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산성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팔산성 전투는 제3시대 3019년, 사루만의 공격으로부터 로한을 지키기 위해 헬름 협곡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사루만이 로한을 공격하자, 세오덴 왕은 헬름 협곡의 호른부르크 요새에서 결전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세오덴 왕은 약 1,000명의 병력과 로한 전역에서 온 방어군을 이끌고 헬름 협곡으로 향했고, 사루만의 군대는 최소 10,000명의 오크와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투는 사루만의 군대가 방벽을 돌파하며 시작되었지만, 간달프와 에르켄브란트의 지원군이 도착하고, 후오른 숲이 나타나면서 사루만 군은 패배했다. 이 전투를 통해 사루만의 전력은 소멸되었고, 로한은 서쪽으로부터의 위협에서 벗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전투 - 분노의 전쟁
분노의 전쟁은 제1시대에 발라들이 모르고스를 격파하기 위해 발리노르 군대를 이끌고 가운데땅으로 건너와 벌어진 전쟁으로, 에아렌딜의 간청에 응답한 발라들이 에온웨의 지휘 아래 요정들과 함께 모르고스를 격파하고 추방했으나 그의 부하들은 살아남아 위협으로 남았다.
나팔산성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이름 | 각뿔피리 골짜기 전투 (각뿔 성채 전투) |
분쟁 | 반지 전쟁 |
날짜 | 제3시대 3019년 3월 2일 - 3월 3일 |
장소 | 각뿔 성채 (로한) |
결과 | 로한 군의 압도적인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1 | 로한 |
교전 2 | 후오른 |
교전 3 | 아이센가르드 |
교전 4 | 둔랜드인 |
지휘관 및 지도자 | |
로한 지휘관 | 세오덴 |
로한 지휘관 | 에오메르 |
로한 지휘관 | 간달프 |
로한 지휘관 | 엘켄브란트 |
아이센가르드 지휘관 | 사루만 |
병력 규모 | |
로한 방어군 | 1,300명 |
로한 증원군 | 1,000명 |
후오른 | 불명 |
아이센가르드 연합군 | 오크, 우루크하이, 둔랜드인 혼합군 10,000명 이상 |
피해 규모 | |
로한 | 불명 |
아이센가르드 | 대다수 |
2. 역사적 배경
제3시대 3018년 9월, 간달프는 아이센가드를 탈출하여 사루만이 로한에 대해 품은 야욕을 세오덴 왕에게 경고했다. 사루만은 로한 전체의 주권을 주장하며 로한과 전쟁을 시작했고, 왕의 고문이자 사루만의 간첩인 그리마 웜통그는 사우론의 위협을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을 왕에게 진언했다.
3019년 2월 25일, 아이센 강 여울목 전투에서 세오덴 왕의 외아들 세오드레드 왕자가 전사했다. 3월 2일, 아이센 강 여울목에서 다시 전투가 벌어져 서부 변경의 영주 에르켄브란드는 패퇴하여 생사가 불분명해졌다.
같은 날 간달프 일행이 에도라스에 도착하여 세오덴 왕을 설득하고 그리마 웜텅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한편, 갇혀 있던 에오메르를 풀어주고 군사를 서쪽으로 이동시켜 사루만과 결전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왕은 비무장 백성을 둔해로우로 피난시키고 에오윈 공주를 지도자로 임명한 후, 에도라스 근교에서 군사를 모아 헬름 협곡으로 진군했다. 도중에 에르켄브란드의 패배 소식을 듣고 혼 성에서 아이센가드의 군대와 맞서 싸우기로 결정했다.
한편, 사루만은 아이센가드의 전 병력을 동쪽으로 진군시켰고, 혼 성에서 양측 군대가 충돌했다.
2. 1. 사루만의 배신과 로한의 위기
제3시대 3018년 9월, 간달프는 아이센가드를 탈출한 후 사루만이 로한에 대한 적대적인 의도를 품고 있음을 세오덴 왕에게 경고했다.[14] 사루만은 로한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시작했고, 왕의 고문이자 사루만의 첩자인 그리마 웜통그는 세오덴 왕에게 소극적인 대응을 종용했다.[14]3019년 2월 25일, 아이센 강 여울목 전투에서 세오덴의 외아들 세오드레드가 전사하면서 로한은 큰 타격을 입었다.[14] 3월 2일, 서부 변경의 영주 에르켄브란드가 아이센 강 여울목에서 패배하고 생사가 불분명해졌다.[14]
2. 2. 세오덴 왕의 결단과 헬름 협곡으로의 집결
제3시대 3019년 3월 2일, 간달프 일행은 에도라스에 도착하여 세오덴 왕을 치유하고, 왕의 고문이자 사루만의 간첩이었던 그리마 웜텅의 영향력을 제거했다. 또한, 갇혀 있던 에오메르를 석방했다.[10] 간달프는 세오덴 왕에게 군사를 서쪽으로 보내 사루만과 결판을 내야 한다고 설득했다.세오덴 왕은 간달프의 조언을 받아들여 비무장 백성을 둔해로우로 피난시키고, 에오윈 공주를 그들의 지도자로 지명했다. 왕 자신은 에도라스 근교에서 군사를 소집하여 헬름 협곡으로 향했다.
도중에 세오덴 왕은 아이젠 강가 전투에서 에르켄브란드가 패배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혼 성에서 아이센가드의 군세를 맞아 싸우기로 결심했다.[10]
3. 헬름 협곡의 지리적 특징
헬름 협곡은 더 큰 계곡인 디핑 계곡 꼭대기에 있는 좁은 협곡(골짜기)이다.[3][4] 협곡 입구의 요새와 아래의 더 큰 계곡도 헬름 협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5][6][7] 헬름 협곡은 하얀 산맥 깊숙이 뻗어 있으며, 스리히르네 산 기슭에서 아글라론드의 빛나는 동굴로 이어진다.
이 계곡은 겨울 동안 둔랜드인의 침략을 피해 피난처를 찾았던 로한의 헬름 해머핸드 왕과 그의 백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9]
3. 1. 나팔산성(혼부르크) 요새
협곡 입구에는 혼부르크 성 요새가 있었으며, 약 6.10m 높이의 방벽(디핑 월)으로 둘러싸여 있었다.[9] 이 방벽에는 디핑 개울이 흐르는 배수로가 있었다.[9] 성벽 한쪽 끝에는 산의 돌출부에 혼부르크 성이 있었고, 긴 계단은 뒤쪽 문으로, 긴 도로는 정문에서 아래로 이어졌다.[9]3. 2. 빛나는 동굴 아글라론드

멘딥 언덕에 있는 약 121.92m 깊이의 거대한 석회암 협곡인 체다 협곡은 헬름 협곡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톨킨은 1916년 신혼여행에서 이곳을 방문했고 1940년에 재방문하여 요새 뒤 헬름 협곡 꼭대기에 있는 아글라론드의 빛나는 동굴의 기원임을 인정했다.[1][2]
하얀 산맥 깊숙이 뻗어 있는 헬름 협곡에는 아글라론드의 빛나는 동굴이 있다. 이곳은 광대한 일련의 장관을 이루는 동굴 생성물로 이루어져 있다. ''반지의 제왕''에서 드워프 김리는 동굴이 단지 피난처로만 사용되는 것에 경악하며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4. 전투의 경과
간달프는 나팔산성에 들어가지 않고 세오덴 왕 곁을 떠나 아이센가드로 향했다. 3월 3일 밤, 세오덴 왕의 군대는 헬름 협곡에서 아이센 강 여울목 전투의 패잔병 1,000명과 합류했다. 한밤중이 지나자 아이센가드 군이 공격을 시작했고, 로한 군이 응전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10]
4. 1. 사루만의 군대 구성
사루만의 군대는 평범한 오르크, 우르크하이, "반 오르크와 고블린 혼혈", 그리고 던랜드(던랜드의 인간)으로 구성되었다.[3] 이들은 폭풍우 치는 밤에 헬름 협곡에 도착하여 헬름 제방을 공격했다.[3]4. 2. 공성전의 전개
3월 3일 밤, 왕의 군대는 각적성에서 얕은 여울로 패주한 병사 1,000명과 합류하였다. 한밤중이 지나자 아이센가드 군은 공성을 시작했고, 로한 군이 응전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10] 아이센가드 군은 여러 차례 성문과 방벽을 공략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하지만, "오르상크의 불"(화약으로 추정)을 사용하여 방벽의 일부를 폭파하여 방벽을 돌파했고, 이에 수비 측은 후퇴하였다.[3]날이 밝자 세오덴 왕은 헬름 혼을 울리고 성에서 출진했다. 동시에 에르켄브란트와 간달프가 이끄는 1,000명의 병사가 나타났고, 후오른 숲이 성 앞에 나타나자 아이센가드 군은 전의를 상실하고 패주했다.[3]
4. 3. 간달프와 에르켄브란드의 등장
새벽녘, 세오덴 왕이 헬름의 큰 나팔을 불며 출격했다. 동시에 간달프와 에르켄브란트가 이끄는 1,000명의 병력이 나타났다.[3] 이들은 아이센 강 전투에서 탈출한 보병들이었다.[3] 여기에 더해 후오른 숲이 성 앞에 나타나면서, 사루만의 아이센가드 군대는 전의를 상실하고 패주했다.[3]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아이센가드군은 궤멸되었다. 후오른 숲으로 도망친 오크와 우르크하이는 전멸했고, 많은 던랜드인들이 항복했다. 로한군의 피해도 컸다. 전투 후, 간달프, 세오덴, 에오메르, 근위 사관 몇 명, 아라고른, 김리, 레골라스는 아이센가드로 향했다. 세오덴 왕은 로한 전역에서 전투 가능한 사람을 에도라스에 소집하도록 명했다. 그 외 로한군 생존자들과 항복한 던랜드인들은 전사자 매장 작업을 했다.[3]
던랜드인들은 에르켄브란트에게 사면을 받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로히림은 모든 적대 행위의 중단과 무기를 소지한 채 다시 아이센 강 너머로 후퇴하여 다시는 건너지 않을 것을 요구했다. 던랜드인 포로들은 석방되기 전에 요새를 수리하는 데 투입되었다.
후른 숲으로 들어간 오르크들의 시체는 다시는 발견되지 않았다. 후른들이 그들을 "죽음의 언덕"으로 알려진 흙무덤에 묻었기 때문이다.[3]
로히림 전사자 중에는 세오덴의 개인 호위대장이자 메두셀드의 문지기였던 하마가 있었다. 오르크들은 그의 시신을 훼손했고, 세오덴은 나중에 사루만과의 회담에서 이 일을 기억했다. 김리는 부상을 입었지만, 레골라스의 41명보다 많은 42명의 오르크를 죽였다.
5. 1. 로한의 재건과 곤도르와의 동맹 강화
나팔산성 전투와 엔트에 의한 아이센가드 파괴로 사루만의 전력은 소멸되었고, 로한에게 서쪽으로부터의 위협은 사라졌다.[3] 전투 이후, 간달프, 세오덴, 에오메르, 아라고른, 김리, 레골라스는 아이센가드로 향했다.[3] 세오덴 왕은 로한 전역에서 전투 가능한 사람을 에도라스에 소집하도록 명했다.[3]이 전투의 승리는 로한의 사기를 높이고, 곤도르와의 동맹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곤도르의 섭정 시리온이 칼레나르돈을 에오테오드에게 양도했을 때, 아글라론드는 로히림의 관리로 넘어가 "Súthburg"(고대 영어로 "남쪽 요새")로 명명되었다.[14] 곤도르 수비대는 아이센가드의 수비대와 합쳐졌다.[14] 도랑의 경비 임무는 처음에는 곤도르와 로한이 함께 수행했지만, 나중에는 로히림만이 유지했다.[14]
5. 2. 사루만의 몰락
헬름 협곡 전투와 엔트의 아이센가드 파괴로 사루만의 전력은 소멸되었고, 로한에게 서쪽으로부터의 위협은 사라졌다.[10] 아이센가드군은 괴멸했고, 오크와 우루크하이는 전멸했으며, 던랜드인은 많이 항복했다. 로한군의 피해도 컸다.[11]전투 후, 간달프, 세오덴, 에오메르, 근위 사관 몇 명, 아라고른, 김리, 레골라스는 아이센가드로 향했다. 왕은 로한 전역에서 전투 가능한 자들을 에도라스에 소집하도록 사자를 보냈고, 로한군 생존자들과 항복한 던랜드인들은 전사자 매장 작업을 했다.
6. 영화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에서의 묘사
피터 잭슨의 영화 ''두 개의 탑''(2002)에서 요새는 산비탈에 건설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의 벙커와 유사하게 묘사되었다.[18][19] 이 전투는 배우들에게 인공 비를 뿌려가며 3개월 이상 밤에 촬영되었다.[21]
나팔산성 세트는 일부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사용했고, 일부는 실제 크기로, 일부 샷은 1/4 크기 모형으로, 더 멀리 보이는 샷은 1/85 크기 모형을 사용했다. 최종 전투 장면에서는 웨타의 "매시브(Massive)" 군중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그런트(Grunt)" 렌더링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었으며, 수천 명의 우르크하이는 Alias/Wavefront의 "마야(May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델링되었다.[20] 이는 "기술적 숙련도, 광대한 볼거리, 톤의 균형"을 결합한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전투 장면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21][22]
영화에서는 사루만의 우르크하이 10,000명이 약 300명의 로히림이 지키는 요새를 포위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갈라드리엘의 권유로 엘론드가 보낸 로스로리엔의 엘프가 방어에 합류한다. 방어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지만, 간달프가 에오메르가 이끄는 2,000명의 기병과 함께 나타나 전투의 흐름을 바꾸고 사루만의 군대를 격퇴할 때까지 버틴다.[23]
원작과 영화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7. 분석
헬름 협곡 전투는 역사 속 전투 및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전투와 유사점을 보인다. 톨킨은 헬름 협곡 전투를 묘사하면서 고대 로마와 중세 시대의 전투에서 영감을 받았다.
톨킨은 로히림이 "우리 시대의 '중세' 시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에 태피스트리의 양식이 그들에게 꽤 잘 어울린다고 설명했다.[15]
찰스 오턴은 헬름 협곡 전투를 리비우스가 묘사한 호라티우스 코클레스의 로마 폰스 수블리키우스 다리 방어와 유사하다고 보았다. 영웅 아라고른, 에오메르, 김리가 오크 군대를 막아내는 것은 호라티우스가 다리에서 에트루리아 군대를 막아내는 것과 비슷하다. 오턴은 두 이야기 사이에 여러 유사점을 발견했다.[17]
톨킨은 나무가 걷는 존재를 만든 것이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서 '위대한 버넘 숲이 높은 던시네인 언덕으로' 다가오는 것을 초라하게 사용한 것에 대한 "쓰라린 실망과 혐오감"에 대한 반응이라고 언급했다. 톨킨은 "나무가 실제로 전쟁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고안하고 싶었다"고 말했다.[16]
참조
[1]
서적
[2]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A Reader's Companion
HarperCollins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The History of Middle-earth
[13]
서적
The History of Middle-earth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논문
Roman Heroes at Helm's Deep?
https://thersites-jo[...]
2022
[18]
서적
The Origins of Tolkien's Middle-earth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2011
[19]
웹사이트
Breaking down Lord Of The Rings' triumphant battle of Helm's Deep
https://www.avclub.c[...]
2017-08-03
[20]
논문
The Two Towers
http://www.cgw.com/P[...]
2003-02
[21]
뉴스
15 Years Later, No One's Matched LOTR's Battle at Helm's Deep
https://relevantmaga[...]
2017-12-18
[22]
웹사이트
Game of Thrones: The Long Night Played by the Rules Invented in LOTR's 'Helm's Deep', Here's How
https://www.news18.c[...]
News18
2019-05-02
[23]
영상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Extended Edition)
New Line Cinema
[24]
영상
The Two Towers: Extended Edition
New Line Cinema
2002
[25]
웹사이트
Lord of the Rings Online: Unofficial FAQ
http://lotro.tentonh[...]
2007-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