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 혼합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 혼합림은 대흥안령 산맥, 소흥안령 산맥, 장백산맥의 중간 고도 경사면에 위치한 생태 지역이다.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로, 건조한 겨울과 연간 500~1000mm의 강수량을 보이며, 여름과 가을이 우기이다. 잣나무, 만주젓나무 등 다양한 침엽수와 몽골참나무, 만주물푸레나무 등 활엽수가 분포하며, 우수리불곰, 시베리아호랑이 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한다. 2017년 기준, 이 생태 지역의 11%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국, 러시아, 대한민국에 걸쳐 여러 국립공원 및 경치 구역이 포함된다.

2. 지리적 위치 및 특징

이 생태 지역은 대흥안령 산맥, 소흥안령 산맥, 장백산맥과 같은 주변 산맥의 중간 고도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고도와 특성이 다른 장백산 혼합림, 동북 평원 낙엽 활엽수림, 아무르 초원 스텝 등의 생태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2. 1. 주변 산맥과의 관계

이 생태 지역은 주변의 세 산맥, 즉 대흥안령 산맥 동쪽 사면, 소흥안령 산맥 남쪽 사면, 장백산맥 서쪽 사면의 중간 고도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남쪽으로는 더 높은 고도의 장백산 혼합림 생태 지역을, 중간 지역에서는 저고도의 동북 평원 낙엽 활엽수림 생태 지역을 주로 둘러싸고 있다. 북쪽 절반은 저지대 서쪽의 아무르 초원 스텝 생태 지역과 맞닿아 있다.

2. 2. 주변 생태 지역과의 관계

이 생태 지역은 세 개의 주변 산맥, 즉 대흥안령 산맥의 동쪽 사면, 소흥안령 산맥의 남쪽 사면, 그리고 장백산맥의 서쪽 사면의 중간 고도 경사면에 위치한다. 이 생태 지역의 남쪽 구역은 더 높은 고도에 있는 장백산 혼합림 생태 지역을 둘러싸고 있다. 중간 구역은 대부분 저고도의 동북 평원 낙엽 활엽수림 생태 지역을 에워싸고 있으며, 북쪽 절반은 저지대 서쪽 구역인 아무르 초원 스텝 생태 지역을 둘러싸고 있다.

3. 기후

이 생태 지역은 건조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 Dwb)에 속한다. 계절에 따른 기온 차이가 크며, 강수량은 연간 500mm에서 1000mm 사이로 여름과 가을에 집중된다.[4][5]

3. 1. 계절별 기온 변화

이 생태 지역의 기후는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b)에 해당하며, 건조한 겨울이 특징이다. 이 기후는 계절별 기온 차이가 크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여름은 따뜻하여 최소 4개월 동안 평균 기온이 10°C 이상이지만, 평균 기온이 22°C를 넘는 달은 없다. 반면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겨울철 강수량은 가장 습한 여름 달의 10분의 1 미만 수준이다.[4][5] 연간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500mm에서 1000mm 사이로 다양하며, 주로 여름과 가을에 집중된다.

3. 2. 강수량

이 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500mm에서 1000mm 사이로, 지역별 차이를 보인다.[4][5] 주로 여름과 가을이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이다. 반면 겨울은 건조한데, 이는 겨울철 강수량이 가장 습한 여름 달의 10분의 1 미만인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 Dwb)의 특징이다.[4][5]

4. 동식물

만주 혼합림은 다양한 종류의 침엽수와 활엽수가 함께 자라는 곳이며, 우수리불곰, 우수리반달가슴곰, 만주말사슴, 너구리, 늑대 등 여러 포유류가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2] 특히 멸종위기종시베리아호랑이와 아무르표범의 중요한 서식지이기도 하다.

4. 1. 식물

만주 혼합림은 위도 37도에서 53도에 걸쳐 분포하며, 남쪽의 활엽수림보다 침엽수가 더 많이 나타난다. 동쪽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침엽수로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만주젓나무(''Abies holophylla''), 눈잣나무(''Pinus pumila''), 시베리아소나무(''Pinus sibirica''), 다우리아잎갈나무(''Larix gmelinii''), 시베리아잎갈나무(''Larix sibirica''), 체카놉스키잎갈나무(''Larix czekanowskii''), 시베리아가문비나무(''Picea obovata'') 등이 있다. 활엽수로는 몽골참나무(''Quercus mongolica''), 만주물푸레나무(''Fraxinus mandschurica''), 아무르피나무(''Tilia amurensis''), 다우리아자작나무(''Betula dahurica''),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갈참나무(''Quercus aliena''), 은행나무(''Ginkgo biloba''), 벚나무(''Prunus serrulata''),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수양버들(''Salix babylonica''), 단풍나무(''Acer''), 사시나무(''Populus tremula''),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함수대(''Suaeda glauca''), 좁은잎보리수나무(''Elaeagnus angustifolia''), 타마릭스 라모시시마(''Tamarix ramosissima''), 시베리아자두(''Prunus sibirica'') 그리고 만주거제수나무(''Ulmus laciniata'') 등이 있다. 서쪽 지역에서는 스코틀랜드소나무(''Pinus sylvestris'')가 흔한 침엽수이다.[2]

4. 2. 동물

이 숲에는 우수리불곰(''Ursus arctos lasiotus''), 우수리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 만주말사슴(''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만주사슴(''Cervus nippon mantchuricus''),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늑대(''Canis lupus''), 붉은여우(''Vulpes vulpes''), 그리고 멧돼지(''Sus scrofa'')와 같은 야생동물이 서식한다. 멸종 위기에 처한 시베리아호랑이(''Panthera tigris tigris'')와 아무르표범(''Panthera pardus orientalis'') 또한 이곳에서 발견된다.

5. 보호 구역

2017년 평가에 따르면, 이 생태 지역의 약 11%에 해당하는 57139km2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보호 구역 외 지역에는 숲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보호 구역의 중요성이 크다.[6] 주요 보호 구역은 중국, 러시아, 대한민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만주 혼합림 생태 지역에 속하는 보호 구역 중 하나로 대한민국의 설악산 국립공원이 포함된다.[6]

5. 2. 중국

만주 혼합림 생태 지역 내 중국에 위치한 주요 보호 구역은 다음과 같다. 2017년 평가에 따르면, 전체 생태 지역의 약 11%(57139km2)만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호 구역 외 지역에서는 숲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이들 지역의 보존 중요성이 크다.[6]

보호 구역 명칭
헤이산 경치 구역
화쯔산 경치 구역
지관산 경치 구역
라오주무 봉우리 경치 구역
멍구산 경치 구역
완포산 경치 구역
샹모산 경치 구역
싱롱 국가 산림 공원


5. 3. 러시아

만주 혼합림 생태 지역 내 러시아의 주요 보호 구역으로는 표범의 땅 국립 공원이 있다.[6]

참조

[1]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06
[2] 웹사이트 Manchurian mixed forests https://www.worldwil[...] World Wildlife Federation 2020-02-23
[3] 웹사이트 Map of Ecoregions 2017 https://ecoregions20[...] Resolve, using WWF data 2019-09-14
[4] 웹사이트 World Map of Ko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koeppen-geige[...] Gebrüder Borntraeger 2006 2019-09-14
[5] 웹사이트 Dataset - Koppen climate classifications https://datacatalog.[...] World Bank 2019-09-14
[6]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06
[7] 저널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06
[8] 웹인용 Manchurian mixed forests https://www.worldwil[...] World Wildlife Federation 2020-02-23
[9] 웹인용 Map of Ecoregions 2017 https://ecoregions20[...] Resolve, using WWF data 2019-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