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동농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농민당은 1926년 3월 농민노동당의 후신으로 창당된 일본의 정당이다. 총동맹 노동조합, 일본농민조합 등의 지원을 받아 창당되었으며, 토지 개혁, 보통 선거권, 노동 조합 결성 권리 등을 요구했다. 창당 초기에는 좌파를 배제하려 했으나, 당내 분열과 좌경화 과정을 겪었다. 1928년 3·15 사건 이후 공산주의 관련 혐의로 해산되었으며,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사회대중당, 일본 무산당, 일본 사회당 등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해산된 정당 - 무산대중당
  • 1928년 해산된 정당 - 대중인민연합
    대중인민연합은 1919년 폴란드에서 창당된 우익 정당으로, 민족주의, 국가 통합, 반공주의, 반독일주의를 표방하며 1919년 선거에서 140석을 얻었지만, 1926년 쿠데타 이후 해산되어 국민당으로 계승되었다.
  • 무산정당 - 무산대중당
  • 무산정당 - 일본사회당 (1906년)
    일본사회당은 1906년 사카이 토시히코 등이 결성한 사회주의 정당으로, 대중 운동을 전개했으나 직접 행동론과 의회 정책론의 대립으로 당내 갈등이 심화되어 1907년 치안유지법에 의해 해산되었다.
  • 일본 제국의 정당 - 일본공산당
    1922년 창당된 일본공산당은 탄압과 노선 변화를 거쳐 현재 의회 내에서 사회 정의, 평화주의, 진보적 사회 정책을 추구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 중 하나이다.
  • 일본 제국의 정당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노동농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노동농민당
로마자 표기Rodongnominnto
일본어 표기労働農民党
일본어 독음로도노민토
존속 기간1926년 3월 1일 ~ 1928년 4월 11일
해산 이유해산 명령, 결사 금지
전신농민노동당
후신일본대중당
본부도쿄
이념사회주의
정치적 위치좌익
기관지『노동농민신문』
해산 시점 당원수7,967명
지도부
지도자스기야마 모토지로(杉山元治郎), 오야마 이쿠오
의장(정보 없음)
대표(정보 없음)
대변인(정보 없음)
기타
후계 정당노농당
성향용공

2. 창당 배경 및 과정

노동농민당은 1926년 3월, 농민노동당의 후신으로 창당되었다.[7][8] 농민노동당은 1925년 12월에 창당되었지만, 공산주의와의 연계 의혹으로 불과 두 시간 만에 해산되었다.[47] 노동농민당은 총동맹 노동조합, 일본노동조합총연합(총동맹의 분파), 일본농민조합, 선원조합, 정부 직원 연맹의 지원을 받아 창당되었다.[9] 일본농민조합의 지도자 스기야마 모토지로가 당 위원장을 맡았고, 나가와, 아베, 아소, 니시오 등이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했다.[9]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던 마츠다 키이치, 우에다 온시, 사이코 반키치는 수평사 운동의 지도자이기도 했다.[10]

2. 1. 농민노동당 창당과 즉시 해산

1926년 3월 5일에 창립되었다.[46] 전년 12월에 결성된 농민노동당이 공산주의와 연결되어 있다는 혐의로 즉시 금지[47]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좌파를 배제한 형태로 결당되었다. 중앙집행위원장에는 일본농민조합 위원장이었던 스기야마 모토지로가 취임했다.[48] 그러나 결당 후에 지방 지부가 조직되어 가는 과정에서 좌파가 유입되어 친공산주의 입장을 취하는 좌파 지방 당원과 반공주의 입장을 취하는 우파 간부가 대립했고, 1926년 12월에는 우파가 탈당하여 사회민중당 (위원장은 아베 이소오)을 결성했다. 전후해서 중간파가 일본노농당 (후의 위원장이 아소 히사시)을 결성했다. 노동농민당 (위원장은 오야마 이쿠오)은 좌파가 주도권을 잡았다. 세 파가 정립했다.

2. 2. 노동농민당 창당

노동농민당은 1926년 3월 농민노동당의 후신으로 창당되었다(농민노동당은 1925년 12월에 창당되었지만 불과 두 시간 만에 해산되었다).[7][8] 이 당은 총동맹 노동조합, 일본노동조합총연합(총동맹의 분파), 일본농민조합, 선원조합 및 정부 직원 연맹에 의해 창당되었다. 일본농민조합의 지도자인 스기야마 모토지로가 당의 위원장이 되었고, 나가와, 아베, 아소, 니시오가 중앙위원회에 포함되었다.[9]

당의 중앙위원회 위원 3명인 마츠다 키이치, 우에다 온시, 사이코 반키치는 ''수평사'' 운동의 지도자이기도 했다.[10] 1926년 (다이쇼 15년) 3월 5일에 창립되었다.[46] 전년 12월에 결성된 농민노동당이 공산주의와 연결되어 있다는 혐의로 즉시 금지[47]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좌파를 배제한 형태로 결당되었다. 중앙집행위원장에는 일본농민조합 위원장이었던 스기야마 모토지로가 취임했다.[48] 그러나 결당 후에 지방 지부가 조직되어 가는 과정에서 좌파가 유입되어 친공산주의 입장을 취하는 좌파 지방 당원과 반공주의 입장을 취하는 우파 간부가 대립했고, 1926년 (다이쇼 15년) 12월에는 우파가 탈당하여 사회민중당 (위원장은 아베 이소오)을 결성했다. 전후해서 중간파가 일본노농당 (후의 위원장이 아소 히사시)을 결성했다. 노동농민당 (위원장은 오야마 이쿠오)은 좌파가 주도권을 잡았다. 세 파가 정립했다.

3. 이념 및 정책

노동농민당의 강령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목표로 하며, 합법적인 수단을 통해 토지 개혁과 생산 재분배를 옹호한다고 명시했다. 기존 정당들은 특권 계급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비판하며, 이들의 전복과 의원 내각제의 개혁을 추구했다.[9]

강령에서 제시된 주요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9]


  • 20세 이상 모든 사람에게 보통 선거권 부여
  • 노동 조합 결성 및 파업 조직 권리 보장
  • 단체 교섭
  • 최저 임금
  • 8시간 노동
  • 여성의 권리
  • 무상 교육
  • 소작농에게 더 많은 법적 권리 부여
  • 누진세
  • 군 지도부의 민주화


1926년 9월, 노동농민당과 효기회는 최저 임금법, 8시간 노동법, 건강 보험법, 근로 여성 보호법 및 실업 수당법 등 5가지 법안 도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13]

중국 문제와 관련하여 당은 일본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며 "중국에 간섭하지 말라" 캠페인을 벌였다. 당은 좌파 우한 정부를 지지했다.[21] 또한, 대만 농민 조합의 창설을 지원하고, 일본 총독의 농업 정책에 맞선 투쟁을 지지했다.[22][23]

4. 당내 분열과 좌경화

1926년 12월 12일, 노동농민당은 첫 대회를 열고 오야마 이쿠오를 당 의장, 호소사코를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14]

1924년 일본 공산당 해산 후, 좌익 간부들은 노동농민당에 합류했다. 사카이 토시히코, 야마카와 키쿠에, 야마카와 히토시 등은 합법적인 노동농민당 건설에 집중했으나, 후쿠모토 그룹은 공산당 재건과 지하 조직에 집중했다.[2][15] 1926년 말, 후코모토 그룹은 재건된 공산당과 노동농민당을 모두 지배했다.[16]

1927년 3월, 코민테른모스크바 회의에서 야마카와와 후쿠모토를 모두 비난하고, 일본 공산당에게 노동농민당과 같은 대중 조직과 함께 활동하라고 지시했다.[17] 1927년 12월, 야마카와 그룹은 월간지 《로노》를 발행하기 시작했다.[18]

1927년 봄 금융 위기 속에서 당은 조기 선거를 요구하며 선전 활동을 강화했다.[19]

1927년 7월 3일, 당 관련 여성 단체인 '''간토 여성 연맹'''이 설립되었으나, 1928년 3월 당내 분파 싸움의 영향으로 해산되었다.[20][2]

당은 일본 정부의 중국 정책에 반대하며 "중국에 간섭하지 말라" 캠페인을 벌이고, 좌파 우한 정부를 지지했다.[21] 또한 대만 농민 조합의 창설을 지원하고, 대만 총독의 농업 정책에 맞선 투쟁을 지지했다.[22][23]

4. 1. 당원 자격 논쟁과 좌파 유입

노동농민당의 강령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목표로 하며, 합법적인 수단을 통해 토지 개혁과 생산 재분배를 추구한다고 명시했다. 기존 정당들은 특권 계급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비판하며, 이들의 전복과 의원 내각제 개혁을 목표로 했다. 또한 보통 선거권(20세 이상), 노동 조합 결성 및 파업권, 단체 교섭, 최저 임금, 8시간 노동, 여성의 권리, 무상 교육, 소작농 권리 확대, 누진세, 군 지도부 민주화 등을 요구했다.[9]

창립 당시 당원 자격은 당의 구성 단체 회원으로 제한되었다. 이는 공산주의자 및 기타 좌익 세력이 당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효기회, 프롤레타리아 청년 동맹, 정치연구회와 같은 좌익 단체 회원들의 가입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많은 당원들은 이러한 규약이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단결을 방해한다고 비판했다. 오야마 이쿠오와 일본 농민 조합의 젊은 활동가들은 규약 폐지를 요구했고, 결국 해당 당 지부의 승인을 받은 개인에게 당원 자격을 개방하는 것으로 타협했다.[11]

이러한 타협에도 불구하고, 1926년 10월 오카베 칸스케, 히라노 리키조 등 일본 농민 조합의 우파 지도자들이 탈당하여 일본 농민당을 결성했다.[11][12] 같은 해 10월 24일, 소도메이 및 기타 노동 조합도 탈당했다. 이후 오야마 이쿠오, 미즈타니 초자부로, 호소사코 카네미츠가 당 지도부를 맡았고, 당원 자격 제한이 철폐되었다.[11] 소도메이 등 온건파는 1926년 12월 사회민주당을 창당했다.[11][12]

1926년 9월, 노동농민당과 효기회는 최저 임금법, 8시간 노동법, 건강 보험법, 근로 여성 보호법, 실업 수당법 등 5가지 법안 도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13]

1926년 (다이쇼 15년) 3월 5일에 창립되었으나, 전년 12월에 결성된 농민노동당이 공산주의와 연결되어 있다는 혐의로 즉시 금지[47]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좌파를 배제한 형태로 결성되었다. 중앙집행위원장에는 일본농민조합 위원장이었던 스기야마 모토지로가 취임했다.[48] 그러나 결성 후 지방 지부가 조직되어 가는 과정에서 좌파가 유입되어 친공산주의 입장을 취하는 좌파 지방 당원과 반공주의 입장을 취하는 우파 간부가 대립했고, 1926년 (다이쇼 15년) 12월에는 우파가 탈당하여 사회민중당 (위원장은 아베 이소오)을 결성했다. 그 후 중간파는 일본노농당 (후의 위원장이 아소 히사시)을 결성했다. 노동농민당 (위원장은 오야마 이쿠오)은 좌파가 주도권을 잡았다.

4. 2. 우파와 중간파의 탈당

1926년 10월, 오카베 칸스케, 히라노 리키조 등 일본 농민당 고참 지도자들을 포함한 당내 극우파가 먼저 당을 떠나 일본 농민당을 결성했다.[11][12] 같은 해 10월 24일, 소도메이 및 기타 노동조합들이 당에서 탈퇴했다.[11] 이후 당 지도부는 오야마 이쿠오, 미즈타니 초자부로, 호소사코 카네미츠가 맡았으며, 당원 자격에 대한 모든 제한이 철폐되었다.[11] 소도메이를 비롯한 온건파는 1926년 12월 사회민주당을 창당했다.[11][12]

4. 3. 코민테른의 개입과 당내 분파 갈등

노동농민당의 강령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목표로 하며, 합법적인 수단을 통한 토지 개혁과 생산 재분배를 추구했다. 기존 정당들이 특권 계급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비판하며, 이들의 전복과 의원 내각제의 개혁을 목표로 했다. 강령에는 보통 선거권(20세 이상), 노동 조합 결성 및 파업 조직 권리, 단체 교섭, 최저 임금, 8시간 노동, 여성의 권리, 무상 교육, 소작농에게 더 많은 법적 권리 부여, 누진세, 군 지도부 민주화 등의 요구가 포함되었다.[9]

창립 당시 당원 자격은 당의 구성 단체 회원으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공산주의자 등의 좌익 세력이 당내에서 영향력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이 규약은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단일 정당 형성을 방해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당 지도부 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오야마 이쿠오 등은 규약 폐지를 요구했고, 결국 당 지부 승인을 받은 개인에게 당원 자격을 개방하는 것으로 타협했다.[11]

이러한 타협에도 불구하고 당내 분열은 계속되었다. 1926년 10월, 일본 농민당이 먼저 분리되었고,[11][12] 같은 달 소도메이 및 기타 노동 조합이 탈퇴했다. 이후 오야마 이쿠오, 미즈타니 초자부로, 호소사코 카네미츠가 당 지도부를 맡았고, 당원 자격 제한이 철폐되었다.[11] 소도메이 등 온건파는 1926년 12월 사회민주당을 창당했다.[11][12]

1926년 9월, 노동농민당과 효기회는 최저 임금법, 8시간 노동법, 건강 보험법, 근로 여성 보호법, 실업 수당법 등 5가지 법안 도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13] 1926년 12월 12일 첫 대회에서 오야마 이쿠오가 당 의장, 호소사코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14]

혁명적 좌파 내부에서도 분열이 있었다. 1924년 일본 공산당 해산 후, 좌익 간부들은 노동농민당에 합류했다. 후쿠모토 그룹은 공산당 재건과 지하 조직에 집중한 반면, 사카이 토시히코, 야마카와 키쿠에, 야마카와 히토시 등은 합법적인 노동농민당 건설에 집중했다.[2][15] 1926년 말, 후코모토 그룹은 재건된 공산당과 노동농민당 모두를 지배했다.[16]

1927년 3월, 코민테른이 개입했다. 모스크바 회의에서 부하린 등은 후쿠모토와 야마카와를 모두 비난했다. 일본 공산당은 노동농민당과 같은 대중 조직과 함께, 그리고 그 안에서 활동하는 선구자 정당으로 조직하라는 지시를 받았다.[17] 1927년 12월, 야마카와 그룹은 월간지 《로노》를 발행하기 시작했다.[18]

1927년 봄 금융 위기 속에서 당은 조기 선거를 요구하며 선전 활동을 강화했다.[19]

당 관련 여성 단체인 '''간토 여성 연맹'''은 1927년 7월 3일에 설립되었으나, 1928년 3월 당의 지침에 따라 해산되었다. 이는 당내 분파 싸움의 영향이었다.[20][2]

중국 문제와 관련하여 당은 일본 정부 정책에 반대하며 "중국에 간섭하지 말라" 캠페인을 벌였다. 당은 좌파 우한 정부를 지지했다.[21] 또한 대만 총독의 농업 정책에 맞선 대만 농민 조합의 투쟁을 지지했다.[22][23]

5. 주요 활동

노동농민당은 1926년 창당 이후,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정치, 사회, 경제적 해방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주요 강령으로는 보통 선거권, 노동 조합 결성 및 파업 조직 권리, 단체 교섭, 최저 임금, 8시간 노동, 여성의 권리, 무상 교육, 소작농 권리 확대, 누진세, 군 지도부 민주화 등을 내세웠다.[9]

당내에는 다양한 정치적 견해를 가진 세력들이 존재했으며, 이는 분열로 이어지기도 했다. 창당 초기에는 공산주의자 및 좌익 세력의 영향력을 막기 위해 당원 자격을 제한했지만, 이후 완화되었다.[11] 그러나 당내 우파는 일본 농민당을 결성하며 탈당했고,[11][12] 온건파는 사회민주당을 창당했다.[11][12] 1926년 12월 12일, 첫 번째 대회를 개최하여 오야마 이쿠오를 당 의장으로, 호소사코를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14]

코민테른은 1927년 3월 회의에서 일본 공산당에게 노동농민당과 같은 대중 조직과 함께, 그리고 그 안에서 활동하는 선구자 정당으로 조직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7]

5. 1. 대중 운동

노동농민당은 창당 이후 대중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1926년 9월, 노동농민당과 효기회는 최저 임금법, 8시간 노동법, 건강 보험법, 근로 여성 보호법, 실업 수당법 등 5가지 법안 도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13]

1927년 봄, 일본에 금융 위기가 닥치자 당은 조기 선거를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이며 선전 활동을 강화했다.[19]

중국 문제와 관련하여 당은 일본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며 "중국에 간섭하지 말라" 캠페인을 벌였다. 당은 좌파 우한 정부를 지지했다.[21] 또한, 대만 농민 조합의 창설을 지원하고, 일본 대만 총독부의 농업 정책에 맞선 투쟁을 지지했다.[22][23]

당과 관련된 여성 단체인 '''간토 여성 연맹'''은 1927년 7월 3일에 설립되었다. 그러나 1928년 3월, 당이 여성 단체의 존재에 반대하는 지침을 발표한 후 해산되었다.[20] 이는 당내 분파 싸움의 결과였다.[2]

1928년 제1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노동농민당은 전국에서 무산 정당 최다 득표인 28만 표를 획득하고, 미즈타니 조자부로와 야마모토 센지 2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그러나 야마모토 센지는 제국 의회에서 특별 고등 경찰의 고문 행위를 폭로한 후 우익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5. 2. 선거 활동

1927년 현 선거에서 당은 108명의 후보를 내세웠고, 그 중 13명이 당선되었다(농촌 지역 9명, 도시 지역 4명).[24] 당의 득표는 일본농민조합의 활동이 활발했던 가가와, 니가타, 아키타, 효고 등에서 주로 나왔다.[12] 당 후보들의 총 득표수는 119,169표였다.[24]

1928년 국회 선거를 앞두고 노동농민당은 모든 종류의 피차별 인종 차별 폐지 및 군대 규모 축소를 요구하는 급진적인 요구 사항 목록을 발표했다.[25] "노동농민정부 수립" 및 "프롤레타리아 독재 만세"와 같은 구호가 선거 운동에서 제기되었다.[26]

그러나 노동농민당의 선거 운동에 대한 정부의 간섭이 상당했다.[27] 선거 집회가 경찰에 의해 방해받았고 선거 운동원들은 종종 임의로 체포되었다. 밤마다 경찰은 오야마 이쿠오의 연설을 방해했다. 가가와현 선거구(현직 재무장관을 상대로 그가 후보로 나선 곳)에 있는 그의 선거 본부가 경찰의 급습을 받았다.[25]

당 후보 중에는 11명의 공산주의자가 있었다.[28] 훗날 공산당 서기장이 된 도쿠다 규이치가 당 후보로 출마했다.[29] 또 다른 공산주의자인 노동조합 조직가 야마모토 겐조는 홋카이도의 노동농민당 후보였다.[30]

총선에서 당은 40명의 후보를 지원했고, 이들은 총 181,141표(전국 득표율의 1.9%)를 얻었다.[32][33] 그러나 반노는 40명의 노동농민당 후보의 총 득표수가 193,047표라고 말한다. 반노의 설명에 따르면 당 득표의 77%가 농촌 지역에서 나왔다(당은 32명의 농촌 후보와 8명의 도시 후보를 내세웠다).[31] 당 후보 중 야마모토 센지와 미즈타니 조자부로 2명이 당선되었다.[32][33][34]

선거 후 국회에 진출한 세 개의 프롤레타리아 정당(노동농민당, 일본노동농민당, 사회민주당)은 정치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공동 의원 회를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25] 분열 이후 노동농민당은 오야마 이쿠오 위원장, 호소사코 카네미츠 서기장이 지도하여 대중국 비간섭, 노동법 제정 등의 운동을 추진했다. 최초의 보통 선거가 된 1928년 (쇼와 3년)의 제1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권력의 간섭이 심했으며, 가가와현에서 입후보한 오야마 이쿠오 진영에 대한 탄압은 극심했다. 이때 현지 운동원으로는 당시 농민조합 지도를 맡고 있던 후일 소설가 시마키 켄사쿠가 있었다. 그러나 전국에서 무산 정당 최다 28만 표를 획득하고, 교토부에서 미즈타니 조자부로와 야마모토 센지 2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그러나 야마모토는 치안유지법 개정안을 둘러싼 제국 의회에서의 질의에서 특별 고등 경찰 (특고)의 고문 행위를 폭로한 일도 있어 우익으로부터 반발을 받아, 의회 개최 중에 우익 사상을 가진 청년에 의해 암살당했다.

6. 강제 해산과 그 이후

노동농민당 해산 이후, 좌익 세력은 당을 재건하기 위해 여러 차례 시도했다. 해산 직후 공산당은 당원들에게 당 재건을 지시했으며, 일본 노동농민당과의 통합을 목표로 했다. 오야마 이쿠오를 위원장, 호소사코를 서기장으로 하는 '노동농민당 재건 및 신당 준비 위원회'가 결성되었으나, 정부에 의해 곧바로 금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불법적으로 활동을 이어갔다.[7][39][40][41][42]

1928년 7월, '로노' 파는 위원회에서 분리되어 프롤레타리아 대중당을 창설했고, 같은 해 12월 일본 노동농민당과 합당하여 일본 대중당을 결성했다. 같은 달, 오야마 이쿠오 그룹은 노동농민당 재결성 회의를 열었지만, 당은 다시 금지되었다.[43] 1929년 1월, 미즈타니 쵸자부로는 자신의 옛 동료들을 '너무 공산주의적'이라고 비난하며 노동농민당 국회 파벌의 연속성을 종식시켰다.[25]

1929년 11월, 오야마 이쿠오와 그의 추종자들은 신(新) 노동농민당을 창설했다.[3][7][41] 이 정당 결성을 계기로 오야마 이쿠오와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고, 공산주의자들은 그를 '반역자'라고 비난했다.[3]

이후 노동농민당의 흐름은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일부는 중도파·우파와 함께 사회대중당에 참여했고, 다른 일부는 노동농민 무산 단체 협의회를 거쳐 좌파 일본 무산당에 합류했으며, 일부는 일본 공산당에 가담했다. 전후에는 이들 대부분이 일본 사회당을 결성하여 사회당 좌파 그룹을 형성했다.

6. 1. 3·15 사건과 강제 해산

3·15 사건으로 일본에서 좌익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어 약 1,600명이 체포되었다.[35][34] 1928년 4월 11일, 공산주의자들과의 연계 혐의로 노동농민당은 내무성에 의해 금지되었고,[2][34][36] 같은 날 ''효기회''도 금지되었다.[13][34]

노동농민당이 금지된 후, 정부는 소속 중의원 의원들을 추방하려 했으나 법적 근거가 부족하여 실패했고, 노동농민당 소속 의원 두 명은 의정 활동을 계속했다.[37] 1928년 2월 보통 선거에서 교토의 노동농민당 후보로 당선된 야마모토 센지는 1929년 2월 8일 제국 의회에서 경찰의 고문과 불법 구금에 대해 질의하였다. 이후 그는 2월 29일 도쿄 간다 지역의 한 여관에서 우익 암살범에 의해 살해되었다.[34][38]

3·15 사건 당시, 다수의 일본 공산당 활동가들이 노동농민당 후보로 입후보했기 때문에[49], 노동농민당은 결사 금지 처분을 받았다.

6. 2. 야마모토 센지 암살 사건

3·15 사건으로 일본에서 좌익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면서, 노동농민당은 1928년 4월 11일 공산주의자들과의 연계 혐의로 내무성에 의해 금지되었다.[2][34][36]

1928년 2월 보통 선거에서 교토의 노동농민당 후보로 당선된 야마모토 센지는 1929년 2월 8일 제국 의회에서 경찰의 고문과 불법 구금에 대해 질의했다. 그는 의회 연설을 준비했지만, 2월 29일 도쿄 간다 지구의 한 여관에서 우익 암살범에게 살해되었다. 그는 같은 날 의회에서 수감자 고문에 대해 증언할 예정이었다.[34][38]

야마모토는 치안유지법 개정안을 둘러싼 제국 의회 질의에서 특별 고등 경찰(특고)의 고문 행위를 폭로하여 우익의 반발을 샀고, 의회 개최 중 우익 사상을 가진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6. 3. 해산 이후의 분열과 재건 시도

3·15 사건으로 일본에서 좌익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어 약 1,600명이 체포되고 공산주의 활동 혐의를 받았다.[35][34] 1928년 4월 11일, 노동농민당은 공산주의자들과의 연계 혐의로 내무성에 의해 금지되었고,[2][34][36] ''효기회''도 같은 날 금지되었다.[13][34]

정부는 노동농민당이 금지된 후, 소속 대표들을 중의원에서 추방하려 했으나 법적 근거가 부족했고, 노동농민당 소속 의원 두 명은 의정 활동을 계속했다.[37] 1928년 2월 보통 선거에서 노동농민당 후보로 교토에서 당선된 야마모토 센지는 1929년 2월 8일 제국 의회에서 경찰의 고문과 불법 구금에 대해 질의했다. 그는 2월에 의회 연설을 준비했지만, 2월 29일 도쿄 간다 지구의 한 여관에서 우익 암살범에 의해 살해되었다.[34][38]

좌익 세력은 노동농민당의 유산을 대표하는 정당을 재건하려는 시도를 여러 번 했다. 노동농민당 해산 직후, 공산당은 당원들에게 당 재건을 지시했고, 일본 노동농민당과의 통합 목표는 유지되었다. 오야마 이쿠오가 위원장을, 호소사코가 서기장을 맡은 '노동농민당 재건 및 신당 준비 위원회'가 결성되었으나, 정부에 의해 빠르게 금지되었지만 불법적으로 활동을 계속했다. 1928년 7월, ''로노'' 파는 위원회에서 분리되어 프롤레타리아 대중당을 창설했다. 1928년 12월, 프롤레타리아 대중당은 일본 노동농민당과 합병하여 일본 대중당을 결성했다.[7][39][40][41][42] 같은 달, 오야마 이쿠오 그룹은 노동농민당 재결성 회의를 열었지만, 당은 다시 빠르게 금지되었다.[43] 1929년 1월, 미즈타니 쵸자부로는 자신의 옛 동료 노동농민당원들을 '너무 공산주의적'이라고 비난하며, 노동농민당 국회 파벌의 연속성을 종식시켰다.[25] 1929년 11월, 오야마 이쿠오와 그의 추종자들은 신(新) 노동농민당을 창설했다.[3][7][41] 이 정당을 결성한 후 오야마 이쿠오와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최종적인 결별이 발생했고, 공산주의자들은 그를 '반역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3]

3·15 사건으로 일본 공산당 당원들이 대량으로 검거되고, 공산당 활동가들이 다수 노동농민당에서 입후보했기 때문에[49], 노동농민당은 결사 금지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결사 금지 직후 오야마 이와오, 호소사코 겐지는 "백도 해산·백도 결당"을 내걸고 신당 조직 준비회를 결성하여 노동농민당 재건을 목표로 했다(그 후 공산당 계열과의 대립을 거쳐 신노동농민당 결당에 이르게 된다).

그 후, 노동농민당의 흐름은 중도파·우파에 합류하여 사회대중당에 참가하는 자, 노동농민 무산 단체 협의회를 거쳐 좌파의 일본 무산당에 참가하는 자, 일본 공산당에 참가하는 자로 사분오열되었지만, 전후에는 그 대부분이 일본 사회당을 결성하여, 사회당 좌파라고 불리는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다.

7. 전후 일본 사회당에 미친 영향

선거 직후 일본 공산당 당원들이 대량으로 검거된 3·15 사건이 발생했는데, 공산당 활동가들이 다수 노동농민당에서 입후보했기 때문에[49] 노동농민당은 결사 금지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결사 금지 직후 오야마 이와오, 호소사코 겐지는 "백도 해산·백도 결당"을 내걸고 신당 조직 준비회를 결성하여 노동농민당 재건을 목표로 했다(그 후 공산당 계열과의 대립을 거쳐 신노동농민당 결당에 이르게 된다).

그 후, 노동농민당의 흐름은 사회대중당에 참가하는 중도파·우파, 노동농민 무산 단체 협의회를 거쳐 일본 무산당에 참가하는 좌파, 일본 공산당에 참가하는 자로 사분오열되었지만, 전후에는 그 대부분이 일본 사회당을 결성하여 사회당 좌파라고 불리는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1-03-07
[2]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 서적 State and Intellectual in Imperial Japan: The Public Man in Cris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4]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 – 199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00
[5]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 – 199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00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6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1988
[8] 서적 Industrial Labour in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9]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10] 서적 Political Protest and Social Control in Pre-War Japan: The Origins of Buraku Liberation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9
[11]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12] 간행물 Japanese Tenant Movements https://www.jstor.or[...] 1946-02-13
[13]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4]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15]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6]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17]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18]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19]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20]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1]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 – 199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00
[22] 서적 Yanaihara Tadao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Redeeming Empire. Curzon studies in East Asia https://books.google[...] Curzon 2000
[23] 간행물 The Taiwan Peasant Movement, 1923–1932: Chinese Rural Radicalism Under Japanese Development Programs https://www.jstor.or[...] 1975-1976
[24]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5] 간행물 Labor Parties in Japan https://www.jstor.or[...] 1929-05
[26]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27]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8] 서적 Showa Japa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History 1926–1989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29]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Comintern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1986
[3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Comintern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1986
[31]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2]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33] 간행물 The Japanese General Election of 1928 https://www.jstor.or[...] 1928-05
[34]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 – 199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00
[35]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6] 서적 Minobe Tatsukichi, Interpreter of Constitutionalism i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5
[37]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38]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 – 1995 Oxford Univ. Press 2000
[39]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40] 서적 Creating Socialist Women in Japan: Gender, Labour and Activism, 1900–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1] 서적 Industrial Labour in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42]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1922–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43] 서적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1920–19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4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2018-12-05
[4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12-05
[46] harv 1926
[47] 서적 昭和史 岩波書店 1959
[48] harv 1926
[49] 서적 日本共産党の六十五年(上)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出版局
[50] kotobank 労働農民党
[51] harv 1926
[52] 서적 昭和史 岩波書店 1959
[53] harv 1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