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데비치 수녀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보데비치 수녀원은 1524년 바실리 3세에 의해 스몰렌스크 정복을 기념하여 설립된 러시아 정교회 수녀원이다. 모스크바 강이 굽이치는 곳에 위치하며, 러시아 왕족과 귀족 여성들의 수도 생활 장소로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군 병원, 고아원 등이 설립되었으며, 나폴레옹의 침공 시에도 파괴를 면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박물관으로 사용되다가 1994년 수녀들의 수도 생활이 재개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 국립역사박물관과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수녀원의 주요 건축물로는 스몰렌스크 성모 성당과 모스크바 바로크 양식의 건축물들이 있으며, 수녀원 내에는 노보데비치 묘지가 조성되어 많은 유명인사들이 묻혀 있다.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녀원 - 수도원
수도원은 종교적 목적을 가진 수도자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는 시설로, 불교의 비하라, 기독교의 수도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종교적 수행과 더불어 교육, 의료 등 사회적 역할도 수행하는 공간이다.
노보데비치 수녀원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보데비치 수녀원 |
다른 이름 | 새 소녀 수녀원 |
로마자 표기 | Novodevichy Monastyr' |
종단 | 러시아 정교회 |
설립 | 1524년 |
설립자 | 바실리 3세 |
위치 | 모스크바, 러시아 |
세계 유산 | |
명칭 | 노보데비치 수녀원 앙상블 |
등재 연도 | 2004년 (제28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
유형 | 문화유산 |
등재 기준 | i, iv, vi |
지정 번호 | 1097 |
지역 | 유럽 및 북미 |
추가 정보 | |
공개 접근 | 가능 |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 |
이미지 | |
![]() | |
![]() |
2. 역사
노보데비치 수녀원의 역사는 모스크바 대공국,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역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실리 3세는 1514년 스몰렌스크 정복을 기념하여 1524년 노보데비치 수녀원[1]을 설립했다. 이 건물은 모스크바 강이 굽이치는 곳에 세워져 요새 역할도 했으며, 모스크바 크렘린 남서쪽 3베르스트 지점에 위치하여 모스크바 남쪽 방어선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노보데비치 수녀원에는 러시아 왕족과 보야르 가문의 많은 여성들이 수도 생활을 했다. 17세기 말, 노보데비치 수녀원은 러시아 27개 우예즈드에 36개의 마을(164,215 데샤티나의 토지)을 소유한 대지주였다.
1812년, 나폴레옹 1세의 군대가 수녀원을 파괴하려 했으나, 수녀들이 이를 막아냈다. 1871년, 필라티예프 형제는 고아들을 위한 보호 학교를 설립하고, 수녀와 평신도 수녀들을 위한 구빈원을 운영했다.
1922년 볼셰비키는 노보데비치 수녀원을 폐쇄하고 여성 해방 박물관으로 전환했다. 이후 수녀원은 역사 및 미술 박물관(1926년), 러시아 국립역사박물관의 분관(1934년)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조세프 스탈린이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정책을 완화하면서, 1943년 수녀원에 모스크바 신학교 과정 개설이 승인되었다. 1994년, 수녀들이 노보데비치 수녀원으로 돌아와 수도 생활을 다시 시작했다. 현재 수녀원은 크루티츠키 및 콜롬나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다.[5]
2. 1.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16세기 ~ 17세기)
바실리 3세는 1514년 스몰렌스크 정복을 기념하여 1524년 노보데비치 수녀원[1]을 설립했다. 이 건물은 모스크바 강이 굽이치는 곳에 세워져 요새 역할도 했으며, 모스크바 크렘린 남서쪽 3베르스트 지점에 위치하여 모스크바 남쪽 방어선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설립 당시 노보데비치 수녀원에는 3000RUB과 아하비네보 마을, 트로파레보 마을이 하사되었다. 바실리 3세의 아들인 차르 이반 4세는 이후 여러 마을을 수녀원에 추가로 기증했다.노보데비치 수녀원에는 러시아 왕족과 보야르 가문의 많은 여성들이 수도 생활을 했다. 표도르 1세의 아내인 이리나 고두노바(1598~1603년 거주, 그녀는 형인 보리스 고두노프가 통치자가 되기 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표트르 1세의 이복여동생인 소피아 알렉세예브나(1689~1704년 거주), 표트르 1세의 첫 번째 아내인 예우도키야 로푸히나(1727~1731년 거주) 등이 대표적이다.
1610~1611년에는 알렉산데르 고시예프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부대가 노보데비치 수녀원을 점령했다. 러시아군이 수녀원을 탈환한 후, 차르 미하일 1세는 1616년 100명의 스트렐치, 1618년 350명의 병사로 영구적인 경비대를 배치했다. 17세기 말까지 노보데비치 수녀원은 러시아 27개 우예즈드에 36개의 마을(164,215 데샤티나의 토지)을 소유한 대지주였다.
2. 2. 러시아 제국 시대 (18세기 ~ 20세기 초)
17세기 중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지역의 수녀들이 노보데비치 수녀원으로 이주해왔다. 1721년, 구교도 운동을 포기한 노령 수녀들이 이곳에 피난처를 마련했다. 1724년, 수녀원에는 러시아 제국 육군 장병들을 위한 군 병원과 여성 유기 아동들을 위한 고아원이 설립되었다.1812년, 나폴레옹 1세의 군대가 수녀원을 파괴하려 했으나, 수녀들의 노력으로 이를 막아냈다.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피에르는 수녀원 벽 아래에서 처형될 예정이었다. 그의 또 다른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서 콘스탄틴 료빈(주인공)은 수도원 벽 근처에서 아이스 스케이팅을 하던 중 그의 미래 아내 키티를 만난다. 실제로 수녀원 앞 풀밭(처녀의 들판으로 알려짐)은 19세기 모스크바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케이트장이었다. 톨스토이 자신도 근처 카모브니키 지역에 살았을 때 이곳에서 스케이트를 즐겼다.
1871년, 필라티예프 형제는 고아들을 위한 보호학교를 설립하고, 수녀와 평신도 수녀들을 위한 구빈원을 운영했다. 1900년대 초, 건축가 이반 마시코프가 성당을 조사하고 복원했다.
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년 ~ 1991년)
1922년 볼셰비키는 노보데비치 수녀원을 폐쇄하고 여성 해방 박물관으로 전환했다. 1926년까지 수녀원은 역사 및 미술 박물관으로 바뀌었고, 1934년에는 러시아 국립역사박물관의 분관이 되었다. 시설 대부분은 아파트로 바뀌었지만, 덕분에 수녀원은 파괴되지 않았다.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조세프 스탈린이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정책을 완화하면서, 수녀원에 모스크바 신학교 과정 개설을 승인했다. 이듬해 이 과정은 모스크바 신학교로 개편되었다. 1945년 소비에트 정부는 승천 대성당을 신자들에게 돌려주었다. 1980년부터 크루티츠키 및 콜롬나 대주교의 관저가 노보데비치 수녀원에 있다.[1]
2. 4.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1991년 ~ 현재)
1994년, 수녀들이 노보데비치 수녀원으로 돌아와 수도 생활을 다시 시작했다. 현재 수녀원은 크루티츠키 및 콜롬나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다.[5] 소련 시대 종교 탄압으로 소련 정부에 몰수되었던 수도원 건물 중 일부는 교회로 반환되었지만, 2010년 1월 21일 러시아 연방 정부가 그 해 안에 수도원 전체를 교회에 반환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5]3. 건축물
노보데비치 수녀원은 "모스크바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수녀원은 모스크바 역사 지구 남서쪽에 위치하며, 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변은 공원으로 둘러싸여 완충 지대를 형성하고, 북쪽과 동쪽은 도시 지역, 서쪽은 모스크바 강, 남쪽은 도시 고속도로와 경계를 이룬다. 건물들은 12개의 탑이 있는 높은 벽돌 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도시 쪽)과 남쪽에 입구가 있다. 수녀원 영역의 배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불규칙한 직사각형이다.[2]
수도원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은 스몰렌스크의 성모 성당이며, 그 외에도 여러 교회가 남아있다. 많은 교회가 1680년대에 건설되었다.
3. 1. 스몰렌스크 성모 성당
수녀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은 1524년부터 1525년에 걸쳐 건설된 스몰렌스크의 성모 성당이다. 6개의 기둥과 5개의 돔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반 4세 시대에 러시아 건축 특유의 중앙 박공지붕이 건설되었다.[1]3. 2. 기타 건축물

1680년대, 섭정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의 명령으로 수녀원이 대대적으로 개조되었다. 붉은 벽과 탑, 두 개의 높은 성문 위 교회, 식당, 주거 공간은 모두 모스크바 바로크(Muscovite Baroque) 양식으로 설계되었는데, 피터 포타포프(Peter Potapov)라는 사람이 설계했다고 한다.[2] 소피아 알렉세예브나는 나중에 이곳에 투옥되었다.
옛 성당에는 1685년 새로운 성수 용기와 금박을 입힌 조각 이코노스타시스(iconostasis)가 설치되었다. 보리스 고두노프(Boris Godunov)가 기증한 16세기 성상이 네 층에 있고, 시메온 우샤코프(Simeon Ushakov)와 표도르 주보프(Fyodor Zubov)의 17세기 성상이 다섯 번째 층에 전시되어 있다.
소피아 공주가 의뢰한 인상적인 가느다란 종탑(belltower)은 6층으로 높이가 72m였다. 이 종탑은 18세기 모스크바에서 이반 대종탑(Ivan the Great Bell Tower) 다음으로 높은 건물이었다.
4. 노보데비치 묘지
노보데비치 수녀원 묘지는 16세기에 조성되기 시작했다. 다닐로프 수도원, 돈스코이 수도원 등 다른 모스크바 수도원들과 마찬가지로, 러시아 귀족들에게 매장지로 인기가 많았다. 세르게이 솔로비요프,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나폴레옹 전쟁 영웅 데니스 다비도프 등이 수녀원 안에 묻혔다.
1898년부터 1904년까지 남쪽 담벼락 밖에 새로운 묘지가 조성되었다. 안톤 체홉은 새 묘지에 묻힌 최초의 저명인사 중 한 명이었고, 니콜라이 고골도 이곳으로 이장되었다. 소비에트 시대에는 표트르 크로포트킨, 니키타 흐루시초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 보리스 옐친,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등 소련에서 가장 유명한 인사들이 묻히면서 유명한 묘지가 되었다.[6]
4. 1. 주요 안장자
노보데비치 수녀원의 묘지는 16세기에 이미 조성되기 시작했다. 1898년부터 1904년까지, 남쪽 담벼락 밖에 노보데비치 묘지가 조성되었다. 안톤 체호프는 새로운 묘지에 매장된 최초의 저명인사 중 한 명이었고, 니콜라이 고골 또한 나중에 이곳으로 이장되었다. 소비에트 시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가장 유명한 묘지로 변모하였다.[6]
분야 | 인물 |
---|---|
작가·시인 | 안톤 체호프, 니콜라이 고골, 이반 투르게네프, 벨리미르 흐렙니코프,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미하일 불가코프 |
음악가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세묘네 체르네츠키 |
정치가 | 니키타 흐루쇼프 부부, 안드레이 그로미코 (소련 최고회의 간부회의 의장이자 외무장관 역임), 보리스 옐친 (러시아 연방 초대 대통령),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스탈린 시대 소련 외교를 지휘), 니콜라이 불가닌 (일소공동선언에 서명한 전후 소련 총리), 아나스타스 미코얀, 미하일 고르바초프 부부 |
사상가 | 표트르 크로포트킨 |
연출가 |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 (모스크바 예술극장 창립 멤버 중 한 명) |
우주비행사 | 파벨 벨랴예프, 게르만 티토프, 보리스 예고로프 |
기술자 | 사베리 모이세예비치 파인베르크, 세르게이 일류신, 안드레이 투폴레프 |
기타 | 나데즈다 알리루예바 (요시프 스탈린의 두 번째 부인), 세르게이 아이젠슈타인 (몽타주를 고안한 영화 감독), 갈리나 울라노바 (소련 시대 발레리나), 예브게니 툐도로프, 조야 코스모데먄스카야 (독소전쟁에서 독일군에 처형된 파르티잔 여성), 발렌틴 세로프 (화가) |
5. 세계유산
2004년, 노보데비치 수녀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유네스코는 수녀원이 "모스크바 바로크" 양식의 가장 뛰어난 사례이며, 도시 계획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수녀원은 예외적으로 잘 보존된 수도원 단지이며, 모스크바 크렘린과 통합되어 정치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고 평가받았다. 수녀원 자체는 러시아 정교회와 16세기, 17세기 러시아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history of Novodevichy Convent – [English]
https://www.moscover[...]
[2]
웹사이트
World Heritage List: Ensemble of the Novodevichy Convent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2015-03-17
[3]
뉴스
Moscow's historic Novodevichy Convent catches fire close to Kremlin
https://www.telegrap[...]
2015-03-15
[4]
뉴스
Fire in Novodevichy Convent bell tower did not damage building
http://rbth.co.uk/ne[...]
Interfax
2015-03-16
[5]
웹사이트
ロシア、革命時接収した修道院を正教会に年内返還へ
http://www.christian[...]
[6]
서적
るるぶロシア モスクワ・サンクトペテルブルク 2016
JTBパブリッシング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