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동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두는 대한민국의 정신의학 개척자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정신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치료 가능한 질병임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으며, 1960년 서울 시내에 개방형 정신과 병동을 처음 설치했다. 또한, 가족 치료와 상담 활동을 통해 건강한 가족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학술 활동에도 기여했다. 1995년 가족 정신 치료에 공헌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2002년 뇌졸중과 뇌종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2. 생애

노동두는 전라북도 옥구군 임피면에서 미군정청 서울시청 인사행정처장을 역임한 노긍식의 아들로 태어났다.[3] 1940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수학했으며, 6.25 전쟁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위스콘신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정신의학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국내 대학 및 종합병원에 정신과 진료 과목을 개설하는 데 기여했다.[1]

귀국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1963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를 거쳐 1960년대에는 가톨릭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부교수 및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정신병자 진료를 꺼리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각 대학에 정신과, 신경정신과, 정신의학과 설치를 설득했다. 조선 멸망과 일제 강점기, 광복 이후에도 정신병은 귀신들린 병으로 여겨져 무속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각 대학에 정신과 관련 학과가 신설되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 교육, 임상실험이 시작되었다.

1967년 가톨릭 성모병원 소아정신과 과장, 1968년 고려종합병원 신경정신과 과장을 역임했다. 1970년대 초 인제 백병원 신경정신과 과장을 지냈고,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순천향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 교수로 있었다. 1976년 노동두 신경정신과 의원을 개업하여[1] 당시로서는 드물었던 낮병원 정신과 진료를 시작했으며,[1] 뇌파 측정 장치를 도입하는 등 연구에도 힘썼다.[2]

196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부회장, 1967년1982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1983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을 지냈다. 1981년 대한의학협회 신경정신의학분과 회장 및 신경정신의학회 회장에 선출되었고, 1982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로 선임되었다. 1983년 소아청소년정신의학연구회를 설립하여 어린이와 청소년 정신질환 연구에 힘썼다.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깨기 위해 1960년 서울 시내에 개방형 정신과 병동을 처음 설치하여 정신병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68년 정신박약아 보호협회 창립에 참여하여[4] 지적 장애인 보호 운동에도 참여했다. 정신질환 예방 방법으로 건강한 가족, 운동, 여가 생활, 긍정적 생활 등을 제시했으며, 정신질환이 고혈압 등 다른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했다.[5][6]

1963년부터 가정불화와 정신질환에 대한 강연을 하며[12][13] 가족 문제 상담에 참여했다. 1989년 가족치료학회를 설립하고 회장을 역임하며, 정신과 질환이 가족 문제와 관련 있음을 강조했다.[17] 1995년 가족 정신 치료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18]

1957년 프로이트 탄생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인간의 성욕에 대한 성욕론을 발표하고,[8] 1961년 성교육과 정신건강 문제를 발표하는 등[9][10] 대중 강연과 저술 활동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다. 저서로는 《내가 촛불인가 꺼지게》(1995)가 있다.

1981년1982년 양영자 탁구 선수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19][20] 사회 공헌 활동도 했다. 1995년 건강가족실천본부 창립에 참여했다.

1996년 5월 16일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수상
1996년 5월 16일 대통령 표창



1985년 뇌종양의 일종인 수막종 수술을 받았고, 1991년 뇌졸중으로 반신불수가 되었으나 사회활동을 계속했다.[2] 1987년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 지지 활동으로 수사를 받기도 했다.[21] 2000년 김용옥의 TV 강의를 방청하다 퇴장당한 후 김용옥을 비판하기도 했다.[1] 2002년 11월 26일 뇌졸중과 수막종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전라북도 옥구군 임피면에서 아버지 노긍식(盧兢湜)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노긍식은 해방 후 미군정청이 들어서자 미군정 서울시청 인사행정처장을 역임했다.[3]

1940년 경기중학교에 입학, 졸업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수학하였으며 6.25 전쟁을 거쳐 미국으로 유학, 위스콘신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정신의학의 중요성에 대해 국민계몽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국내 대학 및 종합병원에 기피하던 정신과 진료과목을 개설하는데 참여했다.[1]

2. 2. 정신의학의 개척

귀국 후 그는 정신병자들의 진료를 꺼리는 것을 지적하고, 각 대학교의 의과대학을 찾아다니며 설득하여 각 의과대학에 정신과, 신경정신과, 정신의학과를 설치하였다. 조선 멸망과 일제 강점기, 광복 이후에도 정신병은 귀신들린 병으로 취급되어, 불교 법당이나 역술인, 점성술사, 무당 등 무속인 등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각 대학교 의과대학에 정신과, 신경정신과, 정신의학과 등이 신설되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 교육, 임상실험 등이 시작되었다.

2. 3. 의료 활동과 사회 참여

귀국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1963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1960년대에는 가톨릭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부교수와 교수 등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정신병자들의 진료를 꺼리는 것을 보고, 각 대학교의 의과대학을 찾아다니며 설득하여 각 의과대학에 정신과, 신경정신과, 정신의학과를 설치하였다. 조선 멸망과 일제 강점기, 광복 이후에도 정신병은 귀신들린 병으로 취급되어, 불교 법당이나 역술인, 점성술사, 무당 등 무속인 등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각 대학교 의과대학에 정신과, 신경정신과, 정신의학과 등이 신설되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 교육, 임상실험 등이 시작되었다.

1967년 가톨릭 성모병원 소아정신과 과장으로 부임하였다. 1968년 11월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1가 1번지에 개설된 고려종합병원의 신경정신과 과장이 되었다. 1970년대 초에는 인제 백병원의 신경정신과 과장이었고, 1975년 순천향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 교수로 출강하여 1980년까지 순천향대 병원에서 진료, 강의를 하였다. 1976년 7월 15일 신경정신과 의사 권길우, 사회 사업학자 정의방 등을 초빙, 용산구 한남동 657-59번지에 노동두 신경정신과 의원을 개업하였다.[1] 후에 병원명을 서울백제병원으로 고쳤다. 그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낮병원 정신과 진료를 시작했다.[1] 개업 초기 그는 뇌파 측정장치를 병원에 도입하였다. 아들 노만희에 의하면 "개업 초기 부친은 돈벌이가 안된다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이유에서 값비싼 뇌파 측정장치를 도입하는 등 연구에 애정을 보였다"고 한다.[2]

196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제20대 부회장, 1967년 22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장, 1982년 37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장 등을 지내고 1983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8대 이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1981년 10월 2일 대한의학협회 산하 분과학회의 81년도 정기총회에서 대한의학협회 신경정신의학분과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신경정신의학회 회장에도 선출되었다. 1982년 3월 2일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로 피선되었다.

1983년 4월 26일 김동순 등과 함께 서울대병원에서, 어린이 정신질환과 청소년 정신질환을 연구하는 소아청소년정신의학연구회를 설립하였다. 그는 대한의사학회와 가족치료학회 등에서도 활동하였고, 1995 10월 14일 건강가족 실천본부 창립에도 참여하였다.

한강로터리클럽의 회원으로도 활동하였으며, 한강로터리클럽의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81년 7월 10일에는 탁구선수로 여자탁구 국가대표로 선발된 이리여자고등학교 양영자 선수에게 장학금 10만을 수여하기도 했다.[19] 그는 인산장학회(仁山奬學會)를 설립, 1982년 2월 18일 탁구선수 양영자 등에게 장학금 60만을 전달, 이들 학생이 졸업할 때까지 학비를 지불하였다.[20] 그는 체육 선수와 고학생들의 장학금 지급 및 학비를 대신 지급하기도 했다.

2. 4. 학술 및 사회 운동

196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부회장, 1967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장, 1982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1983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을 지냈다.

1981년 10월 2일 대한의학협회 산하 분과학회 정기총회에서 대한의학협회 신경정신의학분과 회장 및 신경정신의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82년 3월 2일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로 선임되었다.

1983년 4월 26일 김동순 등과 함께 서울대병원에서 소아청소년정신의학연구회를 설립하여 어린이 정신질환과 청소년 정신질환을 연구하였다.

2. 5. 정신질환 편견 타파 노력

그는 신경정신과 의사로 있으면서 한국 사회에 각종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 대우와 편견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정신병 환자들은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었고, 노동두는 정신병이 위험하지 않으며,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1960년 서울 시내에 개방형 정신과 병동을 처음 설치하였다. 개방형 정신과 병동에는 일반인의 출입이 가능하였다. 1968년 4월 27일에는 정신박약아 및 저능아 청소년 보호를 위한 정박아 보호협회의 창립에 참여[4], 정박아 보호협회 창립 발기인이자 정박아보호협회 이사회 이사 겸 정박아보호협회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지적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에도 반대하여 지적 장애인 보호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정신병도 감기, 몸살처럼 쉽게 진료가 가능한 병이며, 정신질환 예방 방법으로 건강한 가족과 운동, 여가 생활, 긍정적 생활 등을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미국, 독일, 영국의 진료 사례를 한글로 번역하여 소개하며, 정신병과 간질이 귀신에 의한 것이라는 속설은 터무니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혈압 등의 질병에 정신질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해석하고 예방책을 제시하였다.[5] 정신질환이 고혈압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해석하였고, 고혈압과 정신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는 고혈압 환자 1백 명을 연구하여 정신과 질환을 앓았다는 통계를 확보, 1971년 12월에는 억압, 적개심이 혈압을 높인다고 주장하였다.[6] 또 그는 정신질환으로 인한 신체 이상에 대한 상담 활동을 하기도 했다.[7]

2. 6. 가족 치료와 상담 활동

1963년 4월 19일 대한정신건강협회가 주관한 제18회 정신건강 월례 강연에서 노동두는 '가정불화와 정신신체질환'이라는 주제로 강연했고[12], 4월 22일에도 '가정불화는 질병을 불러온다'는 주제로 강연하였다.[13] 그는 사람들이 정신병에 걸리는 원인이 원만하지 못한 가족관계 때문이라고 보고, 진료활동 외에 가족 문제, 갈등 상담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권위주의적인 부모, 자녀를 인격체로 존중하지 않는 부모들의 문제점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지적했다. 그는 어린이 보호 운동, 아동 학대 반대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자녀가 내 자녀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다른 인간, 인격체임을 강조했다. 1964년 11월에는 하상락 등과 제12차 정신과학회 국제사회사업대회를 참관하고 돌아와 그해 11월 19일 대한정신건강협회 제32차 정기월례회에서 '당신의 위대한 창작은 당신의 어린이다'라는 주제로 강의하였다.[14] 가톨릭의대 정신과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65년 11월 22일에는 어린이의 공포증상을 분석한 '어린이들의 恐怖症狀에 관하여'를 강의[15], 어린이들이 공포감, 악몽 등을 갖는 것을 설명하였고, 1971년에는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도 발표하였다.[16] 그는 경향신문 등의 신문, 일간지에도 칼럼을 기고하며 어린이 문제, 가족 문제 등에 대한 글을 발표하였다.

1980년대 이후 이혼율과 가정폭력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이혼율 증가와 가정 폭력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지 않는 구시대적 가족 관계, 가족 문화를 고수하는 것이 문제점이라 보고, 가족 간 대화의 필요성을 제창했다. 동시에 그는 정신건강교육센터 등을 설립해 고부 갈등, 장인장모-사위 간 갈등을 치료, 상담하는 활동을 하였고, 부모-자녀간의 갈등을 상담 등을 하며 가족간 역할 갈등을 조정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는 성격장애, 노이로제, 정신과 질환이 그 사람 개인의 문제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대했다. 그는 성격장애, 노이로제, 정신과 질환은 그 사람의 문제가 아니며 환자만의 문제로 돌리는 것은 일시적인 해결일 뿐이라 지적했다. 1989년 1월 6일 가족치료학회를 설립했고, 1월 13일 가족치료학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그는 정신과 질환은 가족간의 대화로 고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모든 정신과영역에서 장애의 1차적인 원인이 가족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과 연계해서 치료하는 것이 치료율을 훨씬 높일 수있다[17]"고 지적하였다. 그는 정신과 병원이 드문 환경에서 자신의 정신과 병원을 인턴의, 의대생들의 실습 장소로 제공하기도 했다. 이로서 외국으로 나가서 임상활동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게 되었다.

1995년 5월 15일 가족 정신 치료에 공헌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여받았다.[18]

2. 7. 대중 강연과 저술 활동

그는 교육, 진료활동 외에도 대한의사협회 활동과 대한신경정신과학회의 창립에도 참여하였고, 그때까지도 터부시, 금기시 되던 인간의 성욕에 대해서도 발표하여 공론화시켰다. 1957년 6월 7일 그는 서울대학교 의대 강당에서 열린 프로이트 탄생 100주년 기념 공개 의학 심포지움에서 인간의 성욕에 관련된 주제로 프로이트의 리비도, 성욕론을 발표하였다.[8] 1961년 10월 21일 서울시내 부녀사업관에서 개최된 대한신경정신과학회 공개강좌에서는 성교육과 정신건강의 문제 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9][10] 그는 그때까지 귀신들린 병으로 이해되던 정신과 질환을 대중화하고 정신병에 대한 공개담론 형성, 각 대학 내 정신과학과 설치 운동 등을 하였다.

그는 간질 발작이 귀신들린 병이라는 것이 미신임을 역설했다. 1970년 2월 3일에는 매일경제 의학 코너에 간질 발작의 예방과 치료 방법을 설명한 글을 발표하였다.[11]

  • 내가 촛불인가 꺼지게(춘원문화사, 1995)

2. 8. 사회 공헌과 수상

노동두는 대한의사학회와 가족치료학회 등에서도 활동하였고, 1995년 10월 14일 건강가족 실천본부 창립에도 참여하였다.

한강로터리클럽의 회원, 회장을 역임하였다. 1981년 7월 10일에는 여자탁구 국가대표로 선발된 이리여자고등학교 양영자 선수에게 10만을 수여하기도 했다.[19] 그는 인산장학회(仁山奬學會)를 설립, 1982년 2월 18일 양영자 등에게 60만을 전달, 이들 학생이 졸업할 때까지 학비를 지불하였다.[20] 그는 체육 선수와 고학생들의 장학금 지급 및 학비를 대신 지급하기도 했다.

수상
1996년 5월 16일 대통령 표창


2. 9. 노년과 사망

노동두는 1985년 뇌종양의 일종인 수막종에 걸렸으나 수술로 완쾌했고[2], 1991년 뇌졸중으로 반신불수가 되었으나 사회활동을 계속하였다.[2] 1987년 서울대학교 내 동문 모임인 87거산동우회에서 활동하며 김영삼 대선 후보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하는 편지를 대량 발송하여 수사를 받기도 했다.[21]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동문 모임을 통해 김영삼을 지지해줄 것을 호소하는 편지 11만 통을 직접 작성, 인쇄, 발송하고, 서울대학생을 동원하여 일당을 주고 선거운동원으로 활용한 사실이 드러나 구속되기도 하였다.

불교와 도학 사상에도 심취했던 그는 2000년 10월 도올 김용옥의 TV 강의를 방청하다 기침이 잦다는 이유로 퇴장당하자, 서양 정신의학이든 동양 철학이든 '인격적 성숙'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며 김용옥을 미숙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

1995년 10월 15일에는 한완상 통일부총리, 이연숙, 김옥균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 등과 함께 건강가족실천본부를 개설하였다.[22]

2002년 11월 26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자택에서 뇌졸중과, 뇌종양 수막종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3. 평가

그의 56년 친구였던 정일영 전 외무부 차관은 "그는 교제와 사색, 그리고 풍류에 능한 로맨티스트였다"라고 평했다.[2]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노긍식1905년 출생, 공무원
어머니?1985년 2월 25일 사망
부인박순기
아들노만희서울백제병원장
며느리양창순신경정신과 의사, 서울백제병원 부원장
아들노세희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지국 차장
사위윤인선
사위이상돈자영업
사위송명중자영업


참조

[1] 뉴스 노동두 전 서울백제병원장 타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2-11-28
[2] 뉴스 故 노동두 전 서울백제병원장:정신과 환자 감금 진료의 벽을 깬 선구자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2-11-28
[3] 뉴스 합격자 발표 http://newslibrary.n[...] 1940-03-20
[4] 뉴스 이사장에 崔玉子씨 選出 동아일보 1968-04-27
[5] 뉴스 高血壓 갑작스런 추위에 조심해야할 http://newslibrary.n[...] 1970-11-24
[6] 뉴스 長壽(장수)하는 現代人(현대인) (2) 壯年期(장년기) 高血壓(고혈압) http://newslibrary.n[...] 1971-12-02
[7] 뉴스 온몸 떨리고 가슴답답해 神經系統(신경계통)·精神面(정신면) 異狀(이상)있는듯 http://newslibrary.n[...] 1975-02-10
[8] 뉴스 「후로이드」심포지움 6月7日 서울醫大講堂서 경향신문 1957-06-05
[9] 뉴스 文化 消息 동아일보 1961-10-21
[10] 뉴스 精神健康 月例講座 21日 婦女事業舘서 경향신문 1961-10-20
[11] 뉴스 간질병예방과치료 http://newslibrary.n[...] 1970-02-03
[12] 뉴스 알림 http://newslibrary.n[...] 1963-04-19
[13] 뉴스 家庭不和(가정불화)는 疾病(질병)을 끌어온다 http://newslibrary.n[...] 1963-04-22
[14] 뉴스 文化行事 동아일보 1964-11-19
[15] 뉴스 韓國의 女性과 어린이 http://newslibrary.n[...] 1965-11-22
[16] 뉴스 3회 정신건강의 날 精神病(정신병)은 낫는다 http://newslibrary.n[...] 1971-04-05
[17] 뉴스 정신질환「家族間 대화」로 고친다 http://newslibrary.n[...] 1990-11-08
[18] 뉴스 15일은 세계가정의 날 http://news.naver.co[...]
[19] 뉴스 卓球 선수 梁英子에 장학금 경향신문 1981-07-10
[20] 뉴스 仁山장학회 盧東斗씨 梁英子 탁구선수에 장학금 경향신문 1982-02-19
[21] 뉴스 검찰, 「87巨山동우회」 수사 http://news.naver.co[...]
[22] 뉴스 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현판식 http://news.joins.co[...]
[23] 뉴스 金대통령 은사.대학동기와 오찬 http://news.naver.co[...]
[24] 웹사이트 심수봉 “정신병원 감금됐을 때 이러다 죽겠구나 싶었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6-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