년 국내 최초로 정신보건간호사 훈련과정을 개설했으며, 대한간호협회 교육이사 재임 시절에는 회원의 계속교육을 통한 자질 향상과 새로운 간호 이론 및 실무 기술 습득을 위해 간호 현장 각 분야별로 다양한 패키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의 보수 교육 틀을 정립했다. 1995년 한국간호학회장을 역임하면서 학회 창립 25주년 특별 기념사업으로 2400여 쪽에 달하는 간호학대사전[3]을 편찬했다.

1980년대 초반, 남편 김인수 고려대 교수와 함께 한국 문화에 맞는 가정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개발하고 한국가정사역원을 설립, 총 5만여 쌍의 부부를 교육하였고, 아버지학교, 자녀 교육 세미나, 고부 워크숍 등을 실시했다. 개발도상국에서의 봉사 및 간호 교육 증진에도 힘썼다. 중국 조선족 자치주 연변 보건위생국의 요청으로 지역사회 보건간호 초소를 설치하고 옌볜 조선족 자치주 위생보건학교에서 보건 교육 및 지역사회 보건 간호 실무를 지도했다.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서 만성정신질환자 및 정신장애인을 위해 '돌봄 이론'을 수차례 교육하고 시범 실시했다.

4년간 서울사이버대 총장으로 재임하며 한국형 강의 콘텐츠 모듈화를 시도해 일방형 수업에서 토론 수업 등 직접 강의실에서 수업하는 듯한 생동감 있는 강의 체제를 도입했다. 2011년 1월 2일부터 4년간 아프리카 말라위 수도 릴롱궤에 있는 대양간호대학에서 보수 없이 교장직을 맡아 봉사했으며, 말라위 은코마 지역 인근 7개 마을에 거주하는 300여 명의 장애인에게 정규적인 건강 관리 및 식량 구호 등 봉사활동을 펼쳤다.

5. 저서

6. 상훈


  • 2001년 국제간호대상(International Achievement Award)
  • 2005년 보건복지부 장관상
  • 2007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
  • 2008년 국제비즈니스 대상
  • 2015년 범석봉사상, 한국여성지도자 대상 (YWCA 수여)

참조

[1] 문서 임종기에 있는 노인이나 죽음이 임박한 환자에게 병고를 덜어주고 안락을 베푸는 치료를 행하는 것.
[2] 저널 Sigma Theta Tau https://en.wikipedia[...] 2019-12-09
[3] 서적 Great Britain: Scotland http://dx.doi.org/10[...] Kluwer Academic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