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익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익겸은 1614년에 태어나 1637년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항전하다가 순국한 조선의 문신이다. 김장생의 친적손자이자 김반의 아들로, 성균관 유생으로 박선, 유평에게 사사받았으며,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했다. 병자호란 발발 후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강화산성을 지키다 함락 직전 분신 자결했다. 사후 지평에 증직되었으며, 묘소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그의 손녀는 인경왕후이며, 차남은 소설가 김만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진사 - 심광수
    심광수는 조선 시대 남인 산림으로, 척화론을 주장하고 예송논쟁에 참여하여 3년설을 주장하다 유배되어 사망했으나, 사후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청안군에 추봉된 인물이다.
  • 병자호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슈무루 양구리
    슈무루 양구리는 16세기 후반 동해여진 쿠르카부 출신으로 누르하치의 사위가 되어 여진족 통일 전쟁, 명나라 및 조선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나 병자호란 당시 조선 침략의 선봉에서 광교산 전투에서 전사한 후 무훈왕으로 추봉된 인물이다.
  • 병자호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권순장
    권순장은 조선 시대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활동하다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켜 항전하다 순국하여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정치운동가 - 강일순
    강일순은 전라북도 정읍 출신의 종교 지도자로, 유불도 사상을 융합한 독자적인 종교 철학을 바탕으로 증산교를 창시하여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했으며, 사후 그의 가르침은 여러 종단으로 이어져 수백만 명의 신자를 확보했다.
  • 조선의 정치운동가 - 지운영
김익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족 관계
김반
연산 서씨 부인
전모구 안동 김씨 부인
서모부여 김씨 측실, 함양 여씨 측실
배우자해평 윤씨 부인
자녀김만기(장남), 김만중(차남)
형제김익렬(이복 적형), 김익희(이복 적형), 김익훈(이복 서제), 김익후(이복 서제), 김익경(이복 서제)
친인척김은(친백부), 김집(친중부), 김진구(친손자), 김진규(친손자), 인경왕후(친손녀), 숙종 이돈(친손녀사위), 김만균(친가 배다른 조카), 김만채(친가 배다른 조카), 김만길(친가 배다른 조카), 김장생(친조부), 서주(외조부), 윤신지(처조부), 정혜옹주 전주 이씨(장조모), 윤지(빙부), 남양 홍씨 부인(장모), 김상용(친갓댁 친가친척 대고모부뻘), 인조 이종(사돈댁)
경력
기타 정보
서훈 사헌부 예하 지평,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봉호(추증 작위)는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 1775년(숙종 1)에 추서.)
추가 정보인천 강화 선원 지역구 충렬사 제향

2. 생애

여남 김익겸(汝南 金益兼)은 1614년 12월 21일(음력 11월 21일) 강원특별자치도 철원부사를 지낸 친할아버지 사계 김장생의 친손자이자, 형조좌랑을 지낸 아버지 김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균관 유생 출신으로, 박선유평에게 배웠다.[1]

1635년 생원시에 장원 급제하였고, 같은 해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하였다. 이후 학행 음서로 천거되어 1635년 11월 15일부터 1636년 12월 29일까지 성균관 강독관을 지냈다.

1636년 청 태종 숭덕제가 국호를 후금에서 청나라로 바꾸자, 김익겸은 조선명나라와의 의리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선청나라를 인정한 것은 잘못이며, 이확과 용골대를 처벌해야 한다는 상소를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올렸다. 그러나 용골대는 처벌받지 않았고 이확은 유배형에 처해졌다.

그해 겨울(1636년 12월 28일)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김익겸은 다음 날(1636년 12월 29일) 성균관 강독관을 사직하고 강화도로 가서 의병을 일으켰다. 1637년 2월 16일 강화산성청나라 군대에 함락되기 직전 남문(南門)으로 올라가 분신 자결하여 순국하였다. 그의 나이 24세였다. 그의 어머니 서씨 또한 1637년 2월 22일 음독으로 자결하여 정려가 세워졌다.

2. 1. 출생과 성장

여남 김익겸(汝南 金益兼)은 1614년 12월 21일(음력 11월 21일) 강원특별자치도 철원부사를 지낸 친할아버지 사계 김장생의 친손자이자, 형조좌랑을 지낸 아버지 김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균관 유생 출신으로, 박선유평에게 배웠다.[1]

2. 2.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

1635년 생원시에 장원 급제하였고, 같은 해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하였다. 이후 학행 음서로 천거되어 1635년 11월 15일부터 1636년 12월 29일까지 성균관 강독관을 지냈다.

2. 3. 병자호란과 의병 활동

1636년 청 태종 숭덕제가 국호를 후금에서 청나라로 바꾸자, 이를 축하하기 위해 청나라에 파견된 사신 이확이 양국 간의 정식 외교 관계를 위해 청나라 사신 용골대와 함께 귀국하였다. 이에 김익겸은 장차 조선명나라청나라를 모두 견제하려면, 우선 명나라와의 의리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선청나라를 인정한 것은 잘못이며, 오랑캐의 조정에 가서 축하함으로써 조선의 국위와 국격을 훼손한 이확청나라 사신 용골대를 국제 정치 외교 품격 훼손으로 처벌해야 한다는 상소를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올렸다. 그러나 용골대는 처벌받지 않았고 이확은 유배형에 처해졌다.

그해 겨울(1636년 12월 28일) 병자호란이 일어나 남한산성청나라 군대에 포위되자, 다음 날(1636년 12월 29일) 성균관 강독관을 사직했다. 그는 강독관 사퇴 다음 날인 1636년 12월 30일 강화도로 가서 의병을 일으켰다. 1636년 12월 31일부터 두 달 남짓 강화산성을 지키다가, 1637년 2월 16일 강화산성청나라 군대에 함락되기 직전 남문(南門)으로 올라가 분신 자결하여 순국하였다. 그의 나이 24세였다. 그의 어머니 서씨 또한 1637년 2월 22일 음독으로 자결하여 정려가 세워졌다.

2. 4. 함께 순국한 동지들

1637년 2월 16일, 김익겸이 분신 자살로 순국할 당시, 강화도에 함께 남아있던 이들도 함께 순국하였다. 강화유도대장 김상용(김익겸의 대고모부), 동료 별좌 권순장, 사강원 필선 등을 지낸 관료 출신 윤전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강화산성에서 청나라 군대에 결사 항전하다 화약고에 불을 질러 함께 분신 자결하였으며, 당시 분신 순국 사망자는 30여 명이었다.[1]

3. 사후 추모와 평가

김익겸은 나라를 위한 충성심으로 순절하여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에 매장되었고, 그의 가문 묘역이 일대에 조성되었다. 사헌부 지평에 추증되었으며, 1662년(현종 3) 친구인 우암 송시열이 묘비문을 짓고 썼다. 1661년(현종 2년) 4월 27일 강화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훗날 그의 묘 아래에 아버지 김반의 묘가 조성되었다.

이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광원부원군에 추가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3. 1. 증직과 추모

그는 절박하기 짝없는 우국충정으로써 순절하자 충청도 회덕군 구즉면 전민리(지금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에 매장되었고, 이후 그의 일가 묘역이 일대에 조성되었다. 그는 바로 증(贈)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에 증직(추증)되었고, 1662년(현종 3) 묘비가 세워졌으며, 묘비문은 친구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썼다. 1661년(현종 2년) 4월 27일 강화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훗날 그의 묘 아래에 아버지 사일 김반의 묘가 조성되었다.

훗날 다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가증(추가 증직)되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4. 가족 관계

5. 묘소

김익겸의 묘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인 김반·김익겸의 묘이다.

참조

[1] 문서 음력 1월 22일
[2] 서적 인조실록 조선 인조 1637-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