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달리는 야곱의 여섯 번째 아들이자 이스라엘 열두 지파 중 하나이다. 성경에서 납달리는 재빠른 주자로 묘사되며, 이는 야곱의 축복에서 암사슴에 비유된 것에서 유래한다. 납달리 지파는 아셀 지파 동쪽에 위치하며, 갈릴리 호수 서안과 요르단 강까지 영토를 가졌으며, 주요 도시로는 기네렛과 게데스가 있었다. 다윗 왕 시대에는 37,000명의 병사가 있었으나, 아시리아의 침략으로 인해 주민들이 강제 이주되었다. 위경인 열두 족장의 유언에서는 납달리가 아들들에게 하나님을 경외하라고 훈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성경에서 납달리는 야곱의 축복에서 '놓인 암사슴'에 비유된다.[2] Targum Pseudo-Jonathan|타르굼 프세우도-요나탄arc은 이를 근거로 납달리가 빠른 주자였다고 해석하기도 했으나,[2][8] 성경학자들은 이것이 납달리 개인보다는 납달리 지파 전체에 대한 묘사일 수 있다고 본다.[2][8]
납달리 지파는 가나안 땅 분배 과정에서 다른 지파들과 함께 영토를 할당받았다. 이들이 정착한 지역은 주로 갈릴리 호수 서쪽 지역이었으며, 다윗 왕 시대에는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아시리아 제국의 침략을 받아 많은 주민이 강제로 이주당하는 등 시련을 겪었다.[7]
2. 성경 속 납달리
또한, 신명기 34장 2절에는 하느님이 모세에게 느보 산에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약속한 땅의 넓이를 보여줄 때 납달리의 영토가 언급된다. 납달리 지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2. 1. 야곱의 아들
창세기 46장 24절에 따르면 납달리에게는 야흐르엘, 구니, 예체르, 쉴렘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 그의 아내 이름은 성경에 언급되지 않는다. 납달리는 자신의 가족과 함께 다른 씨족들과 이집트로 이주했으며,[3] 탈출기 시대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위경인 ''열두 족장의 유언''에 따르면, 납달리는 137세에 사망하여 이집트에 묻혔다고 한다.[4]
2. 2. 납달리 지파
타르굼 유사-조나단(Targum Pseudo-Jonathan)에 따르면, 납달리는 재빠른 주자였다고 전해지지만, 이는 야곱의 축복에서 납달리를 말사슴과 동일시한 것에서 비롯된 해석으로 보인다.[8] 성경학자들은 이것이 실제로는 납달리 지파 전체에 대한 묘사일 수 있다고 본다.
신명기 34장 2절에는 하느님이 모세를 느보 산으로 데려가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약속한 땅의 넓이를 보여줄 때 납달리 지역이 언급된다.
납달리 지파는 광야에서 진영을 갖출 때 단 지파와 함께 후미를 담당했으며, 가나안 땅의 상속지를 분배받을 때도 단 지파와 함께 마지막 순서였다.
납달리 지파가 분배받은 상속지는 아셀 지파의 동쪽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갈릴리 호수 서쪽 연안에 닿고 동쪽으로는 요르단강까지 뻗어 있었다. 남쪽으로는 잇사갈과 스불론의 영토와 경계를 이루었다. 이 지역의 주요 도시로는 기네렛, 게데스 등이 있었으며, 땅의 대부분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전체적인 영토 분포는 시므온 지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윗이 헤브론에서 유다의 왕으로 있을 때, 납달리 지파는 지휘관 1,000명과 큰 방패와 창으로 무장한 병사 37,000명을 보유하고 있었다.
훗날 북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아시리아 제국의 디글랏 빌레셀이 침략했을 때, 납달리 지파의 여러 도시들이 공격을 받았고 많은 주민들이 포로로 잡혀가 강제로 이주당하는 비극을 겪었다.[7]
2. 3. 야곱의 축복과 타르굼
야곱의 축복에서는 납달리를 암사슴에 비유하는데,[2] 이를 바탕으로 타르굼 유사-조나단(Targum Pseudo-Jonathan)은 납달리가 빠른 주자였다고 해석했다.[2] 성경 학자들은 이것이 납달리 개인뿐만 아니라 납달리 지파 전체에 대한 묘사라고 보기도 한다.[2]
3. 납달리 지파의 영토와 역사
3. 1. 영토 분배
납달리 지파는 광야 진영에서 단 지파와 함께 후미를 담당했으며, 상속지 분배도 단 지파와 함께 마지막에 이루어졌다.
납달리 지파가 분배받은 땅은 아셀 지파의 동쪽에 위치하며, 갈릴리 호수 서쪽 연안에서 요르단강까지 이르는 지역이었다. 남쪽으로는 잇사갈과 스불론의 영토와 경계를 이루었다. 주요 도시로는 기네렛, 게데스 등이 있었고, 영토의 대부분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3. 2. 아시리아 침공
아시리아의 디글랏 빌레셀이 침략했을 때, 납달리의 도시들이 공격받아 주민들이 강제 이주되었다.[7]
3. 3. 다윗 왕 시대
다윗이 헤브론에서 왕이었을 때, 납달리 지파에는 지휘관 1,000명과 큰 방패와 창을 가진 병사 37,000명이 있었다.
4. 외경과 유대 전승
(작성할 내용 없음)
4. 1. 열두 족장의 유언
위경인 ''열두 족장의 유언''에 따르면, 납달리는 137세에 사망하여 이집트에 묻혔다.[4] 해당 문헌에서 납달리는 그의 아들들에게 하나님을 경외하고 섬기며 따르라고 명령했으며, 요셉의 아들들이 아닌 레위와 유다의 아들들에게 합류하라고 훈계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 지파의 분열에 대한 환상을 보았고, 아브라함이 그의 믿음 때문에 하나님께 선택되었다고 말했다.[5]참조
[1]
성경
Genesis 46:24
[2]
웹사이트
Genesis 49:21
https://www.sefaria.[...]
2023-10-31
[3]
성경
Genesis 46:24
[4]
간행물
Nephtali
CathEncy
[5]
웹사이트
The Testaments of the Twelve Patriarchs, R. H. Charles
http://www.earlychri[...]
[6]
성경
創世記 46章24節
[7]
성경
第二列王記 17章23節
[8]
웹인용
Genesis 49:21
https://www.sefaria.[...]
202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