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명학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명학파는 남명 조식을 중심으로 형성된 학문적 경향으로, 실천적인 학풍과 의리 정신을 강조했다. 이황의 이론 지향적 경향을 비판하며, 박학과 수렴을 중시했다. 임진왜란 때 많은 의병장을 배출하며 그 실천성을 보여주었으나, 광해군 시기 북인이 몰락하고 인조반정 이후 쇠퇴하여 퇴계학파가 융성해졌다. 이후 정조 시대에 재조명되었으며, 조식의 문묘 종사 운동은 실패했으나 산천재 재건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붕당 - 소론
    소론은 조선 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정치 세력으로, 윤증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남인에 대한 온건한 입장과 왕위 계승 문제에 있어 노론과 대립했으며, 강화학파를 형성하는 등 독자적인 학풍을 이루었다.
  • 조선의 붕당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남명학파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수남명 조식
창당조선 중종
해산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분당 전사림파
통합 정당영남학파
종교(유교)성리학

2. 특징

남명학은 실천을 중시하는 학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스승인 조식의 영향이 컸다. 조식은 이천보다는 명도와 비슷한 학문적 경향을 보였으며, 퇴계 이황의 이론 중심적인 학풍을 비판했다.[2]

남명학은 성리학의 '거경궁리(居敬窮理)'를 계승했지만, 제자들에게는 넓은 학문보다는 선현들이 제시한 공부 순서와 행동 기준을 탐구하는 데 집중하도록 가르쳤다.[2]

또한 남명은 지식인()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그의 정치사상은 백성을 위한 정치(위민정치)라고는 할 수 있어도 백성이 근본이 되는 정치(민본정치)라고는 할 수 없는 사대부 중심의 사고를 보여주었다.[2]

2. 1. 실천적 학풍

남명학은 실천을 중시하는 학풍을 특징으로 한다.[2] 남명 조식은 학문적 경향이 이천보다는 명도와 유사하며, 퇴계 이황의 이론 지향적인 경향을 비판하였다.[2]

2. 2. 계승과 변용

남명학은 성리학의 '거경궁리(居敬窮理)'를 계승하였다.[2] 그러나 스승인 조식의 가르침에 따라, 제자들에게는 박학보다는 선현들이 밝혀놓은 공부의 차례와 행위의 표준을 탐구하는 것에 집중하도록 하였다.[2]

2. 3. 지식인의 역할과 위민정치

남명은 지식인()의 역할을 중요시하였으나, 남명의 정치사상은 '위민정치'라고 할 수 있고 '민본정치'라고 할 수 없는 사대부 중심의 사고가 있다.[2]

3. 역사

남명학파는 임진왜란 때 많은 의병장을 배출하며 실천적인 학풍을 보여주었다.[3] 광해군 시기 북인 정권과 함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인조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면서 쇠퇴하였다.[3] 이후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중심이 되었다.[3] 인조반정 이후 200년 가까이 출사길이 막혔으나, 1797년 정조의 사제문을 계기로 학문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되었고,[4] 1818년(순조 18년)에는 산천재가 재건되는 성과를 냈다.[4]

3. 1.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남명학파는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실천으로 유명한데, 이 때문에 임진왜란 때 남명학파 출신의 의병장이 다수 나왔다.[3]

3. 2. 광해군 시대와 북인 정권

광해군 시기 북인 정권이 들어서면서 남명학파는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지만, 인조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면서 남명학파 역시 쇠퇴하고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중심이 되었다.[3]

3. 3. 인조반정과 쇠퇴

광해군 시기 집권 세력이었던 북인이 인조반정으로 대부분 소멸되며 남명학파는 쇠잔해지고, 퇴계학파가 융성해졌다.[3] 이후 영남학파는 퇴계학파가 중심이 되었다.[3]

인조반정으로 200년 가까이 출사길이 막히며 학문이 침체되었으나, 1797년 정조의 사제문을 기점으로 학문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되었다.[4] 조식문묘종사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순조 18년(1818년)에 산천재가 재건되는 성과를 냈다.[4]

3. 4. 정조 시대의 재조명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는 200년 가까이 출사길이 막히며 학문이 침체되었으나, 1797년 정조가 사제문을 내리면서 다시 주목받게 된다.[4] 비록 조식문묘 종사 운동은 실패했지만, 순조 18년(1818년)에 산천재가 재건되는 성과를 거두었다.[4]

4. 사상적 배경과 논쟁

사림파는 1575년(선조 7년) 국가 개혁 방안을 두고 서인동인으로 나뉘었다.[5] 동인은 3년 후 서인을 내치고 정권을 잡았으나, 서인 처리 문제를 두고 온건파인 남인과 강경파인 북인으로 갈라졌다.[5] 북인은 화담학파 계열 학자들이 주축이었는데, 훗날 화담학파와 남명학파는 제휴 관계를 맺는다.[5]

퇴계학과 남명학은 남인과 북인의 정치적 대립만큼이나 학문적으로도 대립하였다.[6] 퇴계학파(남인)는 조식의 학문이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꺼리고, 도가의 수련법에서 나왔다고 비판하며, 이황은 남명학을 노장사상으로 지목하였다.[6]

4. 1. 서경덕과의 관계

사림파는 1575년(선조 7년) 국가 개혁 방안을 두고 온건 세력인 서인과 개혁 세력인 동인으로 나뉘었다.[5] 3년 후 선조가 서인을 내치면서 동인이 정권을 잡았고, 이후 동인은 서인 처리 문제를 두고 온건파인 남인과 강경파인 북인으로 갈라졌다.[5] 당시 북인은 화담학파 계열 학자들이 주축이었는데, 훗날 화담학파와 남명학파는 제휴 관계를 맺는다.[5]

4. 2. 퇴계 이황과의 학문적 대립

남인과 북인의 정치적 대립만큼이나 퇴계학과 남명학 간의 학문적 대립 또한 심각하였다.[6] 퇴계학파, 즉 남인 측에서는 조식의 학문이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크게 꺼렸으며, 이는 유가의 공부 과정에 없는 도가의 수련법에서 나온 것이라 평가하였다.[6] 이황은 남명학을 높고 뻣뻣한 노장사상으로 지목하였다.[6]

참조

[1] 웹인용 영남학파 (嶺南學派)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2-02
[2] 웹인용 덕산구곡 : 남명의 뒤를 따라 걷다(지리산특별전 2) https://archives.gye[...] 산청군 한방항노화실 2016
[3] 웹인용 우리 역사 나침반 > 교과서 용어 해설 > 시대별 > 전체 > 영남학파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2-03
[4] 저널 남명 조식의 교육사상 재검토 https://saramdaumedu[...]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5] 웹인용 북인 (北人)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2-02
[6] 웹인용 한국사 연대기 > 정인홍[鄭仁弘] 영남 의병장, 왜병을 격퇴하다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3-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