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이버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한 대한민국 사이버대학교이다. 13개 학부, 46개 학과(전공)와 일반대학원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운영하며, 미아동에 본교를 두고 전국에 지역 캠퍼스를 운영한다. 2000년 이후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콘텐츠 개발과 국제 교류를 진행해왔으며, 2024년까지 K-MOOC 강좌 개설 등 교육 및 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서울 강북구의 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는 1936년 이숙종 박사가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서울 성북구 수정캠퍼스와 강북구 운정그린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 사이버 대학 - 서울디지털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는 2001년 대한민국 최초로 개교한 온라인 사립 사이버대학교로,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며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여러 해외 대학과 교류 협력을 진행한다. - 사이버 대학 -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대학교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한양대학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높은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시대적 요구에 맞춰 교육 과정을 개편하며 학생들을 지원하는 공유전공 제도와 부/복수전공 인정 제도를 운영한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서울사이버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사이버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eoul Saibeo Daehakgyo |
영문 표기 | Seoul Cyber University |
종류 | 사이버대학(정규 4년제 대학교) |
표어 | 믿음으로 일하는 자유인 |
설립 | 2000년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북구 솔매로49길 60 |
웹사이트 | 서울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 |
학교 정보 | |
총장 | 이은주 |
학교법인 | 신일학원 |
재학생 수 (2023년) | 16,496명 |
교직원 수 (2023년) | 전임교원: 71명 기타교원: 392명 |
교수진 | 180명 |
학생 수 | 11000명 |
2. 연혁
서울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11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정규 4년제 대학교로 인가받아 설립되었다.[5] 설립 초기에는 여러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교육 콘텐츠 품질을 인정받았다. 200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후에는 교육 혁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도약을 이루어내고 있다. 특히, 교육부 공식 사이버대학 평가에서 최초로 3회 연속 A등급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5]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설립 초기 (2000년 ~ 2007년): 교육부 인가,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교육 콘텐츠 우수성 인정
- 발전 및 성장 (2008년 ~ 2015년): 종합대학교 승격, 교육 혁신, 이러닝 시스템 관련 수상 및 특허 취득
- 혁신과 도약 (2016년 ~ 현재): 국내외 협력 강화, 사회공헌 활동, 교육 관련 수상,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사업 참여, 연구소 설립 및 학술 활동
2. 1. 설립 초기 (2000년 ~ 2007년)
서울사이버대학교한국어는 2000년 11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4년제 정규 대학교로 인가받아 같은 해 12월 개교하였다.[5]2001년에는 여러 학회 및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였다.
월 | 내용 |
---|---|
3월 | 한국통신 및 충청남 · 북도와 협력 합의서 체결 |
6월 | 한솔텔레콤(주), 엔에스아이(NSI)와 e-learning 사업 3자협력 합의 체결 |
12월 | (사)한국무역학회, (사)한국국제e-business학회, 한국멀티미디어교육학회, (사)한국문화무역학회, (사)한국물류학회, 한국유통정보학회와 학술교류 협정 체결 |
2002년에는 육군본부와 학·군 제휴 협약을 체결하고, 국회도서관과 상호협력 협정을 맺는 등 대외 협력을 강화하였다. 또한, 전자도서관을 개관하고 YES24와 제휴하여 구내서점을 열었으며, 21세기연구소와 사이버평생교육원을 개원하였다.[6]
2003년에는 한국통신과 위탁 교육 협정을 체결하고,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산학 협력을 체결하였다. 예수간호대학교와 학술 교류 및 공동 학점 인정 협정을 맺고, 러시아 이르쿠츠크 대학교와 MOU를 체결하는 등 국내외 협력을 확대하였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주관한 원격대학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는 등 교육 콘텐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6]
2004년에는 뉴스레터 창간호를 발간하고, 국립소록도병원, 대한적십자사, 인천본부세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 국립재활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특별시 중랑구청 등과 산학 협력을 체결하였다. 또한,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경영학과와 교육 학술 교류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5년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특별시 강북구청, 광주본부세관, 서울특별시 노원구청, 광주지방노동청군산지청, 국립목포병원 등과 산학 협력을 체결하고, 호남, 대구경북, 경기남부지역학습관을 개관하였다. 또한, 여성신문 등에서 최우수 사이버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에는 농협중앙회, 국민연금공단,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설관리공단, 경기도 동두천시청, 광주광역시 남구청 등과 협력 관계를 맺고, 미국 Chowan 대학교와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또한,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사회복지학과와 교육 학술 교류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한국철도공사, 러시아 극동국립대학교 등과 교육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7년에는 사이버대학 최초로 고유 우편번호(142-700)를 취득하고, 부산광역시 남구청, 서울특별시 중구청, 수협중앙회 등과 산학 협력을 체결하였다. 싱가포르 폴리테크닉, 미국 콜로라도 기독교 대학교, 태국 치앙마이 대학교, 존스국제대학교 등과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 평가에서 종합 최우수 원격 대학교로 선정되었으며,[5] 'e-노후생애설계 프로그램' 대학 특성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2. 2. 발전 및 성장 (2008년 ~ 2015년)
SCU Learning WAVE영어는 2008년 고등교육법상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이후[5], 교육 혁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연도 | 내용 |
---|---|
2008년 10월 | 고등교육법상 종합대학교로 승격 |
2009년 10월 | 한국대학신문 대학부문 대상 수상 - 교육콘텐츠 우수대학[5] |
2010년 9월 | 이러닝시스템 WAVE로 IMS Learning Impact Award영어 2011 본선 진출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우수상 수상 |
2011년 5월 | 이러닝시스템 WAVE로 IMS Learning Impact Award영어 2011 상용화 부문 은상 수상[7] |
2011년 10월 | 한국대학신문 대학부문 대상 수상 - 교육콘텐츠 우수대학 |
2011년 12월 | 이러닝시스템 WAVE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 국내 특허 취득[8] |
2012년 4월 | 국내 최대 규모, 최첨단 자동화 강의 스튜디오 구축 |
2013년 3월 | 1년 4학기제 실시 |
2013년 8월 | SCU Learning WAVE영어 특허 취득 (특허 제10-1089357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 특허 제10-1302583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2014년 | 교육부 사이버대학 역량평가 최고 등급 판정 |
2015년 11월 | 3건의 특허 권리 취득 (멀티채널용 학습자원 적응화 방법론, 스마트 러닝 시스템, 이중화 종합정보 시스템) |
2015년 12월 |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최 ‘사이버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우수사례 공모’ 최다 수상 (SCU Learning WAVE영어' 우수상(교육부장관상), ‘교수피드백 영상기반 온라인 토론수업 운영’ 특별상(원대협회장상) 수상) |
2. 3. 혁신과 도약 (2016년 ~ 현재)
2016년 삼성전기와 위탁교육 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5] 같은 해 2월, 2016 행복더함 사회공헌 대상 교육나눔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고,[5] 5월에는 아시아태평양 스티비 어워즈(ASIA PACIFIC STEVIE AWARDS) 비영리기구 혁신경영상 은상을 수상하였다.[5] 9월에는 전국 4개 지역(인천, 대구, 광주, 분당)에 심리상담센터를 개관하였고,[5] 10월에는 한국대학신문 대학대상 사이버대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5]2017년 1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글로벌 연수사업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5] 3월에는 인천병무지청과 사회복무요원 이러닝 교육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5] 5월에는 웹접근성 품질인증 마크(WA인증마크)를 획득하였다.[5]
2018년 1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과 교육 및 학술 교류협력 협약을 체결하였다.[5] 8월에는 2018 소비자가 뽑은 올해의 브랜드 대상 사이버대학 부문을 수상하였고,[5] 10월에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개별강좌에 선정되었다.[5] 12월에는 대학 소식지 『SCU e야기』가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에서 한국PR협회장상을 수상하였고,[5] 2018 웹어워드코리아 교육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5]
2019년 1월, 한국경비협회와 입학장학 MOU를 체결하였다.[5] 3월에는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와 MOU를 체결하고, 2019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5] 4월에는 교육부 주최 2019 교육 콘텐츠 개발 사업에 선정되었고, 제1회 영 차이콥스키 국제 온라인 피아노콩쿠르를 개최하였다.[5] 6월에는 세종학당과 해외 거주 한국어 교사 양성 지원 관련 협약을 체결하였다.[5] 7월에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4개 과정 강좌에 선정되었다.[5] 12월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MOU를 체결하였다.[5]
2020년 1월, 한국무역협회와 무역물류마스타 과정을 런칭하고, 한국소비자 평가 최고의 브랜드 대상을 2회 수상하였다.[5] 4월에는 2020 성인 학습자 역량 강화 단기 교육과정 개발 사업에 선정되었고, '정보보호 분야 종사자를 위한 AI-보안 융합 전문가 과정'을 개발하였다.[5] 5월에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5개 과정 공개강좌를 실시하고, 한국무역협회와 공동으로 '무역물류마스타'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부동산학과 창업인큐베이팅 1기를 시작하였다.[5] 6월에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3개 과정, 7개 강좌에 선정되었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글로벌 연수 최초 온라인 과정 시범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5] 7월에는 NHN고도(주)와 협약을 체결하였다.[5]
2021년 1월, 2020년 교육부 원격대학 인증·역량진단에서 최고등급 A등급을 획득하며, 교육부 공식 사이버대학 평가 최초 3회 연속 A등급을 기록하였다.[5] 3월에는 2021 소비자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 사이버대학교 부문을 수상하고, K-MOOC AI강좌 '인공지능 윤리' 과정을 공개강좌로 실시하였으며, 러시아와 함께하는 서울사이버대학교 국제 성악 온라인 콩쿠르를 개최하였다.[5] 4월에는 K-MOOC 총 5개 강좌(묶음강좌, 개별강좌 4개 강좌 포함)가 신규 선정되었고,[5] 5월에는 교육부 사이버대학 대상 첫 재정지원 사업인 ‘2021년 원격대학 교육혁신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5] 6월에는 대학, 입학, 대학원 홈페이지 웹접근성 인증마크(WA인증마크)를 획득하였다.[5] 7월에는 교육부&KERIS 주관 2021 DNA 융합 단기 교육과정 개발사업에 선정되었다.[5] 10월에는 K-MOOC 12개 과정 공개강좌를 실시하고, 미래사회전략연구소에서 2021 국제 심포지엄 '빅데이터, AI 그리고 교육'을 개최하였다.[5] 12월에는 2021 국제상담심리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상담 및 심리치료의 변화: 한국· 스웨덴·미국을 중심으로'를 개최하고, 제1회 SCU 뷰티크리에이터 공모전 시상식을 진행하였다.[5]
2022년 1월, 국내 최초로 문화예술계 숨은 공로자의 업적을 기리는 2022 언성히어로 어워드(Unsung Hero Award)를 개최하였다.[5] 2월에는 K-MOOC 9개 과정 공개강좌를 실시하고, (주)딜라이텍 및 (재)민족의학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5] 3월에는 2022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에서 2년 연속 '사이버대학교' 부문 대상을 수상하고, 2022년 디딤돌대학 위탁사업에 사이버대학 최초로 선정되었다.[5] 또한 뷰티크리에이터 공모전이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추진 2022년도 민간기능 경기대회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디자인센터에서 SCU 캐릭터 9종을 공개하고 상표권 출원 및 디자인저작권 등록을 완료하였다.[5] 4월에는 대한적십자사에 동해안 산불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천만 원을 기부하고, K-MOOC 사업에 5년 연속 선정 및 2년 연속 최다 강좌 선정의 쾌거를 이루었다.[5] 5월에는 국제의료미용안전학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K-MOOC 17개 강좌 공개강좌를 실시하였다.[5] 6월에는 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주최로 2022 Invitational Ceramic Exhibition & Design Exhibition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K뷰티인터내셔널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5] 7월에는 1인방송전공이 KOBA 2022 전시회에 참여하였고, 뷰티디자인학과 PCA협회 퍼스널뷰티컬러 2급 자격시험에서 45명 전원이 합격하였다.[5] 9월에는 K-MOOC 17개 강좌 공개강좌 2차를 오픈하였다.[5] 11월에는 미래사회가 사이버대 유일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고, 인도네시아 방송통신대 총장 및 교수진이 서울사이버대학교를 방문하였다.[5] 또한 미래사회전략연구소는 서강대학교와 2022 공동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5] 12월에는 2022 국제상담심리세미나 '한국·스웨덴·미국 내 심리상담에서의 인지행동치료 (CBT) 적용'을 개최하고, SCU 마음치유콜이 강북구청 ‘자원봉사 우수기관’ 표창장을 수여받았다.[5] 또한 사이버대학 최초로 서울사이버대 AI 챗봇을 개발하고, (주)와이비엠에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사이버대 최초로 2022 SCUPC 서울사이버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진대회를 개최하였다.[5]
2023년 1월, K-MOOC 6개 신규 강좌를 오픈하고, 미래사회전략연구소에서 2023 VISION ROUND TABLE COLLOQUIUM ‘청소년의 미래사회를 논하다’를 개최하였다.[5] 2월에는 2023 소비자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에서 3년 연속 '사이버대학교'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5] 3월에는 K-MOOC 15개 강좌 공개강좌를 실시하고, 대한민국육군대학에 도서 600권을 기증하였다.[5] 4월에는 태국 카셋사트국립대학(Kasetsart University)과 교육협력 확대를 위한 현장방문을 실시하고, 제이액터스 및 중소벤처기업연수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5] 또한 K-MOOC 사업에 6년 연속 선정되었다.[5] 5월에는 (사)부동산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글로벌시민교육지도사 교수이론 및 강의실습 연수 수료식을 개최하였으며, 심리상담센터 푸른존이 개소 10주년을 맞이하였다.[5] 6월에는 (주)인공지능팩토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모두를 위한 같이 가치’ 2023 SCU 서울사이버대 연합 MT를 개최하였으며, 2023 제3회 국제상담심리세미나 '상담 및 심리치료의 최근 동향: 스웨덴,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를 개최하였다.[5] 8월에는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과 함께하는 장병 감동 콘서트를 진행하였다.[5] 9월에는 서울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영진사이버대학교, 화신사이버대학교가 교육혁신사업 성과 공유 협약식을 가졌다.[5] 10월에는 남북하나재단 ‘2023 탈북대학생 역량강화 프로그램 위탁사업’에 최종 선정되었고, ‘2023 SCU한마음대축제'를 개최하였으며, 제1회 서울사이버대학교 성악콩쿠르 'HIDDEN VOICE COMPETITION'을 개최하였다.[5] 11월에는 제13회 한·미 친선 송년 문화의 밤을 개최하고, 사회복지대학 미래사회전략연구소에서 2023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제25기 해외역사문화탐방을 진행하였다.[5] 12월에는 심리·상담대학에서 제4회 국제상담심리세미나 ‘스웨덴, 미국 한국의 상담 및 심리치료’를 진행하고, 베트남 우정통신대학교와 협약을 체결하였다.[5]
2024년 1월, K-MOOC 신규 3개 강좌를 공개하고, 2024년 자랑스러운혁신한국인 파워브랜드대상을 수상하였다(AI서비스마케팅학과).[5] 2월에는 2024 소비자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에서 4년 연속 '사이버대학교' 부문 대상을 수상하고, 제14회 2024 행복더함 사회공헌 캠페인 ‘행복더함 사회공헌 우수기업’ – 교육나눔공헌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5] 3월에는 대한민국육군협회 및 경운대학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4 슬기로운 대학생활 프로그램 운영' 위탁사업에 선정되었다.[5] 4월에는 서울사이버대학교-CETYS University-SIAS University, 협력대학 협약을 체결하였다.[5] 5월에는 K-MOOC 9개 강좌를 공개하고, 음악치료학과가 2024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5] 6월에는 제26기 해외역사문화탐방을 개최하고, 2024 SCU 국제 워크숍 및 2024 SCU 한마음대축제'를 개최하였으며, 2024 코리아헤럴드선정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사이버대부문).[5] 8월에는 피아노과가 헝가리 리스트 음악원 해외 연수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미래국방연구소를 설립하였으며, 베트남 국립우정통신대학교(PTIT)와 2+2 복수학위 협약을 체결하였다.[5] 9월에는 교육부로부터 온라인 박사과정 개원 승인을 받아 일반대학원으로 전환하고, 제20회 국방일보 전우마라톤대회 메인 공식 협찬사로 참여하였다.[5] 10월에는 K-MOOC 9개 강좌를 공개하고, 제2회 서울사이버대학교 성악콩쿠르 'HIDDEN VOICE COMPETITION'을 개최할 예정이다.[5]
3. 교육 편제
서울사이버대학교의 교육 편제는 2025년을 기준으로 학부와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는 13개 단과대학(학부) 및 46개 학과(전공)로, 대학원은 사회복지전공, 상담 및 임상심리전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3. 1. 학부
2025년 기준 서울사이버대학교의 단과대학 및 학과는 다음과 같다. 13개 단과대학(학부), 46개 학과(전공)로 구성되어 있다.단과대학(학부) | 학과(전공) |
---|---|
사회복지대학 | 사회복지전공, 노인복지전공, 복지경영전공, 아동복지전공 |
심리·상담대학 | 상담심리학과, 가족코칭상담학과, 군경상담학과, 특수심리치료학과, 심리학과(신설) |
사회과학대학 | 부동산학과, 법무행정학과, 보건행정학과, 한국어교육학과(개편), 안전관리학과 |
융합경영대학 | 경영학과, 글로벌무역물류학과, 금융보험학과, 세무회계학과, AI서비스마케팅학과 |
공과대학 | 컴퓨터공학과, 빅데이터·정보보호학과, 전기전자공학과, 기계제어공학과, 인공지능학과 |
디자인대학 | 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건축공간디자인학과, 웹문예창작학과, 뷰티디자인학과 |
문화예술대학 | 문화예술경영학과, 실용음악과, 음악치료학과 |
음악대학 | 피아노과, 성악과 |
미래융합인재대학 | 온라인커머스학과, 회화과(개편), 모델연기학과, 실용영어학과 |
국방융합대학 | 드론·로봇융합학과, 방위산업·국방경영학과, 통일안보북한학과 |
AI융합대학 | AI크리에이터학과, AI부동산빅데이터학과, AI스마트팜학과 |
웰니스건강대학(신설) | 통합건강관리학과(개편), 요가명상학과(신설) |
마이크로디그리대학(신설) | 자유전공(신설) |
3. 2. 대학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교육부로부터 박사과정을 승인받아, 기존 특수대학원을 통합하여 일반대학원으로 전환하면서 2025학년도부터 석사·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일반대학원 |
---|
사회복지전공 |
상담 및 임상심리전공 |
4. 캠퍼스
서울사이버대학교의 본교는 미아동에 있으며,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구광역시 중구, 광주광역시 서구, 경기도 성남시, 안양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등에 지역 캠퍼스가 있다.
5. 저명한 동문
서울사이버대학교의 저명한 동문은 분류:서울사이버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웹아카이브
Korean Online University
http://222.122.208.1[...]
2012-11-04
[2]
웹사이트
http://www.academyin[...]
[3]
웹사이트
서울사이버대학교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서울사이버대학교
https://www.iscu.ac.[...]
[5]
웹사이트
Seoul Cyber University
http://www.iscu.ac.k[...]
2013-10-22
[6]
뉴스
서울사이버대, '최우수' 평가 받은 사이버대의 대명사
http://news.unn.net/[...]
2008-11-26
[7]
웹사이트
Learning Impact 2011 Award Winners | 1EdTech
https://www.1edtech.[...]
[8]
뉴스
[사이버대 10년] 서울사이버대학교, 전담교수·멘토링 제도 운영
http://www.hankyung.[...]
2011-12
[9]
웹사이트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s://www.academy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