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아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아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시대에 살았던, 몸길이 약 1.5~2m의 소형 수각류 공룡이다. 1970년대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골격을 바탕으로 1980년 명명되었다. 노아사우루스는 케라토사우루스류 아벨리사우루스상과에 속하며, 초기에는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로 분류되기도 했다. 발톱의 용도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제피로사우루스
    제피로사우루스는 백악기 초 북아메리카 서부에 서식한 힙실로포돈과 공룡으로, 가파른 얼굴과 솟아오른 혹이 특징이며 오로드로메우스와 근연 관계를 가지며 굴을 파는 습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198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민미
    민미는 호주에서 발견된 백악기 초식성 갑옷 공룡으로, 척추를 따라 뼈 판을 가지고 있었으며, 쿤바라사우루스로 분류되기도 하였고, 유리포다 또는 안킬로사우루스류로 분류되기도 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기가노토사우루스
    기가노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수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 인해 정확한 크기 추정은 어렵지만 가장 큰 육식 공룡 중 하나로 간주되며, 티라노사우루스와 크기 비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용반목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용반목 - 스타우리코사우루스
    스타우리코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브라질에서 살았던 2.1m 크기의 소형 이족보행 육식 공룡으로, 원시적인 골격 구조와 톱니 모양의 이빨을 지니며 헤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불완전한 화석 기록으로 용각류와 수각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테유와수 바베르네이*의 이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노아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아사우루스 레알리 골격도
알려진 유해를 보여주는 골격 복원도
노아사우루스속
레알리종
학명Noasaurus leali
명명자보나파르트 & 파월, 1980
크기1.6–2 m
생존 시기백악기 후기,

2. 발견 및 명명

왼쪽 위턱뼈


1970년대 중반, 하이메 에두아르도 파웰과 호세 페르난도 보나파르테는 아르헨티나 살타 주 엘 브레테 화석 발굴지에서 작은 수각류의 단편적인 골격을 발견했다. 엘 브레테는 엘 브레테 농장에서 2.7km 떨어진, 화석이 풍부한 장소로 레초 지층의 일부이다.[1] 1980년, 보나파르테와 파웰은 기준종 ''노아사우루스 레알리''(Noasaurus leali)를 명명 및 기술하였다. 속명은 "북서 아르헨티나"를 의미하며, 종명은 발견자인 후안 카를로스 레알을 기리는 것이다.[3]

''노아사우루스''의 모식표본 '''PVL 4061'''은 약 7천만 년 전,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 초기에 해당하는 레초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두개골을 포함한 부분적인 골격으로, 위턱뼈, 사골, 목뼈 2개, 목 갈비뼈 2개, 등뼈 중심부, 손톱 2개, 손가락 마디뼈, 오른쪽 두 번째 중족골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손톱 중 하나가 발톱으로 확인되었으나,[3] 2004년에 손톱으로 재확인되었다.[4]

1999년, 이 지역에서 발견된 목뼈 표본 MACM 622는 오비랍토르류로 확인되었으나,[5] 2007년 ''노아사우루스'' 모식표본에 속하는 노아사우루스과 척추로 재확인되었다.[6]

3. 형태

노아사우루스와 인간의 크기 비교


''노아사우루스''는 소형 수각류이다. 그레고리 S. 폴은 1988년에 그 길이를 1.5m, 몸무게를 15kg으로 추정했다.[7][8] 2024년, 헨드릭스 외 연구진은 두개골의 재구성된 크기와 두 번째 중족골의 치수를 사용하여 각각 1.6m와 2m의 길이 추정치를 제시했다. 다만, 연구진은 필요한 사지 요소가 부족하고, ''노아사우루스'' 모식 표본이 어린 개체일 가능성이 있어 질량 추정치는 제공하지 않았다.[1]

3. 1. 두개골

''노아사우루스''의 보존된 두개골 요소는 왼쪽 상악골과 오른쪽 방형골이다.[1] 치조돌기의 상악골은 오목하며, 상악와 등쪽 부분에는 대각선 능선이 있었다.[1] 상악골에는 최소 11개의 이빨이 존재하지만,[3] 5개만 보존되어 있다.[1] 이빨은 뒤로 굽어 있으며 앞쪽과 뒤쪽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3] 방형골의 몸체는 강하게 아치형이며, 익상돌기에는 낮은 앞쪽 가장자리가 있었다.[1]

상악골에는 최소 11개의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었다. 이빨은 뒤로 젖혀져 있으며, 앞쪽과 뒤쪽에는 톱니가 발달해 있는 전형적인 육식성 파충류의 이빨을 하고 있었다.[13]。이 특징은 본 종이 어식성에 특화되어 있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3. 2. 경추 및 기타 골격

노아사우루스는 경추가 매우 가늘고 길어 목이 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노아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비교했을 때, 목은 S자형 곡선을 이루는 만곡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1][6] 척추뼈는 수직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낮은 신경 가시와 긴 상돌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아벨리사우루스류의 특징이다.[6] 뒷다리에서 유일하게 보존된 부분은 오른쪽 두 번째 중족골로, 길고 가늘다.[1]

발톱은 강하게 굽었고 칼날 형태이며, 위에서 보면 기저부가 평행하고, 기저부 아래쪽에 깊은 삼각형 구멍이 있다.[4]

4. 분류

노아사우루스는 현재 케라토사우루스류로 분류된다. 원래는 코엘루로사우루스류의 일원으로 간주되었으나, 이후 호세 페르난도 보나파르트와 하이메 에두아르도 파웰은 노아사우루스를 자체 과인 노아사우루스과로 분류했다.[3] 1988년, 그레고리 S. 폴은 이들을 아벨리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그 하위 그룹으로 노아사우루스아과를 만들었지만, 메갈로사우루스류라고 잘못 생각했다.[7]

이후 노아사우루스과는 더 큰 아벨리사우루스과의 가까운 친척으로 인식되었으며, 둘 다 동일한 기저 아벨리사우루스상과 조상에서 유래되었다. 2016년 라우후트와 카라노의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노아사우루스과는 엘라프로사우루스아과와 노아사우루스아과로 나뉘며, 노아사우루스는 벨로키사우루스, 마시아카사우루스 등과 함께 노아사우루스아과를 구성한다.[10] 2024년에는 노아사우루스가 라에비수쿠스, 마시아카사우루스, 벨로키사우루스, 그리고 베스페르사우루스와 함께 폴리토미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백악기 후기에 발생한 소형 노아사우루스류의 방사 진화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5. 고생물학

1980년에는 추정되는 발톱이 낫 모양의 발톱으로 기능한다고 생각되었다.[3] 1988년 폴(Paul)은 노아사우루스류를 수렴 진화 과정에서 아시아북아메리카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와 남아메리카의 대응물로 보았다. 아벨리사우루스과가 매우 짧은 팔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는 ''노아사우루스''의 앞다리 또한 길이가 제한되어 발톱으로 내장을 적출하기 위해 희생자의 등을 잡는 대신 발차기 기술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는 이 방법을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가 사용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7] 이 가설은 발톱이 사실 손톱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약화되었다.[9] 2024년 헨드릭스(Hendrickx) 등은 ''바리오닉스''와 같은 스피노사우루스과의 확대된 엄지 발톱처럼 물에서 물고기를 낚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수렴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이것이 물고기와 같은 작은 척추동물을 먹는 기회주의적인 중간 포식자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1] 이러한 생활 방식은 ''마시아카사우루스''에서 제안된 것과 유사하다.[11]

참조

[1] 논문 Osteology, relationship, and feeding ecology of the theropod dinosaur Noasaurus leali,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Western Argentina 2024
[2] 간행물 "Hallazgos de dinosaurios y aves cretácicas en la Formación Lecho de El Brete (Salta), próximo al límite con Tucumán" 1977
[3] 간행물 "A continental assemblage of tetrapods from the Upper Cretaceous beds of El Brete, northwestern Argentina (Sauropoda-Coelurosauria-Carnosauria-Aves)" 1980
[4] 간행물 "The end of a myth: The mysterious ungual claw of ''Noasaurus leali''" 2004
[5] 간행물 "A possible oviraptor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western Argentina" 1999
[6] 간행물 "Did oviraptorosaurs (Dinosauria; Theropoda) inhabit Argentina?" 2007
[7]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Simon & Schuster 1988
[8]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The position of the claws in Noasauridae (Dinosauria: Abelisauroidea) and its implications for abelisauroid manus evolution." https://www.academia[...] 2010
[10] 간행물 The theropod dinosaur Elaphrosaurus bambergi Janensch, 1920, from the Late Jurassic of Tendaguru, Tanzania 2016
[11] 논문 New materials of Masiakasaurus knopfleri Sampson, Carrano, and Forster, 2001, and implications for the morphology of the Noasauridae (Theropoda: Ceratosauria) http://www.sil.si.ed[...] 2011
[12] 논문 Hallazgos de dinosaurios y aves cretácicas en la Formación Lecho de El Brete (Salta), próximo al límite con Tucumán 1977
[13] 논문 A continental assemblage of tetrapods from the Upper Cretaceous beds of El Brete, northwestern Argentina (Sauropoda-Coelurosauria-Carnosauria-Aves) 1980
[14] 논문 The end of a myth: The mysterious ungual claw of Noasaurus leali 2004
[15] 논문 A possible oviraptor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western Argentina 1999
[16] 논문 Did oviraptorosaurs (Dinosauria; Theropoda) inhabit Argentina? 2007
[17]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Simon & Schuster 1988
[18] 문서 参考までに、小型獣脚類の[[グアンロン]]は全長3 m、体重100 kg
[19] 논문 The position of the claws in Noasauridae (Dinosauria: Abelisauroidea) and its implications for abelisauroid manus evolution. 2009-11-19
[20] 문서 こうした誤認は無関係の[[メガラプトル]]や[[フクイラプトル]]、[[ネオヴェナトル]]でも発生した
[21] 문서 これは誤りというよりも当時の獣脚類に、主だった系統がメガロサウルス類を含む数本しかなかった事が原因である
[22] 논문 The theropod dinosaur ''Elaphrosaurus bambergi'' Janensch, 1920, from the Late Jurassic of Tendaguru, Tanzania 2016
[23] 문서 既出のノアサウルスの顎も微妙に湾曲しており、マシアカサウルスの発見によって湾曲の謎が解けた
[24] 논문 New materials of Masiakasaurus knopfleri Sampson, Carrano, and Forster, 2001, and implications for the morphology of the Noasauridae (Theropoda: Ceratosauria)
[25] 문서 もっとも[[バリオニクス]]の歯は、僅かながら鋸歯と湾曲の2つを残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