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한 상록수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한 상록수림은 대한민국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제주도의 곶자왈과 울릉도를 포함하는 생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습하고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연간 100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식생은 상록 활엽수 녹나무 숲으로, 다양한 참나무과 및 녹나무과 식물이 우세하다. 이 지역은 379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제주도에는 노루 등 포유류와 8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가 기록되었다. 과거 집약 농업으로 인해 저지대 산림이 많이 사라졌으며, 현재는 4%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4개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생태지역 - 만주 혼합림
    만주 혼합림은 대흥안령 산맥, 소흥안령 산맥, 장백산맥 사이의 중간 고도 경사면에 위치한 생태 지역으로,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과 다양한 동물들, 특히 멸종 위기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생태지역 - 한반도 중부 낙엽수림
    한반도 중부 낙엽수림은 한반도 중부와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온대 및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낙엽 활엽수림이 우세하고 다양한 포유류와 조류가 서식하며 일부 지역은 국립공원으로 보호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숲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충청남도 서천군 마량리에 위치한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 군락지로,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함께 자생하며 따뜻한 기후대의 식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 대한민국의 숲 - 함양 상림
    함양 상림은 최치원이 함양 태수 시절 홍수 방지를 위해 조성한 숲으로, 과거 대관림이라 불렸으나 홍수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역사적,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구북구의 생태지역 - 조엽수림
    조엽수림은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으로,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잎은 두껍고 왁스층이 발달하여 광택이 나고,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산성비와 산불에 강하고 수원 함양 능력이 뛰어나지만 기후 변화와 개발로 훼손되어 보전 및 복원이 필요하다.
  • 구북구의 생태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노보시비르스크 제도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북극해에 위치한 여러 작은 섬으로 구성된 제도로, 과거 베링기아의 일부였으며 매머드 상아 매장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 러시아가 군사 기지를 재건하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남한 상록수림
개요
제주 곶자왈
곶자왈
위치대한민국 남부
생물 지리구구북구
생물군계온대 활엽수혼합림
경계한반도 중부 낙엽수림
면적14,084 km²
보존 상태위급/위기 (Critical/endangered)
보호 지역630 km² (4.47%)
상세 정보
국가대한민국

2. 지리

남한 상록수림은 대한민국한반도 남쪽 가장자리에 14700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동중국해에 있는 제주도곶자왈도 포함한다. 곶자왈은 한반도 본토에서 남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이 생태 지역에는 동해에 있는 한반도에서 동쪽으로 135km 떨어진 울릉도도 포함된다.

3. 기후

습하고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1000mm이며, 강수량의 3분의 2가 6월에서 9월 사이에 내린다. 겨울은 건조하고 온화하며, 1월 평균 기온은 2°C이다. 간혹 겨울에 눈이 내리지만, 적설량은 드물다.[2]

4. 식생

자연 식생은 상록 활엽수 녹나무 숲이며, 참나무과(''굴참나무'', ''참나무'' 및 ''물참나무'')와 녹나무과(''구실잣밤나무'', ''녹나무'' 등) 식물이 두드러진다. 다른 나무와 관목으로는 ''개암나무, 참빗살나무, 후박나무, 자금우, 먼나무, 송악, 사스레피나무, 돈나무'' 및 ''먼나무''가 있다.[2]

제주의 비자림 숲에는 ''비자나무''(육두구 또는 육두구 주목)가 울창하게 자생하고 있다. 팔손이 덩굴은 또 다른 제주 자생 식물이다.[3]

5. 동물상

대한민국에는 379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이 중 111종은 겨울철새이고 90종은 겨울과 봄에 이동하는 철새이다. 이들 종의 대부분은 겨울 기후가 온화한 남한 상록수림에 서식하거나 방문한다. 제주도에서는 207종의 조류와 아종이 기록되었고, 울릉도에서는 54종이 기록되었다. 이 지역의 토착 조류로는 쇠딱따구리(`Dryocopus javensis`), 파랑새(`Pitta nympha`), (`Phasianus colchicus torquatus`) 등이 있다. 두루미(`Grus japonensis`)는 담수 습지에서 번식하며, 두루미와 흑두루미(`Grus vipio`)는 해안 및 담수 습지와 강을 따라 겨울을 난다.[3]

제주도의 포유류에는 노루, 족제비, 햄스터, 들쥐, 집쥐 및 두 종의 박쥐가 있다. 멧돼지와 야생 고양이는 이 섬에서 멸종되었다.[3]

제주도에서는 8종의 양서류와 파충류가 기록되었다. 울릉도에는 토착 파충류나 양서류가 없다.[3]

6. 보전

산림은 대부분 사라졌으며, 수 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집약 농업으로 대체되었다. 남아있는 산림 지역은 언덕과 산에 위치한 작은 구획이다. 가장 광대한 산림 지역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얕은 암석 토양을 가진 오래된 용암류로 구성된 제주도의 곶자왈 지형에 있다.[3]

2017년 평가에 따르면, 생태 지역의 630km2 (4%)가 보호 구역에 속해 있다. 보호되지 않은 지역의 15%는 여전히 산림으로 남아있다.[1]

이 생태 지역에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월출산국립공원, 한라산국립공원 등 4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참조

[1]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06-01
[2] 웹사이트 2011-04-08
[3] 웹사이트 Southern Korea Evergreen Forests https://www.oneearth[...] 2024-07-11
[4] 웹사이트 Southern Korea evergreen forests http://worldwildlife[...] 2011-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