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한 (가운데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한은 J.R.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내륙 왕국으로, 제3시대에 곤도르와 동맹을 맺고 룬과 모르도르의 침략을 막아냈다. 로한은 에오르가 칼레나르돈에 세운 왕국으로, 기병 중심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앵글로색슨족의 영향을 받아 고대 영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한다. 사루만의 침략과 반지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펠렌노르 평원 전투에서 테오덴 왕의 전사 이후 에오메르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왕국 - 와칸다
    와칸다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가상의 아프리카 국가로, 비브라늄을 통해 고도의 기술력을 가졌지만 쇄국 정책으로 외부 세계와 단절되어 존재를 숨기며, 작품에 따라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것으로 설정되고 수도는 골든 시티이다.
  • 가공의 왕국 - 버섯 왕국
  • 가운데땅의 나라 - 누메노르
    누메노르는 J.R.R. 톨킨의 소설 세계 아르다의 제2시대에 두네다인이 건설한 강력한 섬 왕국으로, 발라가 에다인에게 선물한 안도르 섬에 건설되었으며 뛰어난 항해술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가운데땅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불멸에 대한 갈망과 사우론의 간계로 타락하여 에루 일루바타르에 의해 바다 속으로 침몰한 왕국이다.
  • 가운데땅의 나라 - 아르노르
    아르노르는 누메노르 난민 엘렌딜과 그의 아들들이 세운 북방 왕국으로, 번영을 누렸으나 분열 후 사우론에 의해 멸망하고, 왕통은 아라곤에게 이어져 중간계 문화와 곤도르 번영에 기여했다.
로한 (가운데땅)
개요
로한의 깃발 (작중 묘사 기반)
로한의 깃발 (작중 묘사 기반): 흰색 바탕에 초록색으로 자유롭게 달리는 말
별칭기사국 (리더마크)
칼레나르돈
마크
유형로히림의 정착지
위치가운데땅 북서부
역사
수명제3시대 2510년 건국
건국자에오를
통치
통치자로한의 왕
첫 등장두 개의 탑
수도
수도알드부르그
그 후 에도라스
주요 지역
위치에도라스
둔해로우
헬름 협곡
로한의 영토 (붉은색, 제3시대 3019년)

2. 역사

제3시대 13세기에 곤도르의 왕들은 로바니온의 북부인들과 긴밀한 동맹을 맺었는데, 이들은 ''반지의 제왕''에서 제1시대의 인간의 세 가문 (후에 두네다인이 됨)과 혈통적으로 유사하다고 언급되었다.[39][80] 21세기에, 북부인들의 후예인 '''에오세오드'''는 안두인 계곡에서 어둠숲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드워프와 용 스카사의 보물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39][80]

2509년에 곤도르의 섭정 키리온은 에서 온 인간들과 모르도르에서 온 오르크의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에오세오드를 소집했다.[39] 에오세오드의 군주 에오를은 소집에 응하여 켈레브란트 평원의 전투에서 오크 군대를 격파했다.[39][80] 이 공로로 에오르는 곤도르 영토였던 칼레나르돈 (아이센가드 제외)을 받았다.[39][80]

=== 로한 왕국의 성립 ===

젊은 에오르는 칼레나르돈에 로한 왕국을 세우고, 왕가는 에오르 가문으로 불리게 되었다.[39][80] 첫 번째 왕조는 249년간 지속되었으며, 아홉 번째 왕 헬름 해머핸드가 죽을 때까지 이어졌다.[39] 그의 아들들이 먼저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조카 프레알라프 힐데손이 두 번째 왕조를 시작하여 제3시대 말까지 이어졌다.[39][80] 두 왕조의 왕들은 에도라스 왕궁 아래 두 줄로 된 고분에 묻혔다. 이는 스웨덴 감라웁살라잉글랜드 서튼 후와 유사하다.[39]

감라 우프살라에 있는 에도라스에 대한 묘사와 유사한 바이킹 왕족의 분구 열.


2758년, 로한은 던랜드인과 로한인의 혼혈인 프레카의 아들 울프가 이끄는 던랜드인의 침략을 받았다.[39][80] 헬름 해머핸드 왕은 1년 후 곤도르와 던하로우의 도움을 받을 때까지 혼부르크에 피신했다.[39][80] 이 직후 사루만아이센가드를 차지했고, 동맹으로서 환영받았다.[39][80]

=== 반지 전쟁 ===

사루만은 배신자 그리마 웜텅을 통해 테오덴을 약화시켰다.[40][81] 사루만은 로한을 침공하여 아이센 여울 전투에서 초기 승리하고 테오덴의 아들 테오드레드를 죽였다.[40][81] 그러나 호른부르크 전투(헬름 협곡 전투)에서 나무와 같은 후언들이 판고른 숲에서 나와 로히림을 도왔고, 사루만은 패배했다.[13][61]

테오덴은 군대를 이끌고 미나스 티리스로 가서 펠렌노르 평원 전투에서 포위를 풀도록 도왔고, 하라드림의 지도자를 죽였지만, 그의 말이 쓰러지면서 전사했다.[41][82] 그의 조카 에오메르가 왕위를 계승했다.[41] 테오덴의 조카딸 에오윈과 호빗 메리아독 브랜디벅은 나즈굴의 군주를 죽였다.[41][82]

에오메르는 곤도르 군대와 함께 검은 문으로 가서 모라논 전투(검은 문 전투)에서 사우론의 군대와 싸웠다.[42] 이 전투 중에 지배 반지가 운명의 산에서 파괴되면서 전쟁이 끝났다.[42][52] 에오윈은 이실리엔의 대공 파라미르와 결혼했다.[43][62]

2. 1. 초기 역사

제3시대 13세기에 곤도르의 왕들은 로바니온의 북부인들과 긴밀한 동맹을 맺었는데, 이들은 ''반지의 제왕''에서 제1시대의 인간의 세 가문 (후에 두네다인이 됨)과 혈통적으로 유사하다고 언급되었다.[39][80] 21세기에, 북부인들의 후예인 '''에오세오드'''는 안두인 계곡에서 어둠숲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드워프와 용 스카사의 보물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39][80]

2509년에 곤도르의 섭정 키리온은 에서 온 인간들과 모르도르에서 온 오르크의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에오세오드를 소집했다.[39] 에오세오드의 군주 에오를은 소집에 응하여 켈레브란트 평원의 전투에서 오크 군대를 격파했다.[39][80] 이 공로로 에오르는 곤도르 영토였던 칼레나르돈 (아이센가드 제외)을 받았다.[39][80]

2. 2. 로한 왕국의 성립

젊은 에오르는 칼레나르돈에 로한 왕국을 세우고, 왕가는 에오르 가문으로 불리게 되었다.[39][80] 첫 번째 왕조는 249년간 지속되었으며, 아홉 번째 왕 헬름 해머핸드가 죽을 때까지 이어졌다.[39] 그의 아들들이 먼저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조카 프레알라프 힐데손이 두 번째 왕조를 시작하여 제3시대 말까지 이어졌다.[39][80] 두 왕조의 왕들은 에도라스 왕궁 아래 두 줄로 된 고분에 묻혔다. 이는 스웨덴 감라웁살라잉글랜드 서튼 후와 유사하다.[39]

2758년, 로한은 던랜드인과 로한인의 혼혈인 프레카의 아들 울프가 이끄는 던랜드인의 침략을 받았다.[39][80] 헬름 해머핸드 왕은 1년 후 곤도르와 던하로우의 도움을 받을 때까지 혼부르크에 피신했다.[39][80] 이 직후 사루만아이센가드를 차지했고, 동맹으로서 환영받았다.[39][80]

2. 3. 반지 전쟁

사루만은 배신자 그리마 웜텅을 통해 테오덴을 약화시켰다.[40][81] 사루만은 로한을 침공하여 아이센 여울 전투에서 초기 승리하고 테오덴의 아들 테오드레드를 죽였다.[40][81] 그러나 호른부르크 전투(헬름 협곡 전투)에서 나무와 같은 후언들이 판고른 숲에서 나와 로히림을 도왔고, 사루만은 패배했다.[13][61]

테오덴은 군대를 이끌고 미나스 티리스로 가서 펠렌노르 평원 전투에서 포위를 풀도록 도왔고, 하라드림의 지도자를 죽였지만, 그의 말이 쓰러지면서 전사했다.[41][82] 그의 조카 에오메르가 왕위를 계승했다.[41] 테오덴의 조카딸 에오윈과 호빗 메리아독 브랜디벅은 나즈굴의 군주를 죽였다.[41][82]

에오메르는 곤도르 군대와 함께 검은 문으로 가서 모라논 전투(검은 문 전투)에서 사우론의 군대와 싸웠다.[42] 이 전투 중에 지배 반지가 운명의 산에서 파괴되면서 전쟁이 끝났다.[42][52] 에오윈은 이실리엔의 대공 파라미르와 결혼했다.[43][62]

3. 지리

톨킨의 중간계 일부의 스케치 지도. 로한은 안개 산맥과 팡고른 숲의 남쪽 끝 아래, 그리고 안두인 강 서쪽에 위치해 있다.


톨킨의 중간계에서 로한은 내륙 왕국이다. 그 시골은 목초지와 무성한 키 큰 초원 지대로 묘사되며 바람이 자주 분다. 초원에는 "많은 숨겨진 웅덩이, 젖고 위험한 늪 위에서 흔들리는 넓은 사초"가 있어 풀에 물을 준다.[3] 지도 제작자 카렌 윈 폰스타드는 로한의 면적이 136,656 km²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잉글랜드보다 약간 크다.[52]

3. 1. 국경

로한은 북쪽으로 팡고른 숲과 접해 있으며, 팡고른 숲에는 나무요정(Ent)들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나무수염이 이끈다.[4][53] 또한 로히림들은 랑플로드라고 부르는 거대한 안두인 강이 북쪽에 위치한다. 북동쪽에는 에민 무일의 벽이 있다. 반지 전쟁 이후 왕국은 림라이트 강을 넘어 로스로리엔의 경계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었다.[4][5] 동쪽에는 엔트워시 강과 메링 개울의 어귀가 있으며, 메링 개울은 로한과 곤도르의 아노리엔 지역을 구분하는데, 로히림들은 이곳을 선렌딩이라고 부른다.[4] 남쪽에는 백색 산맥 (에레드 님라스)이 있다.[4][53] 서쪽에는 아도른 강과 아이센 강이 있으며, 이곳에서 로한은 던랜드인의 땅과 접한다.[4][53] 북서쪽, 안개 산맥의 남쪽 끝 바로 아래에는 고대 오르상크 탑을 둘러싼 아이센가드의 성벽이 있다. 반지 전쟁 당시에는 사악한 마법사 사루만이 장악했다.[4][53] 안개 산맥과 백색 산맥이 서로 가까워지는 서쪽 경계 지역은 로한의 틈새로 알려져 있다.[4]

3. 2. 수도 및 주요 도시

'''에도라스'''는 로한의 수도이다. 백색 산맥의 계곡 언덕에 위치한 요새화된 마을로, 로한의 두 번째 왕인 브레고가 건설했다.[6] "에도라스"는 고대 영어로 "울타리"를 의미한다.[7] 에도라스가 세워진 언덕은 해로우데일 계곡 입구에 있으며, 스노우본 강이 동쪽으로 엔트워시를 향해 흐르며 마을을 지난다. 마을은 높은 목재 벽으로 보호받고 있다.

노르웨이의 보르에 있는 메이드 홀.


'''메두셀드'''는 에도라스 언덕 꼭대기에 있는 황금 궁전으로, 로한 왕들의 거처이자 회의 장소이다.[6] "메두셀드"는 고대 영어로 "메이드 홀"을 의미하며,[8] 같은 의미를 가진 알려지지 않은 로히림 단어를 번역한 것이다. 메두셀드는 《베오울프》에 나오는 메이드 홀 헤로트를 기반으로 하며, 멀리서 보면 황금색으로 보이는 초가지붕이 있는 큰 홀이다. 벽은 로히림의 역사와 전설을 묘사하는 태피스트리로 풍부하게 장식되어 있다. 아라곤, 김리, 레골라스, 간달프가 왕 테오덴을 만나는 곳이 바로 메두셀드이다.[6] 레골라스는 메두셀드를 묘사하며, 《베오울프》의 한 구절을 직접 번역한 "그 빛이 온 세상에 닿는다"라는 구절은 ''líxte se léoma ofer landa fela''를 나타낸다.[9]

알드버그는 동부 평원의 수도로, 젊은이 에오르의 최초 정착지이다. 혼부르크는 헬름 협곡에 있는 서부 지역 방어 요새이다.[13] 둔하로우는 백색 산맥 피리엔펠드에 있는 고대 피난처이다.[12] 에도라스에서 해로우데일 깊숙한 곳에는 업본과 언더해로우라는 작은 마을이 있다.

3. 3. 지역 구분

로한 왕국은 '마크(Mark)'라고도 불리며, 주로 동부 마크와 서부 마크 두 지역으로 나뉜다. 각 지역은 왕국의 원수(marshal)가 이끈다.[14] 로한의 수도인 에도라스는 왕국 남쪽 중앙의 작지만 인구가 많은 지역인 폴드에 위치해 있다.[14] 초기 구상에서 로한의 수도 지역은 킹스 랜드(King's Lands)라고 불렸으며, 폴드는 에도라스 남동쪽에 위치한 하위 지역이었다.[15]

로한 인구의 대부분은 폴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뻗어 있는 백색 산맥의 산기슭을 따라 흩어져 살고 있다. 서부 마크에서는 웨스트폴드가 헬름 협곡(Westfold의 방어 중심지)과 로한의 틈새까지 산맥을 따라 뻗어 있다. 로한의 틈새 너머에는 왕국의 서쪽 변경 지대인 웨스트 마르시스가 있다.[13] 이스트폴드는 백색 산맥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따라서 동부 마크의 일부였다), 북쪽으로는 엔트워시 강으로 경계를 이룬다.[17]

로한의 중심부는 넓은 평원으로, 엔트워시 강에 의해 이스트 에므넷과 웨스트 에므넷으로 나뉜다.[18] 로한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지역이자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월드이다. 실버로데 강(Silverlode)의 동의어에서 이름을 딴 펠드 오브 셀러브런트는 더욱 북쪽에 위치하며, 반지의 전쟁 이후 로한에 추가된다.[19] 동쪽 변경 지대는 펜마치라고 불리며, 이 너머에는 곤도르 왕국이 있다.[17]

4. 문화

로히림은 곤도르두네다인과 먼 친척 관계이며, 같은 곳에서 기원했다.[65] 곤도르인들과 달리, 로히림은 낮은 수준의 계몽을 보인다.[65]

로히림 문화의 이름과 많은 세부 사항은 게르만 문화, 특히 톨킨이 강한 친밀감을 느꼈던 앵글로-색슨족과 그들의 고대 영어에서 유래했다.[66] 앵글로색슨 잉글랜드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노르만 기병대에 패했으며, 일부 톨킨 학자들은 로히림이 "기병 문화"를 유지하고 그러한 침략에 저항할 수 있었을 앵글로-색슨 사회의 톨킨의 희망적인 버전이라고 제안했다.[66] 톨킨 학자 톰 쉬피(Tom Shippey)는 톨킨이 에오를 가문의 문장인 "녹색 바탕의 흰 말"을 잉글랜드의 백악 언덕의 풀밭에 새겨진 어핑턴 화이트 호스(Uffington White Horse)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했다.[64][67]

톰 쉬피를 비롯한 톨킨 학자들은 에오를 가문의 문장인 "녹색 바탕의 흰 말"이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톨킨은 로히림을 앵글로-색슨 문화와 언어로 표현하지만, 그들의 조상에게는 고트족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다. 로히림의 조상인 로바니온의 왕족 이름에는 비두가비아, 비두마비, 비니타르야와 같은 고트어 기원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비두가비아는 536년부터 540년까지 이탈리아의 동고트족 왕인 비티게스(Vitiges)와 동의어로 여겨진다.[68] 톨킨은 이를 고대 영어와 고트어의 실제 세계 관계와 평행을 이룬다고 보았다.[69]

톨킨에 따르면, 바이에 태피스트리의 양식은 로히림과 "충분히" 부합한다.


톨킨은 로히림은 우리가 생각하는 "중세풍"이 아니었다고 말하면서, 바이에 유 Tapestry(잉글랜드에서 제작)의 스타일은, 병사들이 착용한 것처럼 보이는 종류의 테니스 네트는 작은 고리 사슬 갑옷의 어색한 관례적 기호일 뿐임을 기억한다면 그들에게 잘 어울린다고 했다.[70]

로한의 군대는 대부분 기병이었다. 기본적인 전술 부대는 고대 영어로 ''éored''[26]였으며, 반지의 전쟁 당시에는 120명의 기병으로 구성되었다.[27]

전시에는 모든 남자가 로한의 소집에 참여해야 했다. 로한은 곤도르를 돕겠다는 에오를의 맹세에 묶여 있었고, 곤도르는 붉은 화살을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이는 고대 영어 시 ''엘레네''에서 역사적 선례를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전쟁의 징표"로 화살을 보내 훈족에 대항하여 기마 서고트족 군대를 소집했다.[28] 곤도르는 또한 미나스 티리스에서 로한 국경까지 백색 산맥을 따라 일곱 개의 신호 화재, 즉 ''아몬 딘'', ''에일레나크'', ''나르돌'', ''에렐라스'', ''민-리몬'', ''칼렌하드'' 및 ''할리피리엔''을 켜서 로히림을 부를 수 있었다.[29]



반지의 전쟁이 시작될 때 완전한 소집은 12,000명 이상의 기병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31] 로히림의 말 중에는 아르다를 누볐던 가장 고귀하고 빠른 말인 유명한 ''메아라스''가 있었다. 그들은 전쟁과 평화 모두에서 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을 얻었다.[32]

앵글로색슨족의 무기와 체인 메일.


로히림은 자신들의 고향을 '리데르마크'(Riddermark)라고 불렀는데, 톨킨은 고대 영어 'Riddena-mearc'를 현대화한 것으로, '반지의 제왕'의 색인에 따르면 "기사들의 국경"을 의미한다.[34] 또한 '에오마르크'(Éo-marc), 즉 '말의 국경' 또는 단순히 '마르크'라고도 한다.[34] 그들은 스스로를 '에오를링가스'(Éorlingas), 즉 에오를의 아들들이라고 부른다.[34] 톨킨은 로한의 기수들의 언어인 로히릭을 고대 영어의 머시아 방언으로 표현했다.[35] 심지어 영어로 인쇄된 단어와 구절조차도 강한 고대 영어의 영향을 보여주었다.[35]

톨킨은 자신의 신화 체계 내에서 각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유럽 언어를 할당함으로써 우연히 발생한 언어학적 수수께끼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


톨킨은 일반적으로 이 언어를 단순히 "로한의 언어" 또는 "로히림의 언어"라고 불렀다. 형용사 형태인 "로히릭"이 일반적이며, 톨킨은 한때 "로한어"를 사용하기도 했다.[29] 많은 인간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누메노르인의 언어인 아두나이어와 유사하며, 따라서 웨스트론 또는 공용어와도 유사하다.

로히림이 아이센가드의 교묘하게 지어진 탑인 오르상크와, 팡고른 숲의 나무 거인인 엔트에게 붙인 이름도 고대 영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시 'The Ruin'에서 'orþanc enta geweorc', 즉 "거인들의 교묘한 작품"이라는 구절로 발견된다. 그러나 쉬피는 톨킨이 이 구절을 "오르상크, 엔트의 요새"로 읽도록 선택했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두 개의 탑' 6장에서, 로한의 기수들은 보이기 전에 아라곤에 의해 소개되는데, 아라곤은 "엘프와 드워프에게 알려지지 않은 느린 언어"로, 레골라스가 "필멸의 인간의 슬픔"이 담겨 있다고 느끼는 라이를 읊는다. 이 노래는 '로히림의 애가'라고 불린다. 잃어버린 과거, 즉 기마 민족이 곤도르 왕국과 평화롭게 동맹을 맺었던 시대를 상징하는 공명을 얻기 위해, 톨킨은 고대 영어 시 '방랑자'의 짧은 'Ubi sunt'(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구절을 각색했다.[37]

톨킨은 고대 영어 시 '방랑자'의 ''Ubi sunt'' 구절을 각색하여 로한의 노래를 만들었다.[37]
방랑자
92–96
방랑자
현대 영어로
로히림의 애가
J. R. R. 톨킨
Hwær cwom mearg? Hwær cwom mago?
Hwær cwom maþþumgyfa?
Hwær cwom symbla gesetu?
Hwær sindon seledreamas?
Eala beorht bune!
Eala byrnwiga!
Eala þeodnes þrym!
Hu seo þrag gewat,
genap under nihthelm,
swa heo no wære.
말은 어디에 있는가? 기수는 어디에 있는가?
보물을 주는 자는 어디에 있는가?
연회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홀에서의 흥겨움은 어디에 있는가?
아, 밝은 잔!
아, 갑옷을 입은 전사!
아, 왕자의 영광!
그 시간은 어떻게 지나갔는가,
밤의 덮개 아래 어두워져,
마치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말과 기수는 이제 어디에 있는가? 불고 있던 뿔피리는 어디에 있는가?
투구와 사슬 갑옷, 그리고 흩날리는 밝은 머리카락은 어디에 있는가?
수금의 현에 얹힌 손은 어디에 있으며, 타오르는 붉은 불은 어디에 있는가?
봄과 수확, 그리고 키 큰 곡물은 어디에 있는가?
그들은 산 위의 비처럼, 초원의 바람처럼 지나갔다;
날들은 서쪽에서 언덕 뒤 그림자로 사라졌다.
죽은 나무의 연기를 누가 모을 것인가?
혹은 바다에서 돌아오는 흐르는 세월을 누가 볼 것인가?



"오래 전에 로한에서 잊혀진 시인이 에오를 영이 북쪽에서 내려왔을 때 얼마나 크고 공정했는지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아라곤은 '애가'를 부른 후 설명한다.[38]

4. 1. 민족

로히림은 곤도르두네다인과 먼 친척 관계이며, 같은 곳에서 기원했다.[65] 곤도르인들과 달리, 로히림은 낮은 수준의 계몽을 보인다.[65]

로히림 문화의 이름과 많은 세부 사항은 게르만 문화, 특히 톨킨이 강한 친밀감을 느꼈던 앵글로-색슨족과 그들의 고대 영어에서 유래했다.[66] 앵글로색슨 잉글랜드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노르만 기병대에 패했으며, 일부 톨킨 학자들은 로히림이 "기병 문화"를 유지하고 그러한 침략에 저항할 수 있었을 앵글로-색슨 사회의 톨킨의 희망적인 버전이라고 제안했다.[66] 톨킨 학자 톰 쉬피(Tom Shippey)는 톨킨이 에오를 가문의 문장인 "녹색 바탕의 흰 말"을 잉글랜드의 백악 언덕의 풀밭에 새겨진 어핑턴 화이트 호스(Uffington White Horse)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했다.[64][67]

톨킨은 로히림을 앵글로-색슨 문화와 언어로 표현하지만, 그들의 조상에게는 고트족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다. 로히림의 조상인 로바니온의 왕족 이름에는 비두가비아, 비두마비, 비니타르야와 같은 고트어 기원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비두가비아는 536년부터 540년까지 이탈리아의 동고트족 왕인 비티게스(Vitiges)와 동의어로 여겨진다.[68] 톨킨은 이를 고대 영어와 고트어의 실제 세계 관계와 평행을 이룬다고 보았다.[69]

톨킨은 로히림은 우리가 생각하는 "중세풍"이 아니었다고 말하면서, 바이에 유 Tapestry(잉글랜드에서 제작)의 스타일은, 병사들이 착용한 것처럼 보이는 종류의 테니스 네트는 작은 고리 사슬 갑옷의 어색한 관례적 기호일 뿐임을 기억한다면 그들에게 잘 어울린다고 했다.[70]

4. 2. 말과 군사

로한의 군대는 대부분 기병이었다. 기본적인 전술 부대는 고대 영어로 ''éored''[26]였으며, 반지의 전쟁 당시에는 120명의 기병으로 구성되었다.[27]

전시에는 모든 남자가 로한의 소집에 참여해야 했다. 로한은 곤도르를 돕겠다는 에오를의 맹세에 묶여 있었고, 곤도르는 붉은 화살을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이는 고대 영어 시 ''엘레네''에서 역사적 선례를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전쟁의 징표"로 화살을 보내 훈족에 대항하여 기마 서고트족 군대를 소집했다.[28] 곤도르는 또한 미나스 티리스에서 로한 국경까지 백색 산맥을 따라 일곱 개의 신호 화재, 즉 ''아몬 딘'', ''에일레나크'', ''나르돌'', ''에렐라스'', ''민-리몬'', ''칼렌하드'' 및 ''할리피리엔''을 켜서 로히림을 부를 수 있었다.[29]

반지의 전쟁이 시작될 때 완전한 소집은 12,000명 이상의 기병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31] 로히림의 말 중에는 아르다를 누볐던 가장 고귀하고 빠른 말인 유명한 ''메아라스''가 있었다. 그들은 전쟁과 평화 모두에서 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을 얻었다.[32]

4. 3. 언어

로히림은 자신들의 고향을 '리데르마크'(Riddermark)라고 불렀는데, 톨킨은 고대 영어 'Riddena-mearc'를 현대화한 것으로, '반지의 제왕'의 색인에 따르면 "기사들의 국경"을 의미한다.[34] 또한 '에오마르크'(Éo-marc), 즉 '말의 국경' 또는 단순히 '마르크'라고도 한다.[34] 그들은 스스로를 '에오를링가스'(Éorlingas), 즉 에오를의 아들들이라고 부른다.[34] 톨킨은 로한의 기수들의 언어인 로히릭을 고대 영어의 머시아 방언으로 표현했다.[35] 심지어 영어로 인쇄된 단어와 구절조차도 강한 고대 영어의 영향을 보여주었다.[35]

톨킨은 일반적으로 이 언어를 단순히 "로한의 언어" 또는 "로히림의 언어"라고 불렀다. 형용사 형태인 "로히릭"이 일반적이며, 톨킨은 한때 "로한어"를 사용하기도 했다.[29] 많은 인간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누메노르인의 언어인 아두나이어와 유사하며, 따라서 웨스트론 또는 공용어와도 유사하다.

로히림이 아이센가드의 교묘하게 지어진 탑인 오르상크와, 팡고른 숲의 나무 거인인 엔트에게 붙인 이름도 고대 영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시 'The Ruin'에서 'orþanc enta geweorc', 즉 "거인들의 교묘한 작품"이라는 구절로 발견된다. 그러나 쉬피는 톨킨이 이 구절을 "오르상크, 엔트의 요새"로 읽도록 선택했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두 개의 탑' 6장에서, 로한의 기수들은 보이기 전에 아라곤에 의해 소개되는데, 아라곤은 "엘프와 드워프에게 알려지지 않은 느린 언어"로, 레골라스가 "필멸의 인간의 슬픔"이 담겨 있다고 느끼는 라이를 읊는다. 이 노래는 '로히림의 애가'라고 불린다. 잃어버린 과거, 즉 기마 민족이 곤도르 왕국과 평화롭게 동맹을 맺었던 시대를 상징하는 공명을 얻기 위해, 톨킨은 고대 영어 시 '방랑자'의 짧은 'Ubi sunt'(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구절을 각색했다.[37]

톨킨은 고대 영어 시 '방랑자'의 ''Ubi sunt'' 구절을 각색하여 로한의 노래를 만들었다.[37]
방랑자
92–96
방랑자
현대 영어로
로히림의 애가
J. R. R. 톨킨
Hwær cwom mearg? Hwær cwom mago?
Hwær cwom maþþumgyfa?
Hwær cwom symbla gesetu?
Hwær sindon seledreamas?
Eala beorht bune!
Eala byrnwiga!
Eala þeodnes þrym!
Hu seo þrag gewat,
genap under nihthelm,
swa heo no wære.
말은 어디에 있는가? 기수는 어디에 있는가?
보물을 주는 자는 어디에 있는가?
연회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홀에서의 흥겨움은 어디에 있는가?
아, 밝은 잔!
아, 갑옷을 입은 전사!
아, 왕자의 영광!
그 시간은 어떻게 지나갔는가,
밤의 덮개 아래 어두워져,
마치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말과 기수는 이제 어디에 있는가? 불고 있던 뿔피리는 어디에 있는가?
투구와 사슬 갑옷, 그리고 흩날리는 밝은 머리카락은 어디에 있는가?
수금의 현에 얹힌 손은 어디에 있으며, 타오르는 붉은 불은 어디에 있는가?
봄과 수확, 그리고 키 큰 곡물은 어디에 있는가?
그들은 산 위의 비처럼, 초원의 바람처럼 지나갔다;
날들은 서쪽에서 언덕 뒤 그림자로 사라졌다.
죽은 나무의 연기를 누가 모을 것인가?
혹은 바다에서 돌아오는 흐르는 세월을 누가 볼 것인가?



"오래 전에 로한에서 잊혀진 시인이 에오를 영이 북쪽에서 내려왔을 때 얼마나 크고 공정했는지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아라곤은 '애가'를 부른 후 설명한다.[38]

5. 분석

톰 쉬피에 따르면, 기병 투구의 말총 깃털(

파나슈
)은 로한의 정의를 내리는 "갑작스러운 공격의 미덕"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병 돌격 시 극적으로 휘날리기 때문이다.[44][83][84][85]

톨킨 학자 제인 찬스는 테오덴이 간달프에 의해 훌륭하고 대담한 "게르만족 왕"으로 변모했다고 평가했다. 그녀는 헬름 협곡 전투 묘사에서 톨킨이 로히림의 신체적 기량을 강조한다고 분석했다.[44]

언어학자이자 톨킨 학자인 톰 쉬피는 로한 기수들이 고대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말에 기반한 문화를 가졌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말과 관련된 많은 고대 영어 단어를 사용하며, 스스로를 ''Éotheod''(말-사람)라고 부르고, 에오문드, 에오메르, 에오윈과 같은 기수들의 이름은 "말"을 뜻하는 단어 ''eo[h]''로 시작한다.[45] 쉬피는 기수들의 정의를 내리는 미덕은 파나슈인데, "속도 속에서 휘날리는 [에오메르]의 투구의 하얀 말총 깃털"과 "저항을 쓸어버리는 갑작스러운 공격, 돌진의 미덕"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로한 기수들의 땅인 "마크"(또는 리더마크[44])는 고대 영어의 머시아 방언으로 모든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45]

톨킨 학자 토마스 호네거는 로히림을 "말을 탄 앵글로색슨족"이라는 쉬피의 묘사에 동의하며, 로히림의 근원이 앵글로색슨 문학과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분명하다고 주장한다.[22] 호네거는 앵글로색슨족과의 유사점에 훌륭한 기마술이 포함되는데, 이는 고대 영어 속담 ''Éorl sceal on éos boge, éored sceal getrume rídan''("지도자는 말 등에 올라타고, 전열은 무리지어 질주해야 한다")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기수들은 앵글로색슨족처럼 "북방 영웅 정신"을 구현하는 게르만 전사 사회이며, 언어 사용에 있어서도 로한이 고대 영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고 언급한다.[22]

제인 치아바타리는 에오윈이 로히림과 함께 싸움터로 나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1960년대 페미니즘과 공명하여 《반지의 제왕》 성공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46]

로한은 강력한 기마 문화를 바탕으로 자유와 독립을 중시하는 국가로, 외부의 침략과 억압에 맞서 용감하게 싸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자유, 평등, 연대의 정신과 부합한다.[86] 특히, 에오윈은 여성으로서 전통적인 역할에 갇히기를 거부하고, 직접 전장에 나가 싸우는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성 평등과 여성의 권리 신장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제인 차바타리는 BBC 문화에 레이디 에오윈이 로히림과 함께 싸움터로 나가 "위대한 업적을 수행"하기보다는 갇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1960년대 페미니즘과 공명하여 당시 ''반지의 제왕''의 성공에 기여했다고 썼다.[87][88]

로한과 곤도르의 동맹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두 국가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가치와 연결된다. 반지 전쟁에서 로한의 역할은 강대국에 맞서 싸우는 약소국의 저항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국제 관계에서 힘의 논리보다는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는 관점과 일맥상통한다.

톰 쉬피는 로한의 기수들이 고대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말에 기반한 문화를 가졌다는 점에서 고대 잉글랜드인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은 말과 관련된 많은 고대 영어 단어를 사용한다.[84] 쉬피는 로한을 고대 영어 이름과 ''éored''("기병대")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잉글랜드인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토지가 사람을 형성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도록" 이질적으로 묘사한다.[85]

톨킨 학자 토마스 호네거는 로히림을 "말을 탄 앵글로색슨족"이라는 쉬피의 묘사에 동의하며, 그들의 근원을 "앵글로색슨 문학과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분명하다"고 말한다.[66] 호네거는 톨킨이 웨스트론 언어를 현대 영어로 표현했음을 언급한다. 로한이 관련 있지만 더 오래된 언어인 고대 영어를 사용했으므로 동일한 스타일에서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66]

제인 찬스는 테오덴이 간달프에 의해 훌륭하고 대담한 "게르만족 왕"으로 변모했다고 썼다. 그녀는 이 점을 고대 영어 시 ''말돈 전투''에서 "자랑스러운 베오흐트노스"의 실패와 대조했다.[83]

5. 1. 톨킨 학자들의 분석

톰 쉬피에 따르면, 기병 투구의 말총 깃털()은 로한의 정의를 내리는 "갑작스러운 공격의 미덕"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병 돌격 시 극적으로 휘날리기 때문이다.[44][83][84][85]

톨킨 학자 제인 찬스는 테오덴이 간달프에 의해 훌륭하고 대담한 "게르만족 왕"으로 변모했다고 평가했다. 그녀는 헬름 협곡 전투 묘사에서 톨킨이 로히림의 신체적 기량을 강조한다고 분석했다.[44]

언어학자이자 톨킨 학자인 톰 쉬피는 로한 기수들이 고대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말에 기반한 문화를 가졌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말과 관련된 많은 고대 영어 단어를 사용하며, 스스로를 ''Éotheod''(말-사람)라고 부르고, 에오문드, 에오메르, 에오윈과 같은 기수들의 이름은 "말"을 뜻하는 단어 ''eo[h]''로 시작한다.[45] 쉬피는 기수들의 정의를 내리는 미덕은 파나슈인데, "속도 속에서 휘날리는 [에오메르]의 투구의 하얀 말총 깃털"과 "저항을 쓸어버리는 갑작스러운 공격, 돌진의 미덕"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로한 기수들의 땅인 "마크"(또는 리더마크[44])는 고대 영어의 머시아 방언으로 모든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45]

톨킨 학자 토마스 호네거는 로히림을 "말을 탄 앵글로색슨족"이라는 쉬피의 묘사에 동의하며, 로히림의 근원이 앵글로색슨 문학과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분명하다고 주장한다.[22] 호네거는 앵글로색슨족과의 유사점에 훌륭한 기마술이 포함되는데, 이는 고대 영어 속담 ''Éorl sceal on éos boge, éored sceal getrume rídan''("지도자는 말 등에 올라타고, 전열은 무리지어 질주해야 한다")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기수들은 앵글로색슨족처럼 "북방 영웅 정신"을 구현하는 게르만 전사 사회이며, 언어 사용에 있어서도 로한이 고대 영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고 언급한다.[22]

제인 치아바타리는 에오윈이 로히림과 함께 싸움터로 나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1960년대 페미니즘과 공명하여 《반지의 제왕》 성공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46]

5. 2.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추가 분석

로한은 강력한 기마 문화를 바탕으로 자유와 독립을 중시하는 국가로, 외부의 침략과 억압에 맞서 용감하게 싸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자유, 평등, 연대의 정신과 부합한다.[86] 특히, 에오윈은 여성으로서 전통적인 역할에 갇히기를 거부하고, 직접 전장에 나가 싸우는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성 평등과 여성의 권리 신장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제인 차바타리는 BBC 문화에 레이디 에오윈이 로히림과 함께 싸움터로 나가 "위대한 업적을 수행"하기보다는 갇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1960년대 페미니즘과 공명하여 당시 ''반지의 제왕''의 성공에 기여했다고 썼다.[87][88]

로한과 곤도르의 동맹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두 국가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가치와 연결된다. 반지 전쟁에서 로한의 역할은 강대국에 맞서 싸우는 약소국의 저항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국제 관계에서 힘의 논리보다는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는 관점과 일맥상통한다.

톰 쉬피는 로한의 기수들이 고대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말에 기반한 문화를 가졌다는 점에서 고대 잉글랜드인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은 말과 관련된 많은 고대 영어 단어를 사용한다.[84] 쉬피는 로한을 고대 영어 이름과 ''éored''("기병대")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잉글랜드인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토지가 사람을 형성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도록" 이질적으로 묘사한다.[85]

톨킨 학자 토마스 호네거는 로히림을 "말을 탄 앵글로색슨족"이라는 쉬피의 묘사에 동의하며, 그들의 근원을 "앵글로색슨 문학과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분명하다"고 말한다.[66] 호네거는 톨킨이 웨스트론 언어를 현대 영어로 표현했음을 언급한다. 로한이 관련 있지만 더 오래된 언어인 고대 영어를 사용했으므로 동일한 스타일에서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66]

제인 찬스는 테오덴이 간달프에 의해 훌륭하고 대담한 "게르만족 왕"으로 변모했다고 썼다. 그녀는 이 점을 고대 영어 시 ''말돈 전투''에서 "자랑스러운 베오흐트노스"의 실패와 대조했다.[83]

참조

[1] 서적 Return of the King
[2] 서적 Carpenter 2023
[3] 서적 Two Towers
[4] 서적 Peoples
[5] 서적 Unfinished Tales
[6] 서적 Two Towers
[7] 서적 Bosworth http://bosworth.ff.c[...] 1898
[8] 서적 Bosworth http://bosworth.ff.c[...] 1898
[9] 서적 Shippey 2005
[10] 서적 The House of the Wolfings http://www.gutenberg[...] Longmans, Green, and Co. 1904
[11] 서적 Lobdell 1975
[12] 서적 Two Towers
[13] 서적 Two Towers
[14] 서적 Nomenclature
[15] 서적 Unfinished Tales
[16] 서적 Unfinished Tales
[17] 서적 Two Towers
[18] 서적 Nomenclature
[19] 서적 Peoples
[20] 서적 Shippey 2005
[21] 서적 The Mythology of Middle-earth Houghton Mifflin
[22] 서적 "The Rohirrim: 'Anglo-Saxons on Horseback'? An inquiry into Tolkien's use of sources" https://www.academia[...] McFarland (publisher) 2011
[23] 서적 Tolkien and the Invention of Myth: A Reader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4] 서적 Solopova 2009
[25] 서적 Carpenter 2023
[26] 서적 Bosworth http://bosworth.ff.c[...] 1898
[27] 서적 Unfinished Tales
[28] 웹사이트 "Recreating Beowulf's 'Pregnant Moment of Poise': Pagan Doom and Christian Eucatastrophe Made Incarnate in the Dark Age Setting of The Lord of the Rings"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ontana 2008-03-21
[29] 웹사이트 The Rivers and Beacon - hills of Gondor https://epdf.pub/the[...] EPDF 2001
[30] 간행물 The National Cyclopaedia of Useful Knowledge Charles Knight
[31] 서적 Unfinished Tales
[32] 서적 Unfinished Tales
[33] Letters Letters of J. R. R. Tolkien 1954-04-25
[34] 서적 Bosworth http://bosworth.ff.c[...] 1898
[35] 서적 Return of the King
[36] 서적 mearh http://bosworth.ff.c[...]
[37] 서적
[38] 서적 Two Towers
[39] 서적 Return of the King
[40] 서적 Return of the King
[41] 서적 Return of the King
[42] 서적 Return of the King
[43] 서적 Return of the King
[44] 서적 Tolkien's Art Papermac 1980
[45] 서적
[46] 웹사이트 Hobbits and hippies: Tolkien and the counterculture http://www.bbc.com/c[...] 2014-11-20
[47] 웹사이트 New Zealand The Home of Middle-earth http://www.filmnz.co[...] Film New Zealand 2007-04-17
[48] 뉴스 Scandinavian Hardanger fiddles played in Lord of the Rings soundtracks trending in Australia https://www.abc.net.[...] 2019-05-11
[49]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Location HarperCollins
[50] 서적 Return of the King
[51] 서적 Letters
[52] 서적 Two Towers
[53] 서적 Peoples
[54] 서적 Two Towers
[55]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56]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57] 서적
[58] 서적 二つの塔 上2 評論社
[59] 서적 The House of the Wolfings http://www.gutenberg[...] Longmans, Green, and Co. 1904
[60] 서적 Return of the King
[61] 서적 Two Towers
[62] 서적 Unfinished Tales
[63] 서적 Two Towers
[64] 서적
[65]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66] 서적 The Rohirrim: 'Anglo-Saxons on Horseback'? An inquiry into Tolkien's use of sources https://www.academia[...] McFarland 2011
[67] 서적
[68]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69] 서적
[70] 서적 Letters
[71] 서적 eóred http://bosworth.ff.c[...] 1898
[72]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1898
[73] 웹사이트 The Rivers and Beacon - hills of Gondor https://epdf.pub/the[...] EPDF 2001
[74] 서적 eodor http://bosworth.ff.c[...] 1898
[75] 서적 eóred http://bosworth.ff.c[...] 1898
[76] 서적 mearh http://bosworth.ff.c[...] 1898
[77] 서적 2005
[78] 서적 二つの塔 上2 評論社
[79] 서적 二つの塔 上2 評論社
[80] 서적 Return of the King
[81] 서적 Return of the King
[82] 서적 Return of the King
[83] 서적 Tolkien's Art Papermac 1980
[84] 서적 2005
[85] 서적 王の帰還 上 評論社
[86] 서적 The Rohirrim: 'Anglo-Saxons on Horseback'? An inquiry into Tolkien's use of sources https://www.academia[...] McFarland (publisher) 2011
[87] 서적 王の帰還 上 評論社
[88] 웹사이트 Hobbits and hippies: Tolkien and the counterculture http://www.bbc.com/c[...] 2014-11-20
[89] 웹사이트 New Zealand The Home of Middle-earth http://www.filmnz.co[...] Film New Zealand 2007-04-17
[90] 뉴스 Print Email Facebook Twitter More Scandinavian Hardanger fiddles played in Lord of the Rings soundtracks trending in Australia https://www.abc.net.[...] 201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