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주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주신은 조선 현종 때 태어나 경종 때 사망한 인물로, 박세당의 문인이자 소론 가문 출신이다. 숙종 때 소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가 순안 현령을 지냈으며, 딸이 숙종의 계비인 인원왕후가 되면서 영돈녕부사, 경은부원군에 봉해졌다. 왕실의 외척이었으나 권세를 탐하지 않고 효성이 깊었으며, 시호는 효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생원 - 김익겸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나라에 항거하다 분신자결한 김익겸은 사헌부 지평에 증직되고 충렬사에 제향되었으며, 인경왕후의 아버지 김만기와 소설가 김만중의 아버지이다.
  • 조선의 생원 - 심광수
    심광수는 조선 시대 남인 산림으로, 척화론을 주장하고 예송논쟁에 참여하여 3년설을 주장하다 유배되어 사망했으나, 사후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청안군에 추봉된 인물이다.
  • 1721년 사망 - 마쓰마에 노리히로 (5대)
    마쓰마에 노리히로는 에도 시대 마쓰마에 번의 5대 번주로, 샤쿠샤인의 난 진압에 참여하고 번정 혼란을 겪었으며, 에조치의 섬주로서 다이묘로 승격되었지만 낮은 영지로 조롱받기도 하고 텔레비전 드라마 주인공으로도 등장했다.
  • 1721년 사망 - 메리 리드
    메리 리드는 소년으로 위장하여 군 복무와 여관 운영을 하다 해적에게 납치된 후 앤 보니와 함께 18세기 초 존 래컴 해적단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검술 실력을 보인 여성 해적이다.
  • 1661년 출생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 1661년 출생 - 숙종 (조선)
    숙종은 1674년부터 1720년까지 재위하며 환국 정치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대동법 확대와 상평통보 발행으로 민생 안정에 기여했으며, 당쟁 격화와 외교적 성과를 보인 조선의 제19대 국왕이다.
김주신
기본 정보
이름김주신
한자 표기金柱臣
작위조선 숙종의 국구
경은부원군 慶恩府院君
출생일1661년 10월 04일
사망일1721년 07월 24일
향년59세
가문경주 김씨
시호효간(孝簡)
가족 관계
아버지김일진
어머니정경부인 풍양 조씨
배우자가림부부인 조씨
자녀2남 3녀
(장남 김후연, 차남 김구연, 차녀 인원왕후)

2. 생애

현종 2년(1661년) 출생하였다. 박세당의 문인으로 소론가에서 출생하였다. 숙종 12년(1686)년 소과에서 장원하여 생원이 되었다. 장원서별검(1686~1688)과 귀후서별제(1668~1691)를 이어 사헌부의 감찰(1691~1694)과 호조의 정랑(1694~1696)을 역임하고, 외직인 순안현령(1696~1700)으로 나가 치적을 쌓았으며, 1700년에 관직을 잠시 은퇴했다. 슬하에 2남 3녀(5남매)를 두었는데, 그 중 둘째 딸이 1702년에 숙종계비가 되었다. 결국 이에 재기용되면서 돈녕부도정(1702~1706)을 거쳐 영돈녕부사(1706~1708)에 제수되고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에 봉군되었다. 더불어 상의원과 장악원의 제조(1708~1710)와 오위의 도총관, 호위대장(1710~1712)을 겸직하였고, 1712년에 관직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왕실의 외척이었지만, 척족임을 내세우거나 권세를 탐하지 않았고, 일찍 여읜 아버지(생원 출신 김일진)의 묘소를 매일 찾을 정도로 효성이 깊었다고 한다. 숙종 46년(1720년)에 둘째 사위 숙종의 붕어(서거)를 목도했고, 그도 이듬해 경종 1년(1721년)에 병으로 인해 죽었다.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2. 1. 초기 생애

현종 2년(1661년)에 태어났다. 박세당의 문인으로 소론 가문에서 태어났다. 숙종 12년(1686년) 소과에서 장원하여 생원이 되었다. 장원서별검(1686~1688)과 귀후서별제(1668~1691)를 거쳐 사헌부의 감찰(1691~1694)과 호조의 정랑(1694~1696)을 역임하고, 외직인 순안현령(1696~1700)으로 나가 치적을 쌓았다. 1700년에 관직을 잠시 은퇴했다.

슬하에 2남 3녀(5남매)를 두었는데, 그 중 둘째 딸이 1702년에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재기용되면서 돈녕부도정(1702~1706)을 거쳐 영돈녕부사(1706~1708)에 제수되고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상의원과 장악원의 제조(1708~1710)와 오위의 도총관, 호위대장(1710~1712)을 겸직하였고, 1712년에 관직에서 은퇴했다.

왕실의 외척이었지만, 척족임을 내세우거나 권세를 탐하지 않았고, 일찍 여읜 아버지(생원 출신 김일진)의 묘소를 매일 찾을 정도로 효성이 깊었다고 한다.

2. 2. 관직 생활

김주신은 현종 2년(1661년)에 태어나 박세당에게서 수학하였으며, 소론 가문 출신이다. 숙종 12년(1686년) 소과에서 장원하여 생원이 되었다. 장원서별검(1686~1688)과 귀후서별제(1668~1691)를 거쳐 사헌부 감찰(1691~1694), 호조 정랑(1694~1696)을 역임하였다. 이후 순안현령(1696~1700)으로 나가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1700년에 잠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는데, 1702년 둘째 딸이 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재기용되었다. 돈녕부도정(1702~1706)을 거쳐 영돈녕부사(1706~1708)에 임명되고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상의원과 장악원 제조(1708~1710), 오위 도총관, 호위대장(1710~1712)을 겸직하였고, 1712년 은퇴하였다.

왕실의 외척이었으나 척족임을 내세우거나 권력을 탐하지 않았으며, 일찍 세상을 떠난 아버지(생원 출신 김일진)의 묘소를 매일 찾을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다고 전해진다. 숙종 46년(1720년) 둘째 사위인 숙종의 죽음을 지켜보았고, 이듬해 경종 1년(1721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2. 3. 은퇴 이후

김주신은 1700년 관직에서 잠시 은퇴했다가, 둘째 딸이 1702년 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재기용되었다. 돈녕부도정(1702~1706)을 거쳐 영돈녕부사(1706~1708)에 제수되고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상의원과 장악원의 제조(1708~1710)와 오위의 도총관, 호위대장(1710~1712)을 겸직하였고, 1712년에 관직에서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왕실의 외척이었지만 척족임을 내세우거나 권세를 탐하지 않았고, 일찍 여읜 아버지 김일진의 묘소를 매일 찾을 정도로 효성이 깊었다고 한다. 숙종 46년(1720년)에 둘째 사위 숙종의 붕어를 목도했고, 이듬해 경종 1년(1721년)에 병으로 죽었다.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3. 가계

김명원(金命元)의 현손이자, 생원 증 영의정(領議政) 김일진(金一振)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고조부는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을 지낸 김명원(金命元)이며, 증조부는 첨지중추부사 증영의정 오성군(僉知中樞府事 贈領議政 鰲城君) 김수렴(金守廉)이다. 조부는 예조판서 경천군 증좌찬성(禮曹判書 慶川君 贈左贊成) 김남중(金南重)이다.

아내는 가림부부인(嘉林府夫人) 조씨(趙氏)이다. 슬하에 김후연(金後衍), 김구연(金九衍), 인원왕후(仁元王后)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김후연(金後衍)은 호조참의 증좌찬성(戶曹參議 贈左贊成)을 지냈으며, 차남 김구연(金九衍)은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김개신(金介臣)에게 입양되었다. 손자는 형조판서(刑曹判書) 김효대(金孝大)와 인천부사(仁川府使) 김형대(金亨大)이다.

4. 미디어에서

김진호동이에서 김주신을 연기했다.

참조

[1] 문서 1661년 음력 10월 4일 1661-10-04
[2] 문서 1721년 음력 7월 24일 17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