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Nordisk MobilTelefoni' 또는 'Nordiska MobilTelefoni-gruppen'의 약자로,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처음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1980년대 북유럽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다. GSM과 같은 디지털 이동 통신 기술의 등장으로 점차 쇠퇴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서비스가 종료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GSM의 커버리지 부족으로 인해 2010년대까지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도입 - 빠삐코
롯데제과에서 1974년 출시한 튜브형 아이스크림 빠삐코는 초기 화이트 사워 맛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초콜릿과 커피 맛을 결합한 제품과 스무디 형태 개선, 다양한 광고 모델을 통해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 1981년 도입 - 주사 터널링 현미경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은 양자역학적 터널링 현상을 이용하여 물질 표면의 원자 수준 이미지를 얻는 현미경으로, 탐침과 시료 사이의 터널링 전류를 측정하여 표면의 전자 상태 밀도를 관찰하며 표면 과학, 나노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원자 조작, 나노 리소그래피 등 응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GSM
GSM은 유럽에서 개발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고 SIM 카드를 통해 가입자를 식별하며, GPRS, EDGE 등의 기술 발전을 거쳤으나, 후속 기술 등장과 네트워크 노후화로 일부 국가에서 서비스가 종료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보안 취약성 문제를 안고 있다.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 |
---|---|
개요 | |
종류 | 이동 전화 시스템 |
개발 | 1981년 |
국가 | 스칸디나비아, 스위스, 동유럽, 네덜란드, 러시아 외 다수 |
이전 버전 | ARP |
다음 버전 | GSM |
기술 | 아날로그 통신 |
기술 사양 | |
대역폭 | 450MHz와 900MHz 대역 |
채널 간격 | 25 kHz |
변조 방식 | FM (주파수 변조) |
변조 방식 상세 | 가우스 주파수 편이 방식 (GFSK) |
전이중 통신 | 지원 |
셀 크기 | 최대 약 30km |
역사 | |
최초 개발 | 1969년 |
상업 서비스 시작 | 1981년 |
서비스 종료 | GSM 기술로 전환되며 점진적 종료 |
시장 점유율 | 1990년대 중반 GSM에 의해 대체되기 전까지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시스템 중 하나 |
특징 및 장단점 | |
장점 | 단순한 구조 초기 이동 통신 시장에서 폭넓은 보급 |
단점 | 아날로그 신호 사용으로 인한 보안 취약점 주파수 자원 효율성 낮음 GSM 등 디지털 기술에 비해 품질 떨어짐 |
추가 정보 | |
음성 암호화 | 사용하지 않음 |
로밍 | 일부 국가에서 상호 로밍 지원 |
네트워크 | NMT-450 NMT-900 |
참조 | Nokia 1100 phone offers reliable and affordable mobile communications for new growth markets |
2. 역사
NMT는 ''Nordisk MobilTelefoni'' 또는 ''Nordiska MobilTelefoni-gruppen''의 약자이다.
NMT 네트워크는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1982년 덴마크와 핀란드에서 개통되었다. 이는 수동식 휴대전화 네트워크의 증가하는 혼잡과 높은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이었다. 핀란드의 ARP(150 MHz), 스웨덴과 덴마크의 MTD(450 MHz), 그리고 노르웨이의 OLT이다. 아이슬란드는 1986년에 합류했다. 그러나 에릭슨은 스웨덴에서 같은 서비스를 시작하기 한 달 전인 1981년 9월 1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 1,20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최초의 상업 서비스를 도입했다. 1985년까지 스칸디나비아와 핀란드에서는 11만 명의 가입자, 노르웨이에서는 6만 3,300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며 당시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되었다.[2]
NMT 네트워크는 주로 북유럽 국가, 발트 3국, 스위스, 프랑스, 네덜란드, 헝가리, 폴란드,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터키,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아시아에서 사용되었다. GSM과 같은 디지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도입으로 NMT의 인기가 줄어들었고 북유럽 국가들은 NMT 네트워크를 중단했다. 에스토니아에서는 2000년 12월에 NMT 네트워크가 종료되었다. 핀란드에서는 텔리아소네라의 NMT 네트워크가 2002년 12월 31일에 중단되었다. 노르웨이의 마지막 NMT 네트워크는 2004년 12월 31일에 중단되었다. 스웨덴의 텔리아소네라 NMT 네트워크는 2007년 12월 31일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NMT 네트워크(450 MHz)는 GSM보다 범위라는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아이슬란드와 같이 크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국가에서 유용하다. 아이슬란드에서는 GSM 네트워크가 국가 인구의 98%에 도달하지만 국토 면적의 일부분에만 도달한다. 그러나 NMT 시스템은 국가의 대부분과 주변 해역 대부분에 도달하므로 어부와 광활한 빈 공간을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시민이 NMT 네트워크를 폐쇄한 2010년 9월 1일에 NMT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에서는 NMT-450 주파수가 스웨덴의 Nordisk Mobiltelefon에 경매되었는데, 이후 '''Ice.net'''으로 이름이 바뀌고 Net 1로 개명하여 CDMA 450을 사용하는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2015년에 이 네트워크는 4G로 마이그레이션되었다.
프랑스는 1988년 (Radiocom 2000과 병행하여) 약간의 변형을 가진 NMT 네트워크를 개발했지만, 그 결과 전 세계 다른 NMT 네트워크와 로밍할 수 없었다.[3]
러시아에서는 Uralwestcom이 2006년 9월 1일에, Sibirtelecom이 2008년 1월 10일에 NMT 네트워크를 종료했다. 텔레2 러시아의 자회사인 Skylink는 2016년 기준으로 아르한겔스크주와 페름 지방에서 NMT-450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4][5] 이 네트워크는 장거리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서비스 제공 라이선스는 2021년까지 유효했다.[6]
2. 1. 개발 배경
NMT는 핀란드의 ARP(150 MHz), 스웨덴의 MTD(450 MHz) 등 기존 수동식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증가로 인한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2] 1973년 NMT의 기본 사양이 결정되었고, 1977년 기지국 기술 사양이 무료로 공개되면서 여러 기업들이 기기 제조에 참여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2] 에릭슨과 노키아는 NMT 규격 보급을 통해 세계적인 이동통신 시장에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1981년 9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20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첫 상업 서비스가 시작되었고,[2] 한 달 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1982년에는 덴마크와 핀란드에서, 1986년에는 아이슬란드에서 NMT 네트워크가 개통되었다.[2] 1985년까지 스칸디나비아와 핀란드에서 11만 명, 노르웨이에서 6만 3,300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며 당시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되었다.[2] 1986년부터는 채널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900MHz 대역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NMT 네트워크는 북유럽 국가, 발트 3국, 스위스, 프랑스, 네덜란드, 헝가리, 폴란드,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터키,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아시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다.[2] GSM과 같은 디지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도입으로 NMT의 인기가 줄어들었지만,[2] 2005년 현재, 북유럽·동유럽·러시아·중동의 GSM 전파가 미치지 않는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국제 로밍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부와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2. 2. 상용화
NMT는 1973년에 기본 사양이, 1977년에 기지국의 기술 사양이 결정되어 무료로 공개되었으며, 많은 기업이 기기 제조에 참여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규격 보급으로 에릭슨과 노키아는 세계적인 시장을 얻었다.[2]1981년 9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200명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세계 최초로 NMT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었다.[8] 이는 스웨덴보다 1개월 앞선 것이었다.[36] 같은 해 10월에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9] 1982년에는 덴마크와 핀란드에서 NMT 서비스가 개시되었다.[10][11][12] 1986년에는 아이슬란드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0] 초기에는 450MHz 대역이 사용되었으나, 채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6년부터는 900MHz 대역도 사용되기 시작했다.[10]
NMT는 북유럽 국가들 외에도 스위스, 네덜란드, 헝가리, 폴란드,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튀르키예,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발트 3국, 러시아, 아시아 일부 국가 등에서 사용되었다.[2] 프랑스에서는 독자적인 NMT-F 규격을 개발하여 사용했으나, 다른 국가의 NMT 네트워크와 로밍이 불가능했다.[3]
GSM과 같은 디지털 휴대 전화가 상용화된 이후 NMT는 점차 축소되었다. 에스토니아에서는 2000년 12월에 NMT 네트워크가 종료되었고,[22] 핀란드에서는 2002년 12월 31일에,[12] 노르웨이에서는 2004년 12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9] 스웨덴의 NMT 서비스는 2007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다.[9]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NMT-450 주파수는 Nordisk Mobiltelefon (Ice.net을 거쳐 Net 1로 개명)에 관리권이 주어졌으며, 이후 CDMA 450MHz 디지털 휴대 전화 서비스로 재편되었다가 2015년에 4G로 마이그레이션되었다.
아이슬란드와 같이 인구 밀도가 낮은 국가에서는 NMT 네트워크가 GSM보다 넓은 통화 가능 지역을 제공하여 유용했다. 2010년 9월 1일, 시민에 의해 아이슬란드의 NMT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산악 여행자나 어부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2]
러시아에서는 텔레2 러시아의 자회사인 Skylink가 2016년 기준으로 아르한겔스크주와 페름 지방에서 NMT-450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4][5] 이 네트워크는 장거리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서비스 제공 라이선스는 2021년까지 유효했다.[6]
2. 3. 쇠퇴
GSM과 같은 디지털 이동통신 기술의 등장으로 NMT는 점차 쇠퇴하였다.[2] 대부분의 국가에서 NMT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GSM 커버리지가 부족한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했다. 예시로 텔레2 러시아의 자회사인 Skylink는 2016년 기준으로 아르한겔스크주와 페름 지방에서 NMT-450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4][5] 이 네트워크는 장거리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서비스 제공 라이선스는 2021년까지 유효했다.[6]핀란드에서는 2002년 12월 31일 소네라의 NMT 서비스가 종료되었고,[2] 노르웨이의 마지막 NMT 서비스는 2004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다.[2] 스웨덴 텔리아의 NMT 서비스는 2007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다.[2]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NMT-450 주파수는 스웨덴의 Nordisk Mobiltelefon (이후 '''Ice.net'''으로 변경, Net 1로 개명)에 관리권이 주어졌으며, 이후 CDMA 450 MHz 디지털 휴대 전화 서비스로 재편되었다.[2]
NMT 450 MHz 네트워크는 GSM보다 통화 가능 지역이 넓어 아이슬란드와 같은 인구 밀도가 낮은 나라에 특히 유리했다.[2] 아이슬란드의 GSM 서비스는 인구의 98%가 사용 가능하지만, 면적으로는 좁은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NMT 네트워크는 전국을 포괄할 수 있으며, 해상에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산악 여행자나 어부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2] 2010년 9월 1일 아이슬란드 시민에서 NMT 서비스가 종료되었다.[2]
대한민국에서는 NMT가 상용화되지 않았으며, 1984년 AMPS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3. 기술
NMT의 셀 크기는 2km에서 30km 사이이다. 범위가 작으면 더 많은 동시 통화자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시에서는 셀 크기를 줄여서 용량을 늘였다.[35] NMT는 전이중 통신을 사용하여 음성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NMT 카폰의 송신 전력은 450MHz에서 15W, 900MHz에서 6W이며, 휴대 전화의 송신 전력은 1W이다. NMT는 표준 초기부터 자동 다이얼링 및 교환, 핸드오버를 지원하였다. 이전의 ARP와 같은 카폰 서비스에서는 지원하지 않던 기능이었다.[35] NMT 표준에는 이 외에도 과금, 국내 및 국제 로밍이 정의되어 있었다.[35]
NMT의 구성 요소 중에는 DMS(Data and Messaging Service) 또는 NMT-Text로 알려진 데이터 전송 모드가 있다. 네트워크의 신호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도 DMS를 통하여 NMT 휴대 전화끼리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 이 기능은 러시아, 폴란드, 불가리아에서만 구현되었다. 외부 장치가 필요한 NMT Mobidigi를 통하여 380bps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었다.
NMT 음성 채널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며,[35] 신호 전송 속도는 약 600-1200bps 사이에 있다. 이동국과 기지국간 신호는 라디오와 같은 RF 채널을 사용하며, 1200bps FFSK 모뎀을 사용한다. 핸드오버 시에 NMT 특유의 잡음이 섞이기도 한다.
NMT 표준의 초기 규격에는 음성 신호가 암호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신기만 있으면 정확한 주파수에 맞춰 통화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35] 이 때문에 일부 수신기는 NMT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없도록 설정되었으나, 실효성은 낮았다. 제한이 걸려 있지 않은 수신기를 구하거나, 조작을 통하여 대역에 접근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후 NMT 표준 버전에는 2대역 오디오 주파수 반전을 기반으로 한 선택적인 아날로그 스크램블링이 추가되었다. 이동국과 기지국이 스크램블링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전화를 걸 때 사용할 수 있다. 같은 셀 안의 두 가입자가 스크램블링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이 지원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었다. GSM과 같은 디지털 전화의 암호화에는 못 미치지만, 일반적인 수신기를 통한 도청은 방지가 가능하였다.
NMT의 주파수 대역은 450, 900MHz이다. 통신 방식은 FDD-FDMA이며, 기지국 간 자동 핸드오버 기능이 있는 집중 제어 방식 멀티채널 접속 무선이다. 반송파 간격은 25kHz이다. 변조 방식은 음성의 경우 FM, 제어 신호의 경우 FSK이다. (핸드오버 시에는 음성과 동일 채널을 사용하므로 잡음으로 들림) 이동국 안테나 전력은 450MHz에서 15W, 900MHz에서 6W(휴대전화는 1W)이다.
초기 규격에서는 음성 암호화 방식이 정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수신기의 수신 주파수에서 전기통신역무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삭제하는 법규제가 시행되었다. 하지만 삭제되지 않은 수신기를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도청을 막는 효과적인 대책이 되지 못했다. 후에 음성 암호화 방식으로 가청 주파수 2분할 반전 방식이 표준으로 정해지면서, 대응하는 단말기 간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DMS(Data and Messaging Service), NMT-Text라고 불리는 제어 채널을 사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도 가능하며,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380b/s의 외장 모뎀을 연결한 데이터 통신도 가능하다.
3. 1. 개요
3. 2. 주파수 대역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450MHz 및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35] 주파수 대역은 450, 900MHz이다. 통신 방식은 FDD-FDMA이며 기지국 간 자동 핸드오버 기능이 있는 집중 제어 방식 멀티채널 접속 무선이다. NMT-450은 NMT-900에 비해 더 넓은 서비스 범위를 제공했지만, 통화 용량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초기에는 450MHz 대역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채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00MHz 대역이 추가되었다.NMT 음성 채널은 FM 방식을 사용하며,[35] 제어 신호는 FSK방식을 사용한다.(핸드오버 시에는 음성과 동일 채널을 사용하므로 잡음으로 들림) 반송파 간격은 25kHz이다. 이동국 안테나 전력은 450MHz에서 15W, 900MHz에서 6W이며, 휴대전화는 1W이다. 셀 반경은 2~30km이다. NMT의 셀 크기는 2km에서 30km까지 다양하며, 범위가 작을수록 더 많은 동시 통화자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에서는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범위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초기 규격에는 음성 암호화 방식이 없어, 수신 주파수에서 전기통신역무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삭제하는 법규제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삭제되지 않은 수신기를 쉽게 구할 수 있어 엿듣기를 막는 효과적인 대책이 되지 못했다. 이후 음성 암호화 방식으로 가청 주파수 2분할 반전 방식이 표준으로 정해져 대응 단말기 간에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DMS(Data and Messaging Service), NMT-Text라고 불리는 제어 채널을 사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도 가능하며,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380b/s의 외장 모뎀을 연결한 데이터 통신도 가능하다.
3. 3. 신호 변조 및 전송
NMT 음성 채널은 주파수 변조(FM)로 전송되며,[35][7] NMT 신호 전송 속도는 FFSK(고속 주파수 편이 변조)를 사용하여 초당 600~1200비트이다.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신호 전송은 오디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RF 채널을 사용하고 1200비트/초 FFSK 모뎀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이로 인해 핸드오버 중 등에 주기적으로 짧은 잡음이 발생했는데, 이는 NMT 사운드의 고유한 특징이었다.[7]3. 4. 데이터 전송
NMT는 DMS(Data and Messaging Service) 또는 NMT-Text라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했다.[35] 네트워크의 신호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GSM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도 NMT 휴대 전화끼리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기능은 러시아, 폴란드, 불가리아 등 일부 국가에서만 상용화되었다.[35] NMT Mobidigi라는 외부 장치를 통해 380bps 속도의 데이터 통신도 가능했다.3. 5. 보안
NMT 표준의 초기 사양에는 음성 신호 암호화 기능이 없었다. 이 때문에 수신기만 있으면 정확한 주파수를 맞춰 통화 내용을 도청할 수 있었고[35], 일부 수신기는 NMT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없도록 설정되기도 하였다.[35]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실효성이 낮아, 제한이 없는 수신기를 구하거나 조작을 통해 대역 접근이 가능했다. 이후 NMT 표준 버전에서는 2대역 오디오 주파수 반전을 이용한 선택적 아날로그 스크램블링 기능이 추가되었다.[35] 이동국과 기지국이 스크램블링을 지원하는 경우, 혹은 같은 셀 안의 두 가입자가 스크램블링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지원 없이도 스크램블링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GSM 등 디지털 전화의 암호화 방식보다는 보안 수준이 낮았지만, 일반적인 수신기를 통한 도청은 방지할 수 있었다.[35]4.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5. 같이 보기
참조
[1]
보도자료
Nokia 1100 phone offers reliable and affordable mobile communications for new growth markets
http://press.nokia.c[...]
Nokia Corporation
2003-08-27
[2]
웹사이트
Mobiltelefonens historie i Norge
http://telemuseum.no[...]
Norsk Telemuseum
2005-11-28
[3]
웹사이트
Exclusive Sharing & Virtualization of the Cellular Network
https://www.tara.tcd[...]
University of Dublin, Trinity College
[4]
웹사이트
Областной-Стационарный (ФЛ)_NMT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Областной-Стационарный (ЮЛ)_NMT / Skylink
http://skylink.ru/pe[...]
[6]
웹사이트
Роскомнадзор – Реестр лицензий в области связи
http://rkn.gov.ru/co[...]
[7]
서적
The telecommunications illustrated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8]
웹사이트
The launch of NMT
https://www.ericsson[...]
2016-09-05
[9]
뉴스
NMT-nätet går i graven efter 25 år
https://www.dn.se/ek[...]
2007-12-31
[10]
서적
Technology Base of Mobile Cellular Operators in Germany and China: A Comparativ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ource Based View
https://books.google[...]
Univerlagtuberlin
2007
[11]
뉴스
Gammalt mobilnät går i graven
2000-12-30
[12]
뉴스
NMT 900 slopas även i Finland
https://www.mobil.se[...]
1999-04-30
[13]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3G CAPABIL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 A STRAIGHTFORWARD PATH TO IMT-2000
https://www.itu.int/[...]
2000-07-20
[14]
서적
Redes y servicios de telecomunicaciones
https://books.google[...]
Editorial Paraninfo
2006-01-01
[15]
웹사이트
30 Jahre Mobilfunk in Österreich
https://www.heise.de[...]
2004-05-05
[16]
웹사이트
ATF
https://www.cryptomu[...]
[17]
PDF
https://media.crai.c[...]
2022-06
[18]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Malaysian cellular sector
https://www.thestar.[...]
[19]
PDF
https://www.usitc.go[...]
2022-06
[20]
뉴스
The first mobile network was launched in Hungary thirty years ago
2020-10-15
[21]
웹사이트
Magyar Telekom
https://www.telekom.[...]
[22]
웹사이트
SOME EASTERN EUROPEAN NATIONS STEP UP EFFORTS TO OFFER GSM
https://www.rcrwirel[...]
1999-11-30
[23]
뉴스
История сотовой связи в России: от трёхкилограммовой Nokia до LTE
http://rusnord.ru/is[...]
[24]
서적
Eastern Europe Business Bulletin
https://books.google[...]
Eastern Europe Business Information Center, U.S. Department of Commerc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1993
[25]
웹사이트
450MHz band has great potential, even for LTE - Telecoms.com
https://telecoms.com[...]
2012-10-03
[26]
웹사이트
[Jak to działało] Sieć NMT – telekomunikacja na początku lat 90
https://android.com.[...]
2018-04-02
[27]
웹사이트
Cellular companies of Uzbekistan
https://www.jetro.go[...]
[28]
웹사이트
Cis Cellular Commercial Operation
https://techmonitor.[...]
1992-10-21
[29]
웹사이트
COMLIET - Veikla - NMT-450
http://www.comliet.l[...]
[30]
웹사이트
UMC shuts down NMT
https://www.commsupd[...]
[31]
웹사이트
BULGARIAN TELECOMMUNICATIONS MOVES PAST 1929 WIRED SYSTEM
https://www.rcrwirel[...]
1999-11-30
[32]
학술지
Telecommunications Developmen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www.jstor.or[...]
1995
[33]
웹사이트
NMT praznuje 30 let
https://www.blog.upo[...]
2011-01-10
[34]
뉴스
Nokia 1100 phone offers reliable and affordable mobile communications for new growth markets
http://press.nokia.c[...]
Nokia Corporation
2003-08-27
[35]
서적
The telecommunications illustrated ... - Google Books
http://books.google.[...]
[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telemuseum.no[...]
2007-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