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내일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내일로는 만 27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철도 자유 이용 패스이다. 2007년 여름 처음 출시되어, 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의 열차를 입석 또는 자유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내일로 티켓은 계절별로 운영 기간이 다르며, KTX 할인, 숙박 및 관광 혜택 등 다양한 부가 혜택이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이용자의 에티켓 문제와 추가 혜택 관련 비리 의혹 등의 논란도 있다.

2. 역사

2007년 7월 11일에 내일로 판매가 시작되었을 때에는 여름에만 한정되었고 기간 또한 7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로 2개월이 채 되지 않았다. 2008년부터는 기간이 6월부터로 확대되었고, 2009년부터 겨울에도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이용객 증가로 운영 도중에 기간을 연장하기도 하였다.[1] 단, 겨울 내일로 티켓의 경우 설 대수송 기간에는 운영하지 않으며, 이 기간이 포함될 때에는 해당 기간을 제외하고 일정을 이용할 수 있다.

여름 내일로 운영 기간겨울 내일로 운영 기간
2007년7월 11일 ~ 8월 31일해당사항 없음
2008년6월 14일 ~ 8월 31일해당사항 없음
2009년6월 19일 ~ 8월 31일12월 10일 ~ 2010년 2월 10일 + 2010년 2월 17일 ~ 2010년 3월 1일
2010년6월 18일 ~ 8월 31일12월 1일 ~ 2011년 1월 31일 + 2011년 2월 7일 ~ 2011년 2월 28일
2011년6월 1일 ~ 9월 6일12월 1일 ~ 2012년 1월 19일 + 2012년 1월 26일 ~ 2012년 3월 6일
2012년6월 1일 ~ 9월 6일12월 1일 ~ 2013년 2월 7일 + 2013년 2월 13일 ~ 2013년 3월 6일
2013년6월 1일 ~ 9월 6일12월 1일 ~ 2014년 1월 28일 + 2014년 2월 3일 ~ 2014년 3월 31일[10][11]
2014년6월 1일 ~ 9월 6일12월 1일 ~ 2015년 2월 16일 + 2015년 2월 23일 ~ 2015년 3월 6일
2015년6월 1일 ~ 9월 6일12월 1일 ~ 2016년 2월 4일 + 2016년 2월 11일 ~ 2016년 3월 6일
2016년(추가 바람)(추가 바람)
2017년6월 1일 ~ 8월 31일12월 1일 ~ 2018년 2월 28일


  • 2008년 여름: 이용 가격이 49800KRW에서 54700KRW으로 인상되었고, 승차권이 파란색 정기승차권형 용지에서 노란색 할인카드형 용지로 변경되었다.
  • 2009년 겨울: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은 12월 8일12월 9일에 한해 선착순으로 정상 가격의 50% 할인된 가격으로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었다. 코레일 구간 전철역에서의 승차권 발매 업무가 중지되어, 일부 역에서는 내일로 티켓을 발급받을 수 없게 되었다.
  • 2010년 여름: KTX를 정상 운임의 50%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주말 제외)이 1회 제공되었다. 대상 연령이 만 25세 이하로 조정되었고, 티켓 구입 가능 기간이 사용 시작일 7일 전으로 확대되었다.
  • 2010년 겨울: KTX 자유석 및 입석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KTX 내일로 티켓'''이 출시되었다. 가격은 178200KRW이었고, 역당 1일 선착순 500명 한정이었다.
  • 2011년 여름: '''KTX 내일로 티켓'''이 폐지되고, KTX 50% 할인 혜택이 2회로 늘었다. SMS/스마트폰 전송으로도 티켓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2011년 겨울: 전 국민 대상 자유 이용 패스가 출시되어, 내일로 티켓과 구별하여 구입해야 했다.
  • 2012년 여름: 이용 가격이 5일권 56500KRW, 7일권 62700KRW으로 이원화되었고, 1일 발급 수량이 2,000매로 늘었다.
  • 2012년 겨울: 제주/일본 선박 연계 할인과 부산아쿠아리움 입장권 할인 혜택이 제공되었다.
  • 2014년 여름: ITX-청춘 이용이 가능해졌다.
  • 2015년 여름: 내일로 이용 연령이 만 28세 이하로 확대되었고, 8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출발하는 티켓에 대해 50% 할인 혜택이 적용되었다.
  • 2015년 겨울: 가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패밀리 티켓'''이 출시되었다. 가격은 1인당 40000KRW이며, 3일 동안 이용할 수 있다.
  • 2017년 여름: 내일로 티켓 판매 연령이 만 29세 이하로 확대되었고, KTX 열차 좌석 지정을 2회 무료로 할 수 있는 '''프리미엄 내일로 티켓'''이 출시되었다. 가격은 5일권 110000KRW, 7일권 120000KRW이다.

2. 1. 2007년 여름

2007년 7월 11일에 내일로 판매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이용 기간은 여름으로 한정되어 7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로 2개월이 채 되지 않았다.[1] 당시 내일로 티켓을 발급받는 사람들에게는 선착순으로 가이드북과 목걸이가 제공되었다.

운영 기간
7월 11일 ~ 8월 31일


2. 2. 2008년 여름

2007년 여름에는 내일로 티켓을 발급받으면 선착순으로 가이드북과 목걸이를 제공했다.[1] 2008년 여름에는 이용 가격이 49800KRW에서 54700KRW으로 올랐고, 승차권은 파란색 정기승차권형 용지에서 노란색 할인카드형 용지로 변경되었다.[1]

2. 3. 2009년 겨울

2009년부터 내일로를 겨울에도 운영하기 시작했다.[1]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은 12월 8일12월 9일에 한해 선착순으로 정상 가격의 50% 할인된 가격으로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었다. 이 해에 코레일 구간 전철역에서의 승차권 발매 업무가 중지되어, 일부 역에서는 내일로 티켓을 발급받을 수 없게 되었다.

2. 4. 2010년 여름

2010년 여름에는 이용 기간 중 1회에 한하여 KTX를 정상 운임의 50%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주말 제외).[12] 내일로 티켓과 본인 확인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이용 기간이 지나면 이 할인은 받을 수 없다. 당초 대상 연령을 만 18세 이상 ~ 만 24세 이하에서 만 19세 이상 ~ 만 25세 이하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었으나, 6월 15일 추가 공지를 통해 나이 제한 하한선이 없어지면서 대상 연령이 만 25세 이하로 조정되었다.[12] 7월 15일부터 내일로 티켓 구입 가능 기간이 사용 시작일 5일 전에서 7일 전으로 확대되었다.

2. 5. 2010년 겨울

2010년 겨울, 기존 내일로 티켓에 더해 KTX 자유석 및 입석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KTX 내일로 티켓'''이 출시되었다. 가격은 178200KRW이었고, 역당 1일 선착순 500명 한정이었다.[1]

2. 6. 2011년 여름

2011년 여름에는 '''KTX 내일로 티켓'''이 판매 실적 저조로 폐지되었다. 대신 이용 기간 중 정상 운임의 50% 할인 가격으로 KTX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2회로 늘었다. 내일로 티켓을 SMS/스마트폰 전송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노란색 할인카드형 용지의 경우 분실 시 재발급을 받을 수 없다. 더 많은 고객에게 내일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기간을 늘렸다.[1]

2. 7. 2011년 겨울

2011년 11월 1일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자유 이용 패스가 출시되어, 내일로 티켓과 자유 이용 패스를 구별하여 구입해야 했다.[1]

2. 8. 2012년 여름

2012년 여름 내일로 이용 가격은 5일권 56500KRW, 7일권 62700KRW으로 이원화되었고[13], 내일로 티켓 시작일 기준 1일 발급 수량은 기존 1,500매에서 2,000매로 늘어났다.

2. 9. 2012년 겨울

2012년 겨울 내일로 티켓 발급 시 제주/일본 선박 연계 할인과 부산아쿠아리움 입장권 할인 혜택이 있었다.[1]

2. 10. 2014년 여름

2014년 8월 1일부터 그동안 내일로 티켓으로 이용이 불가능했던 ITX-청춘의 이용이 가능해졌다.[10][11]

2. 11. 2015년 여름

2015년 여름, 내일로 이용 연령이 한시적으로 만 28세 이하로 확대되었다.[14] 또한, 8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출발하는 내일로 티켓에 대해 50% 할인 혜택이 적용되었다.[15]

2. 12. 2015년 겨울

2015년 겨울에는 기존의 내일로 티켓 외에 내일로 이용 대상자를 포함하여 한 가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패밀리 티켓'''이 출시되었다.[15] 패밀리 티켓은 1인당 40000KRW이며, 3인권과 4인권으로 구분되어 있고 이용 기간은 3일이다.

2. 13. 2017년 여름

2017년 여름, 내일로 티켓 판매 연령이 만 25세 이하에서 만 29세 이하로 대폭 확대되었다.[14] 또한, 기존 내일로 티켓 외에 프리미엄 내일로 티켓이 출시되었는데, 가격은 5일권 110000KRW, 7일권 120000KRW이다. 프리미엄 내일로 티켓은 여정 기간 중 평일에 출발하는 KTX 열차 좌석 지정을 2회 무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세부 사항

내일로 티켓은 사용 시작일 기준으로 만 27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민이 이용할 수 있으며,[2][3] 티켓 사용 시작일 7일 전부터 당일까지 구매할 수 있다. 티켓은 사용 시작일 0시부터 7일간 유효하며, 종료일 23시 59분 이전에 도착해야 하지만, 해당 시간에 출발하는 열차는 다음 날 도착해도 이용할 수 있다.[5]

티켓 사용 시작일 이전에는 환불이 가능하지만, 당일부터는 불가능하다. 분실 시에는 1회에 한해 소량의 수수료를 내고 재발급받을 수 있지만, 2011년 여름 시즌부터는 온라인 티켓에 한정된다. 타인 명의 도용, 부정 승차 등 부정 사용 시 철도사업법에 따라 최대 10배의 부가금이 부과된다.[2] 일부 역에서는 내일로 티켓과 연계된 혜택을 제공하며, 발급 역과 관계없이 모든 이용자에게 주어지는 혜택도 있다.

3. 1. 이용 자격

티켓 사용 시작일 기준으로 만 27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이 이용할 수 있다.[2][3]

3. 2. 구입 방법

내일로 티켓은 티켓 사용 시작일 기준으로 만 27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이 구입할 수 있다.[2][3] 티켓 사용 시작일 7일 전부터 당일까지 구입할 수 있으며, 구입 장소는 다음과 같다.

  • [https://web.archive.org/web/20191017101326/http://letskorail.com/ 레츠코레일 홈페이지]
  • [https://web.archive.org/web/20170912001358/http://rail-ro.com/ 내일로 티켓 예매 홈페이지]
  • 철도 승차권을 발매할 수 있는 철도역 창구[4]


티켓 사용 시작일 이전까지는 환불이 가능하지만, 티켓 사용 시작일 당일부터는 환불이 불가능하다. 티켓을 분실했을 경우에는 1회에 한하여 소량의 수수료를 내고 티켓을 재발급받을 수 있다. 단, 2011년 여름 시즌부터는 스마트폰, SMS 등 온라인 티켓에 한정한다.

3. 3. 이용 기간

내일로 티켓은 사용 시작일 0시부터 7일간 유효하다.[5] 티켓이 끝나는 날 23시 59분 이전에 도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해당 시간에 출발하는 열차는 다음 날 도착하더라도 이용할 수 있다.[5]

3. 4. 환불 및 재발급

티켓 사용 시작일 이전까지는 환불이 가능하지만, 티켓 사용 시작일 당일부터는 환불이 불가능하다.[2] 티켓을 분실했을 때에는 1회에 한하여 소량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티켓을 재발급 받을 수 있다. 단, 2011년 여름 시즌부터는 스마트폰, SMS 등 온라인 티켓에 한정한다.[3]

3. 5. 부정 사용 시 제재

타인의 명의나 티켓을 부정하게 사용하거나 일반 내일로 티켓으로 이용 불가능한 열차를 부정 승차하다 적발될 경우, 철도사업법에 의해 최대 10배의 부가금을 지불해야 한다.[2]

3. 6. 추가 혜택

일부 역에서는 해당 역에서만 제공하는 혜택을 내일로 티켓과 연계해 팔기도 한다. 그러나 발급한 역에 상관 없이 내일로 이용자라면 무조건 주어지는 혜택도 있다.[2],[3],[4],[5]

4. 특징

내일로는 만 27세 이하 청소년이 저렴하게 대한민국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티켓이다.

내일로 티켓으로는 KTX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를 일정 기간 동안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ITX-청춘[6],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통근열차는 입석 또는 자유석으로 이용 가능하다.

내일로는 2007년 여름에 처음 출시된 이후, 매년 여름과 겨울에 운영되고 있다. 초기에는 하계, 동계 각 1회씩 운영되었으나, 2009년부터 동계 시즌이 2~3회로 확대되었다. 2015년까지 운영 기간은 다음과 같다.


4. 1. 이용 가능 열차

ITX-청춘[6],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통근열차는 입석 또는 자유석으로 이용할 수 있다.

4. 2. 이용 불가능 열차

다음 열차는 내일로 티켓으로 이용할 수 없다. 이용하려면 내일로 티켓과 상관없이 별도의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5. 논란

내일로 이용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과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일부 역에서는 내일로 티켓 발급 실적을 높이기 위해 숙박, 이벤트 등의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철도 동호회가 연루되어 무리한 요구를 했다는 의혹이 있다.[16] 또한, 일부 내일로 이용자들은 좌석을 무단으로 점유하거나, 카페 객차를 점거하고, 열차 내 충전 시설을 독점하는 등 이기적인 행동으로 다른 이용객에게 피해를 주고 있어 '개목걸이'라는 비하 표현까지 등장했다.[17][18][19]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열차 시설 부족과 내일로 티켓 판매 정책이 맞물려 발생한 측면도 있으므로, 시설 개선과 함께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5. 1. 일부 추가 혜택의 비리

내일로 티켓 발급이 한국철도공사 직원의 발권 실적에 반영됨에 따라, 일부 역에서는 더 많은 고객을 모으기 위해 숙박과 이벤트 등의 추가 혜택을 주게 되었다.[16] 한국철도공사에서 이 혜택 제공에 한 철도 동호회가 연루되었다고 하는데, 해당 동호회에서 한국철도공사 측에 헌금 등의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한다. 해당 동호회에서는 부인하고 있으나 동호인 사이에서 알려져 있다.

5. 2. 이용자의 에티켓 문제

일부 내일로 이용자들이 좌석 무단 점유,[17] 카페 객차 점거, 열차 내 충전 시설 점유 등 이기적인 행동을 하여 다른 일반 철도 이용객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철도 커뮤니티에서는 내일로 이용자를 '개목걸이'[18]라고 폄하하기도 한다.[19]

그러나 이는 열차 내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내일로 티켓이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므로, 시설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참조

[1] 뉴스 코레일, '내일로 티켓' 다음달 1일까지 연장 운영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0-02-03
[2] 웹사이트 만 29세까지 확대된 내일로, 29일부터 젊음 누리세요 http://www.goodmorni[...]
[3] 문서
[4] 문서
[5] 웹인용 내일로 FAQ 항목 참조 https://web.archive.[...] 2011-07-04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무료 링크 게시판 우뜨보드! http://wo.to/board/v[...]
[13] 문서
[14] 문서
[15] 웹인용 코레일, 광복 70주년 '내일로 티켓' 31일까지 50%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5-08-07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웹사이트 내일로 티켓의 빛과 그림자 http://blog.naver.co[...] 코레일블로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