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순 (19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순은 1934년 평안남도에서 출생하여 2003년 사망한 북한의 정치인이다.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강원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원산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198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1990년대에는 당 국제 담당 비서로서 대남 및 대외 외교를 담당하며,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에 기여했다. 2003년 교통사고로 사망하기 전까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부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공화국영웅 수훈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김용순 (193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김용순 |
출생일 | 1934년 7월 5일 |
출생지 | 평안남도 평원군 |
사망일 | 2003년 10월 26일 |
사망지 | 평양직할시 |
직업 |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
정당 | 조선로동당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자 | 金容淳 |
한글 | 김용순 |
로마자 표기 | Gim Yongsun |
문화어 표기 | 김용순 |
정치 경력 | |
주요 직책 |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 통일전선부 부장 조선반핵평화위원회 위원장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 조선.일본우호친선협회 최고고문 당 비서국 비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
학력 | |
출신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법학부 국제관계학과 |
기타 정보 | |
훈장 | 김일성훈장 |
가족 | 김성 (아들, 외교관) 김란 (딸) |
2. 생애
김용순은 1934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으며, 김일성 훈장을 받았다.[1]
김용순의 초기 생애, 정치 경력, 대남 및 대외 관계, 사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4년 7월 5일,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강군에서 태어났으며[8][18][9], 김정일의 생모인 김정숙의 친동생으로 알려져 있다. 1955년 김일성종합대학 법학부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했다.[18]2. 2. 정치 경력
김용순은 1980년 10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4] 김일성 훈장 수훈자였다.[1] 1979년부터 3년 동안 동료 여성과 불륜을 저질러 '재교육 수용소'에 수감되었다는 설이 있다.[5] 돈 오브도퍼에 따르면, 호탕한 성격이었으며 1980년대 중반 퇴폐적인 행동으로 인해 강등되었지만, 김정일과 여동생 김경희와의 친분 덕분에 그의 경력은 유지되었다.[6]1990년 5월, 당 국제 담당 비서에 취임하여 한국, 일본, 미국 등 서방 국가와의 외교 교섭을 담당했다. 1991년 2월 20일, 조선로동당 대표단의 단장으로 일본을 방문했다.[13] 1992년, 북한의 유엔 가입을 준비하기 위해 뉴욕을 방문하여 아널드 캔터, 리처드 솔로몬, 더글러스 P. 팔, 제임스 릴리 등 미국 국무부 관계자들과 당시 최고위급의 북미 외교 회담을 가졌다.[7] 같은 해 12월 대남 공작 담당 당 비서, 당 정치국원 후보에 취임하여 한국과의 남북 회담을 진행했다.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 통일정책위원장에 취임했고, 8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1994년 7월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1998년 11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지만, 1999년 4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복귀했다.
2000년 6월 첫 남북 정상 회담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 해 9월 북측 공식 대표단의 일원으로 남한을 방문하여 포스코 시설을 시찰했으며, 1985년 허담 이후 남한을 시찰한 최초의 조선로동당 비서였다.[2]
2001년까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의 부장을 역임했다.[15] 통일전선부장을 맡으면서 삼호청사의 비서도 맡았고, 공작 기관인 조선적십자회의 총괄도 담당했다.[16] 따라서 대 한국 외교와 대 일본 외교를 혼자 담당하는 상태였으며, 북한 외무성은 이에 관여할 수 없었다.[16] 이는 국교를 수립하지 않은 한국과 일본에 외무성이 관여할 수 없다는 사정도 있었지만, 그가 공작 기관의 장이었기 때문에 평양을 방문하는 한국 및 일본 고위 관료 앞에 항상 김용순이 나타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16]
2003년 6월 간부 전용 메르세데스-벤츠 S600을 타고 가던 중 군용 트럭과 충돌했다.[18] 2003년 10월 23일, 사고 후 회복하지 못하고 입원, 10월 26일 사망했다.[8]
2. 3. 대남 및 대외 관계
김용순은 1990년 5월 당 국제 담당 비서에 취임하여 한국, 일본, 미국 등 서방 국가와의 외교 교섭을 담당했다.[12] 1991년 2월 20일, 조선로동당 대표단의 단장으로 일본을 방문했다.[13] 1992년 북한의 유엔 가입을 준비하기 위해 뉴욕을 방문하여 아널드 캔터, 리처드 솔로몬, 더글러스 P. 팔, 제임스 릴리 등 미국 국무부 관계자들과 당시 최고위급의 북미 외교 회담을 가졌다.[7]1992년 12월 대남 공작 담당 당 비서, 당 정치국원 후보에 취임하여 한국과의 남북 회담을 진행했다.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 통일정책위원장에 취임했고, 8월에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1994년 7월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1998년 11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지만, 1999년 4월 다시 부위원장으로 복귀했다.
2000년 6월 김대중과 김정일 간의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에 큰 역할을 했다.[8] 그해 9월, 북한 공식 대표단의 일원으로서 한국을 방문하여 포항시에 위치한 포스코 (포항종합제철) 시설을 시찰했는데, 이는 1985년 허담 이후 조선로동당 비서로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14]
2001년까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의 부장을 역임했다.[15] 통일전선부장을 맡으면서 삼호청사의 비서도 겸임했고, 공작 기관인 조선적십자회의 총괄도 담당했다.[16]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 외교를 김용순 혼자 담당하는 상태였으며, 북한 외무성은 이에 관여할 수 없었다.[16] 이는 국교를 수립하지 않은 한국과 일본에 외무성이 관여할 수 없다는 사정도 있었지만, 그가 공작 기관의 장이었기 때문에 평양을 방문하는 한국 및 일본 고위 관료 앞에 항상 김용순이 나타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16]
2. 4. 사망
2003년 6월, 간부 전용 메르세데스-벤츠 S600을 타고 가던 중 군용 트럭과 충돌하는 교통사고를 당했다.[18] 이 사고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10월 26일 사망했다.[8]3. 일화
- 1980년대 중반 노동당사에서 서구풍 댄스 파티를 주최하여 퇴폐적 행위로 비판받고 탄광 강제 노동을 했다. 이후 김정일의 여동생 김경희와의 친분으로 복귀했다.[22]
- 술고래로 알려진 김용순은 김정일의 파티 친구였으며, 여성 편력과 사치스러운 생활로도 유명했다.[22]
- 아들 김성은 외교관으로, UN 주재 북한 대사를 역임했다.[23]
- 작가 브래들리 K. 마틴에 따르면, 김용순은 여성 동료와의 불륜 문제로 1979년부터 3년간 교화소에 수용되었다고 한다.[11]
참조
[1]
뉴스
Pyongyang official dies of crash injur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3-10-28
[2]
뉴스
김위원장 "추석에 서울 다녀오라"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00-09-13
[3]
뉴스
김정일 "김용순 안죽었으면 지금 한몫 할 것"
http://www.dailynk.c[...]
The Daily NK
2008-11-18
[4]
뉴스
북한 김정일 위원장 "김용순 살아있었으면..."
http://news.s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8-11-17
[5]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Thomas Dunne Books
[6]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7]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8]
뉴스
Pyongyang official dies of crash injur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3-10-28
[9]
뉴스
김정일 "김용순 안죽었으면 지금 한몫 할 것"
http://www.dailynk.c[...]
The Daily NK
2008-11-18
[10]
뉴스
북한 김정일 위원장 '김용순 살아있었으면...'/Kim Jong-il: 'If Kim Yong-sun had not died ...'
http://news.s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8-11-17
[11]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Thomas Dunne Books
[12]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13]
문서
重村(2002)p.241
[14]
뉴스
김위원장 "추석에 서울 다녀오라"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00-09-13
[15]
문서
全(2002)pp.216-217
[16]
문서
青山(2002)pp.303-305
[17]
문서
清水(2004)pp.43-45
[18]
웹사이트
北朝鮮高官は、なぜ次々交通事故で死ぬの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1-10-31
[19]
웹인용
"[북한의 대남비서傳(4)] 춤 때문에 곤욕을 치른 김용순"
https://www.joongang[...]
2023-08-26
[20]
웹인용
북한 대남담당 요직 교체/통일전선부장 강주일·대남비서 김용순 기용
https://www.joongang[...]
2023-08-26
[21]
웹인용
김용순 비서 사망
https://n.news.naver[...]
2023-08-26
[22]
문서
돈 오버도퍼, '두개의 한국'
[23]
웹인용
북, 유엔대사에 ‘김성’ 임명…유엔기구 주재 북 외교관 27명
https://www.rfa.org/[...]
2023-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