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의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들의 전투(Cad Goddeu)는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 고대 웨일스 시로, 탈리에신에게 귀속된다. 이 시는 탈리에신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주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식물들의 속성을 나열하고, 블로데우에드의 탄생, 아서 왕 또는 탈리에신으로 추정되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는 대홍수, 예수의 십자가 처형, 최후의 심판, 금속 세공에 대한 언급으로 끝을 맺는다. 이 시는 난해하여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19세기 이후 여러 번역과 해석 시도가 있었다. 해석에 따라 아서 왕 전설, 고대 켈트교의 비밀, 자연과의 조화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며, 현대 문화에서도 음악, 문학 작품의 영감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무들의 전투 | |
---|---|
개요 | |
제목 (웨일스어) | Kat Godeu |
제목 (영어) | The Battle of the Trees (나무들의 전투) |
제목 (한국어) | 나무들의 전투 |
언어 | 웨일스어 |
시대 | 중세 |
내용 | |
웨일스어 발췌문 | Bum cledyf yn aghat |
웨일스어 발췌문 | Bum yscwyt yg kat |
웨일스어 발췌문 | Bum tant yn telyn. |
웨일스어 발췌문 | Gwern blaen llin, |
웨일스어 발췌문 | A want gysseuin |
웨일스어 발췌문 | Helyc a cherdin |
웨일스어 발췌문 | Buant hwyr yr vydin. |
2. 시의 내용
이 시는 약 248개의 짧은 구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부분으로 나뉜다.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모든 것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졌다는 주장으로 시작한다.
- 영국의 군주가 전투를 벌였을 때 "카에르 베베니르"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 거대하고 괴물 같은 짐승에 대한 묘사와 브리튼족의 두려움을 언급한다.
- 그위디온의 솜씨와 하나님의 은혜로 나무들이 전투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 각기 뛰어난 속성을 가진 식물 목록이 나오는데, 어떤 때는 적절하고 어떤 때는 모호하다.
- 꽃의 처녀 블로데우에드의 탄생에 대한 1인칭 이야기가 나온다.
- 위대한 전사(아마도 아서 왕 또는 탈리에신 자신)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 대홍수, 예수의 십자가 처형, 심판의 날을 언급한다.
- 금속 세공에 대한 모호한 언급으로 끝을 맺는다.
2. 1. 주요 내용
약 248개의 짧은 구절(보통 5음절과 휴지)로 이루어져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 이 시는, 탈리에신에게 귀속된 다른 여러 시에서도 발견되는 방식으로, 모든 것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갖추었다는 장황한 주장으로 시작한다.Bum cledyf yn aghat
Bum yscwyt yg kat
Bum tant yn telyn.cy|나는 손 안의 칼이었고,
나는 전투의 방패였으며,
나는 하프의 줄이었다.}}
그것은 영국의 군주가 전투를 벌였을 때 "카에르 베베니르"에 있었다는 주장에서 절정에 달한다. 그 뒤에는 거대하고 괴물 같은 짐승에 대한 설명, 브리튼족의 두려움, 그리고 그위디온의 솜씨와 하나님의 은혜로 나무들이 전투에 나섰다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다음에는 각기 뛰어난 속성을 가진 식물 목록이 나오는데, 어떤 때는 적절하고, 어떤 때는 모호하다.
Gwern blaen llin,
A want gysseuin
Helyc a cherdin
Buant hwyr yr vydin.cy|오리나무, 선두에 서서,
선봉을 이루었고,
버드나무와 마가목은
전투에 늦게 참여했다.}}
그 후 시는 꽃의 처녀 블로데우에드의 탄생에 대한 1인칭 이야기로 바뀌고, 또 다른 위대한 전사, 한때 목동이었지만 지금은 박식한 여행자가 된 인물, 아마도 아서 왕 또는 탈리에신 자신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이전의 대홍수에 대한 언급을 반복한 후, 예수의 십자가 처형과 심판의 날에 대한 언급이 나오며, 시는 금속 세공에 대한 모호한 언급으로 끝을 맺는다.
3. 해석
〈나무들의 전투〉는 번역과 해석이 매우 어려운 시이다. 각 행이 간결하고 내용이 암시적이며 문법적으로도 모호하여, 19세기부터 수많은 해석과 번역 시도가 있었다.
3. 1. 중세 웨일스 문헌의 언급
웨일스 삼가시는 이 전투를 "부질없는" 전투로 기록하고 있으며, ''탈리에신의 서'' 시에서는 시인 자신이 전투에 참여했다고 주장한다.[1]3. 2. 16세기 필사본의 해석 (Peniarth MS 98B)
Peniarth MS 98B (16세기 후반)에 보존된 요약본에 따르면, 나무들의 전투는 귀네드와 아눈의 왕 아라온 사이의 전투를 묘사한다. 전쟁의 원인은 신성한 쟁기꾼 아마에손이 아라온에게서 개, 꼬마물떼새, 노루를 훔쳐간 사건이었다.[1] 그위디온은 아라온의 부하 중 한 명인 브란(아마도 브란 더 블레세드)의 이름을 맞혀 승리했다.[1]3. 3. 마비노기 이야기
마비노기 이야기에서 르우 라우 기페스의 어린 시절을 다룰 때, 그위디온이 숲을 이용해 침략군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술수를 부리는 장면이 등장한다.3. 4. 다양한 근현대 해석
토머스 스티븐스는 이 시가 “태양-방주(Helio-Arkite) 신화, 고위 드루이드의 윤회, 대홍수의 상징적 언급”에 관한 것이라고 해석했다.[10] 제럴드 맛세이는 고대 이집트 종교가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을 했다.[11]데이비드 윌리엄 내시는 이 작품을 아서왕 전설과 다른 신화군의 요소들을 짬뽕한 12세기의 조잡한 로맨스였다고 생각했다.[12] 한편 윌리엄 포브스 스케네는 이 시가 고대의 신화를 묘사한 것이라는 견해를 거부하고, 아알랜드의 게일인들이 브리튼섬 북부를 침공해왔을 때 그 전쟁을 다룬 것이라는 설을 제시했다.[13]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전투에 참여했다는 나무들을 오감 문자의 수목명과 대응시켜 보았다. 이 설에 따르면 각각의 나무는 고유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진다. 구이디온이 브란의 이름을 알아맞힌 것은 브란이 오리나무 가지를 들고 왔기 때문이며, 오리나무는 브란의 상징이다. 그레이브스는 이 시의 작가가 고대 켈트족이 믿은 드루이드교의 비밀을 기독교 시대의 당국의 탄압으로부터 숨겨놓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싸움은 물리적인 싸움이 아니라 지혜와 재치를 다툰 싸움이며, 상대방의 이름을 맞힌 쪽이 승리한 것도 그래서라는 것이다.
마지드 헤이콕과 메리 앤 컨스탄틴은 「나무들의 전투」가 고대의 지혜를 담고 있다는 그레이브스의 설에 반대하며 오히려 이것은 음유시인의 화법을 비꼰 통속적 풍자시이며, 하나의 거대한 패러디라고 주장했다.
프란체스코 베네초는 숲 그 자체와 숲의 마법적 권능에 대한 고대의 공포를 나타내는 시라는 주장을 했다.
4. 다른 매체에서의 사용
〈나무들의 전투〉는 여러 매체에서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4. 1. 음악
1984년 영국 밴드 조비에 프랑스(Zoviet France)의 앨범 ''에오스트레''(Eostre)에는 "Cad Goddeau"라는 곡이 수록되어 있다.싱어송라이터 토리 에이모스(Tori Amos)는 21세기 송 사이클로 제시된 서사 콘셉트 앨범인 ''나이트 오브 헌터스''(Night of Hunters)에 수록된 "Battle of Trees"라는 곡을 위해 ''Cad Goddeu''의 이야기를 영감으로 삼았다. 에릭 사티(Erik Satie)의 ''그노시엔 1번''(Gnossienne No. 1)을 변주한 이 곡[6]은 ''Cad Goddeu''를 언급하며 언어의 힘을 전투를 위한 무기로 묘사한다.[7]
소련 및 러시아 록 그룹 아쿠아리움(Aquarium)은 1986년 앨범 ''데티 데카브랴''(Deti Dekabrya)에 "Kad Goddo"라는 곡을 수록했는데, 이 곡은 시의 일부 구절을 직접 인용했다.
"운명의 결투"(Duel of the Fates)는 ''스타워즈''(Star Wars) 프리퀄 3부작과 확장된 유니버스에서 반복되는 음악 테마이다. 이 곡은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가 작곡했으며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London Symphony Orchestra)와 런던 보이스(London Voices)가 영화 사운드트랙을 위해 녹음했다. 이 교향곡은 풀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함께 연주한다. 가사는 ''Cad Goddeu''의 일부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 불린다.[9]
4. 2. 문학
팀 파워스(Tim Powers)의 소설 ''어둠의 드로잉(The Drawing of the Dark)''에서 주인공 브라이언 더피는 고대 존재를 소환하기 위해 〈나무들의 전투〉의 구절을 읊는다.[8]참조
[1]
서적
Literature of the Cymry
1848
[2]
서적
Book of the Beginnings
Kessinger Publishing
2002
[3]
서적
Taliesin, Or, The Bards and Druids of Britain: A Translation of the Remains
J. R. Smith
1848
[4]
서적
The Four Ancient Books of Wales
Kessinger Publishing
1868
[5]
학술
T Trudy Carmany Last, 'The "Battle of the Trees": Arthur, the Prophecy of Virgil, and the "Aeneid"'
https://www.academia[...]
[6]
웹사이트
Tori Amos: Classical Music Huntress
https://web.archive.[...]
2011-08-03
[7]
웹사이트
Album Review: Tori Amos, Night of Hunters
http://www.slantmaga[...]
2012-08-03
[8]
서적
The Drawing of the Dark
Del Rey Books
[9]
웹사이트
Making 'Star Wars' sing again
https://web.archive.[...]
1999-03-28
[10]
서적
Literature of the Cymry
1848
[11]
서적
Book of the Beginnings
Kessinger Publishing
2002
[12]
서적
Taliesin, Or, The Bards and Druids of Britain: A Translation of the Remains
J. R. Smith
1848
[13]
서적
The Four Ancient Books of Wales
Kessinger Publishing
18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