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가라케르타가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라케르타가마는 14세기 자바어로 쓰인 고대 자바의 서사시로, 마자파힛 제국의 하얌 우루크 왕의 통치 기간을 묘사한다. 이 필사본은 1894년 네덜란드에 의해 롬복에서 발견되어 라이덴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었으며, 1970년 인도네시아로 반환되었다. 나가라케르타가마는 마자파힛 제국의 영토, 수도, 왕실 의례, 등장인물, 종교관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2008년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으로 등재되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2. 필사본의 역사

이 필사본은 론타르 잎에 쓰여졌으며, 당시 통치자의 마법적 힘을 강화하기 위한 사제의 활동 결과물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1] 한때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었으며(재고 코드 번호 L Or 5.023), 20세기 초 번역된 후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 영감과 토대가 되었다.[1]

2. 1. 롬복 원정과 발견

1894년,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롬복의 차크라네가라 왕가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그 해, 네덜란드는 파괴된 롬복의 마타람-차크라네가라 궁전에서 얻은 귀중한 "롬복 보물"의 일부로 이 필사본을 가져갔다.[1] 이 필사본을 처음 연구한 서양 학자는 언어학자인 얀 라우렌스 안드리 브란데스였다. 그는 1894년 KNIL 원정에 동행했으며, 전투의 혼란 속에서 롬복 왕립 도서관의 귀중한 필사본 컬렉션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네덜란드 학자들의 연구

1894년,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롬복의 차크라네가라 왕가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그 해, 네덜란드는 파괴된 롬복의 마타람-차크라네가라 궁전에서 얻은 전리품인 귀중한 "롬복 보물"의 일부로 이 필사본을 가져갔다.[1] 이 필사본을 연구한 최초의 서양 학자는 언어학자인 얀 라우렌스 안드리 브란데스였다. 그는 1894년 KNIL 원정에 동행했으며, 전투의 혼란 속에서 롬복 왕립 도서관의 귀중한 필사본 컬렉션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한 세대의 네덜란드 학자들이 이 시를 번역하는 데 참여했다.[1]

2. 3. 인도네시아로의 반환과 보존

나가라케르타가마, 인도네시아 국립 도서관 소장, 자카르타 메단 메르데카 셀라탄 거리 소재


1970년 수하르토 대통령의 네덜란드 국빈 방문 때 이 필사본은 인도네시아에 반환되었다.[1] 현재 이 필사본은 인도네시아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재고 코드 번호는 NB 9이다. 유네스코는 2008년 5월 ''나가라케르타가마''를 "세계의 기억 -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여 그 중요성을 인정했고, 2013년에 등록했다.

3. 마자파힛 제국의 모습

일부 자료에 따른 마자파힛 제국의 범위.


나가라크레타가마는 마자파힛 제국의 영토, 수도, 의례 등을 묘사하고 있다.

마자파힛의 수도 트로울란은 두껍고 높은 붉은 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왕궁 근처에는 요새화된 경비 초소가 있었고, 정문은 북쪽 벽에 위치해 장식된 철제 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북문 밖에는 연례 회의가 열리는 긴 건물, 시장, 신성한 교차로가 있었으며, 안쪽에는 종교 건물들과 운하로 둘러싸인 목욕 시설이 있는 파빌리온이 있었다. 남쪽에는 궁궐 하인들의 거주지와 왕의 알현실이 있는 세 번째 안뜰이 있었다. 왕의 거처는 세 번째 안뜰 동쪽에 위치했으며, 화려하게 장식된 파빌리온으로 꾸며져 있었다. 궁궐 밖에는 시바 사제, 불교도, 귀족들의 숙소와 가자 마다를 포함한 왕실 구역이 있었다.

하얌 우루크 왕은 싱가사리 사원에서 증조부 케르타네가라를 위한 '푸스파' 의식을 거행하고, 라자사에게 경배를 드렸다.[1] 또한, 12년 전 사망한 여왕 할머니 가야트리 라자팟니를 기리는 '스라다' 의식이 거행되었다. 궁정 장인들은 대나무 공예품, 사자 옥좌, 음식 운반 도구, 탑 모양 구조물, 조각상, 금은 장식 등을 만들었다.[2] 의식 중에는 사자 옥좌에 여왕 할머니의 영혼을 상징하는 꽃 조각상('푸스파')을 놓고, 영혼을 초대하여 '푸스파'에 안치하는 의례가 7일 동안 진행되었다.[3] 이는 라자팟니의 영혼을 기쁘게 하고 후손들의 통치에 은총을 기원하는 의미였다. 이후 국왕은 여왕 할머니를 프라즈나파라미타로 신격화하고 새로운 사원을 건립했다.[1]

3. 1. 광대한 영토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마자파힛의 속국은 오늘날 인도네시아 대부분의 지역을 포함하여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있었다. 13편과 14편에는 마자파힛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여러 지역들이 언급되어 있다.

지역위치 및 설명
수마트라 섬잠비, 팔렘방, 테바(무아로 테보), 다르마스라야, 칸디스, 카와스, 미낭카바우, 시악, 로칸, 캄파르, 파네, 캄페, 하루(아루 왕국, 오늘날 메단 주변), 만다일링, 타미양(아체 타미앙 리젠시), 페를락(프에루락), 파당 라와스, 사마드라(사마드라 파사이), 라무리, 바탄(빈탄), 람풍, 바루스
보르네오 섬탄중네가라, 카푸아스, 카틴간, 삼핏, 코타 링가, 코타 와링인, 삼바스, 라와스, 카단당안, 란다, 사마당, 티렘, 세두(사라왁), 바루네(브루나이), 칼카, 살루둥(사바의 세루동 강[2]), 솔롯(술루), 파시르, 바리토, 사와쿠, 타발룽, 탄중 쿠테이, 말라노[3]
말레이 반도파항, 랑카수카, 사임왕, 켈란탄, 트렝가누, 조호르, 파카, 무아르, 둥군, 투마식 (오늘날 싱가포르), 클랑(클랑 밸리), 케다, 제라이(구눙 제라이), 칸자피니란
자바 섬 동쪽바다훌루 및 로 가자 (오늘날 발리의 일부), 구룬과 수군, 탈리왕, 사피(섬바와 섬 동쪽 끝, 사페 해협 옆), 돔포, 상 향 아피, 비마, 세란(세람 섬), 후탄 카달리(부루 섬), 구룬 섬, 롬복 메라, 사삭 (중앙, 북부 및 동부 롬복), 반타얀, 루우
기타 동쪽 지역우다마카트라야(상기르와 탈라우드), 마카사르, 부톤, 방가이, 쿠니르, 갈리아오, 셀라야르, 숨바, 솔롯, 무아르, 완다(n)(반다 섬), 암본 또는 말루쿠 제도, 카이 제도(에왑 오호이-에우르 마스-일 라르불-응아발-이스티아닷), 와닌(오닌 반도, 오늘날 파크팍 리젠시, 서파푸아), 스란(스란[4] 또는 코와이, 카이마나), 티모르 및 기타 섬들


3. 2. 수도 트로울란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마자파힛의 수도 트로울란은 두껍고 높은 붉은 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왕궁 근처에는 요새화된 경비 초소가 있었다. 왕궁 정문은 북쪽 벽에 위치했으며, 장식된 철제 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북문 밖에는 연례 회의가 열리는 긴 건물, 시장, 신성한 교차로가 있었다. 북문 안쪽에는 종교 건물들이 있는 안뜰이 있었고, 안뜰 서쪽에는 운하로 둘러싸인 목욕 시설이 있는 파빌리온이 있었다. 남쪽 끝에는 궁궐 하인들이 사는 테라스 위 집들로 이어지는 통로와 문이 있었다. 또 다른 문은 집들로 붐비는 세 번째 안뜰과 왕의 알현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한 대강당으로 이어졌다.

세 번째 안뜰 동쪽에는 왕의 거처가 있었는데, 붉은 벽돌 기단 위에 화려하게 조각된 나무 기둥과 점토 장식 지붕을 가진 파빌리온으로 꾸며져 있었다. 궁궐 밖에는 시바 사제, 불교도, 다른 귀족들의 숙소가 있었고, 더 멀리에는 가자 마다를 포함한 왕실 구역이 궁궐과 열린 들판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3. 3. 왕실 의례와 행사

하얌 우루크 왕은 싱가사리 사원에서 종교 의식을 행하였는데, 성소에 들어가 증조부인 케르타네가라를 위해 ''푸스파'' 의식을 거행했다. 방문 후, 그는 싱가사리 왕국의 창시자인 라자사에게 경배를 드리기 위해 카게넨간으로 갔다.[1]

프라판카는 죽은 자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행해진 ''스라다'' 의식에 대한 세부 사항을 이야기했다. 그는 12년 전에 사망한 여왕 할머니 가야트리 라자팟니의 의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묘사했다. 궁정 장인들은 의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대나무로 엮은 공예품을 만들고, ''왕군투르''(주요 정원)에서 ''스타나 싱가''(사자 옥좌)를 만들고, 음식용 ''와완''(운반자)과 ''부쿠부쿠란''(모든 종류의 탑 모양 구조물)과 조각상들을 만들었다. 금과 은으로 된 ''다다프''(엠보싱 덮개)를 만드는 대장장이들도 참여했다.[2] 의식 동안 사자 옥좌가 세워졌고, 사제들은 여왕 할머니의 영혼을 상징하는 꽃 조각상 (''푸스파'')을 그곳에 놓았다. 음력 12일째 되는 날, ''스와''(영혼)를 초대했고, ''수트라''(성서) 암송과 ''호마''(불 공양) 예배, ''파리쉬라마''(수세례)가 행해졌다. 영혼이 지구로 내려와 ''푸스파''에 최종적으로 안치되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3]

이 의식은 7일 동안 지속되었다. 화려한 행렬이 주요 안뜰을 가득 채웠다. 이 모든 의식은 라자팟니의 영혼을 기쁘게 하기 위해 행해졌으며, 그녀의 은총이 그녀의 후손들의 통치에 비추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사후 의식은 계속되었고, 국왕은 까말 푼다크 성소를 수리하여 여왕 할머니를 위한 새로운 신성한 사원 (''찬디'')을 건립하라고 명했으며, 그녀는 ''프라즈나파라미타''로 신격화되었다.[1]

4. 등장인물과 종교관

''나가라케르타가마''는 마자파힛 왕국의 왕족과 관련된 인물들의 종교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시에는 왕족들이 힌두교불교를 혼합한 자바인 고유의 신앙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시바-붓다 신은 시바도 붓다도 아니지만, 산의 주인이자 왕국의 최고신으로 묘사된다. 프라판차는 이 신을 "산의 존경받는 빛나는 보호자, 보호받지 못하는 자의 보호자. 그는 분명히 세상의 통치자들의 통치자"라고 칭송했다.

4. 1. 하얌 우루크 왕

''나가라케르타가마''는 하얌 우루크 왕에게 바치는 숭배와 경외심을 담은 고대 자바 문학 장르인 ''푸자 샤스트라''로 쓰여졌다. 작가 프라판차는 왕과 왕족의 신성한 자질을 자주 언급하며 숭배에 가까운 존경심을 표현했다.[5]

마자파힛 왕족은 제국의 초석을 방문하여 왕의 조상에게 경의를 표하는 "왕실 순방"을 종교적 관습으로 행했다. 이 시는 하얌 우루크의 가장 신뢰받는 섭정인 가자 마다의 죽음 또한 묘사하고 있다.

이 시는 힌두교불교의 신들을 동일한 신, 즉 ''다르마''의 일체성으로 결합한 자바인 고유의 종교적 신념을 보여준다. 이는 ''카카윈 수타소마''(빈네카 퉁갈 이카 참조)에 기록되어 있다. 케르타네가라가 시바-붓다로 신격화되었을 때, 그는 왕국의 신의 집단적 힘을 상징했다.

4. 2. 가자 마다

이 시는 하얌 우루크의 가장 신뢰받는 섭정이었던 가자 마다의 죽음을 묘사하고 있다.[5]

4. 3. 라자팟니 왕대비

라자팟니 왕대비는 프라판차의 시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했다. 한 연에서 이 시는 왕대비를 ''chattra ning rat wisesa''(세상의 탁월한 보호자)로 묘사한다.[5] 라자팟니는 마자파힛 왕국의 시조였는데, 싱가사리 왕국의 마지막 왕인 케르타네가라의 딸이자 라덴 위자야의 아내로 마자파힛의 창시자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녀는 세상의 보호자로 여겨졌다. 왕대비는 이 시에서 ''프라마바가바티''를 구현한다고 한다. ''바가바티''는 반야바라밀다(대승 불교의 지혜의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이다.

4. 4. 케르타네가라 왕

케르타네가라는 싱가사리 왕국의 마지막 왕이자, 하얌 우루크의 증조부였다. ''나가라케르타가마''는 케르타네가라 왕을 "빛나는 샤카-사자의 발에 복종하는" 독실한 불교 신자로 묘사한다.[5]

케르타네가라는 사후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신격화되었다.

특히 시바-붓다는 힌두교불교가 융합된 신으로, 자바인 고유의 신앙 형태였다. 이는 두 종교의 신들을 동일한 신, 즉 다르마의 일체성으로 결합한 것으로, 카카윈 수타소마에도 기록되어 있다. 프라판차는 시바-붓다를 "산의 존경받는 빛나는 보호자, 보호받지 못하는 자의 보호자. 그는 분명히 세상의 통치자들의 통치자"라고 칭송한다.[5] 케르타네가라가 시바-붓다로 신격화된 것은 왕국 전체의 신성한 힘을 상징하는 것이었다.[5]

그러나 케르타네가라의 통치는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주었고, 그의 죽음은 결국 마자파힛 건국의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현대적 의의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결과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evonden in Delpher - De tijd : dagblad voor Nederland https://www.delpher.[...]
[2] 서적 A History of Brunei RoutledgeCurzon
[3] 웹사이트 Sri Yijava and Madjapahit http://www.philippin[...]
[4] 간행물 SEJARAH RAT SRAN RAJA KOMISI KAIMANA (History of Rat Sran King of Kaimana) https://jurnalarkeol[...] 2021-04-24
[5] 백과사전 Indonesia, The Majapahit Era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